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905B1 -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905B1
KR101569905B1 KR1020140055677A KR20140055677A KR101569905B1 KR 101569905 B1 KR101569905 B1 KR 101569905B1 KR 1020140055677 A KR1020140055677 A KR 1020140055677A KR 20140055677 A KR20140055677 A KR 20140055677A KR 101569905 B1 KR101569905 B1 KR 10156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reator
needs
reques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626A (ko
Inventor
신창중
Original Assignee
신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중 filed Critical 신창중
Publication of KR2014013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i) 특정 창작물을 감상한 혹은 감상할 요청자로부터 상기 요청자의 니즈가 반영된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ii) 상기 입력된 상기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요청자의 니즈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자의 레벨을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상기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창작물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iii) 상기 요청자로부터 상기 특정 창작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분류된 상기 요청자의 레벨에 따라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integrated managed service which reflects requestor's needs for creative work in culture and art }
본 발명은 요청자의 니즈(needs)가 반영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문화 예술 창작물에 대한 감상 정보 및 감정 평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통한 온라인-셀프 창작자 관리 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화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 예술의 창작자나 감상자, 판매자, 구매자, 혹은 큐레이터나 컨설턴트 등 다양한 목적의 사람들이 문화 예술 창작물에 관련되어 각각 다른 영역에서 자신의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사회적·경제적인 시각 변화와 맞물려 계층간의 소득차, 문화 예술 향유 기회의 지역적 편차 등으로 인하여 문화 예술과 관련된 많은 분야들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미술시장에서 창작자들이 감상자나 구매자들을 모두 참여하게 하는 적극적인 노력과 통합적 시스템이 부족했고, 또한 감상과 작품 가액의 평가에 대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이 없었기 때문에 그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나 문화예술 시장은 일반재화시장의 원리로는 단순화시킬 수 없는 특수성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창작물 사이의 미적 가치를 재화로 책정하기 위한 단순한 비교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사회에 들어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서도 일반상품을 둘러싼 소비자들의 니즈는 단순하지 않으며, 기호나 취향, 자아실현의 가치, 의미들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더더욱 문화예술 창작물은 창작물에 대한 가액평가는 단순한 애호나 투자가치에서 자아실현을 위한 심미적 가치나 지적향유까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창작자들은 자신의 작품 제작 과정에서 보편적인 감상자나 구매자들의 니즈에 대한 아무런 정보 없이 막연하게 창작활동을 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창작자들 역시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감상자나 구매자들의 니즈 반응을 알고, 창작활동을 하고자하는 강한 니즈가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작물에 대한 감상정보, 감정평가정보를 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이후 요청자(예를 들어, 고객)의 평가나 반응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해당 창작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누적된 고객의 평가나 방문 히스토리를 통하여 창작자가 추후 자신의 작품 제작에 반영할 수 있고, 창작자 자신의 신규 정보를 스스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창작물을 감상한 또는 감상할 고객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고객으로부터 특정 창작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고객 별로 니즈가 반영된 맞춤식 또는 선별적/제한적인 감상 정보 서비스, 힐링 정보 서비스, 감정 평가 서비스, 또는 창작물에 대한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i) 특정 창작물을 감상한 혹은 감상할 요청자로부터 상기 요청자의 니즈가 반영된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ii) 상기 입력된 상기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요청자의 니즈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자의 레벨을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상기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창작물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iii) 상기 요청자로부터 상기 특정 창작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분류된 상기 요청자의 레벨에 따라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설문 정보는, 적어도 상기 창작물에 대한 관심도, 목적, 또는 선호도 레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창작물을 감상한 혹은 감상할 요청자의 니즈가 반영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청자의 레벨이 '하'인 경우, 상기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감상 정보만을 상기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청자의 레벨이 '상'인 경우, 상기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감상 정보, 상기 창작물에 대한 감정 평가 정보, 감상 치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상 치료 정보는, 상기 요청자의 누적된 선호나 니즈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요청자의 심리/정서 상태를 파악한 후 파악된 심리/정서 상태를 힐링하기 위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정 평가 정보는, 상기 요청자의 니즈에 따라 현재 저평가된 창작물을 저렴하게 매수하고 추후 가치가 높아졌을 때 시장에 매도하기 위한 적절한 매도/매수 시점 확인 및 상기 창작물의 향유를 위한 목적으로 (1) 일반형 감정 평가 정보, (2) 투자가치형 감정 평가 정보, (3) 소장가치형 감정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1) 일반형 감정 평가 정보는 해당 창작물의 향유를 위한 거래 목적, 즉 매매를 위한 감정 평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2) 투자가치형 감정 평가 정보는 경매/공매/입찰 등의 투자수익률의 기대목적을 위해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일시적인 유행의 편승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감정 평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3) 소장가치형 감정 평가 정보는 자아실현을 위한 향유가치와 함께 작품 가격의 동향, 현황과 작가의 활동 동향 분석을 통해 현재 개인, 단체, 기관 또는 공공시설 등이 소유하고 있는 작품의 미래가치를 평가하여 이후 처분 및 매각 결정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감정 평가 정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창작물의 창작자에게 창작자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창작물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작자 코드번호는 상기 창작자와 다른 창작자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창작물 식별정보는, 상기 창작물을 다른 창작물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고유번호, 고유코드, 고유인식정보, 이미지 패턴, 또는 바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는, 창작물의 배경이나 연도, 창작자의 활동 경력, 이력 정보, 창작자의 연령이나 생존유무, 창작물에 사용된 재료, 창작물의 크기나 무게, 창작물을 완성하는데 소요된 노동시간, 창작물의 이슈성 및 창조성, 창작물의 생산속도, 대중성, 희소성, 유일성(유사작품의 정도), 창작물의 팬매율, 감상자의 선호나 평가, 전문가의 종합 평론 등에 의해 수준별로 구분되어 구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i) 내지 (iii)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누적된 상기 요청자의 평가나 니즈가 반영된 방문 히스토리를 창작자를 위한 셀프-컨설팅 정보와 연동시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특정 창작물을 창작한 작가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요청자의 평가나 니즈가 반영된 정보를 자신의 창작물 제작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상기 창작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창작자에게 제공된 셀프-컨설팅 서비스에 의해, 상기 창작자가 직접 업데이트한 내용이나 신규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감상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요청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 별로 맞춤식 또는 선별적인 감상 정보 서비스 또는 감정 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창작자에게는 창작자를 위한 셀프-컨설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창작자로 하여금 누적된 고객의 평가나 방문 기록을 통해 창작자가 추후 작품 제작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과 창작자의 니즈(needs)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예술 창작물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에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예술 창작물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창작물은 어문 창작물, 음악 창작물, 연극 창작물, 미술 창작물, 건축 창작물, 사진 창작물, 영상 창작물, 도형 창작물, 출판 저작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광의의 개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혹은 협의의 개념으로는 문화 예술 분야의 창작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0)들을 포함한다.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서버(100)와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 원거리 통신망, 유/무선통신망, 인터넷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정부 부처인 문화체육 관광부(이하, 문화부(50)라 함)와 연동되서, 상기 문화부(50)와 본 발명의 구현에 관한 각종 협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제어 모듈(110), 통신 모듈(120), 입력 모듈(130), 감상 분류별 데이터베이스(140a)와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를 포함하는 저장 모듈(140), 감상 정보 서비스 모듈(150), 감정 평가 서비스 모듈(160)을 포함한다. 감상 정보 서비스 모듈(150) 및 감정 평가 서비스 모듈(160)은 고객들에게 그들의 니즈가 반영된 감상 정보 및 감정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들로서, 이들 각각은 감상 분류별 데이터베이스(140a)와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상 분류별 데이터베이스(140a)는 문화예술 창작물의 시대 상황에 따른 장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작품에 관한 충실한 설명, 이력 정보, 작가의 주관성, 미적조형이론, 감상자의 니즈 선호선향 등에 기초하여 문화예술 창작물을 장르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는 창작자 및 창작물들의 고유정보에 따라 문화예술 창작물을 창작자 및 창작물 수준별로(즉, 가치 분류 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에 대한 온라인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가 사전 구축되어야 한다.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의 사전 구축을 위해 창작자에게 창작자 코드정보가 부여된다. 창작자 코드번호를 부여받은 창작자는 자신의 기초 정보와 자신이 창작한 창작물을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할 수 있다.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창작물을 업로드한 순서 등에 기초하여 해당 창작물에 대해 창작물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창작자는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창작물을 등록하여 고객의 평가나 반응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창작활동에 반영하고자 하는 자들일 수 있다.
이러한 창작자 코드번호 및 창작물 식별정보는 창작자 및 창작물의 고유번호, 고유코드, 고유인식정보, 이미지 패턴, 바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창작자 코드번호 및 창작물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가 구축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작물의 창작배경이나 연도, 창작자의 활동 경력, 이력 정보, 창작자의 연령이나 생존유무, 창작물에 사용된 재료, 창작물의 크기나 무게, 창작물을 완성하는데 소요된 노동시간, 창작물의 이슈성 및 창조성, 창작물의 생산속도, 대중성, 희소성, 유일성(유사작품의 정도), 창작물의 판매율, 감상자의 선호나 평가, 전문가의 종합 평론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창작자 및 창작물의 수준 별로(즉, 가치 분류 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예술 창작물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창작물과 관련하여, 고객들 또는 작가들의 기초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310). 여기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들은 창작물들의 감상을 원하는 감상자나 창작물들의 구매를 원하는 구매 희망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작가는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 창작물을 등록하여 고객의 평가나 반응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창작활동에 반영하고자 하는 창작자들일 수 있다. 한편, 창작자 즉, 작가들의 기초 정보는 S310 단계의 기초 정보 제공단계에서 창작자에 의해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기초 정보란 서비스 요청자(고객) 즉 감상자, 구매자들과 창작자인 작가들의 연령대, 취미, 학력, 직업, 목적, 고객인지 작가인지 여부(S320)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이들 기초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예술 창작물에 대한 감상 정보 및 감정 평가 서비스, 창작물에 대한 온라인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일종의 레벨 분류를 위한 확인절차로 각각의 니즈 정보 혹은 회원가입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예술 창작물 감상 및 감정평가, 창작물에 대한 온라인 셀프-컨설팅 서비스 이용자들은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미도시)에서 회원가입(ex:다운로드, 등록) 후 로그인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원가입하지 않은 이용자들에게 손님(guset) 자격으로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창작물 감상 서비스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입력된 기초 정보를 통하여 고객으로 등록된 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경우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들이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창작물들을 감상하는 경우(회원으로 로그인 상태로 혹은 손님 자격으로 이용하는 경우 등),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이들 고객에게 해당 고객의 니즈를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창작물과 관련된 설문 정보를 요청하여, 고객으로부터 레벨 분류를 위한 설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30). 여기서, 상기 설문 정보는 고객의 니즈를 반영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니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객은 특정 창작물에 대한 자신의 관심도(혹은 선호도) 레벨(ex: 상/중/하의 3단계 관심도(혹은 선호도) 레벨, 혹은 1부터 5까지의 관심도(혹은 선호도 레벨) 등),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목적(즉, 고객의 경우 감상이나 구매, 혹은 힐링이나 치료 등), 심리학(감성정보)을 기초로 한 질문 등을 포함하는 해당 작품과 관련된 설문 정보 및/또는 자신의 니즈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손님 자격으로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요청자(고객)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초 정보 즉, 연령대, 취미, 학력, 서비스 이용 목적, 직업, 고객인지 작가인지 여부, 해당 고객의 니즈 등이 별도로 요청될 수 있을 것이다.
고객으로부터 해당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기초 정보 및 특정 창작물과 관련된 설문 정보가 입력되면,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입력 정보 패턴의 충실도 및 니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서, 제공된 정보의 답변 수준을 분석하여 충실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항목들에 대한 입력이 올바른지, 빠진 항목이 없는지, 빠진 항목의 개수가 몇 개 인지, 관심도 레벨, 해당 고객의 니즈 등을 고려함으로써 입력 정보 패턴의 충실도 및 니즈 검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통합 관리 서버(100)에서 입력 정보 패턴의 충실도 및 니즈 검사 수행 결과(S350), 입력 정보의 충실도 및 니즈 정도가 낮다고 판단되면,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고객을 '레벨 하(下)'로 분류한다(S360). 이와 달리, 입력 정보의 충실도 및 니즈 정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고객을 '레벨 상(上)'으로 분류한다(S365).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i)입력 정보의 충실도가 낮지만 니즈 정도가 높은 경우, 혹은 (ii)입력 정보의 충실도가 높지만 니즈 정도가 낮은 경우,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고객을 '레벨 중(中)'으로 분류한다
즉,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입력된 기초정보와 해당 작품과 관련된 설문 및 니즈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의 레벨을 '상', '중', '하'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 이 때, 해당 창작물의 식별정보 및 창작자 코드번호를 매칭하여 함께 업데이트하는데, 여기서, 해당 창작물의 식별정보는 해당 창작물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 고유코드, 고유이미지패턴, 바코드(QR코드) 등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창작자와 해당 창작물의 장르, 국적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20 단계에서, 입력된 기초 정보를 통하여 창작자 즉, 작가로 등록된 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작가의 경우, 해당 작가의 창작물에 대한 셀프-업데이트 서비스가 작가에게 제공된다(S380). 구체적으로, 특정 창작물에 대한 소개,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글 등을 작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창작자가 자신의 작가 정보를 셀프-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셀프-업데이트 서비스는 신규 창작물이나 추가적인 창작물을 업로드할 것인지, 또는 기존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창작물을 삭제할 것인지를 작가 스스로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셀프-업데이트 서비스를 통해, 작가는 자신의 창작물을 고객에게 소개하고, 고객과 소통함으로써, 추후 고객의 니즈를 자신의 창작활동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작가가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온라인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S385: Yes),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통합 관리 서버(100)는 해당 작가에게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S390). 이 때, 해당 창작물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나 니즈, 고객의 방문 기록 등이 작가를 위한 셀프-컨설팅 정보에 반영되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창작자 본인만이 이러한 셀프-컨설팅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예술 창작물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고객의 레벨이 분류되고 난 후, 추후 해당 고객으로부터 특정 창작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 예를 들어, 감상 정보나 감정평가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S410),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고객의 레벨을 확인하여(S420), 이에 따라 각각의 레벨에 따른 정보들이 해당 고객에게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고객으로부터의 해당 창작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은 문화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고객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요청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창작물의 식별정보가 QR코드나 바코드 등으로 구현된 경우, 고객의 사용자 단말은 해당 창작물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추가적이 기능이 구비되거나 설치되어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서, 해당 고객의 레벨 확인 결과(S425), '레벨 하'로 분류된 고객들에게는 일반형 감상 정보만이 제공된다.(S430), 또한, 본 실시예에서, '레벨 하'로 분류된 고객들에게는 감정평가정보는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정책적인 것으로서, '레벨 하'로 분류된 고객들에게도 감정평가정보를 제공하는 정책을 취한다면, 그러한 감정평가정보도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일반형 감상 정보는 감상 분류별 데이터베이스(140a)에 저장된 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된 해당 창작물의 작품인식정보에 기초한, 해당 창작물의 기초 이력 정보, 기초 작품 설명, 기초 조형 이론, 동일 작가의 타 작품에 관한 소개, 감상자의 주관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일반형 감상 정보는 해당 창작물의 작가가 직접 업데이트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작가가 직접 작성한 창작물에 대한 소개, 해당 작가가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 직접 작성한 글 등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해당 고객의 레벨 확인 결과(S425), '레벨 상'으로 분류된 고객들에게는 심화형 감상정보와 감정 평가 정보가 모두 제공된다(S44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에 대한 통합 관리 서비스의 정책에 따라 추가적으로 힐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심화형 감상 정보는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에 저장된 해당 창작물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창작물의 심층 이력 정보, 작품 설명, 미적 조형 이론, 동일 작가의 타 작품 소개, 감상자의 주관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일반형 감상 정보보다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감정 평가 정보는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140b)에 저장된 해당 창작물의 창작배경이나 연도, 창작자의 활동 경력, 이력 정보, 창작자의 연령이나 생존유무, 해당 창작물에 사용된 재료, 해당 창작물의 크기나 무게, 해당 창작물을 완성하는데 소요된 시간, 해당 창작물의 이슈성 및 창조성, 해당 창작물의 생산속도, 대중성, 희소성, 유일성(유사작품의 정도), 본 발명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를 통한 해당 창작물의 판매율, 감상자의 평가나 반응정보 등에 근거한 전문가의 감정 평가 종합 평론 등 작품 거래에 필요한 창작물의 가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정 평가 종합 평론은 구매자의 니즈에 따라 현재 저평가된 창작물을 저렴하게 매수하고 추후에 가치가 높아졌을 때 시장에 매도하기 위한 적절한 매도/매수 시점 및 향유를 위한 목적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즉, 1.일반형, 2.투자가치형, 3.소장가치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1.일반형은 해당 창작물의 향유를 위한 거래 목적, 즉 매매를 위한 감정 평가 정보, 2.투자가치형은 경매/공매/입찰 등의 투자수익율의 기대목적을 위해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일시적인 유행의 편승을 피할 수 있도록 감정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소장가치형은 자아실현을 위한 향유가치와 함께 작품 가격의 동향, 현황과 작가의 활동 동향 분석을 통해 현재 개인, 단체, 기관, 공공시설 등이 소유하고 있는 작품의 미래가치를 평가하여, 이 후 처분 및 매각 결정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소장가치 분석자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고객의 레벨 확인 결과, '레벨 중'으로 분류된 고객들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 예술 창작물에 대한 통합 관리 서비스의 정책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중'으로 분류된 고객들을 상술한 '레벨 하'로 분류된 고객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레벨 중'으로 분류된 고객들은 후술하는 '레벨 상'으로 분류된 고객고 동일하게 취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벨 중'으로 분류된 고객들로 하여금 상술한 '레벨 하'로 분류된 고객에게 제공되는 일반 감상 정보와 후술할 '레벨 상'으로 분류된 고객에게 제공되는 심화 감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인지를 확인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해당 창작물에 대해 누적된 감상 정보와 작품인식정보 등과, 감상자들의 선호도, 해당 창작물의 판매율에 관한 방문자들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창작자 자신이 해당 창작물을 감상한 고객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작자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에 의하여, 창작자들은 자신의 작품에 대한 감상자나 구매자들의 선호나 니즈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작품 제작시 이를 반영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감상자 다수의 누적된 선호나 니즈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후, 이후 다시 DB 정보 접근시 과거의 감상 정보 또는 감정평가정보 등 과거의 방문 정보를 분석하여 감상자의 선호도가 높은 정보를 동시에 노출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새롭게 감상 정보에 접근할 때 과거에 감상자가 감상하였던 감상 정보를 감상자의 추가적인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제공하거나, 누적된 감상 정보를 분석하여 감상자의 선호도가 높은 감상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누적된 선호나 니즈 정보를 분석하여 감상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한 후, 파악된 심리상태를 힐링할 수 있는 감상치료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누적된 설문정보 및 선호나 니즈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감상자의 심리 상태 혹은 정서 상태가 우울하거나 불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우울하거나 불안한 심리를 치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이미지나 색채 계열의 미술 창작물을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동질적 리듬이나 템포를 느낄 수 있는 음악창작물을 연동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온라인 상의 통합 관리 서버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시스템과 오프라인 시스템 간의 연동을 통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식별정보는 오프라인 전시장의 출품작에 대한 상세 설명 혹은 오프라인상 출판된 팜플렛, 홍보물, 간행물 등에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고객의 이러한 인쇄물에 인쇄된 창작물 식별정보를 요청자의 휴대 단말을 통해 불러와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로의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이 것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의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도시된 실시 예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100: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Claims (12)

  1.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i) 특정 창작물을 감상한 혹은 감상할 요청자로부터 상기 요청자의 니즈가 반영된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ii) 상기 입력된 상기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요청자의 니즈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자의 레벨을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상기 기초 정보 및 설문 정보와, 상기 창작물에 대한 창작물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iii) 상기 요청자로부터 상기 특정 창작물에 대한 상세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분류된 상기 요청자의 레벨에 따라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i) 내지 (iii)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누적된 상기 요청자의 평가나 니즈가 반영된 방문 히스토리를 창작자를 위한 셀프-컨설팅 정보와 연동시켜 제공하거나, 상기 특정 창작물을 창작한 작가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요청자의 평가나 니즈가 반영된 정보를 자신의 창작물 제작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상기 창작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자로부터 요청자의 니즈가 반영된 기초 정보 및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설문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정보가 입력되면, 각 항목들에 대한 입력이 올바른지, 빠진 항목이 없는지, 빠진 항목의 개수가 몇 개인지, 관심도 레벨 및 상기 요청자의 니즈를 포함하는 정보를 고려하여 입력 정보 패턴의 충실도 및 니즈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정보 패턴의 충실도 및 니즈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정보의 충실도 및 니즈 정도가 낮다고 판단되면, 해당 요청자를 ‘레벨 하(下)’로 분류하고, 상기 입력 정보의 충실도 및 니즈 정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해당 요청자를 ‘레벨 상(上)’으로 분류하고, 입력 정보의 충실도가 높지만 니즈 정도가 낮은 경우 해당 요청자를 ‘레벨 중(中)’으로 분류하며,
    상기 요청자의 레벨이 '하'인 경우, 상기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감상 정보만을 상기 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요청자의 레벨이 '상'인 경우, 상기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서비스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감상 정보, 상기 창작물에 대한 감정 평가 정보, 감상 치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감상 치료 정보는, 상기 요청자의 누적된 선호나 니즈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요청자의 심리/정서 상태를 파악한 후 파악된 심리/정서 상태를 힐링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감정 평가 정보는, 상기 요청자의 니즈에 따라 현재 저평가된 창작물을 저렴하게 매수하고 추후 가치가 높아졌을 때 시장에 매도하기 위한 적절한 매도/매수 시점 확인 및 상기 창작물의 향유를 위한 목적으로 (1) 일반형 감정 평가 정보, (2) 투자가치형 감정 평가 정보, (3) 소장가치형 감정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 정보는 감상자, 구매자들 및 창작자인 작가들의 연령대, 취미, 학력, 직업, 목적, 고객인지 작가인지 여부를 포함하여 상기 창작물에 대한 셀프-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레벨 분류를 위한 확인절차로 활용되며,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설문 정보는, 적어도 상기 창작물에 대한 관심도, 목적, 또는 선호도 레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창작물을 감상한 혹은 감상할 요청자의 니즈가 반영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창작물의 창작자에게 창작자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창작물에 대한 상기 창작물 식별정보를 부여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창작자 코드번호는 상기 창작자와 다른 창작자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창작물 식별정보는, 상기 창작물을 다른 창작물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고유번호, 고유코드, 고유인식정보, 이미지 패턴,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창작물 수준별 데이터베이스는, 창작물의 배경이나 연도, 창작자의 활동 경력, 이력 정보, 창작자의 연령이나 생존유무, 창작물에 사용된 재료, 창작물의 크기나 무게, 창작물을 완성하는데 소요된 노동시간, 창작물의 이슈성 및 창조성, 창작물의 생산속도, 대중성, 희소성, 유일성(유사작품의 정도), 창작물의 팬매율, 감상자의 선호나 평가, 전문가의 종합 평론 등에 의해 수준별로 구분되어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에게 제공된 셀프-컨설팅 서비스에 의해, 상기 창작자가 직접 업데이트한 내용이나 신규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감상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요청자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055677A 2013-05-16 2014-05-09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569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783 2013-05-16
KR1020130055783 2013-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626A KR20140135626A (ko) 2014-11-26
KR101569905B1 true KR101569905B1 (ko) 2015-11-17

Family

ID=5189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677A KR101569905B1 (ko) 2013-05-16 2014-05-09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71289A1 (ko)
JP (1) JP6137583B2 (ko)
KR (1) KR101569905B1 (ko)
CN (1) CN105027156B (ko)
HK (1) HK1216559A1 (ko)
WO (1) WO201418565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828B1 (ko) 2021-06-09 2022-05-24 주식회사 팝스라인 예술 창작물의 소유자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3445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팝스라인 메타휴먼의 소유자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2309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팝스라인 Ar nft 콘텐츠 기반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9031B (zh) * 2020-08-24 2024-04-26 广州市标准化研究院 一种基于云服务的文化产业创意综合公共服务平台及方法
KR102290471B1 (ko) * 2020-11-04 2021-08-17 김찬수 회원 등급별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100A (ja) * 2000-05-26 2001-12-07 Ec Watch.Com:Kk 評価装置及び評価方法並びに評価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50121A (ja) * 2000-11-10 2002-05-24 Sumihiro Saito 作品公開システム
JP2002268529A (ja) * 2001-03-13 2002-09-20 Nec Corp 学習支援方法および装置と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20010071649A (ko) * 2001-06-23 2001-07-31 권세문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97427B2 (ja) * 2001-06-28 2010-12-15 正 五井野 品物査定方法、品物査定機能付き販売方法及び品物査定システム
JP2005293203A (ja) * 2004-03-31 2005-10-20 Akinao Nomura 創作物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20060000880A (ko) * 2004-06-30 2006-01-06 정호정 사이버 화랑
KR20050102582A (ko) * 2004-08-19 2005-10-26 하동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US20080235111A1 (en) * 2007-03-23 2008-09-25 Natan Dotan Internet Art Community
JP4470189B2 (ja) * 2007-09-14 2010-06-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音楽再生システム
JP2011237873A (ja) * 2010-05-06 2011-11-24 Ide Hiroyuki 建築作品紹介システム
CN102034174A (zh) * 2010-12-31 2011-04-27 东莞市红旗家具有限公司 一种南洋精雕家具数据库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828B1 (ko) 2021-06-09 2022-05-24 주식회사 팝스라인 예술 창작물의 소유자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43445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팝스라인 메타휴먼의 소유자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2309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팝스라인 Ar nft 콘텐츠 기반의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7156B (zh) 2018-09-07
US20150371289A1 (en) 2015-12-24
JP2016519820A (ja) 2016-07-07
JP6137583B2 (ja) 2017-05-31
WO2014185651A3 (ko) 2015-04-09
KR20140135626A (ko) 2014-11-26
CN105027156A (zh) 2015-11-04
HK1216559A1 (zh) 2016-11-18
WO2014185651A2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jarier The three sociological types of consumer work
Havíř A comparison of the approaches to customer experience analysis
Ryan Making capital from culture: The corporate form of capitalist cultural production
Prahalad et al. The future of competition: Co-creating unique value with customers
Roscoe et al. The state of affairs: critical performativity and the online dating industry
KR101569905B1 (ko)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herry Performance circuits in the marketplace
Kim et al. The effect of herding behaviors on dual-route processing of communications aimed at tourism crowdfunding ventures
Bonfanti et al. Designing a memorable in-store customer shopping experience: practical evidence from sports equipment retailers
Drott Fake streams, listening bots, and click farms: Counterfeiting attention in the streaming music economy
Khare et al. The online flow and its influence on awe experience: an AI-enabled e-tail service exploration
AU20132099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ule-based content optimization
Chang et al. Exploring the driving factors of urban music festival tourism and service development strategies using the modified SIA-NRM approach
Vitali et al. Trade show visitors and key technological trends: from a literature review to a conceptual framework
Xiao et al. What drives creative crowdsourcing?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suasion of digital storytelling
KR102449602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품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im et al.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reselling of limited edition products: A case in the Korean fashion sector
Townley et al. The Market for Symbolic Goods
Wilkins ‘A crowd at your back’: fantasy fandom and small press
Iqbal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e-commerce
Ocejo Food and drink
Rana et al. Automation and AI-enabled customer journey: a bibliometric analysis
Bhattacharya et al. Empowering Heritage Entrepreneurs: An Experience in Strategic Marketing
Deventer et al. Nftbybrands: Value identification framework for analysis and design of nft initiatives
Irani et al. Model design to investigate the rol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on contextual marketing: a system dynamic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