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477A - Power collector and vehicle - Google Patents

Power collector an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477A
KR20170083477A KR1020160122889A KR20160122889A KR20170083477A KR 20170083477 A KR20170083477 A KR 20170083477A KR 1020160122889 A KR1020160122889 A KR 1020160122889A KR 20160122889 A KR20160122889 A KR 20160122889A KR 20170083477 A KR20170083477 A KR 2017008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base
current collecting
arm porti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0943B1 (en
Inventor
유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9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6Suspension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집전 장치는, 차체(110)의 외면에 고정 가능하게 되는 베이스부(2)와, 베이스부(2)에 대하여 상기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O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가 베이스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되며, 절연재로 형성된 아암부(3)와, 전차선(182)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41)을 갖고, 아암부(3)의 선단부에서 상기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집전슈부(4)와, 제1 단부가 베이스부(2)에 고정되고 제2 단부가 아암부(3)에 고정되도록 연장되고, 제1 축선 주위(O2)이며 전차선(18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는 아암부(3)의 회전에 저항하여 아암부(3)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5)를 구비한다.Th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base portion 2 that is fixab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and a second shaft O1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a first axis O1 extending in the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 An arm portion 3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2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contact surface 41 capable of contacting the catenary line 182, (2) and a second end fixed to the arm portion (3) so as to be fixed to the base portion (2) and fixed at the second end portion to the arm portion (3) And an elastic member 5 for pressing the arm portion 3 against the rotation of the arm portion 3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atenary line 182 and around the first axis O2.

Figure P1020160122889
Figure P1020160122889

Description

집전 장치 및 차량{POWER COLLECTOR AND VEHICLE}[0001] POWER COLLECTOR AND VEHICLE [0002]

본 발명은 집전 장치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rent collector and a vehicle.

본원은, 2016년 1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02400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Priority is claim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002400, filed on January 8, 2016,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버스나 철도 이외의 새로운 교통 수단인 신교통 시스템으로서, 고무 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행륜에 의해 궤도 상을 주행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신교통 시스템이나 APM(Automated People Mover)으로 불리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As a new traffic system that is a new transportation means other than a bus or a railroad, there is known a trajectory system for traveling on a track by a traveling wheel made of a rubber tire or the like. Such a trajectory traffic system is generally called a new traffic system or an APM (Automated People Mover).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차량은, 철제의 레일 상을 철륜으로 주행하는 철도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급전 장치로부터 급전을 받아 주행한다. 차량은, 급전 장치에 연결된 전차선으로부터 급전을 받기 위한 집전 장치(팬터그래프)를 갖고 있다. 차량은, 집전 장치를 전차선에 접촉시킴으로써, 급전 장치로부터 전기를 받고 있다.The vehicle in the orbit system traffic system travels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like a railway that runs on iron rails with iron wheels. The vehicle has a power collecting device (pantograph)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device. The vehicle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power feeding device by bringing the power collecting devic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휘어 버리는 전차선에 대한 추종성을 높인 집전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집전 장치에서는, 전차선에 접촉하는 집전슈가 설치된 아암과,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구성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전차선을 향하여 아암을 압박하는 중간 부재 사이에, 나이하르트 고무 스프링를 설치하고 있다. 이 나이하르트 고무 스프링의 댐핑 효과에 의해, 집전슈의 진동을 억제하면서, 집전슈가 설치된 아암을 전차선의 움직임에 추종하도록 움직이게 하고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urrent collecting device in which the followability to a bent electric wire is enhanced. In this current collector, a Niihart rubber spring is provided between an arm provided with a current collecting shoe contacting the electric wire and an intermediate member urging the arm toward the electric wire by the force of a spring constituted by a coil spring or the like. By this damping effect of the Niart rubber spring, the arm provided with the current collecting shoe is moved so as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cable while suppressing the vibra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shoe.

그런데, 이와 같은 집전 장치에서는, 전차선을 흐르는 전기가 차량까지 유입되지 않도록 절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암이나 중간 부재 등의 부품은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집전 장치는,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된 부품과 차량 사이에 절연재로 구성된 부품을 개재시키고 있다. 집전 장치는, 절연재로 구성된 부품을 개재하여 차량에 고정됨으로써, 전기가 차량까지 전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However, in such a current collector, it is necessary to secure insulation so that electricity flow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does not flow into the vehicle. Specifically, parts such as arms and intermediate members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in order to achieve weight while ensuring strength. Therefore,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has a component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component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is fixed to the vehicle through a component compos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ic pow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일본 특허 공개 평10-00460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04604

따라서, 집전슈를 전차선에 접촉시키는 구조와는 별도로 절연재로 구성된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품을 별도 설치한 경우에는, 집전 장치의 부품 개수 증가나 대형화를 초래해 버린다. 그 때문에, 절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소형화를 도모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onent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eparately from the structure for bringing the current collecting sho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However, when the components are separately provided, the number of parts of the current collector increases and the size thereof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 desire to achieve miniaturization while ensuring insulation.

본 발명은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집전 장치 및 차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rent collector and a vehicle capable of achieving miniaturization while ensuring insul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following means.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는, 차체의 외면에 고정 가능하게 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축선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절연재로 형성된 아암부와, 전차선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제1 축선으로부터 상기 아암부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아암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는 집전슈부와, 제1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아암부에 고정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축선의 주위 방향이며 상기 전차선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부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A pow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that can be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a vehicle body and a second portion that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first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an arm portion extending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nd having an abutment surface capable of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atenary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from the first axis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arm portion A current collecting portion supported on the arm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a second axis; a current collecting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and extends so as to fix the second end portion to the arm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arm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electric lin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는, 제1 단부가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제2 단부가 아암부에 접속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는, 집전슈부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아암부를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아암부에 지지된 집전슈부를 전차선에 대하여 탄성 부재에 의해 추종시키면서, 베이스부와 집전슈부 사이를 아암부에 의해 절연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전슈부를 전차선에 추종시키기 위한 구조와,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일체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집전슈부와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아암부 이외에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절연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전차선과 접촉하는 집전슈부와, 차체와 접촉하는 베이스부를 절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member has the first end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the second end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That is, the elastic member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but presses the arm portion. Therefore, the current collecting shoe portion supported by the arm portion can be insulated by the arm portion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while following the elastic member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wire. Therefore, the structure for following the current collecting shoe to the catenary line and the structure for securing the insulating property can be integrated. Thus, it is possible to insulate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and the bas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without providing a new insulating member for ensuring insulation other than the arm portion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집전슈부와 연결되며, 상기 집전슈부의 회전에 저항하여 상기 집전슈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or part in the first aspect and pressing the current collector part against rota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par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촉면이 전차선의 표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한 경우라도, 가압 부재에 의해 접촉면이 전차선의 표면과 평행에 가까워지도록 집전슈부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차선과 접촉면이 접촉하였을 때에, 부분적으로 간극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면을 전차선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추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차선의 표면과 접촉면이 이격되어 버림으로써 아크가 발생하고, 접촉면의 마모가 증대되어 수명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차선의 표면과 접촉면이 이격되어 버림으로써 집전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contact surface partial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catenary,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shoe can be restored by the pressing member so that the contact surface approache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atenar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from being partially generated when the contact surface contacts the catenary. Therefore, the contact surface can be stably followed on the surface of the catenar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an arc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contact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increase of the wear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service lif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rent collecting performance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contact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집전슈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는 나이하르트 고무를 갖고 있어도 된다.In th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aspect, the pressing member may have a Niahard rubber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and the arm.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를 집전슈부 및 아암부에 설치하기 위해 복잡한 설치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집전슈부를 제2 축선 주위로 가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mplicated mounting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pressing member on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 arm portion. Therefore, the current collecting shoe can be pressed around the second axi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부에 대한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Further, in a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an adjustment part provided in the base part and adapted to adjust a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ith respect to the arm part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에 의해 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집전슈부를 전차선에 대하여 적당한 부하를 건 상태에서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에 의한 가압력이 저하되어도, 집전슈부를 안정된 상태로 전차선에 접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by the adjusting unit, the current collecting sho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in a proper state. Thereby, even if the pressing force by the elastic member is reduced, the current collecting sho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in a stable state.

또한,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에서는,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1 단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조정 본체부를 가져도 된다.In th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aspect, the adjustment sec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third section, which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xis, And may have an adjustment body portion that rotates around the axi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정 본체부에 의해 탄성 부재의 제1 단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탄성 부재의 제1 단부의 위치를, 아암부에 지지되어 있는 제2 단부의 위치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second end portion supported by the arm portion by rotating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with the adjustment body portion.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제2 단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고, 절연재로 형성된 브래킷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the bracket part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connecting 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to the arm part is provided do.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전슈부로부터 탄성 부재에 전기가 흘러 버리는 것을 아암부뿐만 아니라 브래킷부에 의해서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전슈부와 탄성 부재 사이의 절연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electricity from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to the elastic member by the bracket portion as well as the arm portion. Therefore, the insul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있어서의 집전 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제1 축선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는 판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Further, in a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the elastic member may extend over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And a plate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축선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는 판상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가압력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by using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late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xis, a pressing force can be obtained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에서는,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집전 장치와, 상기 집전 장치가 고정된 차체를 구비한다.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aspects and a vehicle body to which the current collector is fixed.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while ensuring insula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의 개요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전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전 장치에 있어서, 전차선과 차체의 거리가 가까워진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전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 wire and the vehicle body is close to that of th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Quot; First embodiment "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를 구비한 차량(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100 provided with a current collecto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본 발명의 차량(100)은 궤도(15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81)에 의해 안내되면서 궤도(150)를 주행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연결 차량이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궤도(150)의 폭 방향 Dw의 양측에, 궤도(15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81)이 설치된 측방 안내 궤조식(사이드 가이드 방식)의 교통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차량(100)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 차량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100)은 선두의 차량이나 최후미의 차량이 아닌 중앙부의 1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vehic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ed vehicle of a trajectory system for traveling on a trajectory 150 while being guided by a guide rail 181 installed on the trajectory 150. [ The trajectory system traffic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de guide type (side guide type) system in which guide rails 181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rajectory 1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Dw of the trajectory 150 Traffic system.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vehicle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 connected vehicle. The vehic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one central portion, not the first vehicle or the last vehicle.

본 실시 형태의 차량(100)이 주행하는 궤도(150)는 소정의 노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궤도(150)는 그 도중에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이 필요에 따라서 혼재되어 있다. 궤도(150)는, 대략 수평하게 설치된 궤도 노면(160)과, 궤도 노면(160)의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Dv의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벽(180)을 갖고 있다. 궤도 노면(160)과 측벽(180)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등으로 일체로 구축된다.The trajectory 150 on which the vehicle 100 trave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along a predetermined route. In the course of the orbit 150, a straight line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are mixed as necessary. The orbit 150 has an orbital road surface 160 provid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side walls 180 extending upward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orbit road surface 160 in the up-and-down direction Dv. The orbital road surface 160 and the side wall 180 are integrally constructed of, for example, concrete.

여기서, 이하에서는, 궤도(150)가 연장되어 있고 차량(100)이 주행하는 방향을 주행 방향 Dr이라 칭한다. 주행 방향 Dr과 직교하는 차량(100)의 폭 방향을 간단히 폭 방향 Dw라 칭한다. 주행 방향 Dr 및 폭 방향 Dw와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 Dv라 칭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 Dv는, 정확한 의미에서의 연직 방향과는 달리, 후술하는 주행면(171)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jectory 150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00 travels is referred to as a running direction Dr.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orthogonal to the running direction Dr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Dw.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Dr and the width direction Dw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Dv.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direction Dv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 surface 17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nlike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ccurate sense.

궤도 노면(160)에는, 차량(100)이 주행하는 주행로(17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주행로(170)는 후술하는 차량(100)의 주행륜(120)에 대응하도록 폭 방향 Dw로 이격되어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주행로(170)는 궤도 노면(160) 상에 주행면(171)을 형성하고 있다. 주행면(171)은 후술하는 차량(100)의 주행륜(120)이 구름 이동하면서 접촉한다. 주행면(171)은 주행 방향 Dr로 연장되어 있다. 주행면(171)은 주행륜(120)의 폭 방향 Dw의 위치에 대응하고, 폭 방향 Dw로 이격되어 한 쌍 설치되어 있다.On the track surface 160, a running path 170 on which the vehicle 100 runs protrudes. The traveling paths 170 are formed at two pos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Dw so as to correspond to the traveling wheels 120 of the vehicle 100 described later. The traveling path 170 forms a running surface 171 on the orbital road surface 160. The running surface 171 is in contact with the running wheels 120 of the vehicl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rolling. The running surface 171 extends in the running direction Dr. The running surfaces 171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running wheels 120 in the width direction Dw and are provided in a pair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Dw.

측벽(180)에는, 가이드 레일(181)과, 차량(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182)이 설치되어 있다.The side wall 180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181 and a catenary line 182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vehicle 100.

가이드 레일(181)은 차량(100)의 주행하는 방향을 규제한다. 가이드 레일(181)은 안내륜(131)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차량(100)의 진행하는 방향을 규제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181)은 궤도(150)의 총연장에 걸쳐 궤도(150)의 양측의 측벽(180)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81)은 전차선(182)과 함께 측벽(18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81)은 차량(100)의 주행하는 주행 방향 Dr을 따라서 궤도 노면(16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어 있다.The guide rails 181 regul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00 travels. The guide rail 181 regulate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by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guide wheels 131. The guide rails 181 are provided on the sidewalls 180 on both sides of the trajectory 150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trajectory 150. The guide rail 181 is fixed to the side wall 180 together with the catenary line 182. The guide rail 181 extends from the raceway surface 160 along the running direction Dr of the vehicle 100 to the same height.

전차선(182)은 가이드 레일(181)과 상하 방향 Dv로 나열되어, 궤도(150)의 총연장에 걸쳐 측벽(180)에 설치되어 있다. 전차선(182)은 가이드 레일(181)과 달리, 배치되는 위치에 의해 편측의 측벽(18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차선(182)은 측벽(180)에 가이드 레일(181) 등의 다른 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전차선(182)은 가이드 레일(181)과 마찬가지로, 차량(100)의 주행 방향 Dr을 따라서 궤도 노면(16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연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차선(182)은 상하 방향 Dv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병렬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catenary line 182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v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181 and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80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orbit 150. Unlike the guide rail 181, the catenary line 182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180 on one side by the position where it is disposed. The electric wire 18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side wall 180 through another member such as a guide rail 181. [ Like the guide rail 181, the catenary line 182 extends from the raceway surface 160 along the running direction Dr of the vehicle 100 to the same he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cubic lines 182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vertical direction Dv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차량(100)은 차체(110)와, 주행륜(120)과, 안내륜(131)과, 집전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vehicle body 110, a traveling wheel 120, a guiding wheel 131, and a current collector 1.

차체(110)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 외형에서 보아 상자체 형상의 구조물을 갖고 있다. 차체(110)는 폭 방향 Dw를 향하는 측면(111)에 도시하지 않은 개폐 도어나 창 등이 설치되어 있다. 차체(110)는 후술하는 주행륜(120), 안내륜(131) 및 집전 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The vehicle body 110 has a structure in the shape of an internal body as viewed from an external shape having a cavity therein. The vehicl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oor (not shown) and a window on the side surface 111 facing the width direction Dw. The vehicl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traveling wheel 120, a guiding wheel 131 and a power collecting device 1 to be described later.

주행륜(120)은 차체(110)의 상하 방향 Dv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륜(120)은 차체(110)에 대하여 폭 방향 Dw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주행륜(120)은 전차선(182)으로부터 집전 장치(1)를 통해 전기를 받음으로써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한다. 주행륜(120)은 철륜과 같이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고무 타이어와 같이 고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traveling wheels 120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Dv. The traveling wheels 120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Dw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110. [ The traveling wheel 120 is driven by the power unit and rotates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catenary line 182 through the current collector 1. The traveling wheel 120 is not made of a metal material like an iron wheel but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tire.

안내륜(131)은 가이드 레일(181)을 따라서 차량(100)을 목적의 주행 방향 Dr로 유도한다. 안내륜(131)은 차체(110)의 측면(111)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륜(131)은 상하 방향 Dv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차체(110)에 지지되어 있다. 안내륜(131)은 상하 방향 Dv의 위치가 가이드 레일(181)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100)이 주행할 때에는, 안내륜(131)은 가이드 레일(181)에 접촉함으로써 회전한다.The guide wheel 131 guides the vehicle 100 along the guide rail 181 in the target driving direction Dr. The guide wheel 131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surface 111 of the vehicle body 110. The guide wheel 131 is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110 in a state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v. The guide wheel 131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Dv i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guide rail 181. Therefore, when the vehicle 100 travels, the guide wheel 131 rotates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81.

집전 장치(1)는 전차선(182)과 접촉함으로써, 전차선(182)으로부터 차체(110)에 전기를 공급한다. 집전 장치(1)는 안내륜(131)의 상하 방향 Dv의 상측에 나열되어 차체(110)의 측면(111)에 설치되어 있다. 집전 장치(1)는, 상하 방향 Dv의 위치가 전차선(182)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는 3개의 전차선(182)에 대응하도록 차체(110)의 폭 방향 Dw의 양측의 측면(111)에 각각 3개 설치되어 있다. 집전 장치(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와, 아암부(3)와, 집전슈부(4)와, 탄성 부재(5)와, 브래킷부(6)와, 가압 부재(7)와, 조정부(8)를 구비한다.The current collector 1 contacts the catenary line 182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vehicle body 110 from the catenary line 182. [ The current collector 1 is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111 of the vehicle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Dv of the guide wheel 131. In the current collector 1,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Dv is provid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electric wire 182. Three power collector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111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Dw of the vehicle body 1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ree electric wire 182. [ 2, the current collector 1 includes a base portion 2, an arm portion 3, a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n elastic member 5, a bracket portion 6, A pressing member 7, and an adjusting unit 8. As shown in Fig.

베이스부(2)는 차체(110)의 외면인 측면(111)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2)는 베이스 고정부(21)와, 베이스 본체부(22)를 갖는다.The base portion 2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111 which is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 The base portion 2 has a base fixing portion 21 and a base body portion 22.

베이스 고정부(21)는 차체(110)의 측면(111)을 따라서 확대되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베이스 고정부(21)는 차량(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고정부(21)는 볼트에 의해 차체(110)의 측면(111)에 고정되어 있다.The base fixing portion 2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along the side surface 111 of the vehicle body 110. The base fixing portion 21 is fixed to the vehicle 100. The base fixing portion 21 of this embodiment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111 of the vehicle body 110 with bolts.

베이스 본체부(22)는 아암부(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베이스 본체부(22)에는, 후술하는 조정부(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본체부(22)는 베이스 고정부(21)로부터 평판 형상을 이루어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부(22)는 상하 방향 Dv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본체부(22)는 아암부(3)를 내측에 끼워 넣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본체부(22)는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과,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과,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이 형성되어 있다.The base body portion 22 rotatably supports the arm portion 3. The base body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portion 8 to be described later. The base body portion 22 of this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base fixing portion 21 in a flat plate shape.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Dv.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arm portion 3 inside. The base body portion 22 is formed with a first base through-hole 221, a second base through-hole 222, and a third base through-hole 223.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은 베이스 본체부(2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은 차체(110)의 외면을 따르는 방향인 상하 방향 Dv로 연장되는 제1 축선 O1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제1 축선 O1은, 베이스 본체부(22)와 교차하도록, 상하 방향 Dv로 연장되는 가상 축선이다.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은 베이스 본체부(22)의 베이스 고정부(21)와 접속되어 있는 측인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은 아암부(3)를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핀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 is a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ase body portion 22.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ed on a first axis O1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Dv, which is a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 Here, the first axis O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imaginary axis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Dv so as to intersect with the base body portion 22. [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opposite to the base end, which is the side of the base body 22 connected to the base fixing portion 21.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 is formed such that a cylindrical pin for supporting the arm portion 3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은 베이스 본체부(22)를 관통하는 단면 원 형상의 나사 구멍이다.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은 후술하는 조정 본체부(81)를 고정하는 볼트가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은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보다도 베이스 본체부(22)의 기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base through-hole 222 is a threaded h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at penetrates through the base body portion 22. The second base through-hole 222 is formed with a bolt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e second base through-hole 222 is form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base body portion 22 more than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은 베이스 본체부(2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은 차체(110)의 외면을 따르는 방향인 상하 방향 Dv로 연장되는 제3 축선 O3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제3 축선 O3은, 제1 축선 O1과 평행이며, 제1 축선 O1보다도 차체(110)의 측면(111)측에 배치된 가상 축선이다. 즉, 제3 축선 O3은, 제1 축선 O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은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보다도 베이스 본체부(22)의 기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은 조정부(8)를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핀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third base through-hole 223 is a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ase body portion 22. The third base through hole 223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ed on a third axis O3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Dv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 Here, the third axis O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virtual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O1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ide surface 111 of the body 110 than the first axis O1. That is, the third axis O3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xis O1. The third base through-hole 223 is form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base body portion 22 than the second base through-hole 222. The third base through-hole 223 is formed so that a cylindrical pin for supporting the adjustment portion 8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아암부(3)는 베이스부(2)에 대하여 제1 축선 O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3)는 제1 축선 O1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3)는 베이스부(2)에 지지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선단부가 베이스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3)는 베이스 본체부(22)로부터 전차선(182)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3)는 선단부에서 집전슈부(4)를 지지하고 있다. 아암부(3)는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아암부(3)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는 제1 아암부(31)와, 제2 아암부(32)를 갖는다.The arm portion (3)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first axis (O1)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 The arm portion 3 extends radially outward about the first axis O1. The arm portion 3 is extended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3 opposite to the end portion supported on the base portion 2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2. The arm portion 3 extends obliquely from the base body portion 22 toward the catenary 182. The arm portion 3 support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t its tip end. The arm portion 3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arm portion 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The arm portion (3) has a first arm portion (31) and a second arm portion (32).

제1 아암부(31)는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하여 제1 축선 O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부(31)는 한 쌍의 베이스 본체부(22)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아암부(31)는 제1 축선 O1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제1 아암 관통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 관통 구멍(311)은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부(31)는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 및 제1 아암 관통 구멍(311)에 핀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하여 제1 축선 O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first arm portion 31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first axis O1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 The first arm portion 31 is arrang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 The first arm portion 31 is formed with a first arm through hole 311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ing on the first axis O1. The first arm through hole 31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first base through hole 221. The first arm portion 31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first axis O1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first base through hole 221 and the first arm through hole 311 .

제2 아암부(32)는 제1 아암부(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아암부(32)는 제1 아암부(31)의 제1 축선 O1측과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아암부(32)는 아암부(3)의 선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아암부(32)는 아암부(3)가 연장되는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제1 아암부(31)로부터 전차선(182)을 향하여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제2 아암부(32)는 차체(110)의 외면을 따르는 방향인 제2 축선 O2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제2 아암 관통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축선 O2는, 제1 축선 O1로부터 아암부(3)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축선 O2는, 제1 축선 O1과 평행이며, 상하 방향 Dv로 연장되는 가상 축선이다. 즉, 제2 축선 O2는, 제1 축선 O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second arm portion (3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arm portion (31). The second arm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axis O1 side of the first arm portion 31. [ That is, the second arm portion 32 constitute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3. The second arm portion 32 is bent and extends from the first arm portion 31 toward the catenary 182 so as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m portion 3 extends. The second arm portion 32 is formed with a second arm through hole 322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ed on the second axis O2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 Here, the second axis O2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xis O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3. The second axis O2 is a virtual ax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O1 and extending in the up-down direction Dv. That is, the second axis O2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xis O1.

집전슈부(4)는 아암부(3)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집전슈부(4)는 아암부(3)의 선단부에서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집전슈부(4)는 제2 축선 O2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슈 관통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집전슈부(4)는, 제2 아암 관통 구멍(322) 및 슈 관통 구멍(42)에 삽입 관통된 핀에 의해, 제2 아암부(32)에 대하여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집전슈부(4)는 전차선(182)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41)을 갖고 있다. 접촉면(41)은 집전슈부(4)에 있어서의 전차선(182)의 표면과 대향하는 외표면이다. 집전슈부(4)는 적어도 접촉면(41)을 형성하는 부분이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3).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tip of the arm portion 3 around the second axis O2.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formed with a shoe through hole (42)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bout the second axis (O2).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second axis O2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portion 32 by a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arm through hole 322 and the shoe through hole 42 have.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has a contact surface 41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tenary line 182. The contact surface 41 i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catenary 182 in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t least the por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forming the contact surface 41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탄성 부재(5)는 제1 단부가 베이스부(2)에 접속되고, 제1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제2 단부가 아암부(3)에 접속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는, 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걸쳐 연장되어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는 판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이란,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이다. 제1 축선 O1과 제3 축선 O3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은 제3 축선 O3의 주위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는 제1 아암부(3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5)는 가장 넓은 면인 판면이 아암부(3)를 향하고 있다. 탄성 부재(5)는 제1 아암부(31)와 간격을 두고, 제1 아암부(31)보다도 차체(110)측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5)는 제1 축선 O1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이며 전차선(18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아암부(3)를 가압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는 제1 단부에 대하여 제2 단부가 아암부(3)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곧게 연장된 상태로부터 제1 아암부(31)를 향하여 휜다. 탄성 부재(5)는 휘어 변형함으로써 반력이 발생하여 아암부(3)를 가압하고 있다.The elastic member 5 has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2 and a second end which is an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extended to be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3. [ The elastic member 5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late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xis line O1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in the unfurled state. Here, the direction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xis O1 is a direction hav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mponent of the first axis O1. In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xis O1 and the third axis O3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the direction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xis O1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rd axis O3. The elastic member 5 of this embodiment is a leaf spring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rm portion 31 extends. In the elastic member 5, the plate surface which is the widest surface faces the arm portion 3. The elastic member 5 is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110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portion 31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arm portion 31. [ The elastic member 5 presses the arm portion 3 in th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first axis O1 an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catenary line 182. [ The elastic memb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ent toward the first arm portion 31 from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5 is extended from the first end portion with the second end portion rotating together with the arm portion 3. [ The elastic member 5 is bent and deformed to generate a reaction force to press the arm portion 3.

브래킷부(6)는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와 아암부(3)의 선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브래킷부(6)는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브래킷부(6)는, 예를 들어 아암부(3)와 동일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부(6)는 브래킷 고정부(61)와, 브래킷 본체부(62)과, 브래킷 파지부(63)를 갖는다.The bracket portion 6 connects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3. The bracket portion 6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bracket portion 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the same resin material as the arm portion 3, for example. The bracket portion 6 has a bracket fixing portion 61, a bracket body portion 62, and a bracket grip portion 63.

브래킷 고정부(61)는 집전슈부(4)와 함께, 아암부(3)의 선단부에서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 고정부(61)는 받침부(611)와, 돌출부(612)를 갖는다.The bracket fixing portion 61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3 around the second axis O2 together with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 The bracket fixing portion 61 has a receiving portion 611 and a protruding portion 612.

받침부(611)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받침부(611)는 전차선(182)측을 향하는 면이 집전슈부(4)의 접촉면(41)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받침부(611)는 제2 축선 O2보다도 차체(110)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receiving portion 611 has a flat plate shape. The receiving portion 611 is disposed such that the surface thereof facing the catenary line 182 faces the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contact surface 41 of the collecting shoe portion 4. [ The support portion 611 is disposed closer to the vehicle body 110 than the second axis line O2.

돌출부(612)는 받침부(611)의 전차선(182)측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612)는 제2 축선 O2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제1 브래킷 관통 구멍(6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브래킷 관통 구멍(641)은 제2 아암 관통 구멍(32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고정부(61)는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 슈 관통 구멍(42) 및 제1 브래킷 관통 구멍(641)에 핀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제2 아암부(32)에 대하여 집전슈부(4)와 함께,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612 protrudes from the 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611 facing the catenary 182 side. The projecting portion 612 is formed with a first bracket through hole 641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bout the second axis O2. The first bracket penetrating hole 64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second arm penetrating hole 322. The bracket fixing portion 61 has a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base through hole 222, the shoe through hole 42 and the first bracket through hole 641, 4, and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second axis O2.

브래킷 본체부(62)는 브래킷 고정부(61)로부터 차체(110)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62)는 받침부(611)의 돌출부(61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브래킷 본체부(62)는 받침부(611)로부터 차체(110)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브래킷 본체부(62)는 받침부(611)와 접속되어 있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제2 브래킷 관통 구멍(6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 관통 구멍(642)은 차체(110)의 외면을 따르는 방향인 제4 축선 O4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관통 구멍이다. 여기서, 제4 축선 O4는, 제3 축선 O3과 평행이며, 제3 축선 O3보다도 전차선(182)측 또한 제2 축선 O2보다도 차체(110)측에서 상하 방향 Dv로 연장되는 가상 축선이다.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extends from the bracket fixing portion 61 toward the vehicle body 110 side.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is fixed to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611 on the side where the projecting portion 612 is not connected. That is,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extends from the receiving portion 611 toward the vehicle body 110 side. A second bracket through hole 642 is formed in an end por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opposite to th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611. The second bracket through hole 642 is a through h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ed on the fourth axis O4 which is the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 Here, the fourth axis line O4 is an imaginary axis parallel to the third axis O3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v from the car body 110 side of the carcass 182 side and the second axis line O2 than the third axis O3.

브래킷 파지부(63)는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를 파지하고 있다. 브래킷 파지부(63)에는, 볼트를 통해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 파지부(63)는 브래킷 본체부(62)에 대하여 제4 축선 O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 파지부(63)에는, 제4 축선 O4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제3 브래킷 관통 구멍(643)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파지부(63)는 제2 브래킷 관통 구멍(642) 및 제3 브래킷 관통 구멍(643)에 삽입 관통된 핀에 의해, 브래킷 본체부(62)에 대하여 제4 축선 O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bracket grip portion 63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A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fixed to the bracket grip portion 63 through a bolt. The bracket grip portion 63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fourth axis line O4 with respect to the bracket main portion 62. [ The bracket grip portion 63 is formed with a third bracket through hole 643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ed on the fourth axis O4. The bracket grip portion 63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fourth axis line O4 with respect to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by a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bracket through hole 642 and the third bracket through hole 643 .

따라서,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는, 브래킷 파지부(63)를 통해, 브래킷 본체부(62)에 대하여 제4 축선 O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는, 브래킷부(6)를 통해 간접적으로 아암부(3)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fourth axis O4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portion 62 through the bracket grip portion 63. [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is fixed to the tip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3 indirectly through the bracket portion 6. [

또한, 브래킷부(6)에서는, 브래킷 본체부(62), 브래킷 고정부(61) 및 브래킷 파지부(63)가 별도 부재로서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어도 되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브래킷 본체부(62), 브래킷 고정부(61) 및 브래킷 파지부(63)가 별도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브래킷 본체부(62)가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In the bracket portion 6,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the bracket fixing portion 61, and the bracket grip portion 63 may b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or they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where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the bracket fixing portion 61 and the bracket grip portion 63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at least the bracket main body portion 6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가압 부재(7)는 집전슈부(4) 및 브래킷부(6)에 접속되어 있다. 가압 부재(7)는 제2 축선 O2 주위이며 전차선(182)의 표면에 대한 접촉면(41)의 각도를 크게 하는 집전슈부(4)의 회전에 저항하여 집전슈부(4)를 가압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가압 부재(7)는 산형으로 구부러진 판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7)는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중심 부분인 정상부가 집전슈부(4)의 접촉면(41)과 반대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7)는 집전슈부(4)가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집전슈부(4)와 함께 회전한다. 가압 부재(7)는 집전슈부(4)와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양측이 각각 받침부(611)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가압 부재(7)는 양단부 부분이 각각 집전슈부(4)측을 향하여 되꺾이도록 구부러진 만곡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가압 부재(7)는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양단부의 만곡 부분이 각각 받침부(611)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7)는 집전슈부(4)가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한쪽의 단부의 만곡 부분이 받침부(611)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가압 부재(7)가 변형되어 반력이 발생하여, 집전슈부(4)가 가압되어 있다.The pressing member 7 is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nd the bracket portion 6. The pressing member 7 presse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gainst the rota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round the second axis O2 and increasing the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41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 The pressing member 7 of this embodiment is a plate spring bent in a mountain shape. The pressing member 7 is fixed to the face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surface 41 as a center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fore, the pressing member 7 rotates together with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by rota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round the second axis O2. The pressing member 7 extends from the fixed portion to the collecting portion 4 on both sides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611, respectively. The pressing member 7 has curved portions bent at both end portions to be bent toward the collecting portion 4 side. The pressing members 7 are capable of abutting the receiving portions 611 at the curved portions at both 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us, the pressing member 7 rotates around the second axis O2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so that the curved portion of one end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611. As a result, the pressing member 7 is deformed to generate a reaction force,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pressed.

조정부(8)는 베이스부(2)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부(8)는 아암부(3)에 대한 탄성 부재(5)의 가압력을 조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조정부(8)는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에 대한 제1 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아암부(3)에 대한 탄성 부재(5)의 가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정부(8)는 조정 본체부(81)와, 조정 나사부(82)와, 스토퍼부(83)를 갖고 있다.The adjustment section 8 is provided in the base section 2. The adjustment portion 8 adjusts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3. The adjusting portion 8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3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 The adjusting section 8 has an adjusting main body section 81, an adjusting screw section 82, and a stopper section 83.

조정 본체부(81)는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시킨다. 조정 본체부(81)는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하여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정 본체부(81)에는, 볼트를 통해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조정 본체부(81)는 제1 아암부(31)보다도 베이스 고정부(21)측에서, 한 쌍의 베이스 본체부(22)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정 본체부(81)는 조정 관통 구멍(811)과, 조정 긴 구멍(812)과, 조정 수용면(813)을 갖는다.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rotates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about the third axis O3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third axis O3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 A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is fixed to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through a bolt.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dispos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 on the side of the base fixing portion 21 relative to the first arm portion 31. [ The adjusting body portion 81 has an adjusting through hole 811, an adjusting long hole 812, and an adjusting receiving surface 813.

조정 관통 구멍(811)은 조정 본체부(8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조정 관통 구멍(811)은 제3 축선 O3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정 관통 구멍(811)은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조정 본체부(81)는 제3 베이스 관통 구멍(223) 및 조정 관통 구멍(811)에 핀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하여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adjustment through hole 811 i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The adjusting through hole 81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entering on the third axis O3. The adjustment through hole 81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third base through hole 223.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third axis O3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third base through hole 223 and the adjustment through hole 811. [

조정 긴 구멍(812)은 조정 본체부(8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조정 긴 구멍(812)은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정 긴 구멍(812)은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하여 조정 본체부(81)가 회전한 경우라도,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과 개구 부분이 겹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조정 긴 구멍(812)은 제3 축선 O3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의 원호를 따라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조정 본체부(81)는,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 및 조정 긴 구멍(812)에 삽입 관통된 볼트가 한 쌍의 베이스 본체부(22)를 사이에 위치시켜 넣도록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베이스 본체부(22)에 고정된다.The adjustment long hole 812 i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The adjustment long hole 812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base through hole 222. [ The adjustment long hole 812 is elongated such that the opening portion overlaps with the second base through hole 222 even when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The adjustment long hole 812 is elongated along the arc of the imaginary circle about the third axis O3. That is,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fixed by bolts so that the bolts inserted into the second base through hole 222 and the adjustment long hole 812 ar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 So that it is fixed to the base body portion 22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adjusted.

조정 수용면(813)은 후술하는 조정 나사(822)의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조정 본체부(81)에 형성된 면이다. 조정 수용면(813)은 조정 나사(822)의 선단부가 접촉한다. 조정 수용면(813)은 조정 긴 구멍(812)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만곡되어 있다.The adjustment receiving surface 813 is a surface formed in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so as to face the front end portion of an adjustment screw 822 described later. The adjustment receiving surface 8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p of the adjusting screw 822. [ The adjustment receiving surface 813 is curved so as to be recessed toward the adjustment long hole 812.

조정 나사부(82)는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한 제3 축선 O3 주위의 조정 본체부(8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한다. 조정 나사부(82)는 나사 설치판(821)과, 조정 나사(822)와, 조정 너트(823)를 갖는다.The adjustment screw portion 82 adjusts the rotation angle of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about the third axis O3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 The adjusting screw portion 82 has a screw mounting plate 821, an adjusting screw 822, and an adjusting nut 823.

나사 설치판(821)은 한 쌍의 베이스 본체부(22)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나사 설치판(821)은 베이스 본체부(22)에 조정 본체부(81)가 설치된 경우에, 조정 수용면(813)과 대향하도록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screw mounting plate 821 is fixed across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is formed with a screw hole so as to face the adjustment receiving surface 813 when the adjusting main body portion 81 is provided on the base main body portion 22.

조정 나사(822)는 나사 설치판(821)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고정된다. 조정 나사(822)는 선단부가 조정 수용면(813)과 접촉함으로써 조정 본체부(81)를 누르고 있다. 조정 나사(822)는 나사 구멍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나사 설치판(821)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한다.The adjusting screw 822 is fixed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The adjusting screw 822 pushes the adjusting main body 81 by its distal end contacting the adjusting receiving surface 813. The adjustment screw 822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screw hole.

조정 너트(823)는 조정 나사(822)를 고정하여 나사 설치판(82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한다. 즉, 조정 너트(823)가 풀림으로써, 조정 나사(822)는 나사 설치판(821)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adjusting nut 823 fixes the adjusting screw 822 to make it impossible to move with respect 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That is, the adjusting nut 823 is released, so that the adjusting screw 822 is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스토퍼부(83)는 아암부(3)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스토퍼부(83)는 집전슈부(4)가 전차선(182)에 가까워지도록 하는 제1 축선 O1 주위의 제1 아암부(31)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스토퍼부(83)는 베이스 본체부(22)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83)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볼트에 의해 베이스 본체부(22)에 고정되어 있다.The stopper portion 83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arm portion 3. The stopper portion 83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31 around the first axis O1 so that the collecting portion 4 approaches the electric wire 182. [ The stopper portion 83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base body portion 22. The stopper portion 83 has a flat plate shape and is fixed to the base body portion 22 by bolts.

본 실시 형태의 조정부(8)는 나사 설치판(821)에 대한 조정 나사(82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 본체부(81)를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시켜,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즉, 조정부(8)는 조정 본체부(81)를 회전시킴으로써,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의 위치에 대한 제1 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첫째, 조정 본체부(81)를 베이스 본체부(22)에 고정하고 있는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 및 조정 긴 구멍(812)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볼트를 푼다. 이에 의해, 조정 본체부(81)는 베이스 본체부(22)에 대하여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조정 너트(823)가 풀어져, 조정 나사(822)가 나사 설치판(821)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정 나사(822)를 돌림으로써, 나사 설치판(821)에 대한 조정 나사(822)의 위치가 이동한다. 예를 들어, 나사 설치판(821)에 대하여 조정 나사(822)를 깊게 삽입시킴으로써, 조정 나사(822)의 선단부가 조정 본체부(81)를 향하여 튀어나와 조정 수용면(813)을 누른다. 만곡되어 있는 조정 수용면(813)이 눌림으로써 조정 본체부(81)가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한다. 조정 본체부(81)가 회전함으로써,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의 위치가 조정 본체부(81)와 함께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의 위치에 대한 제1 단부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 상태에서, 조정 너트(823)에 의해 조정 나사(822)가 고정된다. 그 후, 제2 베이스 관통 구멍(222) 및 조정 긴 구멍(812)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볼트에 의해, 조정 본체부(81)가 베이스 본체부(22)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아암부(3)에 대한 탄성 부재(5)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adjusting section 8 of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the adjusting main body section 81 around the third axis O3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screw 822 with respect 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is changed. That is, the adjustment section 8 changes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5 by rotating the adjustment body section 81. Specifically,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5, first, the second base through-hole 222, which fixes the adjustment body 81 to the base body 22, The bolt inserted through the long hole 812 is loosened. Thereby,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becomes rotatable about the third axis O3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 [ Thereafter, the adjusting nut 823 is loosened so that the adjusting screw 822 can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In this state, by rotating the adjusting screw 822,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screw 822 with respect 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moves. The distal end of the adjusting screw 822 protrudes toward the adjusting body portion 81 and pushes the adjusting receiving surface 813 by inserting the adjusting screw 822 deeply into the screw mounting plate 821, for example.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rotated around the third axis O3 by pressing the curved adjustment receiving surface 813. [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rotates around the third axis O3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as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rotates. Thereby,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changed. In this state, the adjusting screw 822 is fixed by the adjusting nut 823.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fixed to the base body portion 22 by the bolts inserted into the second base through hole 222 and the adjustment long hole 812. [ Thereby,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3 can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집전 장치(1)를 구비한 차량(100)은 집전슈부(4)의 접촉면(41)을 전차선(182)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전차선(182)으로부터 전기가 공급된다. 집전 장치(1)를 통해 전차선(182)으로부터 전기의 공급을 받으면서, 차량(100)은 궤도(150)를 따라서 주행한다.The vehicle 100 having the power collector 1 as described above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catenary line 182 by bringing the contact surface 41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 The vehicle 100 travels along the trajectory 150 while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wire 182 through the current collector 1.

차량(100)이 궤도(150)를 따라서 주행할 때에, 전차선(182)과 차량(100)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이격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전차선(182)과 차량(100)의 거리가 가까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아암부(31)가 전차선(18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제1 축선 O1 주위로 회전하면서, 탄성 부재(5)에 의해 이 회전에 저항하여 아암부(3)가 가압된다. 그 때문에, 집전슈부(4)의 위치를 전차선(182)의 위치에 추종시키면서, 접촉면(41)을 전차선(182)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0 travels along the trajectory 150, the distance between the catenary line 182 and the vehicle 100 may be shortened or spaced apart. For example,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line 182 and the vehicle 100 are close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arm portion 31 rotates about the first axis O1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atenary 182, and the arm portion 3 is rotated by the elastic member 5 against this rotation Lt; / RTI > The contact surface 4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atenary 182 while keeping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t the position of the catenary line 182. [

게다가, 집전슈부(4)와 베이스부(2)를 연결하는 아암부(3)가 절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차선(182)으로부터 집전슈부(4)에 전달된 전기가 베이스 본체부(22)까지 흘러 버리는 것을 아암부(3)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5)는 제1 단부가 조정부(8)를 통해 베이스부(2)에 접속되고, 제2 단부가 브래킷부(6)를 통해 아암부(3)에 접속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5)는 집전슈부(4)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아암부(3) 및 집전슈부(4)를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차선(182)으로부터 집전슈부(4)에 전달된 전기가 탄성 부재(5)를 통해 베이스 본체부(22)까지 흘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m portion 3 connecting the collector portion 4 and the base portion 2 is formed by an insulating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lectric power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wire 182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to flow to the base body portion 22 by the arm portion 3.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2 via the adjustment portion 8 and 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5 is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3 through the bracket portion 6. [ That is, the elastic member 5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but presses the arm portion 3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lectric power, which has been transferred from the catenary line 182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to flow to the base body portion 22 through the elastic member 5. [

그 결과, 아암부(3)의 선단부에 지지된 집전슈부(4)를 탄성 부재(5)에 의해 전차선(182)에 추종시키면서, 베이스 본체부(22)와 집전슈부(4) 사이를 아암부(3)에 의해 절연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전슈부(4)를 전차선(182)에 추종시키기 위한 구조와,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일체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집전슈부(4)와 베이스부(2)를 연결하는 아암부(3) 이외에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절연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전차선과 접촉하는 집전슈부(4)와, 차체(110)와 접촉하는 베이스부(2)를 절연할 수 있다. 그 결과, 집전 장치(1)로서,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개수를 저감시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supported on the tip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3 is made to follow the catenary line 182 by the elastic member 5, and the space between the base body portion 22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3). Therefore, the structure for follow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to the catenary 182 and the structure for securing the insulating property can be integrated. Thereby, in addition to the arm portion 3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nd the base portion 2, there is provided a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without providing a new insulating member for securing insulation, The base portion 2 can be insulated. As a result, as the current collector 1,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while ensuring insulation, and the size can be reduced.

또한, 전차선(182)의 표면과 접촉면(41)이 평행한 상태로부터 어긋나 있음으로써, 접촉면(41)이 전차선(182)의 표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가압 부재(7)는 집전슈부(4)를 제2 축선 O2 주위로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촉면(41)이 전차선(182)의 표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한 경우라도, 가압 부재(7)에 의해 접촉면(41)이 전차선(182)의 표면과 평행에 가까워지도록 집전슈부(4)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차선(182)과 접촉면(41)이 접촉하였을 때에, 부분적으로 간극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면(41)을 전차선(182)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추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차선(182)의 표면과 접촉면(41)이 이격되어 버림으로써 아크가 발생하고, 접촉면(41)의 마모가 증대되어 집전슈부(4)의 수명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차선(182)의 표면과 접촉면(41)이 이격되어 버림으로써 집전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contact surface 41 may partially contact the surface of the catenary 182 because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and the contact surface 41 are shifted from the parallel state. However, the pressing member 7 presse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round the second axis O2. Therefore, even when the contact surface 41 partial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surface 41 i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by the pressing member 7, Can be restored. As a result, when the contact surface 41 contacts the catenary 182, a gap can be partially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follow the contact surface 41 to the surface of the catenary 182. As a result, an arc is generat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catenary wire 182 and the contact surface 41, so that the abrasion of the contact surface 41 is increased and the life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rent collecting performance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182 and the contact surface 41.

또한, 조정부(8)에 의해 아암부(3)에 대한 탄성 부재(5)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집전슈부(4)를 전차선(182)에 대하여 적당한 부하를 건 상태에서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정부(8)로 조정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탄성 부재(5)에 의한 가압력이 저하되어도, 집전슈부(4)를 안정된 상태로 전차선(182)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전차선(182)과 집전슈부(4)가 접촉한 경우에, 전차선(182)의 표면과 접촉면(41)이 지나치게 강하게 닿아 집전슈부(4)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3 by the adjusting portion 8,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tenary wire 182 in an appropriate load in a dry state. Thus, by adjusting the adjustment section 8, the current collecting section 4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tenary 182 in a stable state even if the pressing force by the elastic member 5 is lowered by long-term use. In addition, when the catenary line 182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electret portion 4 because the contact surface 41 and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are excessively strong.

또한, 반대로 전차선(182)의 표면과 접촉면(41)이 이격되어 버려, 아크가 발생하거나, 집전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conversely, th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182 and the contact surface 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occurrence of an arc or deterioration of current collection performance.

또한, 조정부(8)에서는, 조정 본체부(81)에 의해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를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나사(822)에 의해 조정 수용면(813)이 눌림으로써, 조정 본체부(81)가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한다. 그 결과, 조정 본체부(81)의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위치가 차체(110)에 외면을 향하도록 제3 축선 O3 주위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조정 본체부(81)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부재(5)의 제1 단부의 위치를, 브래킷부(6)를 통해 아암부(3)에 지지되어 있는 제2 단부의 위치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정 나사(822)를 진퇴시켜 조정 본체부(81)를 회전시킬 뿐인 단순한 구조로, 탄성 부재(5)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djustment section 8, the adjustment body section 81 can rotate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5 about the third axis O3. Specifically, the adjustment receiving surface 813 is pressed by the adjusting screw 822, whereby the adjusting main body 81 rotates about the third axis O3.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supporting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5 rotates about the third axis O3 so as to face the vehicle body 110 toward the outer surface. The position of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supported by the adjustment body portion 81 is moved relativ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end portion supported by the arm portion 3 via the bracket portion 6 .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 can be easily adjusted with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adjusting screw 82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adjusting main body 81 is rotated.

또한, 절연재로 형성된 브래킷부(6)에 의해, 탄성 부재(5)의 제2 단부가 아암부(3) 및 집전슈부(4)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집전슈부(4)로부터 탄성 부재(5)에 전기가 흘러 버리는 것을 아암부(3)뿐만 아니라 브래킷부(6)에 의해서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전슈부(4)와 탄성 부재(5) 사이의 절연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5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3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by the bracket portion 6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not only the arm portion 3 but also the bracket portion 6 from flowing the electricity from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to the elastic member 5. [ Therefore, the insul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and the elastic member 5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탄성 부재(5)가 판상을 이루는 판 스프링임으로써, 단순한 구조로 아암부(3)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상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양단부를 브래킷부(6)나 조정부(8)에 대하여 고정하기 쉽다. 따라서, 탄성 부재(5)를 고정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집전 장치(1)의 부품 개수를 억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elastic member 5 is a plate spring having a plate-like shape, a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arm portion 3 with a simple structur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forming a plate shape, it is easy to fix both ends to the bracket portion 6 and the adjustment portion 8. Therefore,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elastic member 5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power collector 1 can be suppressed.

《제2 실시 형태》&Quot; Second Embodiment &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는, 탄성 부재나 가압 부재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power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elastic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즉,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A)와, 아암부(3A)와, 집전슈부(4A)와, 탄성 부재(5A)와, 가압 부재(7A)를 구비한다.2, the current collecto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ase portion 2A, an arm portion 3A, a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 elastic member 5A, And a pressing member 7A.

베이스부(2A)는 차체(110)의 외면인 측면(111)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베이스부(2A)는, 베이스 고정부(21A)와, 베이스 본체부(22A)를 갖는다.The base portion 2A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111 which is an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10. [ The base portion 2A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base fixing portion 21A and a base main portion 22A.

베이스 고정부(21A)는 차체(110)의 측면(111)을 따라서 확장되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The base fixing portion 21A has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along the side surface 111 of the vehicle body 110. [

베이스 고정부(21A)는 차량(100)에 고정된다. 제2 실시 형태의 베이스 고정부(21A)는, 볼트에 의해 탄성 부재(5A)와 함께 차체(110)의 측면(111)에 고정되어 있다.The base fixing portion 21A is fixed to the vehicle 100. Fig. The base fixing portion 21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111 of the vehicle body 110 together with the elastic member 5A by bolts.

베이스 본체부(22A)는, 아암부(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베이스 본체부(22A)는, 베이스 고정부(21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부(22A)는, 베이스 고정부(21A)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베이스 본체부(22A)는, 아암부(3A)를 내측에 끼워 넣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본체부(22A)는,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A)이 형성되어 있다.The base body portion 22A rotatably supports the arm portion 3A. The base body portion 22A of the second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base fixing portion 21A. A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A are provided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base fixing portion 21A. The pair of base body portions 22A are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arm portion 3A inside. In the base body portion 22A, a first base through-hole 221A is formed.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A)은, 베이스 본체부(22A)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A)은, 제1 축선 O1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관통 구멍이다. 즉,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A)은, 아암부(3A)를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핀이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A is a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ase body portion 22A.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A is a through ho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centered on the first axis O1. That is,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A is formed such that a cylindrical pin that supports the arm portion 3A can be inserted therethrough.

아암부(3A)는, 베이스 본체부(22A)에 대하여 제1 축선 O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3A)는, 제1 축선 O1을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제1 아암 관통 구멍(3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 관통 구멍(311A)은,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A)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A)는, 제1 베이스 관통 구멍(221A) 및 제1 아암 관통 구멍(311A)에 핀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베이스 본체부(22A)에 대하여 제1 축선 O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3A)는, 베이스부(2A)에 지지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 반대측의 선단부가 베이스부(2A)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3A)는, 베이스 본체부(22A)로부터 전차선(182)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3A)는, 선단부에서 집전슈부(4A)를 지지하고 있다. 아암부(3A)는, 선단부에 제2 축선 O2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제2 아암 관통 구멍(32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A)는, 제2 아암 관통 구멍(322A)에 삽입 관통된 핀에 의해, 집전슈부(4A)를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아암부(3A)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The arm portion 3A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first axis line O1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A. The arm portion 3A is formed with a first arm through hole 311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bout the first axis O1. The first arm through hole 311A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first base through hole 221A. The arm portion 3A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first axis O1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portion 22A by inserting the pin into the first base through-hole 221A and the first arm through-hole 311A have. The arm portion 3A is extended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to the end portion on the side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2A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2A. The arm portion 3A extends obliquely from the base body portion 22A toward the electric wire 182. [ The arm portion 3A support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t its tip end. In the arm portion 3A, a second arm through hole 322A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centered about the second axis O2 is formed at the tip end. The arm portion 3A rotatably support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round the second axis O2 by a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arm through hole 322A. The arm portion 3A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집전슈부(4A)는, 아암부(3A)의 선단부에서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집전슈부(4A)는, 제2 축선 O2를 중심으로 하는 단면 원 형상의 슈 관통 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집전슈부(4A)는, 제2 아암 관통 구멍(322A) 및 슈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된 핀에 의해, 아암부(3A)에 대하여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집전슈부(4A)는, 전차선(182)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41A)을 갖고 있다. 접촉면(41A)은, 집전슈부(4A)에 있어서의 전차선(182)의 표면과 대향하는 외표면이다. 집전슈부(4A)는, 적어도 접촉면(41A)을 형성하는 부분이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tip of the arm portion 3A around the second axis O2.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is formed with a shoe through hole 42A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bout the second axis O2.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second axis O2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3A by a pin inserted into the second arm through hole 322A and the shoe through hole 42A.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has a contact surface 41A that can contact the catenary line 182. [ The contact surface 41A is an outer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182 in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In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t least a portion forming the contact surface 41A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탄성 부재(5A)는, 제1 단부가 베이스부(2A)에 고정되고 제2 단부가 아암부(3A)에 고정되도록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A)는, 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걸쳐 연장되어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는 판상을 이루는 판 스프링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조정부(8)를 갖지 않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은, 제1 축선 O1의 주위 방향 자체이다. 탄성 부재(5A)는, 제1 단부가 베이스부(2A)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탄성 부재(5A)는, 제2 단부가 아암부(3A)의 중간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A)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대향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A)의 가장 넓은 면인 판면은, 전차선(182)측을 향하는 부분과, 차체(110)의 측면(111)측을 향하는 부분을 가지면서 만곡되어 있다. 탄성 부재(5A)는, 제1 축선 O1 주위이며 전차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는 아암부(3A)의 회전에 저항하여 아암부(3A)를 가압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탄성 부재(5A)는, 만곡된 상태로부터 아암부(3A)에 의해 베이스부(2A)를 향하여 눌려 더 만곡되도록 변형된다. 탄성 부재(5)는 변형함으로써 반력이 발생하여 아암부(3)를 가압하고 있다.The elastic member 5A is curved and extended so that the first end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2A and the second end is fixed to the arm portion 3A. The elastic member 5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plate-shaped plate spring having a plate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xis O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5A is not bent, to be. In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no adjustment portion 8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 direction includ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xis O1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self of the first axis O1.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5A is fixed directly to the base portion 2A. 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5A is directly fixed to the middle of the arm portion 3A. The elastic member 5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urved so th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face each other. That is, the plate surface, which is the widest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5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urved with a portion facing the catenary line 182 and a portion facing the side surface 111 side of the vehicle body 110. [ The elastic member 5A presses the arm portion 3A against the rotation of the arm portion 3A which is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axis O1 a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rain. The elastic member 5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formed from the curved state by the arm portion 3A toward the base portion 2A so as to be further curved. The elastic member (5) deforms to generate a reaction force to press the arm portion (3).

가압 부재(7A)는, 집전슈부(4A)와 아암부(3A)를 접속하고 있다. 가압 부재(7A)는, 제2 축선 O2 주위이며 전차선(182)의 표면에 대한 접촉면(41A)의 각도를 크게 하는 집전슈부(4A)의 회전에 저항하여 집전슈부(4A)를 가압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압 부재(7A)는, 집전슈부(4A)와 아암부(3A)를 접속하는 핀 부분에 나이하르트 고무를 갖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압 부재(7A)에서는, 집전슈부(4A)가 제2 축선 O2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나이하르트 고무에 반력이 발생한다. 그 결과, 나이하르트 고무에 의해, 집전슈부(4)가 가압되고 있다.The pressing member 7A connect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arm portion 3A. The pressing member 7A presses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gainst the rota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round the second axis O2 and increasing the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41A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atenary line 182. [ The pressing member 7A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Niihart rubber at a pin portion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arm portion 3A. In the pressing member 7A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axis O2, and a rea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Niarton rubber. As a result,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 is pressed by Niihart rubber.

상기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A)에 의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집전슈부(4A)의 위치를 전차선(182)의 위치에 추종시키면서, 접촉면(41A)을 전차선(182)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1A of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can also make the contact surface 41A contact the catenary line 182 while following the position of the catenary line 182 with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s shown in Fig.

게다가, 집전슈부(4A)와 베이스부(2A)를 접속하는 아암부(3A)가 절연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차선(182)으로부터 집전슈부(4A)에 전달된 전기가 베이스부(2A)까지 흘러 버리는 것을 아암부(3A)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5A)는 제1 단부가 베이스부(2A)에 직접 접속되고, 제2 단부가 아암부(3A)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5A)는, 집전슈부(4A)와 직접 접속되지 않고, 아암부(3A) 및 집전슈부(4A)를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차량(1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A)와, 전차선(182)에 접촉하는 집전슈부(4A)를 아암부(3A)를 통해 절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집전슈부(4A)와 베이스부(2A)를 연결하는 아암부(3A) 이외에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절연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전차선과 접촉하는 집전슈부(4A)와, 차체(110)와 접촉하는 베이스부(2A)를 절연할 수 있다. 그 결과, 집전 장치(1A)로서,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개수를 저감시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m portion 3A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base portion 2A is formed by an insulating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lectric power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wire 182 to the collecting portion 4A to flow to the base portion 2A by the arm portion 3A.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5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2A, and the second e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rm portion 3A. That is, the elastic member 5A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but presses the arm portion 3A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Therefore, the base portion 2A fixed to the vehicle 100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contacting the catenary line 182 can be isolated through the arm portion 3A. Therefor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a new insulating member for securing the insulation property is not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rm portion 3A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base portion 2A, and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base portion 2A contacting the vehicle body 110 can be insulated. As a result, as the power collector 1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to reduce the size while ensuring insulation.

또한, 가압 부재(7A)가 집전슈부(4A)와 아암부(3A)를 연결하는 나이하르트 고무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가압 부재(7A)를 집전슈부(4A) 및 아암부(3A)에 설치하기 위해 복잡한 설치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집전슈부(4A)를 제2 축선 O2 주위로 가압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member 7A has a Niahart rubber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arm portion 3A.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mplicated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pressing member 7A on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and the arm portion 3A. Therefore,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4A can be pressed around the second axis O2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A)는, 조정부(8)를 갖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A)는, 예를 들어 베이스 고체부 및 아암부(3A)에 대한 탄성 부재(5A)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조정부(8)를 갖는 구조로 해도 된다.The power collecto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have the adjusting unit 8,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The current collecto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solid member 5A with respect to the base solid portion and the arm portion 3A, do.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A)는, 브래킷부(6)를 갖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 형태의 집전 장치(1A)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브래킷부(6)를 갖고 있어도 된다.The power collecto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have the bracket portion 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The power collector 1A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have the bracket portion 6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th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addit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mission, substitution, and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또한, 탄성 부재(5, 5A)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CFRP와 같은 절연성이 높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elastic members 5 and 5A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resin material having high insulation such as CFRP.

또한, 탄성 부재(5, 5A)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부재(5, 5A)로서,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The elastic members 5 and 5A are not limited to those having a plate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elastic members 5 and 5A, for example, coil springs may be us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차량(100)은 철도용의 차량이어도 된다. 이 경우, 집전 장치(1, 1A)는, 차량(100)의 외면 중, 상하 방향 Dv의 상측을 향하는 천장면에 고정되어도 된다.Further, the vehic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railway vehicle. In this case, the current collectors 1 and 1A may be fixed to a ceiling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direction Dv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100. [

상기 집전 장치에 의하면,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urren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while ensuring insulation.

100 : 차량
110 : 차체
111 : 측면
120 : 주행륜
130 : 안내 장치
131 : 안내륜
1, 1A : 집전 장치
2, 2A : 베이스부
21, 21A : 베이스 고정부
22, 22A : 베이스 본체부
221, 221A : 제1 베이스 관통 구멍
222 : 제2 베이스 관통 구멍
223 : 제3 베이스 관통 구멍
3, 3A : 아암부
31 : 제1 아암부
311, 311A : 제1 아암 관통 구멍
32 : 제2 아암부
322, 322A : 제2 아암 관통 구멍
4, 4A : 집전슈부
41, 41A : 접촉면
42, 42A : 슈 관통 구멍
5, 5A : 탄성 부재
6 : 브래킷부
61 : 브래킷 고정부
611 : 받침부
612 : 돌출부
641 : 제1 브래킷 관통 구멍
62 : 브래킷 본체부
642 : 제2 브래킷 관통 구멍
63 : 브래킷 파지부
643 : 제3 브래킷 관통 구멍
7, 7A : 가압 부재
8 : 조정부
81 : 조정 본체부
811 : 조정 관통 구멍
812 : 조정 긴 구멍
813 : 조정 수용면
82 : 조정 나사부
821 : 나사 설치판
822 : 조정 나사
823 : 조정 너트
83 : 스토퍼부
Dr : 주행 방향
Dw : 폭 방향
Dv : 상하 방향
O1 : 제1 축선
O2 : 제2 축선
O3 : 제3 축선
O4 : 제4 축선
150 : 궤도
160 : 궤도 노면
170 : 주행로
171 : 주행면
180 : 측벽
181 : 가이드 레일
182 : 전차선
100: vehicle
110:
111: side
120: Driving wheel
130: Guide device
131:
1, 1A: current collector
2, 2A: Base portion
21, 21A:
22, 22A: Base body part
221, 221A: first base through-hole
222: second base through hole
223: Third base through hole
3, 3A: arm portion
31: first arm portion
311, 311A: first arm through hole
32: second arm portion
322, 322A: second arm through hole
4, 4A: current collector
41, 41A: contact surface
42, 42A: Shoe through hole
5, 5A: elastic member
6: Bracket part
61: Bracket fixing portion
611:
612:
641: first bracket through hole
62: Bracket body part
642: second bracket through hole
63: Bracket grip section
643: third bracket through hole
7, 7A:
8:
81:
811: Adjustment through hole
812: Adjustable long hole
813: Adjustable receiving surface
82: adjusting screw
821: Screw mounting plate
822: adjusting screw
823: Adjusting nut
83: Stopper portion
Dr: Driving direction
Dw: width direction
Dv: Up and down direction
O1: 1st axis
O2: second axis
O3: third axis
O4: fourth axis
150: Orbit
160: Orbital road surface
170:
171:
180: side wall
181: Guide rail
182:

Claims (8)

차체의 외면에 고정 가능하게 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축선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절연재로 형성된 아암부와,
전차선에 접촉 가능한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제1 축선으로부터 상기 아암부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아암부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는 집전슈부와,
제1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고 제2 단부가 상기 아암부에 접속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축선의 주위 방향이며 상기 전차선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아암부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집전 장치.
A base portion that can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n arm portion that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a first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extends toward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first axis,
A current collecting portion having a contact surface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atenary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xi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m portion and being rotatable about a second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
And an elastic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portion to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to connect the second end portion to the arm portion and pressing the arm portion in a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xis line and approaching the electric li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슈부와 연결되며, 상기 집전슈부의 회전에 저항하여 상기 집전슈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집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and pressing the current collecting shoe portion against rotation of the current collecting sho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집전슈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는 나이하르트 고무를 갖는, 집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member has a Niihart rubber for connecting the current collecting portion and the arm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부에 대한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집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 adjust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base unit and adjusts a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제1 단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조정 본체부를 갖는, 집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regulating body portion for rotating the first end of the elastic member about a third axi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axis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제2 단부와 상기 아암부를 연결하고, 절연재로 형성된 브래킷부를 구비하는, 집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bracket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arm portion and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제1 축선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는 판면을 갖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집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late surface extending across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facing in a direction includi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axi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전 장치와,
상기 집전 장치가 고정된 차체를 구비하는, 차량.
A powe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th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urrent collector has a fixed body.
KR1020160122889A 2016-01-08 2016-09-26 Power collector and vehicle KR1019809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2400A JP6582348B2 (en) 2016-01-08 2016-01-08 Current collector and vehicle
JPJP-P-2016-002400 2016-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77A true KR20170083477A (en) 2017-07-18
KR101980943B1 KR101980943B1 (en) 2019-05-21

Family

ID=5930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889A KR101980943B1 (en) 2016-01-08 2016-09-26 Power collector and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82348B2 (en)
KR (1) KR1019809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196B (en) * 2018-12-12 2023-12-22 西南交通大学 Train current collecting mechanism
CN109552052B (en) * 2018-12-14 2024-05-17 于鹏 Buffering and resetting mechanism for current collecting head
CN115782598A (en) * 2022-11-17 2023-03-14 西南交通大学 Novel pantograph bow plate spring suspens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2902U (en) * 1983-03-28 1984-10-13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Current collector for vehicles guided by side guide rails
JPH104604A (en) 1996-06-12 1998-01-06 Toyo Electric Mfg Co Ltd Current-correcting device for vehicle in new transit system
KR20010105809A (en) * 2000-05-18 2001-11-29 안우희 Side contact type third rail shoe gear for light rail transit
KR20120008495A (en) * 2009-03-09 2012-01-30 로르 앵뒤스트리 Aerial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ground vehicle provided with an upper collecting structure
KR20120068802A (en) * 2012-06-07 2012-06-27 구홍식 Pressure adjustable to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711A (en) * 1975-07-31 1977-02-08 Nissan Motor Co Ltd Current collecter
JPS52123007A (en) * 1976-04-09 1977-10-15 Hitachi Ltd Automotive multi-phase current collector
JPS5524013U (en) * 1978-08-03 1980-02-16
JPH0817521B2 (en) * 1990-03-08 1996-02-21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Sliding plate support device for pantograph
JPH06156634A (en) * 1992-11-25 1994-06-03 Itoki Crebio Corp Current collector for stacker crane in automated warehouse
JP3007337B1 (en) * 1998-10-21 2000-02-07 良雄 樋口 Overhead icing removal equipment
JP4851813B2 (en) * 2006-03-01 2012-01-1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Current collector with overload detector for railway vehicles
CN101708692B (en) * 2009-11-06 2012-07-04 谢绚丽 High-strength insulation material pantograp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2902U (en) * 1983-03-28 1984-10-13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Current collector for vehicles guided by side guide rails
JPH104604A (en) 1996-06-12 1998-01-06 Toyo Electric Mfg Co Ltd Current-correcting device for vehicle in new transit system
KR20010105809A (en) * 2000-05-18 2001-11-29 안우희 Side contact type third rail shoe gear for light rail transit
KR20120008495A (en) * 2009-03-09 2012-01-30 로르 앵뒤스트리 Aerial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ground vehicle provided with an upper collecting structure
KR20120068802A (en) * 2012-06-07 2012-06-27 구홍식 Pressure adjustable to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82348B2 (en) 2019-10-02
JP2017123751A (en) 2017-07-13
KR101980943B1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943B1 (en) Power collector and vehicle
CN103010248B (en) Rail vehicle truck
WO2015068221A1 (en) Contact charging method and contact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4898963B1 (en) Guide rails and traffic systems for track vehicles
JP2013233037A (en) Contact charging method and contact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5759575B2 (en) Electric vehicle and contact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3010031A (en) Third rail current collector for railway vehicle
WO2016201902A1 (en) Current collection head apparatus
US9969299B2 (en) Traffic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CN104335434A (en) Grounding shoe and vehicle
JP2016043875A (en) Snow removal brush, vehicle, combination vehicle, an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KR20170043221A (en)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KR101902361B1 (en) Section insulator for rigid trolley line
KR20130087778A (en) Expansion joint
CN109747429A (en) Bipolar rigid contact net formula traffic power supply system
KR102110931B1 (en) Charg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KR20100068895A (en) Pantograph for railway car
JP2014131475A (en) Electric vehicle and contact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KR20170058766A (en) double-tension rigid bar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KR101900512B1 (en) rigid bar support system
KR100328558B1 (en) Current collector for light electric motor car
KR20110059384A (en) A electric power supply unit for electric rail car
KR20160049931A (en) Pantograph device
KR100307501B1 (en) Third rail current collector for light rail transit
KR101230535B1 (en) Railway vehicles for adapting space maintaining apparatus of parallel linear inductio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