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824B1 - 콘 크러셔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콘 크러셔 보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1824B1 KR101571824B1 KR1020150115922A KR20150115922A KR101571824B1 KR 101571824 B1 KR101571824 B1 KR 101571824B1 KR 1020150115922 A KR1020150115922 A KR 1020150115922A KR 20150115922 A KR20150115922 A KR 20150115922A KR 101571824 B1 KR101571824 B1 KR 1015718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cone crusher
- coupled
- main frame
- bi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는 내부에 샤프트(415)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본체(410), 샤프트(415)의 일단과 결합되어, 샤프트(415)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20), 본체(4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콘 크러셔(100)의 구동축 하우징(255)이 체결되는 콘 크러셔(100)의 메인프레임(200)의 체결부(270)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플랜지(430), 샤프트(415)의 타단에 결합되어, 샤프트(415)가 회전함에 따라, 용접으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절삭하는 절삭부(440), 및 절삭부(440)를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골재의 소비량이 매년 크게 증가하여 골재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재생골재 관련 연구자들에 의하면, 천연골재의 수요 급증으로 2003년도 골재 수요량 2억 4천만m2을 기준으로 할 때, 천연골재 채취로 인해 연간 여의도 면적의 103배에 달하는 산림과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앞으로 천연골재 생산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을 재생골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들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현 시점에서 재생골재는 보통골재에 비해서 골재 자체의 물성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골재의 품질규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파쇄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조사되었다. 하지만, 경제성 및 설비조건을 고려하면, 재생골재는 천연골재에 비해 활용성이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골재의 양적/질적 문제의 해결이 건설 분야의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순골재의 채취과정은 채석장이나 광산 등의 장소에서 채광된 광물이나 암석 등의 골재를 크러셔(Crusher)나 선별기(Screen)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 크기로 파쇄하고, 파쇄된 크고 작은 암석들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비교적 큰 덩어리의 골재는 1차 또는 2차의 죠 크러셔(Jaw Crusher)로 파쇄되고, 죠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골재는 더 작은 크기로 파쇄시키는 3차 또는 4차의 콘 크러셔(Cone Crusher)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통상 4 단계에서 6 단계 정도의 파쇄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요구하는 크기로 판매된다.
상술한 콘 크러셔는 다른 파쇄기에 비해서 생산효율이 높아 대부분의 석산이나 건설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골재 생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콘 크러셔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맨틀이 편심 회전하면서, 상측에서 내려오는 골재를 파쇄한다. 이때, 파쇄된 골재의 충격이나 구동축의 회전 등으로 인하여,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가 마모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통해서 윤활류 등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보수할 필요성이 절실하지만, 아직까지 수작업에 의존할 뿐 적합한 보수 장치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콘 크러셔를 분해하여, 보수가능한 장소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콘 크러셔를 조립해야 하는 등 비용이나 시간 소모가 매우 큰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용접으로 육성한 후, 육성된 부분을 회전하는 바이트를 이용하여 내면 절삭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는 내부에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본체,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콘 크러셔의 구동축 하우징이 체결되는 상기 콘 크러셔의 메인프레임의 체결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플랜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용접으로 육성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를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가이드봉, 및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봉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의 말단에 결합된 핸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함몰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용접으로 육성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하우징의 상기 결합부위를 절삭하는 바이트, 및 상기 바이트를 상기 디스크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이트의 상기 소정길이를 조절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디스크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의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바이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의 측면에는 제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는 제2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된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디스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이트의 상기 소정길이가 변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절삭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는 분리가능도록 결합되는 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막대형으로 두 개가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두 개의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용접으로 육성한 후, 육성된 부분을 회전하는 바이트를 이용하여 절삭하므로,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정교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는 바이트가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삭하므로,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일정한 직경으로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 크러셔를 분해하거나 이동할 필요 없이, 구동축 하우징만을 분리한 후, 메인프레임과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보수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나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콘 크러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가 콘 크러셔에 설치된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바이트와 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와 가이드부의 정면도, 및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콘 크러셔를 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가 콘 크러셔에 설치된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바이트와 조절수단의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와 가이드부의 정면도, 및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콘 크러셔를 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콘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 크러셔(100)는 편심 회전되는 콘 형상의 맨틀(240, mantle)과 고정 설치된 콘 케이브(305, cone cave) 사이에 골재를 투입하여 파쇄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콘 크러셔(100)는 하부 라이너 조립체(liner assembly)와 상부 라이너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라이너 조립체는 원통 형상의 메인프레임(200, main frame), 메인프레임(200)의 내부에 익센트릭(210, eccentric)을 매개로 편심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20), 회전축(2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콘 형성의 맨틀코어(230, mantle core)와 맨틀(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라이너 조립체는 메인프레임(20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탑 프레임(300, top frame), 탑 프레임(300)과 나사 결합되며, 맨틀(240)과 적정 거리로 이격되는 콘 케이브(305)가 설치된 탑 쉘(310, top shell)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탑 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200) 사이에 골재의 파쇄과정시 발생되는 수직 부하를 감당하기 위한 릴리스 스프링(320, release spring)이 설치될 수 있고, 회전축(220)의 상단에는 골재의 분산을 위한 디스트리뷰터(330, distributer)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회전축(220)에 연결된 베벨기어(225)는 구동축(250)의 피니언기어(251)와 연결되고, 구동축(250)의 말단에는 별도의 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풀리(253, pulley)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250)은 메인프레임(200)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축 하우징(255)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때, 구동축 하우징(255)은 메인프레임(200)의 체결부(270)에 체결되고, 구동축(250)의 피니언기어(251)는 체결부(270)보다 회전축(220)에 가깝게 배치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통해서 삽입된다. 콘 크러셔(100)의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는 구동축 하우징(255)이 삽입되도록 메인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의 홀로 형성되고, 고무실링이 구비되어 윤활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콘 크러셔(100)는 풀리(253)의 회전력에 의해서 구동축(250)이 회전하고, 이러한 구동축(250)의 회전력에 의해서, 베벨기어(225)로 연결된 익센트릭(210)이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익센트릭(210)에 편심된 회전축(220)이 회전하면서 맨틀코어(230)가 구동한다. 이와 같이, 맨틀코어(230)가 구동하면, 맨틀(240)과 콘 케이브(305)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면서(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투입된 골재를 파쇄할 수 있다. 이때, 파쇄된 골재의 충격이나 구동축(250) 또는 회전축(220)의 회전 등으로 인하여,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가 마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가 마모되면, 결합부위(280)를 통해서 윤활유 등이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 우선 구동축 하우징(255)을 메인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한 후, 결합부위(280)의 내면에 용접을 통해서 일정한 두께로 육성(build-up)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결합부위(280)에 결합하여, 결합부위(280)의 내면을 회전하는 바이트(443)를 이용하여 절삭하는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가 콘 크러셔에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는 내부에 샤프트(415)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본체(410), 샤프트(415)의 일단과 결합되어, 샤프트(415)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20), 본체(4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콘 크러셔(100)의 구동축 하우징(255)이 체결되는 콘 크러셔(100)의 메인프레임(200)의 체결부(270)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플랜지(430), 샤프트(415)의 타단에 결합되어, 샤프트(415)가 회전함에 따라, 용접으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절삭하는 절삭부(440), 및 절삭부(440)를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이동수단(4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410)는 샤프트(415), 구동부(420), 이동수단(450), 변속기(417)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체(4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어, 샤프트(415), 변속기(417), 구동부(420) 등이 이동수단(450)에 의해서 본체(410)의 내외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본체(410)의 내부에는 샤프트(415)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샤프트(415)는 구동부(42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415)는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41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20)는 샤프트(415)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동부(420)는 샤프트(415)의 일단에 결합되어, 샤프트(415)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부(420)는 샤프트(415)와 변속기(417) 등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고, 구동부(420)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20)는 이동수단(450)의 지지부(455)에 결합되어, 샤프트(415), 변속기(417) 등과 함께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30)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콘 크러셔(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플랜지(430)는 본체(4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절삭부(440)로부터 먼 본체(410)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430)는 구동축 하우징(255)이 체결되었던 메인프레임(200)의 체결부(27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430)는 원통형의 체결부(270)에 대응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430)에는 일정한 간격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체결홀(431)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홀(431)에 체결볼트(432) 등을 삽입하여 플랜지(430)를 체결부(27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430)가 체결부(270)에 체결되면,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가 콘 크러셔(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431)에 체결볼트(432) 등을 제거하여 플랜지(430)가 체결부(270)로부터 분리되면,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가 콘 크러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절삭부(440)는 일정한 두께(Y, 도 3 내지 도 4 참조)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절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절삭부(440)는 샤프트(415)의 타단(구동부(420)가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 말단)에 결합되어, 샤프트(415)가 회전함에 따라 용접으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절삭한다. 구체적으로, 절삭부(440)는 디스크(441), 바이트(443), 및 결합수단(4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441)는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15)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때, 디스크(441)는 결합부위(280)의 직경에 따라 다른 크기로 교체할 수 있도록 샤프트(415)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이트(443, bite)는 디스크(441)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 디스크(441)로부터 소정길이(T, 도 3 참조) 돌출되어 일정한 두께(Y)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절삭할 수 있다. 이때, 바이트(443)는 디스크(4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되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수단(445)은 바이트(443)를 디스크(441)에 결합시키고, 디스크(441)로부터 돌출되는 바이트(443)의 소정길이(T)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445)은 바이트(443)와 마찬가지로 디스크(4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되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바이트(443)와 결합수단(445)의 개수와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445)은 수용부(446)와 가압수단(44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446)는 디스크(441)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바이트(443)가 삽입되어 디스크(441)의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용부(446)는 바이트(443)를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가압수단(448)은 수용부(446)를 관통하도록 수용부(446)에 나사결합되어, 바이트(443)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수단(448)은 바이트(443)를 수용부(446)에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결합수단(445)은 조절수단(4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수단(449)은 디스크(441)로부터 돌출되는 바이트(443)의 소정길이(T, 도 3 참조)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443)의 측면에는 제1 톱니(443a)가 형성되고, 조절수단(449)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수용부(446)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톱니(443a)와 맞물리는 제2 톱니(449a)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이트(443)의 제1 톱니(443a)와 조절수단(449)의 제2 톱니(449a)는 맞물리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수단(449)이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441)의 방사방향으로 바이트(443)가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디스크(441)로부터 돌출되는 바이트(443)의 소정길이(T)가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441)로부터 돌출되는 바이트(443)의 소정길이(T)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접으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직경이 증가되도록 순차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450, 도 3 내지 도 4 참조)은 절삭부(440)를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동수단(450)이 절삭부(440)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하는 절삭부(440)의 바이트(443)가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일정한 두께(Y)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일정한 직경으로 절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수단(450)은 가이드부(451), 가이드봉(453), 및 지지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451)는 본체(410)와 결합되고,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가이드봉(453)은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가이드부(45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455)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15), 변속기(417), 및 구동부(420) 등을 지지하고, 나사선이 형성된 가이드봉(453)과 나사결합되어, 가이드봉(453)이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415)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가이드봉(453)을 회전시키면, 가이드봉(453)과 나사결합된 지지부(455)가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절삭부(440)의 바이트(443)가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가이드봉(453)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봉(453)의 말단에는 핸들(457)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55)가 가이드부(451)에 의해서 가이드되도록, 지지부(455)에는 돌출부(456)가 형성되고, 가이드부(451)에는 함몰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55)의 하면에는 가이드부(451) 방향으로 돌출되고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부(45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51)의 상면에는 돌출부(456)가 삽입되도록 돌출부(456)에 대응하게 함몰되어 샤프트(415)의 축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함몰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456)가 함몰부(452)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455)는 가이드부(451)를 따라 안정적으로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종단면을 기준으로, 돌출부(456)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지지부(455)의 하면에 대해서 예각(α)을 이루도록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456)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함몰부(452)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가이드부(451)의 상면에 대해서 예각(α)을 이루도록 경사질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는 연장부(460)와 추(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460)는 플랜지(430)로부터 절삭부(44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추(470)는 연장부(460)의 말단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장부(460)는 플랜지(430)로부터 막대형으로 두 개가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463)와 두 개의 제1 연장부(463)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2 연장부(46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장부(460)는 평면을 기준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470)의 일면에 홈(475)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475)에는 제2 연장부(465)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추(470)의 홈(475)을 제2 연장부(465)에 삽입시킴으로써, 추(470)를 연장부(46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추(470)를 연장부(460)에 결합시키는 이유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콘 크러셔(100)에 결합하기 위해서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릴 때, 균형이 안맞아 절삭부(440) 쪽이 아래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추(470)를 연장부(460)에 결합시킴으로써, 절삭부(440) 반대 방향에 충분한 무게를 확보하여 균형을 맞추어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릴 때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콘 크러셔를 보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이용하여 콘 크러셔(100)를 보수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으로부터 구동축 하우징(255)을 분리한다. 이때, 마모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 원통형의 홀)가 노출된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내면을 용접을 통해서 일정한 두께(Y)로 육성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이동시켜 플랜지(430)를 구동축 하우징(255)이 체결되었던 메인프레임(200)의 체결부(270)에 배치시킨다. 크레인 등으로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매달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추(470)를 연장부(46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430)를 구동축 하우징(255)이 체결되었던 메인프레임(200)의 체결부(270)에 체결볼트(432) 등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메인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450)을 이용하여, 절삭부(440)를 일정한 두께(Y)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이때, 절삭부(440)의 바이트(443)는 디스크(441)로부터 돌출된 소정길이(T)를 결합수단(445)으로 조절하여,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로 샤프트(415)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절삭부(440) 역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절삭부(440)를 회전시키면, 절삭부(440)로 일정한 두께(Y)로 육성된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내면을 절삭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450)을 이용하여, 절삭부(440)가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두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부(440)는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일정한 직경으로 절삭할 수 있다.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의 보수가 완료되면, 메인프레임(200)으로부터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제거한 후, 다시 메인프레임(200)에 구동축 하우징(255)을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 보수장치(400)를 이용하면, 콘 크러셔(100)를 분해하거나 이동할 필요 없이, 구동축 하우징(255)만 분리한 후, 메인프레임(200)과 구동축 하우징(255)의 결합부위(280)를 보수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나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콘 크러셔 보수장치 200: 메인프레임
210: 익센트릭 220: 회전축
225: 베벨기어 230: 맨틀코어
233: 스페리칼 시트 235: 시트 라이너
240: 맨틀 250: 구동축
251: 피니언기어 253: 풀리
255: 구동축 하우징 270: 체결부
280: 결합부위 300: 탑 프레임
305: 콘 케이브 310: 탑 쉘
320: 릴리스 스프링 330: 디스트리뷰터
400: 콘 크러셔 보수장치 410: 본체
415: 샤프트 417: 변속기
420: 구동부 430: 플랜지
431: 체결홀 432: 체결볼트
440: 절삭부 441: 디스크
443: 바이트 443a: 제1 톱니
445: 결합수단 446: 수용부
448: 가압수단 449: 조절수단
449a: 제2 톱니 450: 이동수단
451: 가이드부 452: 함몰부
453: 가이드봉 455: 지지부
456: 돌출부 457: 핸들
460: 연장부 463: 제1 연장부
465: 제2 연장부 470: 추
475: 홈 X: 샤프트의 축방향
T: 소정길이 α: 예각
Y: 일정한 두께
210: 익센트릭 220: 회전축
225: 베벨기어 230: 맨틀코어
233: 스페리칼 시트 235: 시트 라이너
240: 맨틀 250: 구동축
251: 피니언기어 253: 풀리
255: 구동축 하우징 270: 체결부
280: 결합부위 300: 탑 프레임
305: 콘 케이브 310: 탑 쉘
320: 릴리스 스프링 330: 디스트리뷰터
400: 콘 크러셔 보수장치 410: 본체
415: 샤프트 417: 변속기
420: 구동부 430: 플랜지
431: 체결홀 432: 체결볼트
440: 절삭부 441: 디스크
443: 바이트 443a: 제1 톱니
445: 결합수단 446: 수용부
448: 가압수단 449: 조절수단
449a: 제2 톱니 450: 이동수단
451: 가이드부 452: 함몰부
453: 가이드봉 455: 지지부
456: 돌출부 457: 핸들
460: 연장부 463: 제1 연장부
465: 제2 연장부 470: 추
475: 홈 X: 샤프트의 축방향
T: 소정길이 α: 예각
Y: 일정한 두께
Claims (10)
- 내부에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본체;
상기 샤프트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콘 크러셔의 구동축 하우징이 체결되는 상기 콘 크러셔의 메인프레임의 체결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플랜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용접으로 육성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하우징의 결합부위를 절삭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를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가이드봉; 및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봉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의 말단에 결합된 핸들;
을 더 포함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함몰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용접으로 육성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구동축 하우징의 상기 결합부위를 절삭하는 바이트; 및
상기 바이트를 상기 디스크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이트의 상기 소정길이를 조절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디스크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의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바이트를 가압하는 가압수단;
을 포함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의 측면에는 제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는 제2 톱니가 외주면에 형성된 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디스크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이트의 상기 소정길이가 변화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절삭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는 분리가능도록 결합되는 추;
를 더 포함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막대형으로 두 개가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두 개의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된 제2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추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삽입되는 콘 크러셔 보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5922A KR101571824B1 (ko) | 2015-08-18 | 2015-08-18 | 콘 크러셔 보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5922A KR101571824B1 (ko) | 2015-08-18 | 2015-08-18 | 콘 크러셔 보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1824B1 true KR101571824B1 (ko) | 2015-11-25 |
Family
ID=5484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5922A KR101571824B1 (ko) | 2015-08-18 | 2015-08-18 | 콘 크러셔 보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182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5978B1 (ko) | 2016-12-20 | 2017-10-16 | 주식회사 문안환경 | 파쇄와 박리 기능이 일체화된 콘타입 박리크러셔 |
KR102152568B1 (ko) | 2020-07-08 | 2020-09-04 | 성백남 | 콘크러셔의 씰링구조 |
WO2023102673A1 (es) * | 2021-12-09 | 2023-06-15 | Phibrand Spa | Dispositivo y sistema autónomo de corrección en tiempo real del posicionamiento de poste de chancador primario, en minería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42543B2 (ja) | 1991-03-12 | 1999-01-06 | 宇部興産株式会社 | 竪型粉砕機の粉砕ローラ補修方法および装置 |
JP2006200126A (ja) | 2005-01-18 | 2006-08-03 | Sakura Sogyo:Kk | マンホール周壁と管との接続部補修装置及び当該補修装置を使用した補修工法 |
-
2015
- 2015-08-18 KR KR1020150115922A patent/KR1015718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42543B2 (ja) | 1991-03-12 | 1999-01-06 | 宇部興産株式会社 | 竪型粉砕機の粉砕ローラ補修方法および装置 |
JP2006200126A (ja) | 2005-01-18 | 2006-08-03 | Sakura Sogyo:Kk | マンホール周壁と管との接続部補修装置及び当該補修装置を使用した補修工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5978B1 (ko) | 2016-12-20 | 2017-10-16 | 주식회사 문안환경 | 파쇄와 박리 기능이 일체화된 콘타입 박리크러셔 |
KR102152568B1 (ko) | 2020-07-08 | 2020-09-04 | 성백남 | 콘크러셔의 씰링구조 |
WO2023102673A1 (es) * | 2021-12-09 | 2023-06-15 | Phibrand Spa | Dispositivo y sistema autónomo de corrección en tiempo real del posicionamiento de poste de chancador primario, en minerí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1824B1 (ko) | 콘 크러셔 보수장치 | |
KR100809900B1 (ko) | 콘 크러셔의 간극 조절장치 | |
CA2092752C (en) | Rock crushing machine | |
CN102892511B (zh) | 立式磨机 | |
CN102648054A (zh) | 破碎机装置 | |
CA2853424C (en) | Vertical split bowl liner for cone crusher | |
KR200426412Y1 (ko) | 압축 파쇄기 | |
US20110259984A1 (en) | Gearbox assembly for gyratory and cone crushers | |
AU2011318449B2 (en) | Modular shell for crusher device | |
JP2005219034A (ja) | 人造石による組合せ式臼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粉砕機 | |
EP2716365B1 (en) | Gyratory crusher bearing | |
KR100599459B1 (ko) | 파쇄기 | |
CN101224439A (zh) | 一种瓶盖破碎机 | |
US7854407B2 (en) | Low-profile housing for an impact crushing apparatus | |
KR102356314B1 (ko) | 콘크러셔 | |
CN103596689A (zh) | 用于破碎机的边沿衬里的保持布置 | |
US20090194622A1 (en) | Split lid for an impact crushing apparatus | |
CN209901446U (zh) | 快速装配的撕碎机刀片 | |
JP2008284484A (ja) | 破砕装置 | |
CN212142974U (zh) | 一种应用于瑞舒伐他汀钙的原料粉碎装置 | |
US12005458B2 (en) | Gyratory crusher main shaft sleeve | |
KR200433276Y1 (ko) | 콘 크러셔 | |
KR200351072Y1 (ko) | 파쇄기 | |
KR101788782B1 (ko) |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 |
CN203140060U (zh) | 可更换磨片及调整磨片压力的电动石磨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