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281A -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 Google Patents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281A
KR20210153281A KR1020200070149A KR20200070149A KR20210153281A KR 20210153281 A KR20210153281 A KR 20210153281A KR 1020200070149 A KR1020200070149 A KR 1020200070149A KR 20200070149 A KR20200070149 A KR 20200070149A KR 20210153281 A KR20210153281 A KR 2021015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artist
consumer
spons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소연
윤지원
이유나
Original Assignee
윤소연
윤지원
이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소연, 윤지원, 이유나 filed Critical 윤소연
Priority to KR102020007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281A/ko
Publication of KR2021015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술가를 수요자 또는 후원자와 연결시키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예술가, 수요자 및 후원자의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관리부; 예술가의 작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작품등록부; 수요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매칭 신청이 접수되면 수요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수요자 매칭부; 후원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후원 신청이 접수되면 후원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후원자 매칭부; 후원자가 지불한 후원 연계 광고료를 예술가와 정산하는 정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을 이용하면, 예술가의 입장에서는 기업체에 취업하거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업체의 입장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 상에서 유능한 예술가를 채용하거나 프로젝트 단위로 협업할 수 있으므로 공개 채용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Matching platform system for artist and match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술가에게 수요자, 후원자 등을 연결해 주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유명 작가의 미술품이 해외 경매시장에서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낙찰되는 사례가 자주 보도됨에 따라 그림, 서예 등의 예술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전체 예술가 중에서 매우 저명한 극히 일부 예술가의 작품에 국한되는 데다 작가의 사후에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예술가들에게는 그림의 떡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예술가들은 대중적인 인지도를 갖춘 중견 작가가 되기 전까지는 작품 판매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개인전 활동도 비용 부담 때문에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되면서 인터넷 오픈 마켓이나 전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미술품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으므로 무명 작가들도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작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오픈 마켓의 경우에는 진입 장벽은 낮지만 경쟁이 너무 치열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하기가 어렵고, 미술품 전문 쇼핑몰의 경우에는 쇼핑몰 운영사에서 작가 및 작품을 선정하므로 무명 작가가 진입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유능한 젊은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과 능력을 알릴 기회를 제대로 얻지 못한 채 작품 활동과 부업을 병행하는 어중간한 상태에서 사장되어 가는 안타까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디자인과 광고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 있으므로 그림, 사진, 영상 등을 전공한 젊은 예술가들이 개인적인 작품 활동에만 머물지 않고 기업체에 취업하거나 기업체의 프로젝트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줄 필요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2582호(2005.10.26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고안된 것으로서, 예술가들과 수요자 또는 후원자를 연결시켜 주는 온라인 매칭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예술가, 수요자 및 후원자의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관리부; 예술가의 작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작품등록부; 수요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매칭 신청이 접수되면 수요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수요자 매칭부; 후원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후원 신청이 접수되면 후원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후원자 매칭부; 후원자가 지불한 후원 연계 광고료를 예술가와 정산하는 정산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수요자 매칭부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모델을 이용하여 고용 또는 협업할 예술가를 추천하는 매칭 후보 추천부와, 각 수요자별로 산출된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매칭 수수료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족도 지수는, 예술가가 수요자에게 부여하는 평점과 근속기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하고, 상기 실적 지수는 수요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하며, 상기 매칭 수수료 조정부는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면 매칭 수수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에서, 상기 후원자 매칭부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모델을 이용하여 예술가를 추천하는 매칭 후보 추천부와, 각 후원자별로 산출된 후원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후원 연계 광고료를 조정하는 광고가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원 지수는, 후원자의 후원기간과 후원금액을 수치화 하여 산출하고, 상기 실적 지수는, 후원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하며, 상기 광고 가격 조정부는 후원 지수가 높아지거나 실적 지수가 낮아지면 광고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구매자 단말의 요청에 응하여 구매/임대할 작품을 추천하는 작품추천부와, 구매자가 등록된 수요자이면 수요자에 대해 산출된 만족도 지수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하고, 구매자가 등록된 후원자이면 후원자에 대해 산출된 후원 지수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하는 가격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예술가를 수요자 또는 후원자와 연결해 주는 매칭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예술가 단말, 수요자 단말 및 후원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예술가 정보, 작품정보, 수요자 정보, 구인 정보 및 후원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 단계; 수요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구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구인 요청에 적합한 예술가를 선정하고, 수요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로 후보 선정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수요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의 매칭 승낙에 따라 매칭이 성사되면, 매칭 수수료를 포함하는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 매칭 수수료 결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매칭 방법에서, 상기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각 수요자별로 산출된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만족도 지수는 예술가가 수요자에게 부여하는 평점과 근속기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고, 상기 실적 지수는 수요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며,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과정에서는,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면 매칭 수수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예술가를 수요자 또는 후원자와 연결해 주는 매칭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예술가 단말, 수요자 단말 및 후원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예술가 정보, 작품정보, 수요자 정보, 구인 정보 및 후원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 단계; 후원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요청에 적합한 예술가를 선정하고, 후원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로 후보 선정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후원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의 매칭 승낙에 따라 매칭이 성사되면, 후원 연계 광고료를 포함하는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 광고료 결제를 확인하는 단계; 후원대상 예술가와 광고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매칭 방법에서, 상기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각 후원자별로 산출된 후원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후원 연계 광고료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후원 지수는 후원자의 후원기간과 후원금액을 수치화 하여 산출되고, 상기 실적 지수는 후원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며, 후원 연계 광고료를 조정하는 과정에서는, 후원 지수가 높아지거나 실적 지수가 낮아지면 광고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을 이용하면, 예술가의 입장에서는 기업체에 취업하거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업체의 입장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에서 유능한 예술가를 채용하거나 프로젝트 단위로 협업할 수 있으므로 공개 채용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디자인 또는 광고 전문 직원을 채용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개별 프로젝트 단위로 예술가들과 협업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높은 수준의 디자인 또는 광고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업체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을 통해 예술가들을 후원하는 메세나(mecenat) 기업으로 활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문화 및 예술 분야를 지원하는 사회 공헌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서비스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서비스서버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수요자 매칭부의 블록도
도 5는 후원자 매칭부의 블록도
도 6은 판매/임대 관리부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가-수요자 매칭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가-후원자 매칭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원금 정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됨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회원 단말(110), 예술가 단말(120), 수요자 단말(130), 후원자 단말(130). 전문가 단말(150), 구매자 단말(160), 기업정보제공서버(200), 신용정보제공서버(300), 통신망(400), 서비스서버(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회원은 그림, 만화, 서예, 사진 등의 창작활동을 하고자 하는 자로서 서비스서버(500)를 통해 회원 가입 절차를 마친 자이고, 예술가는 일반회원 중에서 설정된 다운로드 실적을 충족하여 예술가 풀(pool)에 포함되거나 서비스서버(500)의 관리자의 결정으로 예술가 풀(pool)에 포함된 회원을 의미한다.
또한 수요자는 예술가를 채용하거나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할 예술가를 구하는 자(기업 또는 개인)를 의미하며, 후원자는 예술가에게 후원금을 제공하거나 작품에 광고 콘텐츠를 연계시키는 방식으로 예술가를 후원하는 자(기업 또는 개인)를 의미하며, 구매자는 작품을 구매 또는 임대하는 자(기업 또는 개인)를 의미하며, 전문가는 평론가, 감정가, 큐레이터 등의 예술분야 전문가를 의미한다.
한편 일반회원, 예술가, 수요자, 후원자, 구매자, 전문가 등은 상호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며 한 사람이 2 이상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술가가 다른 예술가의 수요자, 후원자 또는 구매자가 될 수도 있고, 수요자가 후원자나 구매자가 될 수도 있고, 일반회원이 구매자나 후원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일반회원 단말(110), 예술가 단말(120), 수요자 단말(130), 후원자 단말(140), 구매자 단말(150) 및 전문가 단말(160)은, 일반회원, 예술가, 수요자, 후원자, 구매자 및 전문가가 각각 사용하는 단말로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톱컴퓨터, 노트북컴퓨터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어떤 종류이든 통신망(400)을 통해 서비스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기업정보제공서버(200)는 기업의 실적정보나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기업의 신용등급, 휴업, 폐업, 파산, 법정관리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신용정보제공서버(300)는 사전에 제휴한 신용조회회사(CB) 또는 신용정보집중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것으로서, 개인의 신용등급이나 금융권이나 비금융권과 관련된 신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유선,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를 불문하고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근거리 무선통신망(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지웨이브 등), 저전력 장거리통신망(LoRa, LTE-M, LTE Cat.M1 등), 전용통신망, 사설통신망 등이 제한없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가 매칭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통신망(400)을 통해 일반회원 단말(110), 예술가 단말(120), 수요자 단말(130), 후원자 단말(130). 구매자 단말(150), 전문가 단말(160), 기업정보제공서버(200), 신용정보제공서버(30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50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도 2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스토리지(503), 통신부(504), 입출력부(505), 버스(509)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01)는 메모리(502)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연산을 수행한다. 메모리(502)에는 서비스서버(500)의 동작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각종 파라미터,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02)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RAM 등의 휘발성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503)는 HDD, ODD, SDD 등의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DB로 활용될 수 있다.
통신부(504)는 통신망(400)을 거쳐 외부 단말(110,120,130,140,150,160) 또는 외부 서버(200,300)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505)는 서비스서버(500)의 관리자를 위한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단은 키보드, 버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506)는 서비스서버(5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데이터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이며, 회로패턴 또는 케이블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500)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도 3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원관리부(510), 작품등록부(520), 작품전시부(530), 수요자 매칭부(540), 후원자 매칭부(550), 프로젝트 관리부(560), 판매/임대 관리부(570), 결제 및 정산부(580), 통계처리부(590), 전문가 의견수집부(600), 기업정보수집부(610), 신용정보수집부(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500)의 위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메모리(50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고속연산을 위해 특수 설계된 하드웨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통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500)의 위 구성요소들은 단일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된 분산형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500)는 일반회원 DB(710), 예술가 DB(720), 작품DB(730), 수요자DB(740), 후원자 DB(750), 광고 콘텐츠 DB(760), 프로젝트 DB(770), 전문가 DB(780) 등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각 DB들은 분산형 또는 클라우드 저장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서버(500)의 위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회원관리부(510)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을 이용하고자 하는 일반회원, 예술가, 수요자, 후원자, 구매자, 전문가 등의 접속, 회원가입, 탈퇴, 회원등급, 정보수정, 인증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회원관리부(510)는 서비스서버(400)에 접속한 단말(110, 120, 130, 140, 150, 160)로 회원가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DB(710, 720, 730, 740, 750, 770)에 저장한다.
또한 회원관리부(510)는, 일반회원 또는 예술가가 회원이 가입하는 경우에 각자의 프로필 정보와 작품 포트폴리오를 수신하여 DB(710,720,7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부(510)는, 일반회원 또는 예술가가 회원이 가입하는 경우에 구직정보(지원분야, 채용 방식, 희망 연봉, 희망 지역 등), 프로젝트 참가 가능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DB(710,7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부(510)는, 회원가입 화면에 일반회원 또는 예술가 회원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제공할 수 있고, 만일 신청자가 예술가 회원을 선택한 경우에는 관리자가 심사를 거쳐 승인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예술가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부(510)는, 일반회원의 작품 다운로드 실적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다운로드 실적이 설정 기준을 통과하면 일반회원을 예술가로 전환하고 관련 정보를 예술가DB(7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회원 단말(110)로 예술가로 전환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작품등록부(520)는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한 일반회원 단말(110) 또는 예술가 단말(120)로 작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여 작품DB(730)에 저장한다.
등록되는 작품 정보는 작가 정보, 제목, 크기, 분야(서양화, 동양화, 유화, 수채화, 묵화, 판화, 추상화, 만화, 조각, 공예, 산업디자인, 영상 등), 실물사진, 판매/임대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작품전시부(530)는 작품을 열람하고자 하는 열람신청자의 단말(110, 120, 130, 140, 150, 160)로 가상의 전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 편의를 위하여 작품분야, 작가 등을 분류한 카테고리 선택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작품전시부(530)는 열람신청자의 단말로 등록 작품의 썸네일 이미지가 다수 포함된 선택 화면을 제공하고, 열람신청자의 단말에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작품의 이미지를 작품 DB(730)에서 호출하여 열람신청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작품 또는 작가에게 후원자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후원자가 등록한 광고 콘텐츠를 해당 작품과 함께 전송하여 열람신청자의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의 표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작품의 이미지 보다 먼저 열람신청자의 화면에 설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도 있고, 해당 작품이 화면에 표시될 때 화면 일측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작품전시부(530)는 작품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측에 또는 작품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을 종료한 직후에 해당 작품의 구매(임대 포함) 의사를 묻는 메뉴를 제공하거나, 해당 작가를 후원할 의사를 묻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요자 매칭부(540)는 수요자 단말(130)로부터 예술가 구인 신청이 접수되면 수요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요자 매칭부(540)는 수요자 단말(130)로부터 예술가 구인 신청이 접수되면 수요자 DB(740)에 저장하는 한편 예술가 단말(120)로 제공할 구인 정보 페이지를 업데이트 한다. 구인 정보 페이지는 정보를 요청한 예술가 단말(120)에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서비스서버(500)에 회원으로 가입된 모든 자에게 요청 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요자 매칭부(540)가 예술가 DB(720)에 저장된 구직정보와 수요자 DB(740)에 저장된 구인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예술가를 매칭 후보로 추천할 수 있고, 수요자의 평점, 실적, 신용도 등을 고려하여 수요자의 등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수요자가 지급해야 하는 수수료를 조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요자 매칭부(540)는, 도 4의 블록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매칭 후보 추천부(542), 수요자 등급 산출부(544), 매칭 수수료 조정부(5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 후보 추천부(542)는 등록된 구직정보와 구인정보를 이용하여 수요자에게 적합한 예술가를 추천하는 것으로서, 추천기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예술가와 수요자가 각각 입력한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유사도가 설정 기준 보다 높게 산출된 예술가를 매칭 후보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매칭 모델을 충분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시킨 후에 매칭 후보 추천 모델로 활용할 수도 있다.
수요자 등급 산출부(544)는 수요자의 평점, 예술가의 근속기간, 기업실적, 신용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요자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수요자의 평점은 수요자가 채용하거나 프로젝트를 협업한 예술가가 부여하는 것으로서, 평점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요자 등급 산출부(544)는 예술가에게 평점 입력 페이지를 전송하고 평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술가의 평균 근속기간은 수요자인 기업에 입사한 예술가의 만족도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서, 근속기간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요자 등급 산출부(544)는 예술가에게 근속기간 입력 페이지를 전송하고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기업실적은 기업정보 수집부(610)가 기업정보제공서버(200)를 통해 수집하거나 다른 루트를 통해 수집한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기업의 신용등급, 감원 여부, 휴업 여부, 폐업 여부, 파산 여부, 법정관리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용정보는 신용정보 수집부(620)가 신용정보제공서버(300)를 통해 수집하거나 다른 루트를 통해 수집한 개인의 신용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요자 등급 산출부(544)에서 수요자 등급을 산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요자가 기업인 경우에는, 예술가의 만족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평점과 근속기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만족도 지수를 산출하고, 기업의 실적을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실적 지수를 산출한 후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소정 방식으로 더하여 수요자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만족도 지수를 산출할 때는, 예를 들어 평점은 1점 내지 10점의 범위로 부여하도록 하고, 근속기간은 1년당 1점으로 환산하여 평점과 근속기간을 단순 합산한 값을 만족도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평점 또는 근속기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만족도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고, 근속기간이 길수록 가산점을 더 부여하는 방식으로 만족도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실적 지수를 산출할 때는,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실적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1% 마다 ±1점을 부여할 수도 있고, 영업이익 변동률 ±1% 마다 ±1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합산하여 수요자 등급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단순히 합산할 수도 있고, 만족도 지수 또는 실적 지수 중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 산출하든,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면 수요자 등급이 높아지고, 실적 지수가 높아지면 수요자 등급이 높아지는 산출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수요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예술가의 만족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평점을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만족도 지수를 산출하고, 개인의 신용등급을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신용지수를 산출한 후 만족도 지수와 신용 지수를 소정 방식으로 더하여 수요자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어떤 방식으로 산출하든,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면 수요자 등급이 높아지고, 신용 지수가 높아지면 수요자 등급이 높아지는 산출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된 수요자 등급은 일반회원 단말(110)이나 예술가 단말(120)에 제공되는 수요자 정보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매칭 수수료 조정부(546)는 예술가의 만족도 지수와 수요자의 실적 지수 또는 신용 지수를 반영하여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매칭 수수료는 수요자와 예술가 간의 고용계약이나 프로젝트 협업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서비스서버(500)의 운영자가 수요자에게 청구하는 것으로서, 수수료율은 예를 들어 예술가의 급여의 몇 % 로 정해진다.
매칭 수수료 조정부(546)는 이런 방식으로 정해져 있는 매칭 수수료를 앞서 설명한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거나 실적지수가 낮아지면 매칭 수수료가 낮아질 수 있도록 조종한다.
수요자가 기업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만족도 지수가 1% 상승하면 수요자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예를 들어 1% 낮추고, 실적 지수가 10% 하강하면 고용 유지를 유도하는 차원에서 매칭 수수료를 5% 정도 낮출 수 있다. 이와 달리 만족도 지수가 1% 하강하면 만족도 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1% 올리고, 실적 지수가 상승하면 고용 확대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동결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수요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만족도 지수가 1% 상승하면 수요자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예를 들어 1% 낮추고, 만족도 지수가 1% 하강하면 만족도 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1% 올릴 수 있다.
이 밖에도, 수요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신용 지수 변동을 매칭 수수료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 지수가 10% 상승하면 수요자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예를 들어 5% 정도 낮추고, 신용 지수가 10% 하강하면 수요자의 참여를 억제하기 위하여 매칭 수수료를 예를 들어 20% 정도 올릴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매칭 수수료 조정 방식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수요자나 예술가의 구체적이 상황이나 매칭 조건에 따라 매칭 수수료 조정 방식이 이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원자 매칭부(550)는 후원자 단말(140)로부터 예술가 후원 신청이 접수되면 후원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일 후원자가 특정 예술가를 지정하면서 후원신청을 한 경우에는, 후원자 매칭부(550)는 지정된 예술가와 후원자를 연계하여 후원자 BB(750)에 저장한다.
또한 후원자가 예술가 지정권한을 서비스서버(500)의 운영자에게 위임한 경우에는 등록된 예술가 중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선정된 예술가와 후원자를 연계하여 후원자 BB(750)에 저장한다.
또한 후원자 매칭부(550)는 후원자가 예술가 추천을 요청한 경우에는 예술가 DB(720)에 저장된 프로필, 포트폴리오 등의 정보와 후원자가 후원신청 페이지에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다수의 예술가를 매칭 후보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후원자 매칭부(550)는 후원자가 지정된 예술가에게 금품 제공 방식으로 후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금품 제공을 중개할 수 있다.
또한 후원자 매칭부(550)는 후원자가 지정된 예술가의 작품에 광고를 연계시키고 광고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후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원자 단말(14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여 광고 콘텐츠 DB(760)에 지정된 예술가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품 전시부(530)를 통해 지정된 예술가의 작품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연계된 광고가 작품열람자의 단말로 출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후원자 매칭부(550)는, 도 5의 블록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매칭 후보 추천부(552), 후원자 등급 산출부(554), 광고 가격 조정부(5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 후보 추천부(552)는 후원자가 예술가 추천을 요청한 경우에 적합한 예술가를 추천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후원자에 적합한 예술가를 추천할 수도 있고, 인공지능 기반의 매칭 후보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할 수도 있다.
후원자 등급 산출부(554)는 후원자의 평점, 기업실적, 신용정보 등을 이용하여 후원자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후원자의 평점은 서비스서버(500)의 관리자가 후원자에게 부여하는 것으로서, 지속적인 후원을 유도하기 위하여 후원기간이 길수록 후원금액이 클수록 높은 평점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원자의 평점에는 후원자가 수요자의 역할을 할 때 예술가가 부여한 평점이 포함될 수도 있다.
기업실적 및 신용정보는 수요자 등급 산출부(544)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후원자 등급 산출부(554)에서 후원자 등급을 산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원자가 기업인 경우에는, 후원 지속성과 후원 규모를 반영하는 후원자 평점을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후원 지수를 산출하고, 기업의 실적을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실적 지수를 산출한 후 후원 지수와 실적 지수를 소정 방식으로 더하여 후원자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후원 지수를 산출할 때는, 예를 들어 후원 기간을 1년당 1점으로 환산하고 후원 광고료 지출금액 100만원 당 1점으로 환산하여 후원기간과 후원금액을 단순 합산한 값을 후원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후원기간 또는 후원금액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후원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고, 후원기간이 길수록 가산점을 더 부여하는 방식으로 후원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어떤 방식으로 산출하든, 후원 지수가 높아지면 후원자 등급이 높아지고, 실적 지수가 높아지면 후원자 등급이 높아지는 산출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후원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후원 지수를 산출하고, 개인의 신용등급을 소정 방식으로 수치화 하여 신용 지수를 산출한 후 후원 지수와 신용 지수를 소정 방식으로 더하여 후원자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어떤 방식으로 산출하든, 후원 지수가 높아지면 후원자 등급이 높아지고, 신용 지수가 높아지면 후원자 등급이 높아지는 산출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된 후원자 등급은 일반회원 단말(110)이나 예술가 단말(120)에 제공되는 후원자 정보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광고 가격 조정부(556)는 후원자의 후원 지수, 실적 지수 또는 신용 지수를 반영하여 광고 가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광고 가격은 후원자가 광고를 연계하여 후원을 하는 경우에 서비스서버(500)의 운영자가 광고 노출에 대한 대가로 청구하는 금액으로서, 후원 계약을 체결할 때 광고금액이나 광고요율이 정해진다.
광고 가격 조정부(556)는 이런 방식으로 정해져 있는 광고 가격을 앞서 설명한 후원 지수, 실적 지수, 신용 지수 등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후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후원 지수가 높아질수록 광고 가격이 낮아지도록 조종한다.
예를 들어 후원 지수가 1% 상승하면 광고 가격을 예를 들어 1% 낮추고 후원 지수가 1% 하강하면 광고 가격을 예를 들어 1% 낮출 수 있다.
또한 실적 지수가 10% 하강하면 후원 참여를 독려하는 차원에서 광고 가격을 예를 들어 5% 정도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실적 지수가 10% 상승하면 광고 가격을 광고 가격을 예를 들어 5% 정도 올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고 가격 조정 방식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후원자나 예술가의 구체적이 상황이나 매칭 조건에 따라 조정 방식이 이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관리부(560)는 수요자가 서비스서버(500)로 의뢰한 프로젝트 또는 서비스서버(500)의 운영자가 자체 기획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수요자가 직접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수요자 매칭부(540)를 통해 수요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것만 지원하면 된다.
프로젝트 관리부(560)는 프로젝트 공고를 예술가 단말(120)로 푸시(push)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한 예술가 단말(120)로 팝업창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젝트 공고는, 개발 제품, 디자인 콘셉트, 프로젝트 기간, 참가 인원, 급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부(560)는 예술가 단말(120)로부터 프로젝트 참가 신청을 접수하고, 참가자를 결정하여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 참가자를 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심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전문가 DB(780)에 등록된 전문가 단말(160)로 참가자 선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수요자 매칭부(54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거나 인공지능 기반의 매칭 후보 추천 모델로 활용하여 적합한 프로젝트 참가자를 선정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 관리부(560)는 다수의 예술가 단말(120)로부터 프로젝트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DB(7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부(560)는 다수의 예술가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프로젝트 결과물 중에서 당선작을 선정하여 프로젝트 DB(770)에 저장하는 한편 선정 결과를 예술가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당선작을 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오프라인 상에서 심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전문가 DB(780)에 등록된 전문가 단말(160)로 당선작 선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판매/임대 관리부(570)는 구매자 단말(150)로부터 구매 또는 임대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작품 추천, 가격 결정, 결제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150)로부터 임대 요청을 접수한 경우에는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임대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판매/임대 관리부(570)는 작품추천부(572), 가격조정부(574), 임대여부결정부(5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품추천부(572)는 구매자 단말(150)에서 구매/임대할 작품을 지정하지 않고 작품 추천을 요청한 경우에 구매자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적합한 작품을 추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50)을 통해 작품을 비치할 장소의 사진이나 영상을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하고, 작품추천부(572)는 수신한 사진이나 영상을 토대로 적합한 작품을 추천할 수 있다.
작품을 추천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비스서버(500)의 운영자가 관련자와 협의하여 선정한 작품이나 전문가DB(780)에 등록된 전문가(큐레이터 등)에게 요청하여 추천 받은 작품을 구매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충분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시킨 후에 작품 추천 모델로 활용할 수도 있다.
가격조정부(574)는 설정 조건이 충족하는 경우에 판매 또는 임대 가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등록된 수요자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만족도 지수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하고, 구매자가 등록된 후원자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후원 지수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즉, 구매자가 등록된 수요자인 경우에는 만족도 지수가 높을수록 더 싼 가격으로 작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을 더 자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가 등록된 후원자인 경우에는 후원 지수가 높을수록 더 싼 가격으로 작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후원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격조정부(574)는 구매자가 등록된 수요자 또는 후원자인 경우에 예술가의 요청이 있는 경우나 설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작품의 다운로드나 임대를 무료로 제공하는 등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예술가가 특정 수요자나 후원자를 지정하여 파격적인 할인가(무료 포함)를 지정한 경우에는 해당 가격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요자의 만족도 지수나 후원자의 후원 지수가 설정 값에 도달하면 해당 수요자나 후원자에 대해서는 파격적인 할인가(무료 포함)를 적용할 수 있다.
임대여부결정부(576)는 구매자가 작품 임대를 원하는 경우에 임대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 임대는 임대료 지급이 담보되는 경우에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어 구매자가 기업인 경우에,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변동률, 기업의 신용등급, 감원 여부, 휴업 여부, 폐업 여부, 파산 여부, 법정관리 여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임대료 담보 지수를 산출하고 임대료 담보지수가 설정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임대를 거절할 수 있다.
정산처리부(580)는 작품 판매(임대 포함)나 광고를 통해 발생한 수입을 예술가와 정산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매칭 플랫폼을 통해 작품이 판매된 경우에는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산출된 저작권료를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 예술가의 계좌로 이체한다.
다른 예로서, 후원자가 광고를 연계하여 후원하는 경우에 후원자가 지불한 광고료에서 일정 금액을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예술가의 계좌로 이체한다.
통계처리부(590)는 등록된 작품과 관련된 조회수, 다운로드 수, 판매량, 판매 가격, 임대 회수, 광고 조회수 등을 이용하여 통계를 작성하고, 작품 인기 순위, 예술가 인기 순위, 수요자 등급, 후원자 등급 등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전문가 의견수집부(600)는 전문가DB(780)에 등록된 전문가(평론가, 감정가, 큐레이터 등)의 단말(160)로 프로젝트 참가자 선정, 작품 추천, 감정가 등을 의뢰하는 역할을 한다.
기업정보수집부(610)는 기업정보제공서버(200)나 다른 루트를 통해 기업의 실적정보나 신용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기업의 신용등급, 휴업, 폐업, 파산, 법정관리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신용정보수집부(620)는 신용정보제공서버(300)나 다른 루트를 통해 개인의 신용등급이나 금융권이나 비금융권과 관련된 신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가와 수요자의 매칭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예술가와 수요자는 각각 예술가 단말(120)과 수요자 단말(130)을 통해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한편 예술가는 자신의 프로필과 작품 포트폴리오를 등록하고, 수요자는 구인광고를 등록한다. (ST11, ST12, ST13, ST14)
이어서 서비스서버(500)의 수요자 매칭부(540)는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거나 인공지능 기반의 후보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구인정보를 등록한 각 수요자에 대하여 다수의 예술가를 매칭 후보로 선정하고, 추천 결과를 예술가 단말(120)과 수요자 단말(130)로 각각 전송한다. (ST15, ST16)
추천 결과를 수신한 예술가는 예술가 단말(120)을 통해 매칭 승낙을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한 명의 예술가에게 다수의 수요자가 매칭 후보로 추천된 경우에는 수요자를 지정하여 매칭 승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술가는 추천 결과에 대하여 매칭 거절을 서비스 서버로(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17)
또한 추천 결과를 수신한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130)을 통해 매칭 승낙을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한 명의 수요자에게 다수의 예술가가 매칭 후보로 추천된 경우에는 예술가를 지정하여 매칭 승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요자도 추천 결과에 대하여 매칭 거절을 서비스 서버로(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18)
서비스서버(500)의 수요자 매칭부(540)는 예술가 단말(120)과 수요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회신을 통해 수요자와 예술가의 매칭이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성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칭 불발 사실을 예술가 단말(120)과 수요자 단말(130)로 전송한다. (ST19, ST20)
수요자 매칭부(540)는 예술가 단말(120)과 수요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회신을 통해 수요자와 예술가의 매칭이 성사된 것으로 판단되면, 예술가 단말(120)과 수요자 단말(130)로 소정의 계약서를 전송하여 온라인 고용 계약을 중개할 수 있다. (ST21)
이상의 과정을 거쳐 예술가와 수요자의 매칭이 성사되면, 수요자는 서비스서버(500)의 계좌로 소정의 매칭 수수료를 송금한다. (ST22)
이하에서는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가와 후원자의 매칭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예술가와 후원자는 각각 예술가 단말(120)과 후원자 단말(140)을 통해 서비스서버(5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한편 예술가는 자신의 프로필과 작품 포트폴리오를 등록하고, 후원자는 후원자 추천을 서비스서버(500)로 요청한다. (ST31, ST32, ST33, ST34)
이어서 서비스서버(500)의 후보자 매칭부(550)는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거나 인공지능 기반의 후보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각 후원신청자에 대하여 다수의 예술가를 매칭 후보로 선정하고, 추천 결과를 예술가 단말(120)과 후원자 단말(140)로 각각 전송한다. (ST35, ST36)
추천 결과를 수신한 예술가는 예술가 단말(120)을 통해 매칭 승낙을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한 명의 예술가에게 다수의 후원자가 매칭 후보로 추천된 경우에는 후원자를 지정하여 매칭 승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술가는 추천 결과에 대하여 후원 거절을 서비스 서버로(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37)
또한 추천 결과를 수신한 후원자는 후원자 단말(140)을 통해 매칭 승낙을 서비스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한 명의 후원자에게 다수의 예술가가 매칭 후보로 추천된 경우에는 예술가를 지정하여 매칭 승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원자도 추천 결과에 대하여 후원 거절을 서비스 서버로(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38)
서비스서버(500)의 후원자 매칭부(550)는 예술가 단말(120)과 후원자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회신을 통해 후원자와 예술가의 매칭이 성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성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칭 불발 사실을 예술가 단말(120)과 후원자 단말(140)로 전송한다. (ST39, ST40)
후원자 매칭부(550)는 예술가 단말(120)과 후원자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회신을 통해 후원자와 예술가의 매칭이 성사된 것으로 판단되면, 예술가 단말(120)과 후원자 단말(140)로 소정의 계약서를 전송하여 후원 계약을 중개할 수 있다. (ST41)
이어서 후원자는 후원자 단말(140)을 통해 후원과 연계할 광고 콘텐츠를 서비스서버(500)로 업로드 하는 한편 약정한 광고 수수료를 결제해야 한다. 업로드된 광고 콘텐츠는 후원대상 예술가와 연계되어 광고 콘텐츠 DB(760)에 저장된다. (ST42, ST43)
이상의 과정을 거쳐 예술가와 후원자의 매칭이 성사된 이후에, 플랫폼 방문자가 후원자의 작품을 열람하는 경우에 작품전시부(530)는 작품이 표시되는 화면에 해당 작품의 작가와 연계된 광고 콘텐츠를 함께 표시한다. (ST44)
이어서 일정 주기마다 또는 예술가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서비스서버(500)는 후원과 연계된 광고료에 대해 소정 비율로 산정된 후원금을 예술가에게 송금하고 정산결과를 예술가 단말(120)로 전송한다. (ST45)
이하에서는 위 ST44 및 ST45의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플랫폼 접속자가 자신의 단말(110, 120, 130, 140, 150, 160)을 통해 작품 열람을 신청하면, 작품전시부(530)는 작품을 열람하고자 하는 신청자의 단말(110, 120, 130, 140, 150, 160)로 등록 작품의 썸네일 이미지가 다수 포함된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 (ST51, ST52)
이어서 열람신청자의 단말에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서비스서버(500)의 작품전시부(530)는 작품 DB(730)에서 호출한 해당 작품의 이미지와 이와 연계된 광고 콘텐츠를 열람신청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ST53)
이어서 열람신청자의 단말(110, 120, 130, 140, 150, 160)에서는 수신한 작품의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한편, 함께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여 열람신청자에게 노출시킨다. (ST54)
이어서 후원자가 지급한 광고료를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산하여 예술가에게 지급한다. (ST55)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술가 매칭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관련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일반회원 단말 120: 예술가 단말 130: 수요자 단말
140: 후원자 단말 150: 구매자 단말 160: 전문가 단말
200: 기업정보제공서버 300: 신용정보제공서버 400: 통신망
500: 서비스서버 510: 회원관리부 520: 작품등록부
530: 작품전시부 540: 수요자 매칭부 542: 매칭 후보 추천부
544: 수요자등급 산출부 546: 매칭 수수료 조정부 550: 후원자 매칭부
552: 매칭 후보 추천부 554: 후원자등급 산출부 556: 광고가격조정부
560: 프로젝트 관리부 570: 판매/임대 관리부 572: 작품 추천부
574: 가격 조정부 576: 임대여부 결정부 580: 정산처리부
590: 통계처리부 600: 전문가의견 수집부 610: 기업정보 수집부
620: 신용정보수집부 710: 일반회원DB 720: 예술가 DB
730: 작품DB 740: 수요자DB 750: 후원자DB
760: 광고 콘텐츠 DB 770: 프로젝트 DB 780: 전문가DB

Claims (10)

  1. 예술가, 수요자 및 후원자의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회원관리부;
    예술가의 작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작품등록부;
    수요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매칭 신청이 접수되면 수요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수요자 매칭부;
    후원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후원 신청이 접수되면 후원자와 예술가를 매칭시키는 후원자 매칭부;
    후원자가 지불한 후원 연계 광고료를 예술가와 정산하는 정산처리부
    를 포함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자 매칭부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고용 또는 협업할 예술가를 추천하는 매칭 후보 추천부와,
    각 수요자별로 산출된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매칭 수수료 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 지수는 예술가가 수요자에게 부여하는 평점과 근속기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고,
    상기 실적 지수는 수요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며,
    상기 매칭 수수료 조정부는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면 매칭 수수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원자 매칭부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예술가를 추천하는 매칭 후보 추천부와,
    각 후원자별로 산출된 후원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후원 연계 광고료를 조정하는 광고가격 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원 지수는 후원자의 후원기간과 후원금액을 수치화 하여 산출되고,
    상기 실적 지수는 후원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며,
    상기 광고 가격 조정부는 후원 지수가 높아지거나 실적 지수가 낮아지면 광고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의 요청에 응하여 구매/임대할 작품을 추천하는 작품추천부와,
    구매자가 등록된 수요자이면 수요자에 대해 산출된 만족도 지수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하고, 구매자가 등록된 후원자이면 후원자에 대해 산출된 후원 지수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하는 가격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
  7. 예술가를 수요자 또는 후원자와 연결해 주는 매칭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예술가 단말, 수요자 단말 및 후원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예술가 정보, 작품정보, 수요자 정보, 구인 정보 및 후원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 단계;
    수요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구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구인 요청에 적합한 예술가를 선정하고, 수요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로 후보 선정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수요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의 매칭 승낙에 따라 매칭이 성사되면, 매칭 수수료를 포함하는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
    매칭 수수료 결제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각 수요자별로 산출된 만족도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만족도 지수는 예술가가 수요자에게 부여하는 평점과 근속기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고,
    상기 실적 지수는 수요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며,
    매칭 수수료를 조정하는 과정에서는, 만족도 지수가 높아지면 매칭 수수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방법.
  9. 예술가를 수요자 또는 후원자와 연결해 주는 매칭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예술가 단말, 수요자 단말 및 후원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예술가 정보, 작품정보, 수요자 정보, 구인 정보 및 후원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 단계;
    후원자 단말로부터 예술가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텍스트 마이닝 기법 또는 인공지능 기반 추천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요청에 적합한 예술가를 선정하고, 후원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로 후보 선정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후원자 단말과 예술가 단말의 매칭 승낙에 따라 매칭이 성사되면, 후원 연계 광고료를 포함하는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
    광고료 결제를 확인하는 단계;
    후원대상 예술가와 광고료를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각 후원자별로 산출된 후원 지수와 실적 지수를 이용하여 후원 연계 광고료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후원 지수는 후원자의 후원기간과 후원금액을 수치화 하여 산출되고,
    상기 실적 지수는 후원자인 기업의 주식시가총액, 주식시가총액 변동률, 영업이익, 영업이익 변동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치화 하여 산출되며,
    후원 연계 광고료를 조정하는 과정에서는, 후원 지수가 높아지거나 실적 지수가 낮아지면 광고료가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가를 위한 매칭 방법.
KR1020200070149A 2020-06-10 2020-06-10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KR20210153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49A KR20210153281A (ko) 2020-06-10 2020-06-10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49A KR20210153281A (ko) 2020-06-10 2020-06-10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281A true KR20210153281A (ko) 2021-12-17

Family

ID=7903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49A KR20210153281A (ko) 2020-06-10 2020-06-10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32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87B1 (ko) * 2023-08-17 2024-04-08 차준영 스폰서십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582A (ko) 2004-08-19 2005-10-26 하동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582A (ko) 2004-08-19 2005-10-26 하동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개인창작물 거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87B1 (ko) * 2023-08-17 2024-04-08 차준영 스폰서십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lla Lucia Econom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for event planning and investment decision making
Carpenter et al. Charity auctions: A field experiment
US20080109296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US20080109234A1 (en) Secondary market for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9345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non-post season sporting events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US20080103802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music production
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103803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an event participant
Khaire Art without borders? Online firms and the global art market
Hamid et al.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n the digital economy
Woldie Nigerian banks-quality of services
US20050049953A1 (en) Real estate business method and system integrating multi-level network marketing, franchise management and web tools
Kuom et al. Virtual travel agencies
KR20210136950A (ko) 인프라 투자 지식정보 공유 플랫폼
KR20210153281A (ko) 예술가를 위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과 이를 위한 매칭 방법
Wirtz Digital platforms, sharing economy, and crowd strategies
US20200334711A1 (en) Online E 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with an Instant Payment and Settlement Digital Currency Application for Realizing Internet of Values
Khosrow-Pour Cases on electronic commerce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Van Elp et al. Free services
JP2002133272A (ja) バーター取引の情報提供方法
Lowry et al. Electronic commerce initiatives in Australia: Identifying opportunity, meeting challenges, and measuring success
Nurse Study on alternative and innovative funding mechanisms for ACP Cultural industries
Chaikovska et al. Management Technologies of Business Modelling in IT Startup Marketing
Steingold The complete guide to selling a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