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582A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582A
KR20050102582A KR1020040065280A KR20040065280A KR20050102582A KR 20050102582 A KR20050102582 A KR 20050102582A KR 1020040065280 A KR1020040065280 A KR 1020040065280A KR 20040065280 A KR20040065280 A KR 20040065280A KR 20050102582 A KR20050102582 A KR 20050102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mateur
web page
creation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규
Original Assignee
하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규 filed Critical 하동규
Priority to KR102004006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582A/ko
Publication of KR2005010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인간의 정신적 노력에 의해 창작된 각종 분야의 저작물 및 개인 소장물품을 시,공간 및 특정한 자격요건에 구애받음 없이 온라인상의 전용공간을 통해 실시간으로 홍보, 전시, 판매, 교환, 상영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 이윤창출의 효과를 갖도록 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거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순순한 의도에서 출발한 각종 분야의 개인 창작물이 지나친 상업주의에 물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사이버 공모전 내지 전문가 상담서비스를 통해 아마추어 창작자들에게 개인의 자질을 평가받을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 아울러 공모전에 입상한 장착자에게는 전문예술인으로써, 등용의 발판을 마련할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와, 운영자 시스템의 웹서버를 자동정보처리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창작물거래 네트워크 구축단계와;
상기, 운영자 시스템의 웹서버를 전문가 운영그룹과. 아마추어 운영그룹, 그리고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로 분할 형성하는 제공서비스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를 통해 작품전시관, 창작물 쇼핑몰, 공개강의실, 전문토론방, 전문자료실을 개별적으로 운영토록 하기 위한 전문참여방 개설단계와;
상기, 분리된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를 통해 작품전시관, 창작물 쇼핑몰, 아마추어 토론방, 아마추어 자료실을 개별적으로 운영토록하기 위한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와;
상기, 분리된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를 통해 창작물 평가 서비스, 사이버 공모전 개최 및 참여안내 서비스, 소장물품 거래서비스, 아이디어 거래서비스, 작품접수 서비스, 기타 공지사항 안내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를 행하게 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System for internet-based trading service creation}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의 정신적 노력에 의한 산물, 다시말해 문화, 예술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창작된 저작물을 시,공간 및 특별한 자격조건에 구애받음 없이 실시간으로 거래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전문예술인을 꿈꾸는 아마추어 창작자들에게 있어서는, 개인의 자질을 평가받고, 등용의 발판을 마련할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약적으로 발전되는 기술문명의 영향에 따라 사람들의 삶의 질 또한 점점 여유롭고, 윤택지고 있음이 오늘날의 현실이며, 이와같이 여유롭고 윤택해진 삶의 변화에 따라 각종 문화, 예술분야에 있어서 또한 인간의 정신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지적 창작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실정이다.
또한, 현대사회에 있어, 지적 창작물들은 단순히 인간의 정신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예술작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주의와 맞물려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인바;
이에, 다양한 예술, 문화적 컨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판매하는 지적산업이 지방과 국가의 경제를 살리는 새로운 산업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현실임을 알수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양한 창작활동을 통해 탄생된 저작물들은 그것이 널리 알려진 전문가의 창작품이 아닌 이상,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알려지기란 거의 기대할수 없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은 아마추어 창착물들은 예술적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는 것일지라 하더라도 사람들의 평가대상에 오르지도 못한체 그대로 사장(死藏)되어질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것이 비록, 전문 창작자의 작품이라 하더라도 이를 하나의 상업목적으로 홍보, 판매, 전시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창작자 스스로 과다한 비용을 투자하여 전시 및 판매장소를 마련해야 하고, 아울러, 각종 출판관련 업체등을 통해 창작된 작품을 수정,보완하여 하나의 상업적 제품으로 가공해야 하는 등, 개인창작물의 상업적 유통과정을 매우 어렵고, 난해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초고속 인터넷망의 급속한 보급과 통신매체의 비약적인 발전을 계기로, 시간이나 공간 또는 특정한 자격요건에 구애받음 없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자신의 개인 창작물을 온라인을 통해 홍보하고, 발표할수 있는 다양한 웹 컨텐츠가 개발. 이용되고 있는 추세임을 알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인테넷 웹 컨텐츠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다수의 개인창착물 게재(揭載) 서비스는, 창작자가 직접 개설한 홈페이지 또는 분야별로 나뉘어진 각종 인터넷 포털 자료실, 그리고 인터넷 소모임등을 통해 부분적이고 개별적인 형태로 홍보, 또는 발표되는 것에 불과할 뿐, 창작물 거래를 주요목적으로 하여, 체계적으로 서비스화 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며;
또 다르게, 상기와는 서비스 방향이 다소 다른형태로써, 상거래를 목적으로 가공된 다양한 형태의 창착제품들이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나, 이와같이 상품화 거래되는 창작물(문학,미술,산업작품 등등)은 온라인 쇼핑몰등을 통해 판매되는 일부 품목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단지, 온라인상에 판매자와, 소비자의 입장만을 존재되게 할 뿐, 거래되는 창작물 또는 그와 관련한 분야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보나 지식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한정적인 서비스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이에, 개인 창작물의 상업적 거래는 물론, 그 창작물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 및 지식제공 서비스를 통합하여 관리할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창작물 웹 컨텐츠 개발을 절실한 해결과제로 남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창작물 거래시스템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의 정신적 노력에 의해 창작된 각종 분야의 저작물 및 개인 소장물품을 시,공간 및 특정한 자격요건에 구애받음 없이 온라인상의 전용공간을 통해 실시간으로 홍보, 전시, 판매, 교환, 상영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 이윤창출의 효과를 갖도록 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 창작물 거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순순한 의도에서 출발한 각종 분야의 개인 창작물이 지나친 상업주의에 물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사이버 공모전 내지 전문가 상담서비스를 통해 아마추어 창작자들에게 개인의 자질을 평가받을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 아울러 공모전에 입상한 장착자에게는 전문예술인으로써, 등용의 발판을 마련할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와, 운영자 시스템의 웹서버를 자동정보처리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창작물거래 네트워크 구축단계와;
상기, 운영자 시스템의 웹서버를 전문가 운영그룹과. 아마추어 운영그룹, 그리고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로 분할 형성하는 제공서비스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를 통해 작품전시관, 창작물 쇼핑몰, 공개강의실, 전문토론방, 전문자료실을 개별적으로 운영토록 하기 위한 전문참여방 개설단계와;
상기, 분리된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를 통해 작품전시관, 창작물 쇼핑몰, 아마추어 토론방, 아마추어 자료실을 개별적으로 운영토록하기 위한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와;
상기, 분리된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를 통해 창작물 평가 서비스, 사이버 공모전 개최 및 참여안내 서비스, 소장물품 거래서비스, 아이디어 거래서비스, 작품접수 서비스, 기타 공지사항 안내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를 행하게 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운영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의 구성도로써, 그 일련의 시스템 구성을 살펴보면;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와, 운영자 시스템(2) 웹서버를 자동정보처리 시스템(3)을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시켜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통합된 하나의 창작물거래 네트워크를 구축(S1)하고;
이어, 이와같이 구축된 창작물거래 네트워크상의 운영자 시스템(2) 웹서버를 통해 서비스 분리단계(S2)와, 전문참여방 개설단계(S3), 그리고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S4)와,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S5)를 행하도록 하므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는 문화, 예술,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인지도가 있는 다수인원의 전문가 그룹을 섭외, 이들을 인터넷을 통해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에 연결시키기 수단으로써, 이와같은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는 운영자 시스템(2)과의 조건부(비용 및 기간등) 계약체결 관계에 따라 거래 및 전시되는 창작물과, 회원으로 가입한 개인창작자들에 대하여 평가, 자문, 감정, 심사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동정보처리 시스템(3)은 전술한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와 운영자 시스템(2)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수단으로써, 이와같은 자동정보처리 시스템 (3)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전문가 컴퓨터(1)와, 운영자 시스템 (2)를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연계되도록 하는 또 다른 하나의 서버를 구축하여, 이러한 서버를 통해 전문가 컴퓨터(1)로 하여금 문자(Text)정보를 제공하는 메세지 전송서비스, 웹브라우저 제작에 따른 메뉴운영서비스, 기타 음성, 동영상, 정지 화상이미지등, 각종 데이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와 운영자 시스템(2)는 상기와 같은 자동정보처리 시스템(3)에 의해 기초적 구성의 창작물 네트워크 구축단계(S1)를 행한후, 연속하여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일련의 단계별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개인 창작물 거래시스템을 운영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창작물 네트워크 구축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서비스 분리단계(S2), 전문참여방 개설단계(S3),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S 4),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S5)에 대하여 순차적인 단계별로 분리로써, 좀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서비스 분리단계(S2)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 정보(인적사항, 창작분야, 활동기간, 수상경력등)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등급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와같은 서비스 분리단계(S2)는 운영자 시스템(2)의 웹서버상에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 그리고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30)를 분할 형성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문참여방 개설단계(S3)는 전문창작가들을 위주로 운영되는 사이버 공간으로써, 이와같은 전문참여방 개설단계(S3)는 전술한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지이(10)내에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작품전시관(11), 창작물 쇼핑몰(12), 공개강의실(13), 전문토론방(14), 전문자료실(15)을 개별적 운영체제로 구축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문참여방 개설단계(S3)를 통해 개설, 운영되는 작품전시관(11)과, 창작물 쇼핑몰(12)은 전문창작자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필요에 따라 창작작품을 매매, 교환할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전시 및 거래공간으로써, 이러한 작품전시관(11)과, 창작물 쇼핑몰(12)은 참여하는 전문창작자의 전공분야에 따라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세분화 되어 운영되는 것이며, 아울러 그 전시되는 창작물은 인터넷이라고 하는 공간의 특성상 필요에 따라 스캐너 또는 디지털 카메라등에 의해 데이타화된 이미지파일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S4)는 아마추어 창작자들을 위주로 운영되는 사이버 공간으로써, 이와같은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S4)는 전술한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내에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작품전시관(21), 창작물 쇼핑몰(22), 아마추어 토론방(23), 아마추어 자료실(24)을 개별적 운영체제로 구축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S4)를 통해 개설, 운영되는 작품전시관(21)과, 창작물 쇼핑몰(22)은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필요에 따라 창작작품을 매매, 교환할수 있도록 하는 사이버 전시 및 거래공간으로써, 이러한 작품전시관(21)과, 창작물 쇼핑몰(22)은 참여하는 아마추어 창작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세분화 되어 운영되는 것이며, 아울러 그 전시되는 창작물은 인터넷이라고 하는 공간의 특성상 필요에 따라 스캐너 또는 디지털 카메라등에 의해 데이타화된 이미지파일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S5)는 각종 사이버 행사 및 분야별(문화, 예술)동향, 그리고 본원 시스템에 관련한 일련의 운영정보를 등록된 회원들에게 전달하고, 아울러 창작물거래 네트워크에 연결된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 다시말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창작물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행할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이에 이와같은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S5)는 통합 공지그룹운영 웹페이지(30)내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창작물 평가 서비스(31), 사이버 공모전 개최 및 참여안내 서비스(32), 소장물품 거래서비스(33), 아이디어 거래서비스(34), 그리고 작품접수 서비스(35)와, 기타 공지사항 안내서비스(36)를 개별적 운영체제로 구축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회원을 모집하고, 이와같이 모집된 회원들에게 각종 창작물 및 개인 소장물품에 관련한 각종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구체적 이용관계를 도 3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창작물거래 네트워크를 구축한 운영자 시스템(2)의 웹서버를 통해 회원 가입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기초적인 인적사항(주민번호, 이름, 주소등)과, 창작활동분야, 활동기간, 수상경력등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일정한 기준내에서 전문창작자와 아마추어 창작자로 그 등급(회원수준에 따른 원할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을 분리하고, 이어 상기와 같이 등급 분리된 회원가입 희망자에 의해 가입비용 결재(통상의 온라인 결재)가 이루어지게 되면, 운영자 시스템(2)는 회원가입자에게 정식회원으로 시스템에 접속할수 있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발급한다.
이때, 본원에 따른 창작물 거래시스템은 창작물이라고 하는 지적재산의 거래 특성상 회원가입자에게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공인된 전자서명 인증기관(4)을 통해 인증번호를 발급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인증번호는 암호기술을 이용한 통상의 온라인 보안체계로써, 이는 각종 프로토콜(HTTP,SMTP,MIME,FTP,TELNET등)을 활용하여 전자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보호기반을 확고하게 체계화시키는 통상의 피케이아이(PKI:Public Key Infrastructure)기반의 보안 솔루션등을 이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이 발급된 인증번호의 정보를 운영자 시스템(2)의 웹서버에 회원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원가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입된 회원은 운영자 시스템(2)의 웹서버에 언제든지 접속하여,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 그리고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30)로, 분리되어 있는 사이버 공간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이에, 회원의 선택 따라, 상기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로 들어갈 경우, 상기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는 작품전시관(11), 창작물 쇼핑몰(12), 공개강의실(13), 전문토론방(14), 전문자료실(15)로 나뉘어진 개별 운영방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를 통한 서비스운영에 있어 먼저, 상기 작품전시관(11)은 전문창작자로 등급 분리된 회원들의 작품만을 전시되게 하는 공간으로, 이는 상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관람서비스만을 전제로, 전시를 희망하는 전문창작자들의 작품을 인증번호에 의한 확인방법을 통해 접수받아, 이들을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분리하여 전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의 창작물 쇼핑몰(12)은 1:1 매매, 교환, 경매등 상거래를 희망하는 전문창작자(회원)들의 작품을 인증번호 확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접수받아, 이들을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분리, 전시하여 판매토록 하는 사이버 거래 공간으로써, 이와같은 창작물 쇼핑몰(12)을 통해서는 상품으로 가공된 창작물(도서,공예품 등) 뿐만 아니라, 소장가치가 있는 전문장착자들의 각종 습작품 내지 원고원판등 또한 전시, 판매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개강의실(13)과, 전문토론방(14)과, 전문자료실(15)은 분야별 창작물에 관련하여,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아울러 전문창작자들의 지식을 아마추어 창작자들에게 전달할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정보공유의 장으로서, 이에 공개강의실(13)을 통해서는 지적창작활동에 대한 사이버 교육이 행하여지고, 전문토론방 (14)을 통해서는 분야별 전문 창작들의 다양한 의견과 주장들이 교환되며, 전문자료실(15)을 통해서는 지적창작활동에 필요한 각종 학습자료들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회원의 선택 따라 상기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로 들어갈 경우, 상기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는 작품전시관(21), 창작물 쇼핑몰(22), 아마추어 토론방(23), 아마추어 자료실(24)로 나뉘어진 개별 운영방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를 통한 서비스운영에 있어 먼저, 상기 작품전시관(21)은 아마추어 창작자로 등급 분리된 회원들의 작품만을 전시되게 하는 공간으로, 이는 상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관람서비스만을 전제로, 전시를 희망하는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작품을 인증번호에 의한 확인방법을 통해 접수받아, 이들을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분리하여 전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의 창작물 쇼핑몰은 1:1 매매, 교환, 경매등 상거래를 희망하는 아마추어 창작자(회원)들의 작품을 인증번호 확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접수받아, 이들을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분리하여 판매토록 하는 사이버 거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 토론방(23)과, 아마추어 자료실(24)은 분야별 창작물에 관련하여, 각종 정보를 교환하는 아마추어 회원들의 정보공유의 장으로서, 이에 아마추어 토론방(23)을 통해서는 분야별 창작들의 다양한 의견과 주장들이 교환되고, 아마추어 자료실(24)을 통해서는 지적창작활동에 필요한 각종 참고자료들이 제공되는 것이다.
끝으로, 회원의 선택 따라 상기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로 들어갈 경우, 상기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는 창작물 평가서비스(31), 사이버 공모전 개최 및 참여안내 서비스(32), 소장물품 거래서비스(33), 아이디어 거래서비스(34), 그리고 작품접수 서비스(35)와, 기타 공지사항 안내서비스(36)로 나뉘어진 검색창을 통해 운영되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은,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를 통한 서비스운영에 있어 먼저, 상기 창작물 평가서비스(31)는, 회원에 등록된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희망에 따라 전문가 그룹에 개인창작물을 평가를 요청하게 되면, 전문가 그룹의 분야별 전문가들은 요청한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작품을 감정하여, 그에 따른 평가와 자문, 심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작물 평가요청은 인증번호 확인절차를 통한 유료 또는 무료 메일서비스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의 사이버 공모전 개최 및 참여안내 서비스(32)는 온라인을 통한 창작물 공모전을 통해 재능이 있는 인재를 발굴하여 전문창작자로 등용되게 하는 기회의 장으로써, 이와같은 사이버 공모전을 통해 입상한 회원에 대하여는 소정의 경품과 함께 전문창작자로서의 자격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사이버 공모전의 참여 방법은 각 분야별 창작물을 상기 작품접수 서비스(33)를 통해 온라인 접수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장물품 거래서비스(33)는 선조(先祖)로 부터 전해내려오는 문화유산 내지 희소가치가 있는 문화, 예술분야의 유명 창작물(특정인의 도서, 그림, 공예품, 생활도구 등)등,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인소장물품을 전시, 판매, 교환 가능하도록 하는 사이버 공간으로써, 이때, 이와같은 공간을 통해 거래되는 소장물품은 그 물품의 특성상 회원 상호가 신뢰성 있는 거래 관계를 위해 진품여부의 확인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이에 이러한 진위여부는 본 발명에 있어, 운영자 시스템(2)과 연계된 전문가 컴퓨터(1)의 분야별 전문가에게 필요에 따라 온라인 및 오프라인 감정을 의뢰하여, 그들의 감정을 통해 소장물품의 진위여부를 판단케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거래서비스(34)는 문화, 예술분야의 개인창작물 뿐만 아니라, 산업분야에 적용할수 있는 각종 기술적 아이디어 및 아이디어 창작물품을 거래되게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사이버 공간으로써;
이와같은 아이디어 거래서비스(34)는 공업소유권등 특정분야에 관련하여 기술력은 있으나, 이를 실현할 만한 자본이 없는 경우, 그 개발된 기술을 토대로 투자자를 모집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개발 완료된 기술이나 아이디어 제품에 관련하여 전매를 가능하도록 하는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마무리 부연설명으로, 전술한 일련의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은 지적창작물에 관련한 종합 상거래 서비스로써, 그 유통되는 제품의 특성상, 철저한 보안 유지가 필요한 것인바;
이에, 본 시스템에 의해 전시, 거래되는 모든 창작물에 대하여는 무단복제 및 배포를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데이타 암호유출 방지수단(워터마킹등)이 부여되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착물 거래시스템은 인간의 정신적 노력에 의해 창작된 각종 분야의 저작물을 시,공간 및 특정한 자격요건에 구애받음 없이 온라인상의 전용공간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시 및 거래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 이윤창출의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순순한 의도에서 출발한 각종 분야의 개인 창작물이 지나친 상업주의에 물드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각종 사이버 공모전 내지 전문가 상담서비스를 통해 아마추어 창작자들에게 개인의 자질을 평가받을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 아울러 공모전에 입상한 장착자에게는 전문예술인으로써, 등용의 발판 또한 마련해 줄수있도록 한 것으로, 지적창작물 거래에 있어,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의 운영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의 구성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문가 컴퓨터 2 : 운영자 시스템
S1 : 창작물 거래네트워크 구축단계 S2 : 서비스 분리단계
S3 : 전문참여방 개설단계 S4 : 마아추어 참여방 개설단계
S5 :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

Claims (9)

  1.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와, 운영자 시스템(2)의 웹서버를 자동정보처리 시스템(3)을 통해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창작물거래 네트워크 구축단계(S1);
    상기, 구축된 창작물거래 네트워크상의 운영자 시스템(2) 웹서버를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 그리고 통합 공지운영그룹 웹페이지(30)로 분할 형성하는 서비스 분리단계(S2);
    상기, 분리된 서비스의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를 통해 작품전시관 (11), 창작물 쇼핑몰(12), 공개강의실(13), 전문토론방(14), 전문자료실 (15)을 개별적으로 운영토록 하기 위한 전문참여방 개설단계(S3);
    상기, 분리된 서비스의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를 통해 작품전시관 (21), 창작물 쇼핑몰(22), 아마추어 토론방(23), 아마추어 자료실(24)을 개별적으로 운영토록하기 위한 아마추어 참여방 개설단계(S4);
    상기, 분리된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를 통해 창작물 평가 서비스(31), 사이버 공모전 개최 및 참여안내 서비스(32), 소장물품 거래서비스(33), 아이디어 거래서비스(34), 작품접수 서비스(35), 기타 공지사항 안내서비스(36)를 운영하기 위한 공개 참여방 개설단계(S5)를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야별 전문가 컴퓨터(1)는 운영자 시스템(2)과 계약 체결된 문화, 예술, 산업분야의 전문가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문가 그룹을 통해 창작물과 개인창작자에 대한 평가, 자문, 감정, 심사 서비스가 온라인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회원등록 과정은;
    운영자 시스템(2)의 웹서버를 통해 회원가입 희망자로 부터 기초적인 인적사항과, 창작분야, 활동기간, 수상경력등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전문창작자와 아마추어 창작자로 그 등급을 분리하고;
    상기, 등급분리된 회원희망자의 가입비용 결재에 따라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 그리고 공인된 전자서명 인증기관(4)으로 부터 인증번호를 발급되게 하여, 이를 운영자 시스템내에 회원 데이베이스로 저장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를 통해 개설된 작품전시관(11)(21)과, 창작물 쇼핑몰(12)(22)은 문학, 미술, 영상, 음악, 산업, 기타 분야로 세분화 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를 통해 운영되는 작품전시관(11)(21)은 회원의 개인 창작세계를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하기 위한, 단순 전시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운영그룹 웹페이지(10)와, 아마추어 운영그룹 웹페이지(20)를 통해 운영되는 창작물 쇼핑몰(12)(22)은 개인창작물에 대한 1:1 매매, 교환, 경매행위가 이루어지는 사이버 상거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래되는 모든 창작물에는 무단복제 및 배포를 방지하기 위한 데이타 암호유출 방지수단이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를 통해 개최된 공모전에 입상한 회원에 대하여 소정의 경품지급과 함께, 전문창작인으로 등용될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의 소장물품 거래서비스는(33) 선조(先祖)로 부터 전해내려오는 문화유산 내지 희소가치가 있는 문화, 예술분야의 유명 창작물(특정인의 도서, 그림, 공예품, 생활도구 등)을 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감정을 통해 전시, 판매, 교환, 거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공지그룹 웹페이지(30)의 아이디어 거래서비스는(34)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기술적 아이디어와 그에 따른 창작물품을 매매 가능하도록 하는 중개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KR1020040065280A 2004-08-19 2004-08-19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KR20050102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280A KR20050102582A (ko) 2004-08-19 2004-08-19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280A KR20050102582A (ko) 2004-08-19 2004-08-19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82A true KR20050102582A (ko) 2005-10-26

Family

ID=3728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280A KR20050102582A (ko) 2004-08-19 2004-08-19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58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49B1 (ko) * 2005-12-05 2008-05-28 김대호 온라인을 이용한 아이디어 거래 방법
WO2014185651A2 (ko) * 2013-05-16 2014-11-20 Shin Chang Joung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O2016089033A1 (ko) * 2014-12-02 2016-06-09 박태수 온라인 출판 기념회를 통한 책 판촉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8485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크래커스 오프라인 공방 매칭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오프라인 공방 매칭 서비스 방법
KR102081906B1 (ko) * 2019-06-11 2020-02-26 김동현 상품 감정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09051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제품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53281A (ko) 2020-06-10 2021-12-17 윤소연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KR20230067408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모람플랫폼 핸드메이드 공방 작가 수강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49B1 (ko) * 2005-12-05 2008-05-28 김대호 온라인을 이용한 아이디어 거래 방법
WO2014185651A2 (ko) * 2013-05-16 2014-11-20 Shin Chang Joung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O2014185651A3 (ko) * 2013-05-16 2015-04-09 신창중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O2016089033A1 (ko) * 2014-12-02 2016-06-09 박태수 온라인 출판 기념회를 통한 책 판촉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8485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크래커스 오프라인 공방 매칭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오프라인 공방 매칭 서비스 방법
KR102081906B1 (ko) * 2019-06-11 2020-02-26 김동현 상품 감정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10009051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제품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53281A (ko) 2020-06-10 2021-12-17 윤소연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KR20230067408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모람플랫폼 핸드메이드 공방 작가 수강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9696A1 (en) Trading platform networks for rarities
Ritterbusch et al. Defining the metavers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riksson et al. Spotify teardown: Inside the black box of streaming music
Choi et al. The economics of electronic commerce
Codagnone et al. Scoping the sharing economy: Origins, definitions, impact and regulatory issues
Qin Introduction to E-commerce
Candy Public relations and public policy: The structuration of dominance in the information age
Currid et al. The geography of buzz: art, culture and the social milieu in Los Angeles and New York
Cubitt Distribution and media flows
Broome Conceptualizing the foundations of a regional e-commerce strategy: Open networks or closed regimes? The case of CARICOM
WO2020209056A1 (ja) 作品オーナー権取引管理システム
Gallersdörfer et al. Tamper-proof volume tracking in supply chains with smart contracts
KR20050102582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Leidner Virtual partnerships in support of electronic commerce: the case of TCIS
Chen et al. The music export business: Born global
Shapiro Crypto-egalitarian life: ideational and materialist approaches to bitcoin
CN115880069A (zh) 元宇宙智能的个体服务的数字化交易方法
Hutter Efficiency, viability and the new rules of the Internet
Brouard Setting sail in a tokenized world: an exploration of the Bored Ape Yacht club and the co-created consumer experience
Zheng et al. Fundamentals of E-commerce
US20230237408A1 (en) Genisor operational auxilium toolkit for non-fungible assets
WEREDA et al. The Role of the Digital Customer in the Contemporary Market. Aspects of Trust, Risk, and Safety
Liu et al. Strategies for business in virtual worlds: case studies in Second Life
Merwe Information Technology Law in South Africa
van der Merwe Information Technology Law in Sou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