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27B1 -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1327B1 KR101571327B1 KR1020130091981A KR20130091981A KR101571327B1 KR 101571327 B1 KR101571327 B1 KR 101571327B1 KR 1020130091981 A KR1020130091981 A KR 1020130091981A KR 20130091981 A KR20130091981 A KR 20130091981A KR 101571327 B1 KR101571327 B1 KR 101571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road surface
- fixed
- vehicle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5—Raking, scraping or other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e.g. for caked dirt ; Apparatus for mechanically moving dirt on road surfaces, e.g. wipers for evacuating mu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0)와, 상기 고정대(100) 전면브라켓(111)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40)으로 힌지축(220)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220)에 의해 고정되는 낙하물수거통(200)과, 상기 힌지브라켓(14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상면과 연결되어 힌지브라켓(140)의 힌지(130)를 중심으로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 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300)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하단 전면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410)과 연동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개폐하거나 도로 노면 바닥에 위치하여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유도 유입하도록 하는 수거판(400)과, 상기 수거판(400)의 회전축(410) 양단으로 구비되는 바퀴(500)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전면 양측에 구비되는 실린더(6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거판(400)이 회동되도록 하는 수거판회동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노면상 낙하물들을 수거할 때 작업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청소차량의 주행속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낙하물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도로의 차량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로의 낙하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와, 낙하물을 수거하게 되는 수거판이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유동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노면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수거판간의 충격이나 충돌 방지에 의한 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는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노면상 낙하물들을 수거할 때 작업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청소차량의 주행속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낙하물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도로의 차량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로의 낙하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와, 낙하물을 수거하게 되는 수거판이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유동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노면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수거판간의 충격이나 충돌 방지에 의한 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하는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주행되는 도로 노면상에 낙하 된 낙하물이나 동물 사체 등 차량 주행의 안전을 방해하는 각종 낙하물 들을 효율적으로 수거하기 위해, 차량의 전면측에 본 발명의 수거장치를 부착 고정 시킨 상태에서, 도로 노면을 따라 낙하물 수거차량이 운행하며 상기한 각종 낙하물들을 운전자가 하차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그대로 차량을 운행하며 수거 및,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고속 주행에 의해서도 노면의 낙하물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교통 흐름의 지체 또는 정체를 유발하지 않아 고속도로 이용의 원할에 따른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원할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심지와 외곽 도로 등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하루에도 수백만대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실정임은 주지된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차 전용도로는 물론이고, 고속도로의 경우에도 도로를 횡단하려는 동물이 사고를 당하여 발생 된 동물 사체나 낙하물등 낙하되어 그대로 방치하게 되는 경우, 주행하는 차량의 흐름을 방해함은 물론 주행 중인 차량이 도로 노면상에 방치되는 낙하물들을 피해 가는 과정에서 차량간 충격 및 충돌에 의한 대형 사고의 위험성도 있어, 도로 관리를 책임지는 주체는 이러한 사고 방지와 차량의 원할한 소통을 위해 도로 노면에 버려지거나 낙하되어 있는 각종 낙하물들을 주기적으로 수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 노면상에 방치되어 있는 동물 사체나 각종 낙하 된 낙하물들은 치우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막대한 세금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도로 청소 작업자가 청소차량에서 하차하여 직접 낙하물을 수거하는 수작업을 하는 경우,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안전상의 문제점이 항상 지적되어 왔으며 동물 사체의 경우 오랜시간 방치하게 되면 도로 노면에 달라 붙는 현상으로 작업자가 이를 제거하는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동물 사체를 치우는 작업에서도 미관상 좋지 않아 작업을 꺼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수거방식은, 작업자가 항상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수거 작업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시간 중 도로의 일정구간을 통제하게 되어 교통 지체 및 정체를 유발하게 되어, 작업자가 청소차량에서 하차 하지 않으면서도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수거하여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도로의 교통 지체 및 정체 현상이 발생 되지 않는 청소장비 차량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작업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도로 노면상에 버려지거나 낙하된 잡물 등의 낙하물들을 효율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장비 및 그 장비를 탑재한 청소차량들이 다수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국내특허등록 제 10-0901260 호인 '도로청소차용 전방쓰레기 수거장치'는 도로 청소차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자동차 전용도로상에 산재한 각종 쓰레기 또는 낙하물들을 회전스위퍼가 회전하면서 쓰레기 수거함으로 쓸어 담는 구조를 갖으며, 차량에 탑승한 청소작업자가 차량에서 하차 하지 않고서도 도로 노면의 낙하물의 수거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회전스위퍼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차량의 운행속도를 조절할 수 밖에 없는데, 차량의 운행속도와 회전스위퍼를 빠르게 할 경우 회전속도가 빨라지는 회전스위퍼가 오히려 낙하물들을 수거함에 수거하는 경우보다 수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되어, 차량의 운행속도 및 회전스위퍼의 회전속도는 노면상에 버려진 낙하물들을 효과적으로 수거함에 쓸어 담기 위한 적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청소차량의 운행속도는 통상의 차량 운행 속도보다 떨어질 수 밖에 없어 다른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게 되므로 교통 흐름의 정체 및 지체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선행자료와는 달리, 국내특허등록 제 10-0405240 호인 '도로의 쓰레기 수거장치'에 의해, 차량에 승하강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되 하부에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지지대 하부에서 절첩 가능하도록 복수의 링크로 연결되는 수거플레이트가 도로의 노면에 근접되도록 설치하여 차량 진행시 도로상의 쓰레기를 기계적으로 수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에 그물망이 설치되는 위치는 청소차량의 전방의 차체 하단측에 위치되어지는데, 쓰레기 수거 작업을 하지 않거나 또는 수거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수거플레이트가 링크의 작동에 의해 차체 하단측으로 근접 상승하게 되는데, 차체 하단에 근접 상승 된 그믈망의 저면과 도로 노면간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될 수 밖에 없어 청소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그믈망이 훼손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그믈망을 하방 이송시킨 후 낙하물들을 수거하게 되더라도 낙하물 중량에 의해 그믈망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은 피할 수 없는데 이로 인한 그믈망과 도로 노면간 마찰에 의한 그믈망 훼손 또한 문제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노면상에 사고를 당한 후 방치되어 있는 동물 사체나 각종 낙하물들을 수거할 때 작업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청소차량의 주행속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상기한 각종 낙하물들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도로의 차량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물들을 수거하게 되는 수거판이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유동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노면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수거판간의 충격이나 충돌 방지에 의해 사용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0)의 전면브라켓(111)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40)으로 힌지축(220)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220)에 의해 고정되는 낙하물수거통(200)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브라켓(14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상면과 연결되어 힌지브라켓(140)의 힌지(130)를 중심으로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 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300)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하단 전면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410)과 연동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개폐하거나 도로 노면 바닥에 위치하여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유도 유입하도록 하는 수거판(400)이 구비되며, 상기 수거판(400)의 회전축(410) 양단으로 구비되는 바퀴(500)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전면 양측에 구비되는 실린더(6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거판(400)이 회동되도록 하는 수거판회동부(600)로 구성되는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0)는 차체 전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세로방향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구멍을 갖는 높낮이조절부(110)를 이루고 고정대(100) 의 상기 높낮이조절부(110) 배면측으로부터 일단측이 고정되는 상태에서 타단측으로 라운딩되는 형상을 이루되 타단 단부측에 직각형태의 홈을 갖는 고정편(121)을 구비하며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보조고정대(120)를 구성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110)의 전면브라켓(111)에 회동실린더(300)의 일측을 고정하는 힌지(130)로 이루어져 상기 낙하물수거통(200)을 회동실린더(300)에 의해 회동시키되, 상기 회동실린더(300)의 단부와 연결되는 "ㄷ"형강(201)을 낙하물수거통(200)의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보조고정대(120)의 고정편(121)에 의해 차체방향측으로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며 보조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차체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0)의 전면브라켓(111)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40)으로 힌지축(220)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220)에 의해 고정되는 낙하물수거통(200)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브라켓(14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상면과 연결되어 힌지브라켓(140)의 힌지(130)를 중심으로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 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300)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하단 전면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410)과 연동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개폐하거나 도로 노면 바닥에 위치하여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유도 유입하도록 하는 수거판(400)이 구비되며, 상기 수거판(400)의 회전축(410) 양단으로 구비되는 바퀴(500)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전면 양측에 구비되는 실린더(6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거판(400)이 회동되도록 하는 수거판회동부(600)로 구성되는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0)는 차체 전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세로방향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구멍을 갖는 높낮이조절부(110)를 이루고 고정대(100) 의 상기 높낮이조절부(110) 배면측으로부터 일단측이 고정되는 상태에서 타단측으로 라운딩되는 형상을 이루되 타단 단부측에 직각형태의 홈을 갖는 고정편(121)을 구비하며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보조고정대(120)를 구성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110)의 전면브라켓(111)에 회동실린더(300)의 일측을 고정하는 힌지(130)로 이루어져 상기 낙하물수거통(200)을 회동실린더(300)에 의해 회동시키되, 상기 회동실린더(300)의 단부와 연결되는 "ㄷ"형강(201)을 낙하물수거통(200)의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보조고정대(120)의 고정편(121)에 의해 차체방향측으로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며 보조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노면상 방치되어 있는 동물 사체나 낙하물들을 수거할 때 작업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청소차량의 주행속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낙하물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도로의 차량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로의 낙하물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낙하물들을 수거하게 되는 수거판이 도로의 노면 상태에 따라 유동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노면으로 돌출되는 부위와 수거판간의 충격이나 충돌 방지에 의한 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수거판이 회동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낙하물수거통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차량 전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 측면도
도 4는 수거판이 회동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낙하물수거통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차량 전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은 도로 노면에 사고를 당한 후 방치되고 있는 동물들의 사체나 낙하물들을 안전하면서도 차량의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이한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정대(100)와 낙하물수거통(200) 및 회동실린더(300)와 수거판(400), 바퀴(500) 및 수거판회동부(600)의 구성을 갖추게 된다.
상기 고정대(100)는 차량의 차체 전면에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차체 전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세로방향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구멍을 갖는 높낮이조절부(110)를 이루고, 상기 높낮이조절부(110) 배면측으로부터 일단측이 고정되는 상태에서 타단측으로 라운딩되는 형상을 이루되 타단 단부측에 직각형태의 홈을 갖는 고정편(121)을 구비하며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보조고정대(120)를 구성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110)의 전면브라켓(111)에 회동실린더(300)의 일측을 고정하는 힌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고정대(120)의 다수 이격 천공되는 구멍은 보조고정대(120)를 경량화하기 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대(120)의 다수 이격 천공되는 구멍은 보조고정대(120)를 경량화하기 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고정대(100)에 부착되는 낙하물수거통(200)은 그 크기나 도로 노면과 차체간 이격 거리 즉 차체의 종류에 따라 낙하물수거통(200)의 장착 위치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낙하물수거통(200)을 노면으로부터 적정 간격을 갖는 위치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전술한 높낮이조절부(110)를 이용하여 낙하물수거통(200)의 위치를 가변하며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고정대(120)는 전술한 높낮이조절부(110)에 의해 차체의 전면 적정 위치에 고정된 후 차체와 보조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보조고정대(120)는 도 1과 도 5에서 보듯이,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실린더(300)에 의해 차체측으로 회전되어질 때, 상기 회동실린더(300)와 낙하물수거통(200)간을 연결하기 위해 낙하물수거통(200) 상면에 고정되는 "ㄷ"형강(201)을 지지하여 낙하물수거통(200)이 차체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보조고정대(120)의 단부측에는 도 1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ㄷ" 형강을 감싸며 지지하기 위한 직각형태의 홈을 갖는 고정편(121)이 고정된다.
즉, 보조고정대(120)는 도 1과 도 5에서 보듯이,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실린더(300)에 의해 차체측으로 회전되어질 때, 상기 회동실린더(300)와 낙하물수거통(200)간을 연결하기 위해 낙하물수거통(200) 상면에 고정되는 "ㄷ"형강(201)을 지지하여 낙하물수거통(200)이 차체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보조고정대(120)의 단부측에는 도 1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ㄷ" 형강을 감싸며 지지하기 위한 직각형태의 홈을 갖는 고정편(121)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힌지(130)는 낙하물수거통(20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300)의 일측을 힌지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상기 낙하물수거통(200)은, 도로 노면 낙하물들을 수거하여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커튼(210)을 형성하여 낙하물이 내부로 유입된 후 재차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낙하물수거통(200) 배면측으로는 전술한 회동실린더(300)가 연결되도록 하였다.
한편 낙하물수거통(200)과 전면브라켓(111)간의 연결은, 전면브라켓(111)에 고정되는 별도의 제2힌지브라켓(150)의 힌지축(220)과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220)은 낙하물수거통(200)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보강브라켓(230)을 관통하며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220)에 의해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실린더(300)의 작동에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수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낙하물수거통(200)은 회동실린더(300)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차체의 전면측에 근접되어져 청소 차량의 주행이 원할하도록 하였으며, 낙하물들을 수거할 때에는 이와는 반대로 회동실린더(300)가 작동하여 낙하물수거통(200)을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낙하물수거통(200) 양측의 바퀴(500)가 도로 노면에 접지되도록 한다.
상기 수거판(400)은, 청소차량이 도로 청소를 위해 주행할 때 낙하물수거통(200)으로부터 활개 회동되어 수거판(400)의 단부측이 도로 노면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청소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도로 노면 낙하물들이 수거판(400)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한 낙하물수거통(20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역할을 갖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수거판(400)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하단 전면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310)과 연동 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개폐하거나 도로 노면 바닥에 위치하여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유도 유입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거판(400)의 회전축(310) 양단에는 각각 바퀴(500)를 구성하여 청소차량의 주행시 수거판(400)의 바퀴(500)도 도로 노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굴러 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바퀴(500)는 통상 회전축(310) 단부에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구름운동 되도록 하되, 회전축(310)과 바퀴(510)는 연동 운동이 단절되도록 한다.
바퀴(500)가 굴러가더라도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있는 수거판(300)은 어떠한 회동 작용도 발생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즉 바퀴(500)와 회전축(310)과는 연동성이 없어야 하되 피니언(610)과 회전축(310)은 연동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자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수거판회동부(600)는 바퀴(500) 내측의 회전축(310)과 연동되는 피니언(610)이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610)과 치차 결합되는 래크(620)를 구비하되 상기 래크(620)는 실린더(630)의 로드(631)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630)는 낙하물수거통(200)의 양측 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로드(631) 외주면에 환설판(632)을 형성하고, 실린더(630)와 환설판(632) 사이에 스프링(633)을 이용하여 로드(631)를 탄설 지지하도록 하였다.
예컨데 도로 노면을 청소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린더(630)의 작동에 의해 로드(631)가 후퇴하게 되면 로드(631)의 후퇴에 따라 래크(620)도 연동 후퇴하면서 피니언(610)을 회동시키게 되면 피니언(610)과 연동되는 회전축(310)이 역회전하여 수거판(300)이 위로 들어 올려져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막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대로 도로 노면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실린더(630)의 작동에 따라 로드(631)가 인출되면 래크(620) 또한 전진하게 되어 이와 치차 결합 되어 있는 피니언(610)이 정회전하게 되는데, 피니언(610)과 연동 회전하게 되는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10)과 연동하는 수거판(300)이 회동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회동실린더(300) 및 실린더(34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회로를 갖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실시 가능하므로 상기 회동실린더(300)와 실린더(340)의 유압 작동회로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판(300)의 선단부측에는 도로 노면과의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마찰로 인한 수거판(300) 선단부의 훼손을 방지하고, 탈부착 가능한 패드(3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32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유선형의 라운딩 처리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도로 노면의 장애물과 접하였을 때 장애물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수거판(300)이 회동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수거판(300)이 도로 노면에 닿게 된 후, 청소차량이 도로를 따라 주행하며 노면의 낙하물들을 수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로 노면이 움푹꺼지는 영역을 통과하거나 또는 도로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갖는 영역을 통과하게 될 때, 전술한 것과 같이 패드(320)에 의해 장애물을 타고 넘어가거나 또는 움푹 꺼진 부위의 단턱을 타고 넘어가게 될 때, 수거판(300)이 일정 정도 회동하게 되어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10)의 역회전에 의해 피니언(610)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크(620)가 순간적으로 후진 이송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영역 즉 장애물이 존재하는 영역을 지난 후에는 회전축(310)은 원상복귀하기 위한 정회전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린더(630)의 로드(631) 외주면에 전술한 환설판(632)을 구비하고, 환설판(632)과 실린더(630) 사이의 로드(631)에 스프링(633)을 탄지하여, 환설판(632)을 후면측에서 스프링(633)이 항상 탄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이 도로 노면의 장애물 영역을 지나칠 때 수거판(300)이 순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현상이 발생 된 후에는, 상기한 스프링(633)의 탄발력에 의해 환설판(632)을 전방향으로 밀어주게 되어 실린더(630)의 로드(631)는 앞으로 인출되므로 래크(620)와 치차 결합 된 피니언(610)이 정회전하여 수거판(300)을 원상 복귀시키게 되므로, 수거판(300) 단부의 패드(320)는 다시 도로 노면과 접지하게 되는 상태에서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고정대 110; 높낮이조절부
111; 전면브라켓 120; 보조고정대
130; 힌지 140; 힌지브라켓
150; 제2힌지브라켓 200; 낙하물수거통
210; 커튼 220; 힌지축
230; 보강브라켓 300; 회동실린더
310; 회전축 320; 패드
400; 수거판 500; 바퀴
600; 수거판회동부 610; 피니언
620; 래크 630; 실린더
631; 로드 632; 환설판
633; 스프링
111; 전면브라켓 120; 보조고정대
130; 힌지 140; 힌지브라켓
150; 제2힌지브라켓 200; 낙하물수거통
210; 커튼 220; 힌지축
230; 보강브라켓 300; 회동실린더
310; 회전축 320; 패드
400; 수거판 500; 바퀴
600; 수거판회동부 610; 피니언
620; 래크 630; 실린더
631; 로드 632; 환설판
633; 스프링
Claims (4)
- 삭제
- 차량의 차체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대(100)의 전면브라켓(111)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40)으로 힌지축(220)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220)에 의해 고정되는 낙하물수거통(200)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브라켓(14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상면과 연결되어 힌지브라켓(140)의 힌지(130)를 중심으로 낙하물수거통(200)이 회동 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300)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하단 전면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410)과 연동되어 낙하물수거통(200) 전면을 개폐하거나 도로 노면 바닥에 위치하여 도로 노면의 낙하물들을 유도 유입하도록 하는 수거판(400)이 구비되며, 상기 수거판(400)의 회전축(410) 양단으로 구비되는 바퀴(500)와, 상기 낙하물수거통(200) 전면 양측에 구비되는 실린더(6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거판(400)이 회동되도록 하는 수거판회동부(600)로 구성되는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00)는 차체 전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우측으로 세로방향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구멍을 갖는 높낮이조절부(110)를 이루고 고정대(100) 의 상기 높낮이조절부(110) 배면측으로부터 일단측이 고정되는 상태에서 타단측으로 라운딩되는 형상을 이루되 타단 단부측에 직각형태의 홈을 갖는 고정편(121)을 구비하며 등간격 이격 천공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보조고정대(120)를 구성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110)의 전면브라켓(111)에 회동실린더(300)의 일측을 고정하는 힌지(130)로 이루어져 상기 낙하물수거통(200)을 회동실린더(300)에 의해 회동시키되, 상기 회동실린더(300)의 단부와 연결되는 "ㄷ"형강(201)을 낙하물수거통(200)의 상면에 구비하여, 상기 보조고정대(120)의 고정편(121)에 의해 차체방향측으로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며 보조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981A KR101571327B1 (ko) | 2013-08-02 | 2013-08-02 |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981A KR101571327B1 (ko) | 2013-08-02 | 2013-08-02 |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926A KR20150015926A (ko) | 2015-02-11 |
KR101571327B1 true KR101571327B1 (ko) | 2015-11-24 |
Family
ID=5257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981A KR101571327B1 (ko) | 2013-08-02 | 2013-08-02 |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13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76878A (zh) * | 2020-06-30 | 2020-09-18 | 董晔 | 高速道路垃圾收集装置及车辆 |
KR102426100B1 (ko) | 2020-10-22 | 2022-07-27 | 인천시설공단 | 트럭장착식 제설기를 활용한 잡물 수거장치 및 장착 기술 |
-
2013
- 2013-08-02 KR KR1020130091981A patent/KR101571327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926A (ko) | 2015-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81435C2 (ru) | Раздвижной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ьный отвал | |
CA1134135A (en) | Combination plough | |
KR100901150B1 (ko) | 다기능 저상형 도로청소차 | |
CA2766435C (en) | Finger snow plow with extension | |
CN205276200U (zh) | 一种自行走装载除雪机 | |
CN102877433B (zh) | 除雪车的前置组合式除雪装置 | |
KR100901260B1 (ko) | 도로청소차용 전방쓰레기 수거장치 | |
CN205314049U (zh) | 一种自载式道路抛雪车 | |
KR101571327B1 (ko) | 노면 낙하물 수거장치 | |
US6789291B2 (en) | Telerobotic nozzle positioning system for an automated roadway debris vacuum vehicle | |
CN108385568A (zh) | 清洗车 | |
JP4476520B2 (ja) | ビーチクリーナー | |
CN112900333B (zh) | 自动行驶的清扫机器 | |
CN212000547U (zh) | 一种公路沥青路面铣刨装置 | |
CN207846328U (zh) | 一体化破冰清雪机 | |
EP1072727B1 (de) | Fahrzeug und Verfahren zum Säubern einer Oberfläche | |
CN202227299U (zh) | 桥面垃圾收集装置 | |
CN213448269U (zh) | 前置路面垃圾捡拾装置 | |
CN212295016U (zh) | 带旋转自卸箱的抓斗车 | |
CN113846577A (zh) | 一种在高速公路施工过程中道路桥梁裂缝加固装置 | |
CA2839221A1 (en) | Snow removal apparatus and system | |
DE102011011821A1 (de) | Luftleit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uftleitanordnung | |
RU2465393C1 (ru) | Отвал для уборки снега | |
DE10108265A1 (de) | Stromerzeugung durch Straßenverkehr mit Hilfe mechanischer Klappen | |
US11746485B1 (en) | Apparatus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traffic barrica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