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649A -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649A
KR20010071649A KR1020010036089A KR20010036089A KR20010071649A KR 20010071649 A KR20010071649 A KR 20010071649A KR 1020010036089 A KR1020010036089 A KR 1020010036089A KR 20010036089 A KR20010036089 A KR 20010036089A KR 20010071649 A KR20010071649 A KR 20010071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books
free
homepage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문
Original Assignee
권세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세문 filed Critical 권세문
Priority to KR102001003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1649A/ko
Publication of KR2001007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649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사이트가 제공하거나 회원출판사가 홍보 및 판촉을 목적으로 등록하는 도서의 무료제공을 통해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고 더불어 일반회원들의 독서감상, 도서(논문 포함)에 대한 평가 및 본 사이트 자체 정보 등을 재가공하여 사이트 이용자들에게 도서의 각 분야별로 수준별, 단계별 정보 및 전공자/비전공자로 비교, 구분되어 있는 도서관련 평가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들의 도서 선택에 부수하는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절감시키고 나아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출판 및 독서문화를 정착시키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dvertising Books and Guiding its Selection by Linking Free Presentation of Books with Evaluation of Books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서를 사이트에 대한 기여도를 고려하여 무료로 제공함과 동시에 오락적 요소를 가미하여 적은 광고비용으로 도서의 광고 및 홍보를 극대화할 수 있고, 독자가 도서를 분야별, 수준별, 단계별로 자신에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구매나 독서 전에 미리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안내하는 인터넷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판업의 산물인 도서는 자사의 상품을 독자(소비자)에게 널리 알리기 위한 광고 및 홍보단계를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각 출판사들은 비싼 광고비용을 지불하면서 자사의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고의 형태는 실/내외에 설치된 광고판을 이용한 옥외광고방법과,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 4대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과, 인터넷을 이용한 홈페이지에 배너광고를 싣는 방법과, 최근들어 신종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자메일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메일 전송방법 및 이동통신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메일 전송방법 등이 있다.
상기의 광고 및 홍보 방법 중 4대 광고매체를 이용하는 광고의 경우들은 대부분 출판업계의 영세성에 의해 베스트셀러를 기획단계부터 의도하지 않을 경우 그 비용이 수익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용대비 그 효과가 매체의 특성상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 추세인 업계의 상황으로 볼 때도 그 광고의 효과검증이 매우 불확실하다. 특히 공중파방송이나 종합일간지 신문의 광고비용이 고가임은 두 말할 여지도 없다.
최근 들어,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에 힘입어 인기 있는 홈페이지에 배너광고를 실어서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광고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너광고는 사용자의 터미널, 시스템 서버 및 이들을 연결하는 인터넷망과 컴퓨터/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페이지의 전환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있어 배너광고의 효과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광고방법은 모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원하는 대상자만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더욱이 사용자가 광고를 읽지 않는 경우 이를 유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실제로 네티즌이 배너광고를 클릭하는 클릭률은 1-3%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한편, 광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되는 홍보는 주로 4대 대중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매일매일 쏟아지는 신간도서의 양에 비해 지면과 방송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그 소개정도가 극히 미미하다. 일반적으로 신문 및 방송은 주 1회, 잡지의 경우는 주, 월간 발행간격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4대 매체의 속성상 불특정다수의 취향에 맞고 시류에 부합하는 도서들만을 선정 소개하고 있다.
비록 소개된 책이라 하더라도 소개의 내용이 적고 대부분 합리적인 선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매체사나 매체사가 의뢰한 자 및 출판사가 제공한 일방적인 정보를 거의 그대로 내보내고 있다. 일반적인 독자, 특히 학습을 요하는 학습자, 나아가 학습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의 독자가 다수의 동일한 분야의 책들 속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책을 선택하기란 쉽지가 않다.
또한 홍보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무료도서의 제공도 일반 단행본 출판물인 경우 기존의 고정독자나 지인 등에 배포되거나 베스트셀러로 기획된 책일 경우에 한해 광고판촉의 일환으로 무료로 일정 잠재고객에게 배포되었다. 그 외에 광고되지 않는 거의 대부분의 책은 출판업계의 영세함으로 인해 아예 광고 및 홍보 활동을 포기하고 서점의 매장에서만 진열되어 독자의 방문과 눈길을 기다리고 있고 더욱이 전문도서인 경우에는 독자의 눈길을 끌지 못하는 책꽂이에 그냥 꽂혀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그 출판물이 전문교재에 가까울수록 그 출판물의 무료도서증정은 출판사의 정보수집능력과 데이터베이스 수집 및 검색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정확히 그 책의 잠재 수요자에게 도달될 확률이 적다. 그 예로 현재 실제로 영업중인 1만여 개의 출판사 홈페이지 중에서 활성화된 홈페이지 수는 극히 미미하다. 이는 출판사의 영세함에서 비롯되어 자연히 해당인력을 고용하지 못하는 영업력의 부재에서 기인하는데 결국 출판사는 독자가 홈페이지에 접속하기만을 기다리는 상황일 뿐이다.
전문도서의 예를 들면, 30여만 명의 국내 박사학위 소지자들 중 대학 내외에서 상당수가 강의활동을 하고 있는데, 출판사에서 신간을 발행할 경우 1∼2명의 소규모 영업인력으로는 매번 정확한 잠재고객이나 책의 홍보에 영향을 주는 오피니언 리더에게 정확히 홍보활동을 펼친다는 건 무리한 일이다. 나아가 기존의 방법대로 책의 홍보를 위해 현장방문영업을 할 경우, 그 시간과 비용의 출혈은 상당하다.
반대로 강의자일 경우에도, 필요로 하는 책이 매번 신간으로 나올 때, 이에 대한 정보를 매스컴이나 수많은 출판사의 제공정보나 서점에서 제공하는 일방적인 정보를 받게되는데 이 경우, 신간의 발행시점과 차이가 나거나 설령, 정확히 필요로 하는 책을 찾았다할 지라도 그 책을 손에 쥐기까지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한 학기에 3∼4개의 강좌에 필요한 정보와 교재를 구할 경우, 부교재(일반 단행본 포함)를 포함해 10여권 이상의 책이나 정보를 얻어야 하는데 이 경우 일일이 해당 출판사에 의뢰하기는 상당히 번거로운 게 사실이다. 이러한 출판사와 잠재독자 및 책의 판매에 영향을 주는 오피니언 리더들과의 현실적인 괴리로 실제 출판업계에서는 무작위로 관련 책이나 정보를 대량 살포하거나 요구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고 이는 사회적으로 큰 낭비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웹사이트를 방문한 일반회원이 출판사회원이나 웹사이트 운영자가 제공한 도서정보를 읽으면서 동시에 무료도서를 신청하게끔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직접적인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이 읽기를 원하는 분야별, 수준별, 단계별로 도서의 체계적인 정보를 얻어 보다 효율적인 독서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원이 동일한 도서에 한해 하루 한번만 신청 가능케 하고 즉석에서 당첨유무를 알 수 있게 하여, 탈락자의 경우 익일 다시 한번 계속해서 그 도서를 무료 신청케 하는 방식으로 그 도서에 대한 광고 및 홍보를 강화시키는 인터넷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회원이 도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되는 분야별, 수준별, 단계별 도서의 체계적인 정보를 구축하는데 독자들의 1줄 소감 및 5점 척도식 평가 결과,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된 서평 및 이전/이후 읽을 책에 대한 추천 결과를 이용하여 구축함과 동시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 회원에게는 웹사이트에서 사용 가능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웹사이트 운영사 입장에서는 저비용으로 도서 선택 가이드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베이스(DB)를 구축할 수 있고, 회원사 입장에서는 직접적인 광고/홍보 효과를 기할 수 있는 인터넷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서평/논평 작성횟수, 본 웹사이트에서 운용하고 있는 글마당, 토론/대화, 회원동정 및 자료실 등의 각종 게시판에서 글쓰기 횟수, 웹사이트를 방문한 횟수 및 일반회원과 특별회원이 본 웹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 강의안 자료, 논문 자료, 시험문제 자료 등을 업로드한 횟수를 고려하여 해당회원에게는 무료도서신청 및 도서 구입시에 웹사이트에서 사용 가능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부여하는 방식 그리고 서평이나 토론/대화에서 글이나 의견을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 추천케 하여 정보의 질과 양을 비교 분석케 함으로써 홈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뷰의 증가와 함께 도서는 물론 현실문제에 대한 포털 사이트로서 컴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의 제어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경우 보여주는 홈페이지 메인화면예,
도 6은 일반회원에 대한 자신의 포인트를 알려주는 마이 포인트 메뉴의 화면예,
도 7은 출판사 회원의 도서등록하기 메뉴의 화면예,
도 8a 내지 도 8c는 신간보기 메뉴, 도서의 상세정보 및 한 줄 소감 리스트를 선택한 경우 검색결과 화면예,
도 9a 및 도 9b는 도서무료신청 메뉴에서 일반도서보기와 일반도서신청에 대한 당첨확인 화면예의 화면예,
도 10a 내지 도 10c는 단계별 책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 제공되는 화면예 및 도 10a에서 대분류를 선택하거나 키워드(세부전공/주제어, 강좌명)를 사용하여 검색한 결과 화면예,
도 11a 내지 도 11c는 글마당 메뉴에서 서평/논평의 게시판, 글쓰기, 글보기에 대한 화면예,
도 12는 글마당 메뉴에서 칼럼/의견의 게시판 화면예,
도 13은 웹사이트의 관리를 맡는 웹마스터의 관리자 메뉴 종류를 나타내는 화면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a-1n ; 일반회원 클라이언트 3a-3n ; 특별회원 클라이언트
5a-5n ;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 6 ; 시스템 서버
7a-7c ; 웹서버 8a,8b ; DB 서버
9a,9b ; 관리자 단말기 10 ; 인터넷
18a ; 회원 18b ; 도서관련
18c ; 토론관련 18d ; 게시판 관련
21 ; 메인 홈페이지 화면 31 ; 마이 포인트 메뉴
32 ; 마이 북 메뉴 33 ; 마이 토론 메뉴
34 ; 도서등록하기 메뉴 35 ; 도서관리모드 메뉴
36 ; 회원사 정보 메뉴 37 ; 자유게시판 메뉴
40 ; 신간보기 메뉴 50 ; 도서무료신청 메뉴
60 ; 단계별 책보기 메뉴 70 ; 글마당 메뉴
72 ; 서평쓰기 메뉴 80 ; 토론/대화 메뉴
90 ; 회원동정 메뉴 100 ; 자료실 메뉴
110 ; 도서등록창 120 ; 회원 포인트 테이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로부터 도서에 대한 분야별, 단계별, 수준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1데이터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출판사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도서증정 사항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도서에 대한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는 서평, 논평 및 칼럼, 의견과 해당 도서의 이전/이후에 읽어야할 도서의 수준 정보, 한 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려서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도서에 대한 평가 및/또는 추천에 응답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고 이를 시스템 서버의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도서의 분야별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도서를 검색 요청할 때 제1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도서를 다단계 수준별로 제공하여 상기 회원이 자신에 적합한 수준의 검색된 도서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로부터 도서에 대한 분야별, 단계별, 수준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1데이터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출판사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도서증정 사항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도서에 대한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는 서평, 논평 및 칼럼, 의견과 해당 도서의 이전/이후에 읽어야할 도서의 수준 정보, 한 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려서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도서에 대한 평가 및/또는 추천에 응답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고 이를 시스템 서버의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무료도서를 제공하는 도서에 대하여 무료도서를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무료도서의 신청에 응답하여 당첨여부를 판단하고 당첨된 경우 해당 도서를 해당 회원에게 배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일반회원 클라이언트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와, 일반회원 및 출판사회원 사이에 도서의 무료제공을 통하여 도서의 광고/홍보의 장을 제공하면서 독자들에게 도서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서버는 인터넷망에 접속되며 웹사이트의 홈페이지로부터 도서에 대한 분야별, 단계별, 수준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1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적어도 1이상의 출판사회원이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도서증정 사항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등록할 때 이를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적어도 1이상의 일반회원이 일반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도서에 대한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는 서평, 논평 및 칼럼, 의견과 해당 도서의 이전/이후에 읽어야할 도서의 수준 정보, 한 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릴 때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도서에 대한 평가 및/또는 추천에 응답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고 이를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일반회원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도서의 전공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도서를 검색 요청할 때 제1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도서를 난이도에 따른 다단계 수준별로 제공하며 상기 회원이 자신에 적합한 수준의 검색된 도서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웹사이트가 제공하거나 회원출판사가 홍보 및 판촉을 목적으로 등록하는 도서의 무료제공을 통해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고, 더불어 일반회원들의 독서감상, 도서(논문 포함)에 대한 평가 및 본 웹사이트 자체 정보 등을 재가공하여 사이트 이용자들에게 도서의 각 분야별로 수준별, 단계별 정보 및 전공자/비전공자로 비교, 구분되어 있는 도서관련 평가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들의 도서 선택에 부수하는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절감시키고 나아가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출판 및 독서문화를 정착시키도록 유도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홍보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서 홍보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은 다수의 일반회원 클라이언트(1a-1n)로 이루어진 일반회원 집단(1)과, 다수의 특별회원 클라이언트(3a-3n)로 이루어진 특별회원 집단(3)과, 다수의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5a-5n)로 이루어진 출판사회원 집단(5)과, 일반회원 집단(1)과 특별회원 집단(3) 및 출판사회원 집단(5)이 각각에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10)을 통하여 시스템의 홈페이지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일반회원 집단(1) 및 특별회원 집단(3)과 출판사회원 집단(5) 사이에 도서의 무료제공을 통하여 도서의 광고/홍보의 장을 제공하면서 독자들에게 도서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서버(6)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 설명에서 다수의 일반회원 클라이언트(1a-1n)와 다수의 특별회원 클라이언트(3a-3n) 및 다수의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5a-5n)는 각각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터미널로 구성되며, 이후로는 설명의 편의상 일반회원, 특별회원 및 출판사회원으로 약칭하여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도서를 구매 또는 증정/판매하는 행위의 주체가 되는 구매자(독자/교수 또는 강의자) 또는 출판사를 지칭할 수 있고, 일반회원 집단(1)과 특별회원 집단(3) 및 출판사회원 집단(5)은 각각 다수의 일반회원 클라이언트(1a-1n)와 다수의 특별회원 클라이언트(3a-3n) 및 다수의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5a-5n)의 집합체를 가리킨다.
상기 시스템 서버(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웹서버(Web Server)(7a-7c)와 데이터 베이스(DB) 서버(8a,8b)로 구성되며, 상기 웹서버(7a-7c)는 각각의 클라이언트(1a-1n,3a-3n,5a-5n)가 접속할 때 도 5에 도시된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을 다운로드시켜 주고, 클라이언트로부터 홈페이지의 메뉴선택에 따라 해당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 데이터를 DB 서버(8)에 조회하여 입수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시켜 주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입력 내용을 DB 서버(8a,8b)에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웹서버(7)와 DB 서버(8) 사이에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구비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홈페이지의 메뉴선택에 따라 웹서버(7)로부터 해당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 데이터를 요청할 때, DB 서버(8)에 조회하여 입수한 데이터를 웹서버(7)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시켜 주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입력 내용을 DB 서버(8a,8b)에 기록하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 서버(6)는 내부 LAN에 접속되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되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고속으로 다운 스트리밍하기 위하여 인터넷(10)에 접속된 파일서버(File Server)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 서버(6)에는 시스템의 전반적 업무과정을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관리자 단말기(9a,9b)가 내부 LAN 또는 인터넷(Internet)(1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9) 또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터미널로 구성된다.
또한, DB 서버(8)는 도 3과 같이 회원정보 DB(18a), 도서 관련 정보 DB(18b), 토론 관련 정보 DB(18c) 및 게시판 관련 정보 DB(18d)를 구비하고, 웹서버(7)와 연결되어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에서 사용자의 개별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홈페이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 및 갱신하여 관리하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DB 서버(8)는 예를들어, 오라클(Oracle),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서버, Informix 등의 주지된 관계형 데이터 관리 시스템(RDBMS :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 DB(18a)는 일반독자들로 구성되는 일반회원, 책의 홍보에 영향을 주는 오피니언 리더 또는 학교에서 강의를 담당하는 대학교 교수 또는 선생님들로 구성되는 특별회원 및 도서를 무료 또는 유상으로 제공하는 출판사회원에 대하여 회원의 이름을 포함한 각종 인적사항 필드, 웹서버에 로그인할 때 회원의신분확인을 위한 ID 필드와 비밀번호(PW: Pass Word) 필드, 회원의 E-메일과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 회원의 연락처 필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일반회원 및 특별회원에 대하여는 자유로운 평가와 의견교류를 위하여 필명을 등록하는 필명 필드와, 자신의 글에 대한 답변의 수신여부, 신간도서 소식 기타 등을 메일로 수신할 것인 지를 체크하기 위한 메일 수신 여부 필드, 회원의 사인 필드, 마일리지(포인트) 필드, 무료도서당첨 도서 또는 강의용/연구용 도서 관련 필드, 도서에 대한 사전정보를 받거나 서평 및 토론/대화에서 전공자/비전공자의 분류기준이 되는 전공분야/관심분야 필드, 강좌명 필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서 관련 정보 DB(18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서에 대한 도서명 필드, 저자 필드, 출판사 필드, 도서 ISBN 필드, 도서소비자가 필드, 발행일자 필드, 페이지수 필드, 판형 필드, 제본 필드, 구간/신간 분류 필드, 무료증정도서수 필드, 도서 국적 필드, 표지사진 필드, 글분류 필드, 세부전공/주제어 필드, 서문 필드, 저자/출판사의 변 필드, 미디어 서평 필드, 도서 목차 필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토론 관련 정보 DB(18c)는 토론의 주제, 토론에 참여한 회원(즉, 발제자) ID, 발제자의 직업, 발제일, 조회수, 제청수, 세부전공/주제어 등의 필드를 포함하며, 게시판 관련 정보 DB(18d)에는 제목, 작성자 ID,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첨부파일 등의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물론,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18a-18d)는 필요에 따라 더욱더 세분화하여 구성될 수 도 있고 통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시스템 서버(6)와 다수의 클라이언트(1a-5n) 사이의 접속은 모뎀과 PSTN, 전용선, ISDN, ADSL 등을 이용한 각종 유선 인터넷 접속방식 또는 셀룰러, PCS, 마이크로웨이브나 위성통신망을 통한 각종 무선 인터넷 접속방식으로 가능하다. 각각의 클라이언트(1a-5n)는 상기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망(10)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1a-5n)는 예를들어, 펜티엄급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와, 통신용 모뎀과, 멀티미디어 수신장치 등을 갖춘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무선 단말기에 인터넷 접속을 지원해주는 인터넷 웹브라우저가 탑재된 것이라면 어떤 기종의 PC 또는 단말기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도서 홍보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의 동작을 도 4a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서 홍보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의 제어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의 웹사이트에 대한 메인 홈페이지 화면예, 도 6 내지 도 13은 메인 홈페이지 화면의 각종 메뉴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예이다.
먼저 도 5를 참고하면, 예를들어 일반회원, 특별회원 또는 출판사회원이 자신의 클라이언트(1a,3a,5a)에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6)의 웹서버(7)에 접속하면 홈페이지의 초기화면이 다운로드 된다(S1).
상기 홈페이지의 초기화면에는 회원으로 가입을 위한 회원가입창을 일반회원과 출판사회원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도록 제공하는 회원등록 메뉴와 기 등록된 회원에 대한 로그인 메뉴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신규회원은 회원등록 절차를 거친 뒤 로그인 과정을 거치면(S2), 도 5에 도시된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이 제공되며, 모든 메뉴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의 메뉴에 접근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에는 일반회원 또는 특별회원인 경우 자신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보여주는 마이 포인트(My Point) 메뉴(31), 자신이 신청한 도서의 목록을 보여주는 마이 북(My Book) 메뉴(32),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토론의 목록을 보여주는 마이 토론(My 토론) 메뉴(33), 기타 회원정보변경, 로그아웃(logout) 메뉴 등이 일측편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의 상측에는 메인 메뉴로서 신간 도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신간보기 메뉴(40), 무료로 제공하는 도서를 신청할 수 있는 도서무료신청 메뉴(50), 일반회원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도서를 선택하는 경우 7단계 레벨의 수준별로 대표적인 권장도서와 단계적으로 읽을 책을 추천 받을 수 있는 단계별책보기 메뉴(60), 각종 서적에 대한 서평/논평을 올리거나, 칼럼, 창작글, 명언·명문장을 올리고 이에 대한 의견을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글마당 메뉴(70), 각종 주제를 발제하고 발제된 주제에 대한 토론과 대화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토론/대화 메뉴(80), 회원들의 각종 동정에 대한 사항을 올릴 수 있는 회원동정 메뉴(90) 및 회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강의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시험문제 자료, 논문 자료를 올려서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자료실 메뉴(1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반회원 또는 특별회원이 로그인 한 경우는 일측에 상기한 메뉴(40-100) 및 이에 포함된 서브메뉴 중에서 주로 많이 이용되는 메뉴를 사용하기 편리하게 바로 갈 수 있게 선정되어 있다.
예를들어, 일반회원인 경우는 도 5와 같이 신간보기 메뉴(40), 서평쓰기 메뉴(72), 회원동정 작성 메뉴(90), 회원사 정보 메뉴 및 자유게시판 메뉴(37)가 제공되며, 특별회원인 경우는 도 9와 같이 상기한 일반회원에 대한 메뉴에 추가하여 저서 소개하기 메뉴, 강의안 올리기 메뉴, 시험문제 올리기 메뉴 등이 추가되어 있다.
또한, 출판사회원이 로그인한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상기 메뉴(40-100)에 부가하여 자사에서 제공하는 도서를 등록하기 위한 도서등록하기 메뉴(34), 자사의 도서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도서관리 모드(Mode) 메뉴(35), 회원사 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사 정보 메뉴(36) 및 자유게시판 메뉴(37)가 제공된다.
더욱이,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의 중앙부에는 각종 메뉴(40-100) 중에서 가장 최근의 신간도서, 토론/대화의 주제, 기사 및 공지사항 등을 소개하는 소개창(22)이 배치되어 있다.
만약 출판사회원이 로그인한 경우에는 도서등록하기 메뉴(34)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사에서 제공하는 도서를 등록할 수 있는 도서 등록창(110)이 제공되어, 해당 도서의 도서명, 저자, 출판사, 도서ISBN, 무료증정도서수 등을 입력한 후 도서등록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S3).
그후 일반회원 또는 특별회원이 상기한 글마당 메뉴(70)에서 각종 서적에 대한 서평/논평을 올리거나, 게시판에서 칼럼, 창작글, 명언·명문장을 올리거나 이에 대한 의견을 올리는 경우, 토론/대화 메뉴(80)의 게시판에서 각종 주제를 발제하거나 발제된 주제에 대한 토론과 대화를 올리는 경우, 회원동정 메뉴(90)에서 회원들의 각종 동정에 대한 사항을 올리는 경우, 자료실 메뉴(100)에서 회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강의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시험문제 자료, 논문 자료를 올리는 경우,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 등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회원의 포인트 테이블(120)과 같이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여 회원 DB(18a)의 마일리지 포인트 테이블에 저장한다(S4-S6).
한편, 메인 메뉴의 신간보기 메뉴(40)에서는 도 8a와 같이 등록된 도서에 대하여 도서명, 목차, 저자명, 출판사 별로 지정하여 검색 가능한 신간 검색창(41) 또는 도 9a와 같이 신간 검색과 동일하게 등록된 일반도서를 도서무료신청 메뉴(50)의 일반도서보기 메뉴에서 일반도서 검색창(42)을 선택할 수 있다(S21).
이 경우 카테고리 입력창(42a)에 원하는 도서의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서의 카테고리로서 대학에서의 전공분류를 적용하고 있다. 카테고리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되며, 대분류는 단과대학별, 중분류는 학과별, 소분류는 전공별이 된다. 이 카테고리 분류는 일반 글이나, 도서 관련 분류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8a는 도서명을 선택한 후에 키워드 검색창(41a)에 키워드로서 "철학"을입력하여 검색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a는 출판사를 지정한 후 키워드로서 "연암사"를 키워드 검색한 결과이다(S22).
예를들어, 도 8a의 검색된 결과에서 "철학의 의미"의 도서에 대한 상세정보를 얻을려고 할 때 이를 클릭하면 도 8b에 도시된 상세정보 화면(43)이 제공된다(S23). 상제정보 화면(43)에는 해당 도서에 대한 저자, 출판사, 발행일, 무료도서 제공수, 카테고리(Category), 세부전공/주제어 등의 상세정보가 포함된 상세정보창(43a)이 제공된다.
상세정보창(43a)에는 하단에 한 줄 소감보기 메뉴(43e), 서평쓰기 메뉴(43f), 도서무료신청 메뉴(43g) 및 도서구입 메뉴(43h)가 배치되어 있다. 한 줄 소감보기 메뉴(43e)를 선택하면 도 8c와 같이 독자들이 5점 척도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볼 수 있고, 서평쓰기 메뉴(43f) 및 도서무료신청 메뉴(43g)에 대하여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정보창(43a)의 하측에는 이 책에 대한 소감을 한 줄로서 평가할 수 있는 한 줄 소감 평가창(43b)이 배치되어 있다. 한 줄 소감 평가창(43b)에는 이 책에 대한 한 줄 소감을 자신의 평가에 따라 5점 척도 평가항목(431-435) 중 하나에 체크할 수 있고, 한 줄 소감 입력창(43j)에 한 줄 소감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5점 척도 평가항목에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항목(431)은 만족도가 최상급으로서 독자평가 표시(43i)는 별(☆) 5개로 표시되고, "유익한 편입니다" 항목(432)은 만족도가 중상급으로서 별(☆) 4개로 표시되며, "볼 만 합니다" 항목(433)은 만족도가 중간으로 별 3개로 표시되고, "그저 그렇습니다" 항목(434)은 중하급으로서 만족도는 별 2개로 표시되며,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항목(435)은 최하급으로서 만족도는 별 1개로 표시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독자들의 5점 척도 평가항목 중 하나에 체크한 것들이 종합되어 평균 만족도가 독자평가 표시(43i)에 별의 개수로서 표시되고, 입력된 한 줄 소감과 함께 도서 관련 DB(18b)의 서평 테이블에 저장된다(S10). 이 경우 독자평가 표시(43i)는 회원들의 한 줄 소감 평가의 만족도 표시 사항과 서평에서 전공자/비전공자 추천수를 병합하여 고려하되 만족도 표시 사항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줄 소감 평가창(43b)의 하측에는 서문, 저자/출판사의 변, 미디어 서평, 도서 목차,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된 서평을 포함한 웹사이트 운영자의 평가와 같이, 서적을 선택하는데 실질적으로 중요한 서적 내용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평가를 제공하는 평가 정보창(43d)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평쓰기(43f)에서 입력된 회원들의 서평은 다른 회원이 도서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로서 이용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5점 척도의 독자평가 표시(43i)는 웹사이트 운영자의 평가, 예를들어 오프라인에서 전문가와 비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앙케이트 조사하여 얻어진 과학적인 통계 데이터를 추가로 반영하여 5점 척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세정보창(43a)에서 만약 도서무료신청 메뉴(43g)를 선택하여 무료도서를 신청하면(S24),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료도서 당첨 확인창(51)이 팝업된다. 이 경우 만약 회원이 각종 컴뮤니티의 활동으로 인하여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갖고 있으며, 해당 서적을 꼭 받기를 원하는 경우, 마일리지 포인트 적용버튼(53)을 클릭함에 의해 일정한 포인트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하고, 그 대신에 무료도서 당첨의 확률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S25,S26).
그후 당첨확인버튼(52)을 클릭하면(S27), 마치 즉석복권과 같이 당첨 여부가 결정된다. 즉, 본 웹사이트의 모토인 "참된 책", "참된 생각", 참된 지식인"이란 3글자가 모두 나오거나 미리 지정된 해당 도서의 제목 전부나 홍보의 글이 나오면 당첨된 것이고, 하나라도 빠지면 당첨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된다.
이 경우 당첨확인버튼(52)을 클릭하면 동일한 책에 대하여 예전에 당첨된 사실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S28), 만약 당첨으로 한번 무료도서를 받은 사실이 있는 경우는 "한번 제공받은 도서는 재신청이 불가합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안내되고(S29), 당첨된 사실이 없는 경우는 무료도서 신청대상으로서 당첨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0).
처리결과 만약 당첨된 경우는 처리결과를 선택함에 의해 당첨 사실을 시스템 서버로 제공하여 도서관련 DB(18b)의 무료신청 테이블에 저장하고, 당첨된 도서는 회원에게 배송된다(S31,S32). 그러나, 당첨이 되지 않은 경우는 회원간에 균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하여 동일 도서에 대하여는 1일 1회에 한하여 신청이 가능하다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며(S33), 만약 특별회원인 경우는 강의용/연구용 도서의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을 안내해준다(S34). 이 경우 대학교의 교수 또는 중/고등학교의 선생님과 같은 특별회원은 실명으로 소속과 신청목적 등을 기재하여 강의용/연구용 도서를 신청하면 무료도서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당첨 도서 및 유료 구입한 도서의 목록과 처리현황은 마이 북 메뉴(32)에서 확인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세정보창(43a)에서 도서구입 메뉴(43h)를 선택하면 단계(S16)로 진행되어 통상적인 전자 상거래 방식에 따라 유료로 도서 구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회원이 얻은 마일리지 포인트를 서적의 구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세정보창(43a)에서 서평쓰기 메뉴(43f) 또는 메인 메뉴인 글마당 메뉴(70)에서 서평/논평 메뉴(72)를 선택하면, 도 11a와 같은 서평/논평 게시판(71)이 제공된다(S7). 상기 게시판(71)에서, 서평을 올릴 원하는 도서의 카테고리(73)를 선택하고, 도서명/논문명(74)을 입력한 후 검색을 실행하여 찾는다. 검색된 결과로부터 원하는 도서를 선택한 후 쓰기 버튼(75)을 클릭하면 도 11b와 같은 서평/논평 글쓰기 화면(76)이 제공된다.
상기 글쓰기 화면(76)에는 작성자(76a), 글분류(76b), 세부전공/주제어(76c), 제목(76d), 서평 내용(76e), 도서명76f), 저자(76g), 출판사(76h), 서평/논평 선택(76i), ISBN(76j) 및 이책의 이전과 이후에 읽는 것이 바람직한 서적을 추천하기 위한 이전/이후 읽을책 추천창(76k)이 제공된다.
상기 서평내용(76e)을 포함한 해당 사항들을 입력하고, 이전/이후 읽을책 추천창(76k)에 이 책의 이전과 이후에 읽는 것이 바람직한 도서에 대하여 도서명, 저자, 출판사, ISBN 사항을 입력하고 도서의 수준을 7레벨 중 하나로 선택한 후 추천사유를 입력하여 저장버튼을 클릭한다(S8).
상기 저장버튼의 클릭에 따라 입력된 사항들은 도서관련 DB(18b)의 서평 테이블에 작성자의 회원 가입시에 기재한 전공분류와 대조하여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어 저장된다(S9).
이에 따라 다른 회원들은 게시판(71)에서 원하는 서평/논평의 제목을 선택하여 클릭하면 도 11c에 도시된 서평/논평 글보기 화면(77)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서관련 DB(18b)의 서평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제공해준다.
또한 상기 메인 메뉴의 글마당 메뉴(70)를 선택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문가/비전문가로 나누어서 도서 및 시사에 대한 칼럼 또는 의견을 올릴 수 있는 칼럼/의견 게시판(7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게시판(78)에 올려진 칼럼 및 의견은 회원들이 도서 선택시에 참고되도록 토론관련 DB(18c)에 저장되어 활용된다.
따라서, 회원은 이 도서를 선택한 사람의 전공자/비전공자 여부 및 추천수(77a), 서평 내용(77b), 이전/이후 읽을책 추천창(77c) 등에 기재된 사항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서적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원들이 입력해준 이전/이후 읽을책에 대한 정보는 메인 메뉴에서 단계별 책보기 메뉴(60)에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즉, 단계별 책보기 메뉴(60)를 선택하는 경우(S11), 도 10a와 같은 검색창(61)이 제공되며, 검색창(61)에서 전공을 대분류와 중분류 및 소분류로서 공학〉컴퓨터〉모든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세부전공/주제어(63) 또는 강좌명으로서 "자바"를 입력하여 검색을 실행시키면(S12), 도 10b와 같은 검색 결과 리스트(64)가제공된다. 물론 각각의 분류단계에서 또는 세부전공/주제어(강좌명) 검색 단독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 검색결과 리스트(64)는 "자바"와 관련된 도서를 7단계 수준, 즉 교양, 학부개론, 학과개론, 전공원론, 세부전공(원론), 전공고급 및 대학원(석/박사) 별로 상위 10개의 도서를 선정하여 표시해준다(S13). 이 경우 각 단계의 최상위에 있는 대표적인 도서는 리스트에 제공해주고, 나머지 순위의 도서는 레이어(Layer) 처리하여 기타 항목(Etc)을 클릭하는 경우 나머지 해당 도서를 보여준다.
따라서, 회원은 상기한 각 수준별로 제공되는 도서를 참고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서적을 선택하고(S14,S15), 단계(S24)로 진행하여 무료도서를 신청하거나, 단계(S16)로 진행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유료 구매를 실시한다.
한편, 도 13은 웹사이트의 관리를 맡는 웹마스터의 관리자 메뉴 종류를 나타내는 화면예(200)로서, 본 발명에서는 웹사이트(RealBest.net)의 홈페이지에서 사용자와의 기본 인터페이스에 대한 등록, 수정 및 삭제에 대한 관리에 필요한 인터페이스(Interface) 관리 메뉴(201), 메인 페이지의 등록, 수정 및 삭제를 위한 메인 페이지(Main Page) 관리 메뉴(202), 일반 게시판에 대한 생성, 삭제, 게시판 인터페이스 변경을 위한 일반 게시판 관리 메뉴(203), 토론 게시판에 대한 생성, 삭제, 게시판 인터페이스 변경을 위한 토론 게시판 관리 메뉴(204), 회원정보 열람, 회원 등급의 수정과 강제 탈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 메뉴(205), 티커(ticker) 등록, 수정 및 삭제를 관리하기 위한 티커 관리 메뉴(206), 공지사항의 관리를 위한 공지사항 관리 메뉴(207), 새로운 도서의 등록, 등록된 도서를 수정, 삭제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한 도서 관리 메뉴(208) 및 발제된 주제에 대한 회원들의 투표의 등록, 수정 및 삭제를 관리하기 위한 투표 관리 메뉴(20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일반 게시판 관리 메뉴(203)에서는 예를들어, 게시판 별로 글수, 자료용량, 환경설정 여부, 통계, 삭제 컬럼을 갖고 있고, 출판사의 도서 관리 메뉴(208)에서는 도서명, 목차, 저자, 등록일 순으로 정렬하여 검색할 수 있고, 무료제공 도서수, 전달권수, 등록일, 신청상황, 수정 및 삭제 컬럼을 갖고 있어, 게시판 및 출판사의 도서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 메뉴(205)에서는 원하는 조건의 회원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조건 입력 필드, 예를들어, 회원 ID, 이름, E-메일, 성별, 학교/회사, 전공, 출판사, 연령, 권한, 직업, 세부전공 등이 마련되어 있어, 홍보 및 광고를 위해 신간을 무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특별회원의 검색, 회원의 관리를 위한 자료 검색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첨부된 홈페이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날자나 검색된 결과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편의상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이 출원되기 전에 이러한 행위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설명을 위해 첨부된 홈페이지 화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으로 각종 화면상의 메뉴의 배치나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의 배치 및 접근 순서는 본 발명의 정신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서에 대한 무료제공을 통해 잠재독자의 참여를 계속 유도하는 과정에서 해당도서에 대한 각종 정보나 평가내용을 학습하게 하여 적은 비용으로 직접적인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도서에 관한 평가를 전공자/비전공자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게 하고 분야별, 수준별, 단계별로 특정 정보를 접할 수 있게 하여 도서 선택의 기준을 합리화하여 독자의 개인적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무료제공의 주요대상인 강의자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하여 찾고자하는 정보나 책을 구하는데 있어 개인적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출판사회원은 본 발명의 회원등록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및 무료제공을 포함하는 홍보 활동의 대상을 적확하게 찾을 수 있어 영업에 필요한 기존의 인건비나 판촉관리비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출판의 소재와 저자의 발굴 등 기본적인 출판활동을 강화할 수 있다.
사회 문화적으로는, 본 발명의 합리적인 도서평가정보의 제공으로 일반독자의 전문도서에 대한 기존의 거부감을 없애고 전문도서를 쉽게 접하게 하는 올바른 독서습관을 형성시키는데 기여한다. 더불어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별한 서평을 비롯한 본 발명의 도서평가시스템은 무분별한 동종의 책들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회적 자원의 낭비를 막고 광고나 홍보활동의 과도한 투자가 아닌 책의 내용으로 진정한 베스트셀러를 만드는 출판문화의 형성에 기여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로부터 도서에 대한 분야별, 단계별, 수준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1데이터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출판사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도서증정 사항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도서에 대한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는 서평, 논평 및 칼럼, 의견과 해당 도서의 이전/이후에 읽어야할 도서의 수준 정보, 한 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려서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도서에 대한 평가 및/또는 추천에 응답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고 이를 시스템 서버의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도서의 분야별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도서를 검색 요청할 때 제1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도서를 난이도에 따른 다단계 수준별로 제공하여 상기 회원이 자신에 적합한 수준의 검색된 도서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2.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로부터 도서에 대한 분야별, 단계별, 수준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1데이터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출판사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도서증정 사항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1이상의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도서에 대한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는 서평, 논평 및 칼럼, 의견과 해당 도서의 이전/이후에 읽어야할 도서의 수준 정보, 한 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려서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도서에 대한 평가 및/또는 추천에 응답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고 이를 시스템 서버의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무료도서를 제공하는 도서에 대하여 무료도서를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무료도서의 신청에 응답하여 당첨여부를 판단하고 당첨된 경우 해당 도서를 해당 회원에게 배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무료도서를 제공하는 도서에 대하여 무료도서를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무료도서의 신청에 응답하여 당첨여부를 판단하고 당첨된 경우 해당 도서를 해당 회원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도서를 신청과 동시에 자신의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용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마일리지 포인트의 적용 요청이 있는 경우 무료도서신청에 대한 당첨확률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도서의 분야별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도서를 검색 요청할 때 제1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도서를 내용의 난이도에 따른 다단계 수준별로 제공하여 상기 회원이 자신에 적합한 수준의 검색된 도서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구용/강의용 도서로서 무료도서를 증정 받을 수 있는 적어도 1이상의 특별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을 거쳐 원하는 도서를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도서에 대하여 연구용/강의용 도서로서 무료도서를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무료도서의 신청에 따라 해당 도서를 증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줄 평가의 사용자 만족도를 다단계 레벨로 분류하여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된 해당 만족도 값과, 서평에서의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 가능한 내용 및 추천수와, 설문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독자평가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회원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서평/논평 게시판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게시판에서 원하는 도서의 서평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도서의 서평 선택에 응답하여 해당 도서에 대한 서평과 함께 이전과 이후에 읽어야할 도서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방법.
  9.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일반회원 클라이언트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다수의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와,
    일반회원 및 출판사회원 사이에 도서의 무료제공을 통하여 도서의 광고/홍보의 장을 제공하면서 독자들에게 도서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 서버는 인터넷망에 접속되며 웹사이트의 홈페이지로부터 도서에 대한 분야별, 단계별, 수준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1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적어도 1이상의 출판사회원이 출판사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도서증정 사항을 포함한 도서 정보를 등록할 때 이를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적어도 1이상의 일반회원이 일반회원 클라이언트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등록된 도서에 대한 전공자/비전공자로 구분되는 서평, 논평 및 칼럼, 의견과 해당 도서의 이전/이후에 읽어야할 도서의 수준 정보, 한 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릴 때 상기 제1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도서에 대한 평가 및/또는 추천에 응답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회원에게 부여하고 이를 제2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일반회원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도서의 분야별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도서를 검색 요청할 때 제1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도서를 다단계 수준별로 제공하며 상기 회원이 자신에 적합한 수준의 검색된 도서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는 메인 메뉴로서 신간 도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신간보기 메뉴와,
    일반도서에 대한 검색과 무료로 제공하는 도서를 신청할 수 있는 도서무료신청 메뉴와,
    일반회원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도서를 선택하는 경우 다단계 레벨의 수준별로 대표적인 권장도서와 단계적으로 읽을 책을 추천 받을 수 있는 단계별책보기 메뉴와,
    각종 서적에 대한 서평/논평을 올리거나, 칼럼, 창작글, 명언·명문장을 올리고 이에 대한 의견을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글마당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는 각종 주제를 발제하고 발제된 주제에 대한 토론과 대화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토론/대화 메뉴와,
    상기 회원들의 각종 동정에 대한 사항을 올릴 수 있는 회원동정 메뉴와,
    상기 회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강의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시험문제 자료, 논문 자료를 올려서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하는 자료실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회원이 도서에 대하여 무료도서를 신청하는 경우 상기 무료도서의 신청에 응답하여 당첨여부를 판단하고 당첨된 경우 해당 도서를 해당 회원에게 배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도서의 신청에 응답하여 동일한 도서에 대하여 당첨된 사실이 있는 지를 판단하고 만약 있는 경우 재당첨을 금지시킴과 동시에 재신청불가 메시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 가능한 특별회원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별회원이 연구용/강의용 도서를 신청하는 경우 무료로 증정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KR1020010036089A 2001-06-23 2001-06-23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1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089A KR20010071649A (ko) 2001-06-23 2001-06-23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089A KR20010071649A (ko) 2001-06-23 2001-06-23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649A true KR20010071649A (ko) 2001-07-31

Family

ID=1971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089A KR20010071649A (ko) 2001-06-23 2001-06-23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16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37A (ko) * 2001-08-16 2001-09-28 이승현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독서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90174A (ko) * 2002-09-13 2002-11-30 (주)북21 인터넷상에서의 개인화된 독서지원 방법
WO2014185651A2 (ko) * 2013-05-16 2014-11-20 Shin Chang Joung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US20150271012A1 (en) * 2008-06-06 2015-09-2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mulgating information on websites using serve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630A (ja) * 1995-09-13 1997-03-28 Toshiba Corp 評価機能付き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00037259A (ko) * 2000-04-11 2000-07-05 이일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서적 판매시스템
KR20010018771A (ko) * 1999-08-21 2001-03-15 박순문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20010057155A (ko) * 1999-12-18 2001-07-04 맹선영 인터넷에서의 저작물 전시방법
KR20010103539A (ko) * 2000-05-10 2001-11-23 김규환 무료 책
KR20020057379A (ko) * 2001-01-04 2002-07-11 전영권 통신망을 이용한 서적 소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630A (ja) * 1995-09-13 1997-03-28 Toshiba Corp 評価機能付き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10018771A (ko) * 1999-08-21 2001-03-15 박순문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20010057155A (ko) * 1999-12-18 2001-07-04 맹선영 인터넷에서의 저작물 전시방법
KR20000037259A (ko) * 2000-04-11 2000-07-05 이일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서적 판매시스템
KR20010103539A (ko) * 2000-05-10 2001-11-23 김규환 무료 책
KR20020057379A (ko) * 2001-01-04 2002-07-11 전영권 통신망을 이용한 서적 소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타로그(도서등의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있는 사이트에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쓸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것, 스포츠 투데이, 2000.05.08)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37A (ko) * 2001-08-16 2001-09-28 이승현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독서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90174A (ko) * 2002-09-13 2002-11-30 (주)북21 인터넷상에서의 개인화된 독서지원 방법
US20150271012A1 (en) * 2008-06-06 2015-09-2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mulgating information on websites using servers
US9401841B2 (en) * 2008-06-06 2016-07-26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mulgating information on websites using servers
US10069905B2 (en) 2008-06-06 2018-09-0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mulgating information on websites using servers
US10855752B2 (en) 2008-06-06 2020-12-01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Promulgating information on websites using servers
WO2014185651A2 (ko) * 2013-05-16 2014-11-20 Shin Chang Joung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WO2014185651A3 (ko) * 2013-05-16 2015-04-09 신창중 요청자의 니즈를 반영한 문화 예술 창작물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hman et al. Consumer buying behavior towards online shopping: An empirical study on Dhaka city, Bangladesh
Berthon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e world wide web
Mandel et al. When web pages influence choice: Effects of visual primes on experts and novices
US8214272B2 (en) Web site valuation
US71171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o children and teenagers
US20040205065A1 (en)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utilizing user opinions
Dickey et al. An overview of digital media and advertising
US201002415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dvertising, producing and displaying geographic territory-specific content in inter-operable co-located user-interface components
Kittle et al. Using college web sites for student recruitment: A relationship marketing study
Thomas et al. Direct and digital marketing in practice
Zimmerman Web marketing for dummies
KR100627845B1 (ko)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Pitts Diedrichs E-journals: the OhioLINK experience
Lahm Jr et al. " INFOPRENEURSHIP": ROOTS, EVOLUTION, AND REVOLUTION
Kolb Conducting secondary research
KR20010071649A (ko)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무료증정과 도서평가를 연계시킨도서 홍보/광고 및 선택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094942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単語・情報検索システム
Czinkota et al. Marketing research and information
KR20130091804A (ko) 아이템에 의한 광고 정보 검색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car A conceptual study on web-based marketing tools in the tourism industry
KR20030035269A (ko) 게시판의 맞춤페이지 구성을 이용한 실시간 광고 방법 및시스템
Yang Digital Trends for an Effective Corporate Communication: An In-Company Project with the German Winery Römmerts Weinwelt
Kwak et al. Consumer communications, media use, and purchases via the internet: a comparative, exploratory study
Vodrazka Impact of content attributes on us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Ogden et al. The Entrepreneur's Guide to Adverti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