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72B1 -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172B1
KR101572172B1 KR1020140135807A KR20140135807A KR101572172B1 KR 101572172 B1 KR101572172 B1 KR 101572172B1 KR 1020140135807 A KR1020140135807 A KR 1020140135807A KR 20140135807 A KR20140135807 A KR 20140135807A KR 101572172 B1 KR101572172 B1 KR 10157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ing
cage
lid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수
유승근
김규현
손규태
고지수
김한백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층을 덮어 기상조건에 따른 작업불능일을 축소시키는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판 형태의 스틸폼과 상기 스틸폼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지로 구성되는 갱폼; 상기 케이지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시공층을 덮는 천막 형태의 부재로, 일정 간격마다 내부에 와이어 및 로프가 삽입되어 있는 덮개부재; 및, 양단이 마주보는 케이지의 상단에 고정되는 선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케이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지지하며 이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갱폼의 케이지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위로 설치되는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의 상부로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갱폼의 스틸폼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는 보양막으로 둘러싸이며,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결속부재가 마련되고, 마주보이는 타측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을 상기 케이지의 일부분에 롤(roll)형태로 감을 수 있는 권취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권취부재가 마련되면서 상기 갱폼의 스틸폼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는, 시공층 내측에 위치한 최상단의 수평프레임에 회전가능한 롤러프레임이 더 결합되고, 상기 롤러프레임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덮개부재가 롤(roll)형태로 감기는 권취프레임이 더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권취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권취부재는 상기 권취프레임에 직각으로 접한 수평프레임과 그 하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에 한 쌍의 스프라켓과 베어링이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권취프레임과 접하는 곳에 상기 스프라켓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 및 손잡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권취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감긴 채 고정되되, 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프레임에 감겨있는 덮개부재가 풀리면서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단부가 결속부재로 고정되어 폐쇄되거나, 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결속부재로부터 해체된 덮개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권취프레임에 감김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The temporary construction system in all-weather condition}
본 발명은 갱폼에 고정 설치되는 작업 가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가 자재 및 양중이 필요 없도록 갱폼 상부에 권취 고정된 덮개부재 전체가 손쉽게 개폐됨으로써 우천, 일사, 혹한 등 기후로 인한 영향이 없는 작업조건을 조성하여 공기단축을 도모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층 건축물을 지을 때, 나무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대신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갱폼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건물의 외벽을 축조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고층 아파트와 같이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건축물을 지을 때, 1층 벽면에서부터 설치하여 층수가 올라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차례로 위층의 벽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아파트 등의 건설현장은 눈이 오거나 비가 내리게 되면 눈, 비를 가릴 수 없으므로 공사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눈, 비가 내리게 되면 작업 공정에 차질이 발생하여 공사 기간이 지연되고, 해당 건축물의 시공을 맡은 건설회사는 공사 지연에 대한 보상금 등을 지급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안게 된다.
또한, 동절기에 온도가 영하로 떨어진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양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이 불량하여 작업 지연과 건축물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갱폼을 이용하여 건물의 골조공사를 할 때 콘크리트의 양생 및 눈 또는 비로부터 보양 등의 목적에 따라 가설구조물을 통해 천막 또는 덮개를 설치한다.
종래에는 가설구조물 상에서 파이프 등의 부재를 연결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그 위에 천막을 덮어 덮개를 공사현장에서 직접 설치하였다. 이 경우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고, 또 자재를 높은 곳까지 들어올려 파이프 등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그 위에 천막을 덮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인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이 높아지면 덮개를 가설구조물에서 해체 후 가설구조물을 설치 후에 다시 덮개를 가설구조물 상에서 조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덮개의 설치에 따른 공사지연 시간이 길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요에 따라 전체 막구조의 개폐가 가능하고, 갱폼 인양시 해당 구조물을 별도 탈착 또는 인양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갱폼의 개별판에 고정되어 갱폼과 동시에 양중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천막에 일정간격으로 와이어를 삽입하여 구조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고, 막구조 개폐시 막구조 하부작업(철근, 형틀, 타설작업 등)에 지장이 없도록 가이드부재(guide wire)를 미리 설치하여 막구조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전처후 작업 가설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막구조를 펼친 후 요구되는 장력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팽팽히 단부에 고정 시 인력으로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막구조를 감거나 펼칠 때 감기는 축을 인력으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프라켓, 체인, 손잡이 또는 전동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권취부재가 구비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최상층 작업 시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부를 천막 등으로 덮는 작업 가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 형태의 스틸폼과 상기 스틸폼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지로 구성되는 갱폼; 상기 케이지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시공층을 덮는 천막 형태의 부재로, 일정 간격마다 내부에 와이어 및 로프가 삽입되어 있는 덮개부재; 및, 양단이 마주보는 케이지의 상단에 고정되는 선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케이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지지하며 이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갱폼의 케이지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위로 설치되는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의 상부로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갱폼의 스틸폼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는 보양막으로 둘러싸이며,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결속부재가 마련되고, 마주보이는 타측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을 상기 케이지의 일부분에 롤(roll)형태로 감을 수 있는 권취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권취부재가 마련되면서 상기 갱폼의 스틸폼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는, 시공층 내측에 위치한 최상단의 수평프레임에 회전가능한 롤러프레임이 더 결합되고, 상기 롤러프레임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덮개부재가 롤(roll)형태로 감기는 권취프레임이 더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권취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권취부재는 상기 권취프레임에 직각으로 접한 수평프레임과 그 하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에 한 쌍의 스프라켓과 베어링이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권취프레임과 접하는 곳에 상기 스프라켓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 및 손잡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재는 권취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감긴 채 고정되되, 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프레임에 감겨있는 덮개부재가 풀리면서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단부가 결속부재로 고정되어 폐쇄되거나, 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결속부재로부터 해체된 덮개부재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권취프레임에 감김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요에 따라 전체 막구조의 개폐가 가능하고, 갱폼 인양시 해당 구조물을 별도 탈착 또는 인양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갱폼의 개별판에 고정되어 갱폼과 동시에 양중됨으로써 기상 조건(강우, 강설 등)에 따른 작업 불능일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막구조가 갱폼 고정형 시스템으로 구성됨으로써 분실, 훼손, 자재 열화로 인한 재투자 없이 골조공사 종료시까지 이용이 가능하여 현장관리 포인트가 축소되고 동절기 보양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하절기 강한 일사 시 상부 막구조로 그늘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탈진, 탈수, 일사병 등으로 인한 안전 리스크(risk)를 저감시킬 수 있다.
셋째,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쾌적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자 손끝 품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상부의 막구조 전체를 손쉽게 개폐시킴으로써 우천시 보양 상태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절기 보양 천막자재 관리 불량 및 자재 열화로 인한 재구매로 원가가 중복 투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이 골조공사에서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케이지에 권취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덮개부재가 권취부재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덮개부재가 결속부재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현장사진이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권취부재가 결합된 케이지에 덮개부재가 권취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결속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실물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전동윈치가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강우, 강설, 일사 등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최상층 골조공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갱폼(10) 상부에 설치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층을 덮어 기상조건에 따른 작업불능일을 축소시키는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판 형태의 스틸폼(12)과 상기 스틸폼(12)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지(14)로 구성되는 갱폼(10); 상기 케이지(14)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시공층을 덮는 천막 형태의 부재로, 일정 간격마다 내부에 와이어(22) 및 로프(24)가 삽입되어 있는 덮개부재(20); 및, 양단이 마주보는 케이지(14)의 상단에 고정되는 선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케이지(1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덮개부재(20)를 지지하며 이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갱폼(10)의 케이지(14)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14a)과 상기 수직프레임(14a)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14b)과 상기 수평프레임(14b) 위로 설치되는 작업발판(14c)과 상기 작업발판(14c)의 상부로 수직프레임(14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14d)으로 구성되고, 상기 갱폼(10)의 스틸폼(12)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14)는 보양막(40)으로 둘러싸이며,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재(2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결속부재(50)가 마련되고, 마주보이는 타측에는 상기 덮개부재(20)의 타단을 상기 케이지(14)의 일부분에 롤(roll)형태로 감을 수 있는 권취부재(60)가 마련되며, 상기 권취부재(60)가 마련되면서 상기 갱폼(10)의 스틸폼(12)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14)는, 시공층 내측에 위치한 최상단의 수평프레임(14b)에 회전가능한 롤러프레임(15)이 더 결합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5)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14b) 사이에는 상기 덮개부재(20)가 롤(roll)형태로 감기는 권취프레임(17)이 더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17)의 단부에 상기 권취부재(60)가 결합되되, 상기 권취부재(60)는 상기 권취프레임(17)에 직각으로 접한 수평프레임(14b)과 그 하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14b)에 한 쌍의 스프라켓(62)과 베어링(64)이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62)에 연결되는 체인(66)과 상기 권취프레임(17)과 접하는 곳에 상기 스프라켓(62)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68) 및 손잡이(69)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재(20)는 권취프레임(17)에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감긴 채 고정되되, 권취부재(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프레임(17)에 감겨있는 덮개부재(20)가 풀리면서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이동하여 단부가 결속부재(50)로 고정되어 폐쇄되거나, 권취부재(60)의 회전에 의해 결속부재(50)로부터 해체된 덮개부재(20)가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권취프레임(17)에 감김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갱폼(10)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의 거푸집 역할을 하는 스틸폼(12)과 발판용 케이지(14)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것이다. 여기서 케이지(14)란 갱폼(10)의 스틸폼(12)으로 구성된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 후속 미장 및 견출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업발판(14c), 안전난간을 이루는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14b), 수직프레임(14a), 보강프레임(14d)이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외면에 이를 둘러싸는 보양막(40)이 설치되어 측면에서 출입될 수 있는 바람, 소음, 분진 등을 차단시킬 수 있다.
덮개부재(20)는 양단이 갱폼(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천막재질의 부재로, 눈 또는 비 등이 작업현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덮개부재(20)는 방수가 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것이 적당한데, 타포린천막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20)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와이어(22) 및 로프(24)가 내장된 상태로 삽입되는데, 이로 인하여 덮개부재(20)의 구조안전성 및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덮개부재(20)의 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와이어(22)가 삽입 처리됨으로써 개폐시에 찢김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덮개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더 연장된 날개덮개(20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날개덮개(20a)는 옆 쪽의 갱폼 상부에 설치되는 또 다른 덮개부재(20)와 겹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인접한 덮개부재(20) 사이에 틈이 없도록 덮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덮개부재(20) 개폐시 시공층의 슬라브 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철근, 형틀, 콘크리트 타설 등)에 지장이 없도록 양단이 갱폼(10) 상단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30)는 덮개부재(20)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22)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갱폼(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데, 덮개부재(20)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갱폼(10) 상부에서 덮개부재(20)가 개폐시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덮개부재(20)는 마주보는 갱폼(10)의 케이지(14)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덮개부재(20)의 일단은 일측의 케이지(14)에 설치된 권취부재(60)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의 케이지(14)에 결합되는 결속부재(50)에 고정된다. 여기서 권취부재(60)가 설치된 케이지(14)에 감겨있는 덮개부재(20)가 풀리거나, 시공층 상부에 펼쳐져 있는 덮개부재(20)가 권취부재(60)가 설치된 케이지(14)에 감김으로써 덮개부재(2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권취부재(60)가 설치된 케이지(14)에서 감겨있는 덮개부재(20)가 풀리면서 시공층 상부를 덮을 때에는 덮개부재(20)의 일단을 반대편에 설치된 케이지(14)에 고정된 결속부재(50)에 고정하면 된다.
권취부재(60)는 도 2와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권취부재(60)가 마련되면서 상기 갱폼(10)의 스틸폼(12)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14)는, 시공층 내측에 위치한 최상단의 수평프레임(14b)에 회전가능한 롤러프레임(15)이 더 결합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5)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14b) 사이에는 상기 덮개부재(20)가 롤(roll)형태로 감기는 권취프레임(17)이 더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17)의 단부에 상기 권취부재(60)가 결합되되, 상기 권취부재(60)는 상기 권취프레임(17)에 직각으로 접한 수평프레임(14b)과 그 하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14b)에 한 쌍의 스프라켓(62)과 베어링(64)이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62)에 연결되는 체인(66)과 상기 권취프레임(17)과 접하는 곳에 상기 스프라켓(62)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68) 및 손잡이(69)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권취부재(60)는 덮개부재(20)를 감거나 펼칠 때 감기는 축을 인력으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인(66), 스프라켓(62) ,베어링(64) 및 손잡이(69)로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재(60)의 손잡이(69)를 회전시키면 체인(66)이 감기면서 스프라켓(62)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로 말미암아 덮개부재(20)가 말리거나 펼쳐짐으로써 갱폼(10) 상부에서 개폐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권취부재(60)의 손잡이(69)를 회전시켜 덮개부재(20)를 권취프레임(17)에 감김으로써 시공층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손잡이(69)를 회전시켜 권취프레임(17)에 감겨있는 덮개부재(20)를 풀어서 시공층 상부에 펼친 후 그 단부를 결속부재(50)에 고정시킴으로써 시공층 상부가 폐쇄되는 것이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9) 대신에 전동모터(M)가 부착되어 스위치(S)로 덮개부재(20)의 권취동작이 좀 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인력뿐만 아니라 전동력으로도 덮개부재(20)가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라켓(62)의 외면에 결합된 이탈방지판(68)은 덮개부재(20)가 권취프레임(17) 단부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권취부재(60)에 의해 덮개부재(20)는 일측의 케이지(14)에 롤 형태로 감기게 되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재(20)는 케이지(14) 최상단의 롤러프레임(15)에 의해 회전이동되면서 권치부재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서 직각으로 접한 권취프레임(17)에 감기게 된다. 이때 롤러프레임(15)은 케이지(14)를 이루는 수평프레임(14b) 위에 외면이 둥근 형태의 PVC 파이프를 끼워서 형성될 수 있고, 권취프레임(17)은 강관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양단을 폭방향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14b)에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20)는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22) 및 로프(24)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돌출된 와이어(22)가 상기 결속부재(5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14)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결속부재(50)는 띠부재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단부에 후크(52)가 결합되고, 중앙부에 버클(54)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결속부재(50)의 일단은 단부에 고리형태의 와이어심블(23)이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22)와 결속되고, 타단은 케이지(14)의 수평프레임(14b)에 고정되며, 상기 버클(54)이 이용되어 상기 결속부재(50)의 일단에 결합된 와이어(22)가 팽팽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속부재(50)는 도 5(a) 내지 (c)에서 그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이상이 타부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52)로 구성될 수 있고, 중심부는 결속부재(50)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는 버클(54)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결속부재(50)의 후크(52)는 타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덮개부재(20)에 내장된 와이어(22)는 일부분이 덮개부재(20) 외부로 돌출되는데, 돌출된 와이어(22)의 끝부분에 고리형태의 와이어심블(23)이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심블(23)과 결속부재(50)의 후크(52)가 결합되며, 버클(54)로 결속부재(50)의 길이를 조절시킴으로써 덮개부재(20)가 갱폼(10) 상의 케이지(14)에 팽팽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부재(20)는 권취부재(60)와 결속부재(50)를 이용하여 개폐가능토록 마주보는 갱폼(10)에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덮개부재(20) 전체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시공층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20)는 갱폼(10)에 일단 이상이 고정된 상태로 건축물이 한층 씩 시공되어 올라갈 때마다 함께 상층으로 인양되며, 이로 인하여 건축물의 단면을 커버하기 위해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덮개부재(20)를 내려놓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층마다 새롭게 설치 및 해체할 필요도 없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갱폼(10) 인양시 덮개부재(20)를 별도로 탈착 및 인양할 필요가 없으며 권취부재(60)와 결속부재(50)가 이용되어 갱폼(10)의 개별 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갱폼(10)과 동시에 양중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갱폼(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20)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자재 및 양중과정이 필요 없게 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비용도 절감하게 된다.
한편, 갱폼(10)의 케이지(14)는 상기 결속부재(50)가 결합된 측보다 상기 권취부재(60)가 결합된 측이 수평ㆍ수직프레임(14a, 14b)이 추가로 결합되어 더 높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덮개부재(20) 위에 비 또는 눈이 경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50)가 결합된 케이지(14)의 최상단 수평프레임(14b)에 수직파이프 형태의 리프팅바(7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우수 배수를 위해 덮개부재(20)의 단부를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재(60) 대신에 상기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이동되는 전동윈치(80)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전동윈치(80)가 상기 덮개부재(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재(2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동윈치(8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은 작업 인원으로도 덮개부재(2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M: 전동모터 S: 스위치(미도시부호)
10: 갱폼 12: 스틸폼
14: 케이지 14a: 수직프레임
14b: 수평프레임 14c: 작업발판
14d: 보강프레임 15: 롤러프레임
17: 권취프레임 20: 덮개부재
22: 와이어 23: 와이어심블
24: 로프 30: 가이드부재
40: 보양막 50: 결속부재
52: 후크 54: 버클
60: 권취부재 62: 스프라켓
64: 베어링 66: 체인
68: 이탈방지판 69: 손잡이
70: 리프팅바 80: 전동윈치

Claims (9)

  1. 건축물의 시공층을 덮어 기상조건에 따른 작업불능일을 축소시키는 작업 가설시스템에서,
    판 형태의 스틸폼(12)과 상기 스틸폼(12)의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지(14)로 구성되는 갱폼(10);
    상기 케이지(14)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시공층을 덮는 천막 형태의 부재로, 일정 간격마다 내부에 와이어(22) 및 로프(24)가 삽입되어 있는 덮개부재(20); 및,
    양단이 마주보는 케이지(14)의 상단에 고정되는 선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케이지(14)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재(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덮개부재(20)를 지지하며 이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갱폼(10)의 케이지(14)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14a)과 상기 수직프레임(14a)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수평프레임(14b)과 상기 수평프레임(14b) 위로 설치되는 작업발판(14c)과 상기 작업발판(14c)의 상부로 수직프레임(14a)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14d)으로 구성되고,
    상기 갱폼(10)의 스틸폼(12)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14)는 보양막(40)으로 둘러싸이며,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재(2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결속부재(50)가 마련되고, 마주보이는 타측에는 상기 덮개부재(20)의 타단을 상기 케이지(14)의 일부분에 롤(roll)형태로 감을 수 있는 권취부재(60)가 마련되며,
    상기 권취부재(60)가 마련되면서 상기 갱폼(10)의 스틸폼(12) 위로 설치되는 케이지(14)는,
    시공층 내측에 위치한 최상단의 수평프레임(14b)에 회전가능한 롤러프레임(15)이 더 결합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5)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14b) 사이에는 상기 덮개부재(20)가 롤(roll)형태로 감기는 권취프레임(17)이 더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17)의 단부에 상기 권취부재(60)가 결합되되,
    상기 권취부재(60)는 상기 권취프레임(17)에 직각으로 접한 수평프레임(14b)과 그 하부에 설치된 수평프레임(14b)에 한 쌍의 스프라켓(62)과 베어링(64)이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62)에 연결되는 체인(66)과 상기 권취프레임(17)과 접하는 곳에 상기 스프라켓(62)의 후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판(68) 및 손잡이(69)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재(20)는 권취프레임(17)에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감긴 채 고정되되, 권취부재(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프레임(17)에 감겨있는 덮개부재(20)가 풀리면서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이동하여 단부가 결속부재(50)로 고정되어 폐쇄되거나, 권취부재(60)의 회전에 의해 결속부재(50)로부터 해체된 덮개부재(20)가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권취프레임(17)에 감김으로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갱폼(10)의 케이지(14)는 상기 결속부재(50)가 결합된 측보다 상기 권취부재(60)가 결합된 측이 수평ㆍ수직프레임(14a, 14b)이 추가로 결합되어 더 높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덮개부재(20)는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22) 및 로프(24)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돌출된 와이어(22)가 상기 결속부재(5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14)의 일측에 고정되며,
    결속부재(50)는 띠부재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단부에 후크(52)가 결합되고, 중앙부에 버클(54)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결속부재(50)의 일단은 단부에 고리형태의 와이어심블(23)이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22)와 결속되고, 타단은 케이지(14)의 수평프레임(14b)에 고정되며, 상기 버클(54)이 이용되어 상기 결속부재(50)의 일단에 결합된 와이어(22)가 팽팽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5. 제4항에서,
    권취부재(60)는 손잡이(69) 대신에 전동모터(M)가 부착되어 스위치(S)로 덮개부재(20)의 권취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6. 제4항에서,
    상기 덮개부재(20)의 단부는 폭방향으로 와이어(22)가 삽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7. 제4항에서,
    상기 결속부재(50)가 결합된 케이지(14)의 최상단 수평프레임(14b)에 수직파이프 형태의 리프팅바(70)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8. 제4항에서,
    상기 덮개부재(20)는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날개덮개(20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권취부재(60) 대신에 상기 가이드부재(30)를 따라 이동되는 전동윈치(80)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전동윈치(80)가 상기 덮개부재(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재(20)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KR1020140135807A 2014-10-08 2014-10-08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KR10157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807A KR101572172B1 (ko) 2014-10-08 2014-10-08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807A KR101572172B1 (ko) 2014-10-08 2014-10-08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172B1 true KR101572172B1 (ko) 2015-11-27

Family

ID=5484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807A KR101572172B1 (ko) 2014-10-08 2014-10-08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17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59A (ko) 2017-01-24 2018-08-01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과 이의 설치방법
KR101904832B1 (ko) 2018-05-04 2018-10-05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공법
KR101928301B1 (ko) 2018-05-04 2019-03-12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장치
KR102143209B1 (ko) 2020-02-17 2020-08-11 최운성 건축물 공사용 전천후 덮개장치
KR102196163B1 (ko) 2020-06-12 2020-12-29 최운성 건축물 공사용 전천후 덮개의 레일 연결장치
KR102389703B1 (ko) 2021-11-04 2022-04-22 대건기술 주식회사 보양기계에 탑재된 가설천막 권취기
KR102392643B1 (ko) 2021-05-20 2022-04-2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보양기계에 탑재된 가설천막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전천 후 작업 공간의 제공과 슬래브의 보양을 위한 가설 천막의 시공 방법
KR102505981B1 (ko) * 2022-07-15 2023-03-06 김성술 아파트 건설용 갱폼 차광막 설치 개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175A (ja) * 1999-01-28 2000-08-02 Sekisui House Ltd 全天候型屋外足場及び該足場におけるシ―トの張設方法
KR200191961Y1 (ko) * 1998-04-17 2000-08-16 장정우 절첩식 천막후레임
JP2013087613A (ja) * 2011-10-13 2013-05-13 Takahashi Kanri:Kk 工事用シート屋根(ロープ巻きタイ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961Y1 (ko) * 1998-04-17 2000-08-16 장정우 절첩식 천막후레임
JP2000213175A (ja) * 1999-01-28 2000-08-02 Sekisui House Ltd 全天候型屋外足場及び該足場におけるシ―トの張設方法
JP2013087613A (ja) * 2011-10-13 2013-05-13 Takahashi Kanri:Kk 工事用シート屋根(ロープ巻きタイプ)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59A (ko) 2017-01-24 2018-08-01 에이치디씨 주식회사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과 이의 설치방법
KR101904832B1 (ko) 2018-05-04 2018-10-05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공법
KR101928301B1 (ko) 2018-05-04 2019-03-12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장치
KR102143209B1 (ko) 2020-02-17 2020-08-11 최운성 건축물 공사용 전천후 덮개장치
KR102196163B1 (ko) 2020-06-12 2020-12-29 최운성 건축물 공사용 전천후 덮개의 레일 연결장치
KR102392643B1 (ko) 2021-05-20 2022-04-29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보양기계에 탑재된 가설천막 권취기 및 이를 이용한 전천 후 작업 공간의 제공과 슬래브의 보양을 위한 가설 천막의 시공 방법
KR102389703B1 (ko) 2021-11-04 2022-04-22 대건기술 주식회사 보양기계에 탑재된 가설천막 권취기
KR20230065130A (ko) 2021-11-04 2023-05-11 대건기술 주식회사 보양기계에 탑재된 가설천막 권취기
KR102505981B1 (ko) * 2022-07-15 2023-03-06 김성술 아파트 건설용 갱폼 차광막 설치 개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172B1 (ko) 전천후 작업 가설시스템
EP0795068B1 (en) Temporary protective covering system
US7318243B2 (en) Lid support and forming system for pool cover box
JP2000053387A (ja) 建築工事用安全フェンス
KR101904832B1 (ko)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공법
IT201800011083A1 (it) Elemento di copertura mobile per un apparato di copertura, preferibilmente un frangisole di tipo regolabile
KR101541837B1 (ko) 외부 거푸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101126781B1 (ko) 건축용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
KR20120029818A (ko) 건축용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
US20170314264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weather-protecting roof truss and a weather-protecting roof truss bundle
JP5804417B2 (ja) 工事用シート屋根(ロープ巻きタイプ)
JP5910847B2 (ja) 工事用シート屋根の形成方法
KR101720243B1 (ko)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KR200441857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막구조
CN111246727A (zh) 张紧系统
JPS626066B2 (ko)
JP6691260B1 (ja) 屋根棟専用養生シート
CN214169445U (zh) 一种悬吊式空中建筑
JPS5930134Y2 (ja) 防護用ネツトの吊下げ装置
JP2001073494A (ja) 開閉式膜屋根装置
CN221052856U (zh) 一种遮雨棚
JP2022032405A (ja) 建築時または補修時用の防雨養生の設置方法
CN210298748U (zh) 一种甘蓝制种大棚
RU2348767C1 (ru) Сооружение
JP2007332751A (ja) 電動及び手動ウインチを使った建物の雪下ろ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