KR101572374B1 -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374B1
KR101572374B1 KR1020140070187A KR20140070187A KR101572374B1 KR 101572374 B1 KR101572374 B1 KR 101572374B1 KR 1020140070187 A KR1020140070187 A KR 1020140070187A KR 20140070187 A KR20140070187 A KR 20140070187A KR 101572374 B1 KR101572374 B1 KR 10157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r
angle
bar bracket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찬석
Original Assignee
전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찬석 filed Critical 전찬석
Priority to KR102014007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3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3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one-sided wear of a trolley wire, which can extend a service life of a trolley wire by preventing the one-sided wear of the trolley wire provided in a lower part of a rigid overhead conductor wire by maintaining an optimum contact state between the rigid overhead conductor wire and a current collector in response to an inclination of the trolley wire of a curved section by preventing torsion between the rigid overhead conductor wire supported by an R-Bar bracket provided in the trolley wire of the curved section and the current collector due to an inclination (Cant) of the inclined curved section; and can prevent an accident such as pantagraph combustion by suppressing arc generation in an expansion element.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one-sided wear of a trolley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ger clamp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rigid overhead conductor wire combining a rigid body and the trolley wire; a bracket head arm provided in a front end of the R-Bar bracket to fixate and support the hanger clamp; an R-Bar bracket which comprises the bracket head arm on the front end thereof, a tail arm on a rea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bracket insulators at a center; a supporting arm which supports the R-Bar bracket while being fix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or spatial structure; and an angle adjustment uni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arm and an R-Bar and adjusts or fixes an angle of the R-Bar bracket.

Description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

본 발명은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구간의 전차선로에 구비되는 알-바(R-BAR)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강체전차선과, 곡선구간의 비스듬한 전차선로 경사(Cant)로 인한 집전장치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현상을 개선하여, 상기 강체전차선과 집전장치와의 접촉이 곡선구간의 전차선로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강체전차선의 하부에 구비된 전차선의 편마모가 방지됨으로써 수명이 연장되고, 신축장치(Expansion Element)에서의 아크(Arc)발생을 억제시킴으로써 팬터그래프 소손 등의 사고가 예방되도록 한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enary catheter that is supported by an R-BAR bracket provided on a catenary line of a curved section,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rigid body electric line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is maintained in an optim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urved line to the electric c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by preventing an accident such as a pantograph burnout by preventing an uneven wear of the provided catenary line,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and suppressing arc generation in an expansion device.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성·정확성·안전성·대량수송성·쾌적성·저공해성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도심교통 뿐만 아니라 주요산업시설간의 물류나 대도시 간의 여객수송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용이 계속 확장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electric railway has many advantages such as speed, accuracy, safety, mass transport, comfort, low pollution, etc. compared with other transportation means. Therefore, electric railway is a pivotal in logistics between major industrial facilities and passenger transportation between big cities And the usage is continuously expanding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in the world.

전기철도에 사용되는 전기차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운행이 이루어지는데, 전기차가 운행되는 구간에는 전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차에 고정 설치된 집전장치(Pantagraph)와의 접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전차선은 상기 집전장치와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특성상 전기의 도전성(율), 내열성, 내아크성, 내식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해야 한다.Electric cars used in electric railways are operated through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outside. Electric car lines are installed in the section where electric car is operated, and electric car lines that supply electric power in accordance with contact with a pantagraph fixed to an electric ca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rate), heat resistance, arc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must be excell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contact with the current collector.

이와 같은 전기철도는 지형이나 경로 환경에 따라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이 필연적으로 형성되게 되며, 전기철도의 특성상 직선구간보다는 곡선구간에서의 안정된 관리가 안전운행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곡선구간의 전차선의 관리는 철도운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즉, 전기차의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인 전차선과 전기차에 구비된 집전장치와의 접촉관계를 안정적으로 갖도록 하는 것이 안정된 운행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Such an electric railway necessarily forms a straight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depending on the terrain or path environment, and stable management in the curved se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afe oper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electric railway.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ram lin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ailway operation. In other words, it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stable operation that the contact line between the electric cable line, which is a facilit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necessary for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current collecting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are stable.

일반적으로 곡선구간에는 캔트(cant)를 구비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캔트(cant)는 철도차량이 곡선 지점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쪽 레일을 기준으로 바깥쪽 레일을 높게 부설하는 것을 말하며, 중력을 궤도의 중심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곡선구간의 바깥쪽 레일을 안쪽 레일보다 높게 유지함으로써, 고속운행시 원심력에 의한 열차의 이탈을 막는 작용을 하도록 하고 있다.Generally, the curved section is provided with a cant so that the safe operation of the train can be performed. The cant is designed so that the outer rail is raised at a high level relative to the inner rail so that the railway vehicle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curved point And keeps the outer rail of the curve section higher than the inner rail in order to draw the gravity to the center of the orbit, thereby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train by centrifugal force at high speed operation.

도 1은 편마모로 인한 전차선의 손실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기차와 강체전차선의 관계 및 전차선의 확대단면도로서, 알-바(R-BAR) 브래킷(50)에 지지된 전차선(60)이 연직방향으로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전기차(70)가 상기 곡선구간의 캔트에 의한 기울기 만큼 경사진 상태로 이동하면서, 집전장치(71) 또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전차선(60)과 접촉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1에 의하면, 장시간 운행시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차선(60)에서 편마모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FIG. 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rigid body line in order to show the state of loss of the electric wire due to the uneven wear, in which an electric wire 60 supported by an R-BAR bracket 50 is vertically The electric current collector 70 is tilted by the inclination by the cant of the curved section while the electric current collector 70 is supported and fixed and the current collector 71 is also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60 in a tilted state. 1,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even wear phenomenon inevitably occurs in the catenary 60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when the vehicle is driven for a long period of time.

즉, 알-바(R-bar) 브래킷에 고정 설치된 강체와 전차선(6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강체전차선이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전기차(70)의 집전장치(71)와의 접촉에 의해 전차선(60)이 편마모되게 되며, 확대도면과 같이 전차선(60)에 편마모손실(63)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확대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부호 61은 강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이고, 62는 전차선의 마모된 부분이며, 63은 편마모에 따른 손실 부분을 나타낸다.That is, the current collector 71 of the electric vehicle 70, which moves in an oblique slant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rigid electric wire, which is rigidly fixed to the R-bar bracket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60, It can be seen that the catenary line 60 is unevenly worn by the contact with the catenary line 60, and an uniaxial loss 63 is generated in the catenary line 6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More specifically, the enlarged view 61 is a fixed portion fixed to a rigid body, 62 is a worn portion of the catenary, and 63 is a loss portion due to the uneven wear.

이와 같은 편마모현상은 전차선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며, 신축장치(Expension Joint 또는 Expension Element)를 궤도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설치하지 않을 경우 집전장치 통과시 캔트적응 기능이 없어 아크가 발생하여 사고 발생의 우려가 상존하며, 또한 아크 발생으로 인한 전기적 마모로 인해 집전장치의 수명까지도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Such an uneven wear phenomenon shortens the life of the catenary cable. If the expansion joint (Expansion Element) is not installed parallel to the raceway surface, there is no cant adaptation func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current coll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time of the current collector is shortened due to the electrical wear caused by the generation of the arc.

이러한 전차선의 곡선구간 편마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 특1998-065090호(공개일자: 1998. 10. 07.)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2는 상기 종래기술의 지하철용 전차선 곡선당김금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동차량의 팬터그래프와 접촉되어 전동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차선을 곡선구간에서 당겨주도록 설치되는 당김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of uneven wear in the curved section of such a catenary,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065090 (published on Oct. 10, 1998) is disclosed. Fig. 2 is a cross- And shows a pulling device 10 installed so as to pull the electric wir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ntograph of the electric vehicle and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in a curved section.

상기 당김장치(10)는 절연애자(3), 급전선(4), V-드로퍼(5), 조가선(6), 전차선(7)에 클램핑되는 이어(11), 터널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지지앵글(21), 상기 이어(11)와 지지앵글(21)에 설치되어 절연을 시키는 애자(22), 및 알루미늄 합금관재로 형성된 곡선당김금구(1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선당김금구(17)는 알루미늄 합금관으로 제조되고, 양단부에는 동 또는 알루미늄합금(청동)으로 제조된 연결구가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다.The pulling device 10 includes an insulating insulator 3, a feeder line 4, a V-dropper 5, a wire 6, an ear 11 to be clamped to the electric wire 7, An angle 21, an insulator 22 provided on the ear 11 and the support angle 21 for insulation, and a curved pulling metal fitting 17 formed of an aluminum alloy tube. The curved pulling metal fitting 17 ) Is made of an aluminum alloy tube, and at both ends, a connector made of copper or aluminum alloy (bronze) is fixedly installed.

상기 곡선당김금구(17)의 일측 연결구에는 선단부에 나사부를 구비하고 말단부에 힌지핀이 삽입될 힌지결합부를 구비한 힌지고정구가 힌지핀에 의해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고정구의 나사부에는 상하측에 조가선(6)과 전차선(7)을 일정 간격으로 클램핑하는 조가선홀딩부와 전차선클램핑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클립이 삽입관통되어 볼트부재로서 고정된다.A hinge fixture having a screw portion at a distal end portion and a hinge engaging portion to which a hinge pin is to be inserted is hing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urved pulling metal fitting 17 by a hinge pin. A pair of clips having a wire holding portion and a wire clamping portion for clamping the wire 6 and the wire 7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inserted and fixed as bolts.

그리고, 상기 곡선당김금구(17)의 타측 연결구(18)는 터널의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앵글(21)과 고리(20)로 연결고정되어 곡선당김금구(17)의 타측단이 절연된 상태로 지지앵글(21)에 설치된다. 따라서, 캔트 기울기에 맞추어 상기 전차선(7)의 기울기가 조절되면서 편마모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other connecting end 18 of the curved pulling metal fitting 17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supporting angle 21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tunnel by the loop 2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ulling metal fitting 17 is insulated And is installed in the support angle 21. Therefore, the tilting of the catenary line (7)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ant slope so that the phenomenon of uneven wear can be prevented.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브래킷의 경우, 상기 곡선당김금구를 통해 곡선로의 캔트에 의한 전차선 비틀림 현상을 어느 정도 바로 잡을 수는 있으나, 알-바(R-Bar) 브래킷에 곡선당김금구가 없는 상태에서, 회전금구(Swivel head 또는 Hanger Clamp)가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을 고정하고 전차선이 상기 알-바(R-Bar)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인해, 알-바(R-Bar) 브래킷이 항상 수평상태로 지지금구 하수강에 지지되는 특성상, 선로 캔트에 의하여 전차선에 편마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racket, it is possible to rectify the tram line phenomenon by the cant into the curve to some extent through the curved pulling bracket, bu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curved bracket in the R-bar bracket And a hanger clamp fixes the R-Bar bracket and the electric wire is fixed to the R-Bar bracket, the R- Bar) brackets are always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under the support brack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re cant constantly generates uneven wear on the wire.

전차선에 편마모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전차선의 수명이 감소되면서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또한 곡선구간의 캔트에 대해 알-바(R-Bar)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전차선의 기울기 조절이 불가능하여 안전운행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If the uneven wear phenomenon continuously occurs on the catenary line, the life span of the catenary line is reduced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Also, the tilt adjustment of the catenary supported by the R-bar bracket for the cant of the curve section There is a fatal problem in safety operation because it is impossible.

즉, 편마모에 의해 전차선의 수명이 단축되면서 교체주기가 빨라지게 되어 이에 따른 비용손실이 커지게 되며, 또한 신축장치(Expansion Element)에서의 아크(Arc)발생으로 인한 팬터그래프 소손으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other words, the life of the catenary line is shortened due to the uniaxial machining, and the replacement cycle becomes faster,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st loss. In addition,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pantograph burning due to the arc generation in the expans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KR 10-1998-065090 A1 2011.05.23.KR 10-1998-065090 A1 May 23,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차선의 편마모가 발생될 수 있는 곡선구간에서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되면서, 곡선구간의 전차선 지지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which can prevent the uneven wear of the catenary line so that the support of the catenary line of the curve section is maintained in an optimum state.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이볼트 및 반달형와셔를 조합하여 상기 아이볼트의 결합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which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an R-bar bracket by combining the eyelets and the half-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알-바 브래킷의 꼬리금구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관절형으로 유지하고, 애자밴드와 지지금구의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봉을 통한 경사각조절을 통해, 곡선구간의 캔트에 대응되어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전차선과 집전장치 상호간 접촉이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joint bracket so that the tail bracket of the bracket can rotate, an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racket by adjusting the angle of inclination through the angle- (R-Bar) brackets corresponding to the cant of the section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atenary line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is made at a right angle, thereby preventing uneven wear of the catenary line.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지지금구와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꼬리금구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곡선구간의 캔트에 대응하여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면서, 전차선과 집전장치 상호간 접촉이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dge-shaped swash plate inserted between a support bracket and a tail bracket of the R-bar bracke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By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bar bracket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cant of the curve section, so that contact between the catenary line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is made at right angles to prevent uneven wear of the catenary And to provide a device that allows f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는, 강체와 전차선이 결합된 강체전차선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행거클램프; 알-바(R-Bar) 브래킷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행거클램프를 고정 지지하는 브래킷머리금구; 선단에 상기 브래킷머리금구가 구비되고, 후단에 꼬리금구가 구비되며, 중심부위에 복수의 브래킷절연애자를 포함하는 알-바(R-Bar) 브래킷; 지상 또는 공간 구조물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을 지지하는 지지금구; 및 상기 지지금구와 알-바(R-Bar) 브래킷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조절 및 고정을 위한 각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wire, comprising: a hanger clamp for fixing and supporting a rigid electric wire coupled with a rigid body and a catenary; A bracket head bracket provided at an end of an R-Bar bracke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hanger clamp; An R-bar bracket having a bracket head bracket on a tip thereof, a tail bracket on a rea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bracket insulators on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R-Bar bracket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ground or space structure;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Bar bracket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은, 지지금구와 알-바(R-Bar) 브래킷을 상호 연결 지지하되, 상기 지지금구와 알-바(R-Bar) 브래킷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관절부; 및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금구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관절부를 통해 브래킷꼬리금구B에 구비된 관절축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하단에는 아이볼트가 관통되도록 조절나사구멍이 구비되는 브래킷꼬리금구A; 상기 브래킷꼬리금구A에 구비되는 상기 조절나사구멍에 관통되는 아이볼트;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후단에 형성되는 꼬리금구에 일체로 고정형성되며, 상기 아이볼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에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축이 구비되는 브래킷꼬리금구B; 상기 아이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아이볼트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너트; 및 상기 조절나사구멍을 관통한 아이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조절너트를 통해 조절된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int portion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bar bracket so that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Bar bracket are rotatably engaged; And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d fix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wherein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unit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racket tail bracket B through a joint A bracket tail bracket A rotatably fixed to the articulated shaft and having an adjusting screw hole to allow an eye bolt to pass therethrough; An eye bolt passing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hole provided in the bracket tailpiece A; A bracket tail bracket B fixedly integrally fixed to a tail bracket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bar bracket and having a hinge shaft for rotating the eye bolt in a state where the eye bolt is fastened, ; An adjusting nut for moving the eyebol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ye bolt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eye bolt to adjust an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And a lock nut fastened to an eye bolt passing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hole and fix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nut.

한편,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은, 지지금구와 알-바(R-Bar) 브래킷을 상호 연결 지지하되, 상기 지지금구와 알-바(R-Bar) 브래킷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관절부; 및 상기 지지금구와 알-바(R-Bar) 브래킷의 사이에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각도조절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봉은 일단이 지지금구의 상부밴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알-바(R-Bar) 브래킷의 애자밴드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구비된 길이조절부를 조절하여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antime,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bar bracket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 ; And an angle adjusting rod for adjusting and fix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R-Bar bracke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band of the R-Bar bracket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provided at the middle part is adjust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Can be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은, 알-바(R-Bar) 브래킷 후단에 구비되는 꼬리금구와 지지금구의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 및 상기 꼬리금구, 지지금구 및 상기 꼬리금구와 지지금구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이 상호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dge-shaped inclined plate inserted between a tail bracket provided at a rear end of an R-bar bracket and a support bracket; And a fixing bolt for allowing the wedge-shaped beveled plate inserted between the tail metal bracket,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ail bracket to be tightly coupl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전차선의 편마모가 발생될 수 있는 곡선구간에서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캔트에 대응되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곡선구간에서의 전차선 편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can be adju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ant in a curve section in which the uneven wear of the catenary line can be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unevenly curved in the curve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바 브래킷의 꼬리금구가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관절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브래킷꼬리금구A, 아이볼트, 브래킷꼬리금구B, 상기 아이볼트에 체결되며 알-바 브래킷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너트,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여 변동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너트, 및 상기 아이볼트의 경사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반달형와셔의 구성을 통해,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안정된 상태로 지속 유지됨으로써, 전차선의 편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tail bracket of the al-bar bracket is articulat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the bracket tail bracket A, the eye bolt, the bracket tail bracket B,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ing nut for adjusting the angle, the locking nut for fixing the adjusted angle so as not to be changed, and the half-moon washer easily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eyebolt, The diaphragm is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thereby preventing an uneven wear of the catena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바 브래킷의 꼬리금구가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관절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단이 지지금구의 상부밴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알-바(R-Bar)브래킷의 애자밴드에 경사진 상태로 연결된 각도조절봉과 길이조절부(턴버클)에 의하여 상기 각도조절봉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봉에 연결된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안정된 상태로 지속 유지됨으로써, 전차선의 편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racket is connected to the upper band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is connected to the rear bracket of the R-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rod is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ngth of the angle adjusting rod by an angle adjusting rod and a length adjusting portion (turn buckle) connected to the insulator band in an inclined stat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is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uneven wear of the catena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지지금구와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꼬리금구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곡선구간의 캔트에 대응하여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조정되면서, 전차선과 집전장치 상호간 접촉이 직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wedge-shaped swash plat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ail bracket of the R-bar bracke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bar bracket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cant of the curve section, and the contact between the catenary line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is mad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uneven wear of the catenary lin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편마모 방지를 통한 전차선의 수명 연장 효과와 함께, 신축장치(Expansion Element)에서의 아크(Arc)발생이 억제되면서 팬터그래프 소손 등의 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pantograph burnout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n arc in an expansion device, as well as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a catenary by preventing uneven wear.

도 1은 편마모에 의한 전차선의 손실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전기차와 강체전차선의 관계 및 전차선의 확대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지하철용 전차선 곡선 당김금구에 의한 편마모방지장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의한 각도조절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의한 각도조절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의한 각도조절상태도.
도 8은 도 7에 적용된 각도조절용 쐐기형 경사판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FIG. 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car and a rigid body line to show the state of loss of the electric line by the uniaxial contact, and a cross section of the line.
Fig. 2 is a state in which an anti-abrasion preventing device is installed by a curved pulling bracket of an electric wire line for a subwa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 5 is an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electric wi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by the anti-union prevention device.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ment state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ment state of an electric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edge-shaped swash plate for angle adjustment applied to FIG. 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의한 각도조절상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tena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Is an angle adjustment state by the anti-union prevention device.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는, 강체(210)와 전차선(270)이 결합된 강체전차선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행거클램프(220), 상기 행거클램프(22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브래킷머리금구(230), 상기 브래킷머리금구(230)가 선단부에 고정설치되며 복수의 브래킷절연애자(240)를 포함하는 알-바(R-Bar) 브래킷(2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설치각을 조절하여 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3 to 5,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uneven wear of a catenary includes a hanger clamp 220 for fixing and supporting a rigid body line coupled with a rigid body 210 and a catenary line 270, A bracket head bracket 230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bracket bracket 230 and an R-bar bracket 200 having a plurality of bracket insulators 240 fixed to the front end thereof. And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can be adjusted to prevent uneven wear of the electric cab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을 지지하기 위해 지상 또는 공간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금구(300),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support bracket 300 fixed to a ground or a space structure to support the R-bar bracket 200 and the R-bar bracket 200, An angle adjus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for fixing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R- (100).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크게 관절부(110)와 각도조절부(120)로 구분되며, 상기 관절부와 각도조절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알-바(R-Bar) 브래킷(200)의 지지각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100 is divided into a joint part 110 and an angle adjusting part 120. The supporting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in a state where the joint part and the angle adjusting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

상기 관절부(110)는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을 통한 각도조절을 위해 관절축(111)과 결합되게 된다. The joint part 110 is for rotating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joint bracket 300 with the joint shaft 111, .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120)는 상기 관절부(110)의 하단 또는 상단에 구비되게 되며, 상기 관절부(110)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지지결합되는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angle adjusting unit 12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r an upper end of the joint part 110 and adjusts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tha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joint part 110 Fixed in the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120)는 브래킷꼬리금구A(121), 아이볼트(125), 브래킷꼬리금구B(123), 조절너트(126), 잠금너트(127) 및 반달형와셔(128, 129)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120 includes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the eye bolt 125, the bracket tail bracket B 123, the adjustment nut 126, the lock nut 127, 128, and 129, respectively.

상기 브래킷꼬리금구A(121)는 일단이 지지금구(300)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관절부(110)를 통해 브래킷꼬리금구B(123)에 구비된 관절축(1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며, 하단에는 아이볼트(125)가 관통되도록 조절나사구멍(122)이 구비되어 있다.One end of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is rotatably fixed to the joint shaft 111 provided on the bracket tail bracket B 123 through the joint portion 110. And an adjusting screw hole 12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o allow the eye bolt 125 to pass therethrough.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조절부를 이루는 아이볼트(125)의 일단이 브래킷꼬리금구A(121)에 구비된 상기 조절나사구멍에 관통되게 되며, 다른 일단은 브래킷꼬리금구B(123)에 힌지결합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eye bolt 125 constituting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adjusting screw hole provided in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bracket tail bracket B 123 do.

상기 브래킷꼬리금구B(123)는 알-바(R-Bar)브래킷(200)의 후단에 형성되는 꼬리금구(250)에 일체로 고정형성되게 되며, 아이볼트(125)가 체결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에 따라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124)이 구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조절시 상기 아이볼트(125)가 힌지축(124)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된다.The bracket tail bracket B 123 is integrally fixed to a tail bracket 25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Bar bracket 200. The bracket tail bracket B 123 is integrally fixed to the tail bracket 25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 A hinge shaft 124 is provided to allow rotation of the eye bolt 125 relative to the hinge shaft 124 when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is adjusted do.

상기 아이볼트(125)는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 조절 및 잠금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조절너트(126), 잠금너트(127) 및 반달형와셔B(128)를 통해 각도 조절 및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eye bolt 125 is necessary for angle adjustment and locking of the R-Bar bracket 200 and is provided with an angle (not shown) through the adjustment nut 126, the lock nut 127 and the anti- Adjustment and locking can be made.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너트(126)가 상기 반달형와셔B(128)와 함께 상기 브래킷꼬리금구A(121)와 상기 브래킷꼬리금구B(123)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아이볼트(125)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조절너트(1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아이볼트(125)의 길이방향 좌우로 상기 조절너트가 이동되게 되는데, 이후 상기 조절너트가 위치한 방향으로 잠금너트(127)가 이동되도록 회전시켜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nut 126 is screwed into the eye bolt 125 at the position between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and the bracket tail bracket B 123 together with the semi- The adjustment nut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yebolt 125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nut 126. Thereafter, the adjustment nut is rotated so that the lock nut 127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nut is positioned The rake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is adjusted in a controlled state by fixing the R-bar bracket 20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조절너트와 잠금너트의 사이에는 반달형와셔A(129) 및 반달형와셔B(128)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반달형와셔A(129)와 반달형와셔B(128) 사이에 조절나사구멍을 통해 브래킷꼬리금구A(121)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꼬리금구A(121)의 좌우에 접하는 면이 반달 원형으로 형성되는 반달형와셔B(128) 및 반달형와셔A(129)의 형태상의 특성으로, 브래킷꼬리금구A(121)와의 접촉면이 적어 접촉저항이 작아지게 되며, 이를 통해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조절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Between the adjustment nut and the lock nut, a half-mound washer A 129 and a half-mound washer B 128 are positioned, and between the half-mound washer 129 and the half-mound washer B 128, The metal bracket A 121 is positioned. At this time, due to the features of the semicylindrical washers B and 128 and the semicylindrical washers A and 129,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is small The contact resistance becomes small, and the angle adjustment and fixing of the R-Bar bracket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절너트(126)의 회전방향 조절을 통해 아이볼트 상에서의 위치가 결정되면서 알-바(R-Bar) 브래킷(200)의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잠금너트(127)를 조임으로써 잠금상태가 유지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can be adjusted while the position on the eye bolt is determin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nut 126. In this state, The lock state is maintained by tightening the nut 127.

상기 잠금너트(127)는 조절나사구멍(122)을 관통한 아이볼트(125)에 체결되게 되는데, 상기 아이볼트(125)에 조절너트(126), 반달형와셔B(128), 관절부의 조절나사구멍(122), 반달형와셔A(129) 및 잠금너트(127)가 순서대로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너트(126)와 상기 잠금너트(127)와의 사이에서 반달형와셔B(128), 브래킷꼬리금구A(121) 및 반달형와셔A(129)가 함께 밀착 고정되면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이 상기 조절너트를 통해 조절된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The lock nut 127 is fastened to the eye bolt 125 passing through the adjustment screw hole 122. The adjustment bolt 126, the half-circular washer B 128, The hole 122, the semicylinder washer A 129, and the lock nut 127 are tightened in order. Therefore, the semicylindrical washer B (128), the bracket tail bracket A (121), and the semicylindrical washer A (129) are tightly fixed together between the adjusting nut (126) and the lock nut (127) -Bar bracket 200 is firmly fixed while maintaining the adjusted angle through the adjustment nu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에 의한 각도조절상태도로서, 상기 도 6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관절부(110)와 각도조절봉(150)으로 이루어진다.6, the angle adjusting means 100 includes a joint portion 110 and an angle adjusting rod 150 (see FIG. 6). The angular adjusting means 100 includes a joint portion 110, ).

상기 관절부(110)는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을 상호 연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의 실시 예와 동일한 관절축(111)을 통해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이 상기 관절부에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각도조절봉(150)에 구비된 길이조절부(151)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The joint part 110 is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joint bracket 200 through the same joint shaft 111 as the embodiment of FIG. (R-Bar) bracket is suppor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length adjuster 151 provided on an angle adjusting rod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where an R-Bar bracke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joint, Allow the angle of the bracket to be adjusted freely.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각도조절봉(150)은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의 사이에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지지금구(300)의 상부밴드(15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알-바(R-Bar)브래킷(200)의 애자밴드(152)에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어 구비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도조절봉의 일단이 지지금구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밴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봉이 좌하방으로 연장되면서 다른 일단이 알-바(R-Bar) 브래킷의 애자밴드에 결합됨을 알 수 있다.The angle control rod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s moun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and the R-Bar bracket 20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band 153 of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band 152 of the R-Bar bracket 200 And is connected in a tilted state. 6,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rod is coupled to an upper band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tal, the angle adjusting rod extends left and low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insulator Lt; / RTI >

상기 구성을 통해, 알-바(R-Bar) 브래킷(200)과 지지금구(300)가 관절부(110)를 통해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봉을 통해서도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bar bracket 200 and the support bracke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angle adjusting rods while being freely rotatably interconnected through the joint portion 110, It can be seen that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can be adjusted.

상기 각도조절봉(150)의 중간부분에는 길이조절부(151)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각도조절봉(15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봉에 연결된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가 도 6에서와 같이 조절될 수 있다.A length adjuster 151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ngle adjuster rod 150. The length of the angle adjuster rod 15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using the length adjuster,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상기 길이조절부(151)는 다양한 구조로 설치가 가능하며, 임의로 양단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턴버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유사하게 각도조절봉(150)의 양단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부품도 적용이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adjuster 151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tructures and a turnbuckle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is used.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parts of the form.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차선 편마모 방지장치에 의한 각도조절상태도로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쐐기형 경사판(130)을 적용하여 간편하게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ing state of the R-bar brack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ans includes a wedge type swash plate 130, And the angle of the light source is adjusted.

도 7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상 또는 공간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지지금구(300), 알-바(R-Bar) 브래킷(200)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금구(300)에 결합 지지되는 알-바(R-Bar) 브래킷의 꼬리금구(250), 상기 지지금구(300)와 꼬리금구(250)의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130), 및 복수의 고정볼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upport bracket 300 fixed to a ground or a space structure, an R-bar bracket 200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300, A wedge-shaped swash plate 130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tail bracket 250, and a plurality of fixing bolts 140, which are inserted between the tail bracket 250 and the tail bracket 250 of the R- .

상기 고정볼트(140)는 상기 지지금구(300), 꼬리금구(250) 및 상기 지지금구와 꼬리금구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130)이 상호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쐐기형 경사판(130)은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7b에서 보듯이 상기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되는 깊이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 깊이를 다르게 한 상태에서 고정 결합함으로써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bolt 14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ort bracket 300, the tail bracket 250 and the wedge-shaped swash plate 130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ail bracke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wedge- Bar 130 is provided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As shown in FIG. 7B, by vary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wedge-shaped swash plat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 So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bar bracket can be adjusted in a fixed state by fixing the wedge-shaped swash plate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depth of the wedge-shaped swash plate is different.

즉, 도 7b를 참조하면, 실선과 같이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이 작아지게 되고, 도 7a 및 도 7b의 점선과 같이 상기 쐐기형 경사판이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이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7B, when the wedge-shaped swash plate is inserted as shown by the solid lin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becomes small, and the wedge- It can be see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becomes large.

도 7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알-바(R-Bar) 브래킷(200)의 꼬리금구(250)를 지지금구(300)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경사각도를 결정한 상태에서 쐐기형 경사판(130)을 삽입한 후,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볼트(140)를 조임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in fixing the tail bracket 250 of the R-bar bracket 200 to the bracket 300, the R- The wedge type swash plate 130 is inserted, and then the fixing bolt 140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도 8은 도 7에 적용되는 각도조절용 쐐기형 경사판(130, 130')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8a는 톱니홈(131)을 갖는 쐐기형 경사판을 나타내고 있고, 도 8b는 핀홀(132)을 갖는 쐐기형 경사판을 나타내고 있다.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edge type swash plate 130 or 130 'for angle adjustment applied to FIG. 7. FIG. 8A shows a wedge type swash plate having a toothed groove 131, FIG. 132 of the wedge-shaped swash plat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쐐기형 경사판(130, 130')은 삽입이 먼저 이루어지는 하단 부위의 두께에 비해 상부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홈(131) 또는 핀홀(132)에 고정볼트(140) 등의 고정도구가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wedge-shaped swash plate 130, 130 'is formed thicker than the lower end portion where insertion is first performed, and a plurality of tooth grooves 131 or It can be seen that a fixing tool such as the fixing bolt 140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132 and the coupling can be performed.

도 8a의 톱니홈을 갖는 쐐기형 경사판(130)을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의 꼬리금구(250)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 깊이에 따라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홈 중 고정볼트에 대응되는 위치의 톱니홈에 상기 고정볼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경사각이 견고하게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열차의 운행 등으로 인한 진동 등에 의해서도, 상기 고정볼트를 통한 고정을 통해 상기 쐐기형 경사판이 상기 알-바(R-Bar) 브래킷의 꼬리금구와 지지금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wedge-shaped swash plate 130 having the tooth groove of FIG. 8A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metal fitting 300 and the tail metal fitting 250 of the R-Bar bracket, the insertion depth of the wed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can be firmly maintained at a constant angle by engaging the fixing bolts with the toothed groov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olts among the plurality of toothed groov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fore, the wedge-shaped swash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ail bracket and the support bracket of the R-bar bracket by the fixing through the fixing bolts even by vibration due to the running of a train or the like.

또한, 도 8b의 핀홀을 갖는 쐐기형 경사판(130')을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브래킷의 꼬리금구(250)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쐐기형 경사판의 삽입 깊이에 따라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핀홀 중 어느 한 쌍의 핀홀에 고정볼트 또는 별도의 핀 등 결합수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쐐기형 경사판의 이탈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형 경사판(130')의 하단 양측에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133)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경사판의 삽입 또는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wedge-shaped swash plate 130 'having the pinhole shown in FIG. 8B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tail bracket 250 of the R-Bar bracket, insertion of the wedge- The wedge-shaped swash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dge-shaped swash plate by engaging means such as a fixing bolt or a separate pin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inhole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depending on the depth. In addition, the wedge-shaped swash plate 130 'can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by providing the grip 133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wedge-shaped swash plate 130'.

위에서는 쐐기형경사판의 위에서 아래로 삽입 깊이를 달리하는 것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 쐐기형경사판의 삽입 방향은 캔트의 형태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삽입 깊이를 달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wedge type swash plate may be inserted at different depths from the bottom to the top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ant,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각도조절수단
110: 관절부 111: 관절축
120: 각도조절부 121: 브래킷꼬리금구A
122: 조절나사구멍 123: 브래킷꼬리금구B
124: 힌지축 125: 아이(EYE)볼트
126: 조절너트 127: 잠금너트
128, 129: 반달형와셔
130, 130': 쐐기형경사판 131: 톱니홈
132: 핀홀 133: 손잡이
140: 고정볼트
150: 각도조절봉 151: 길이조절부
152: 애자밴드 153: 상부밴드
200: 알-바(R-Bar)브래킷 210: 강체
220: 행거클램프 230: 브래킷머리금구
240: 브래킷절연애자(장간애자) 250: 꼬리금구
260: 접지선연결금구 270: 전차선
300: 지지금구
400: 전기차 410: 집전장치
100: angle adjusting means
110: joint part 111: joint shaft
120: angle adjusting portion 121: bracket tail bracket A
122: Adjusting screw hole 123: Bracket tail bracket B
124: Hinge shaft 125: EYE Bolt
126: Adjusting nut 127: Lock nut
128, 129: Cylindrical washers
130, 130 ': wedge-shaped inclined plate 131:
132: pinhole 133: handle
140: Fixing bolt
150: angle adjusting rod 151: length adjusting portion
152: insulator band 153: upper band
200: R-Bar bracket 210: Rigid body
220: hanger clamp 230: bracket head bracket
240: Bracket insulation insulator (interposer insulator) 250: Tail bracket
260: grounding wire connecting bracket 270: electric wire
300: Support bracket
400: electric vehicle 410: current collecting device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강체(210)와 전차선(270)이 결합된 강체전차선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행거클램프(220);
알-바(R-Bar) 브래킷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행거클램프(220)를 고정 지지하는 브래킷머리금구(230);
선단에 상기 브래킷머리금구(230)가 구비되고, 후단에 꼬리금구(250)가 구비되며, 중심부위에 복수의 브래킷절연애자(240)를 포함하는 알-바(R-Bar) 브래킷(200);
지상 또는 공간 구조물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을 지지하는 지지금구(300); 및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조절 및 고정을 위한 각도조절수단(100);
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을 상호 연결 지지하되,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관절부(110); 및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의 사이에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각도조절봉(15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의 편마모방지장치.
A hanger clamp 220 for fixedly supporting a rigid body line coupled with the rigid body 210 and the catenary line 270;
A bracket head bracket 230 provided at the tip of the R-Bar bracket and fixedly supporting the hanger clamp 220;
An R-bar bracket 200 having a bracket head bracket 230 on its tip, a tail bracket 250 on its rear end, and a plurality of bracket insulators 240 on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upport bracket 300 for supporting the R-bar bracket 200 while being fixed to the ground or space structure;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10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
Lt; / RTI >
The angle adjusting means (100)
The supporting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are connected and suppor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ing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110); And
An angle adjusting rod 150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
And an uneven wear prevention device for the electric wir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봉(150)은,
일단이 지지금구(300)의 상부밴드(15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알-바(R-Bar) 브래킷(200)의 애자밴드(152)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구비된 길이조절부(151)를 조절하여 알-바(R-Bar) 브래킷(2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의 편마모방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ngle adjusting rods 150 may be forme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band 153 of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sulator band 152 of the R-Bar bracket 200,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rsion bar (151).
강체(210)와 전차선(270)이 결합된 강체전차선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행거클램프(220);
알-바(R-Bar) 브래킷의 선단에 구비되며, 상기 행거클램프(220)를 고정 지지하는 브래킷머리금구(230);
선단에 상기 브래킷머리금구(230)가 구비되고, 후단에 꼬리금구(250)가 구비되며, 중심부위에 복수의 브래킷절연애자(240)를 포함하는 알-바(R-Bar) 브래킷(200);
지상 또는 공간 구조물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을 지지하는 지지금구(300); 및
상기 지지금구(300)와 알-바(R-Bar) 브래킷(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의 각도조절 및 고정을 위한 각도조절수단(100);
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알-바(R-Bar) 브래킷(200) 후단에 구비되는 꼬리금구(250)와 지지금구(300)의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130); 및
상기 꼬리금구(250), 지지금구(300) 및 상기 꼬리금구와 지지금구의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형 경사판(130)이 상호 밀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볼트(1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의 편마모방지장치.
A hanger clamp 220 for fixedly supporting a rigid body line coupled with the rigid body 210 and the catenary line 270;
A bracket head bracket 230 provided at the tip of the R-Bar bracket and fixedly supporting the hanger clamp 220;
An R-bar bracket 200 having a bracket head bracket 230 on its tip, a tail bracket 250 on its rear end, and a plurality of bracket insulators 240 on a central portion thereof;
A support bracket 300 for supporting the R-bar bracket 200 while being fixed to the ground or space structure;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10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R-Bar bracket 200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angle of the R-Bar bracket 200, ;
,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ans comprises:
A wedge-shaped swash plate 130 inserted between the tail bracket 25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Bar bracket 200 and the support bracket 300; And
A fixing bolt 140 for allowing the tail bracket 250, the support bracket 300 and the wedge swash plate 130 inserted between the tail bracket and the support brack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uneven wear prevention device for the electric wire.
KR1020140070187A 2014-06-10 2014-06-10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KR101572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87A KR101572374B1 (en) 2014-06-10 2014-06-10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87A KR101572374B1 (en) 2014-06-10 2014-06-10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374B1 true KR101572374B1 (en) 2015-11-26

Family

ID=5484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187A KR101572374B1 (en) 2014-06-10 2014-06-10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37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670A (en)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Structure of rigid bar bracket for electric train
CN107985127A (en) * 2017-12-19 2018-05-04 中国铁建电气化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Cable compensating device for tramcar contact net system
CN110194080A (en) * 2019-07-26 2019-09-03 中铁建电气化局集团轨道交通器材有限公司 Railway traffic contact network support pole device
KR102063803B1 (en)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of rigid bar bracket for electric train
KR20230138163A (en) 2022-03-23 2023-10-05 (주)재영테크 incline adjustment support clamp for rigid b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582A (en) 2003-12-19 2005-07-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Damper for suspension wire
KR100739328B1 (en)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Rigid-bar bracket
KR100928464B1 (en) * 2009-05-27 2009-11-25 하나솔루션(주) R-bar bracket
KR101105812B1 (en) 2009-12-18 2012-01-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irect lead-in device for rigid overhead catenar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582A (en) 2003-12-19 2005-07-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Damper for suspension wire
KR100739328B1 (en) 2006-04-04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Rigid-bar bracket
KR100928464B1 (en) * 2009-05-27 2009-11-25 하나솔루션(주) R-bar bracket
KR101105812B1 (en) 2009-12-18 2012-01-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irect lead-in device for rigid overhead catenary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670A (en)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Structure of rigid bar bracket for electric train
KR101976484B1 (en) * 2016-09-13 2019-05-10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Structure of rigid bar bracket for electric train
CN107985127A (en) * 2017-12-19 2018-05-04 中国铁建电气化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Cable compensating device for tramcar contact net system
CN110194080A (en) * 2019-07-26 2019-09-03 中铁建电气化局集团轨道交通器材有限公司 Railway traffic contact network support pole device
KR102063803B1 (en)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of rigid bar bracket for electric train
KR20230138163A (en) 2022-03-23 2023-10-05 (주)재영테크 incline adjustment support clamp for rigid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37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rolley wire one-sided wear
KR100739328B1 (en) Rigid-bar bracket
US595725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upling elastic and rigid contact line systems
KR200454907Y1 (en) Insulation Support Clamp for Feeder
KR101746285B1 (en)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GB2415176A (en) Conductor rail for holding a contact wire
KR20130090768A (en) Power rail arrangement
KR101925149B1 (en) expansion joint
RU2534629C2 (en) Railway overhead catenary bracket
BRPI1011956B1 (en) airline system
KR101900512B1 (en) rigid bar support system
KR20200106886A (en) Insulators installed at an angle
EP0810691B1 (en) Contact- and suspension head for a hotstick for a caternary wire
KR100730732B1 (en) A length controllable hanger-ear
JP4916456B2 (en) Heat radiation train line device
KR100446462B1 (en) An movable bracket for for electric railway
FR2952992A1 (en) Hooking device for fixing bundle of electric cables on e.g. support tube, of rear axle of hybrid type motor vehicle, has tab stretched along longitudinal axis in manner to ensure four turn assembling and clearance of cables in cable path
KR20170083477A (en) Power collector and vehicle
US4363939A (en) Electrical supply line for the supply or current to railway vehicles
JP6428238B2 (en) Trolley wire support device
EP3235678B1 (en) Improved heat-sink system of a conductive contact wire of a catenary and associated catenary portion
CA3120553C (en) Insulating support assembly for a catenary adapted for powering an electrical vehicle, notably a tram or a trolleybus, and related catenary
JP3764981B2 (en) Hunger for curved sections of railway tracks
KR200272317Y1 (en) An insulating supporter for electric railway
TW202202370A (en) Device for carrying a contact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