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845B1 -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845B1
KR100627845B1 KR1020030063808A KR20030063808A KR100627845B1 KR 100627845 B1 KR100627845 B1 KR 100627845B1 KR 1020030063808 A KR1020030063808 A KR 1020030063808A KR 20030063808 A KR20030063808 A KR 20030063808A KR 100627845 B1 KR100627845 B1 KR 10062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valuation
contents
score
bullet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522A (ko
Inventor
서홍철
Original Assignee
에누리닷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리닷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누리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열람자들이 게시판의 각종 컨텐츠를 평가하여 부여한 누적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선정하여, 시상 및 벌칙을 부여함에 의해 우수 컨텐츠를 등록하도록 유도/발굴함과 동시에 우수 컨텐츠 선정의 객관성을 기함으로써 다른 열람자는 우수 컨텐츠만을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 또는 웹 운영자가 게시판에 다수의 컨텐츠를 올릴 때 다른 사용자가 등록된 컨텐츠를 평가하면 평가점수를 누적 계산하는 단계와, 각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위 등위로 입상된 다수의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 컨텐츠, 게시판, 사용자 평가, 시상/벌칙

Description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Method for Determining Excellent Contents in Internet Web Bulletin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웹 사이트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버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웹 사이트 시스템의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경우 보여주는 홈페이지 메인 화면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게시판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게시판의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은 컨텐츠 등록 절차, 도 7은 컨텐츠 평가 절차, 도 8은 평가점수 누적 절차,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 등급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순위 결정 및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보여주는 표,
도 10은 게시판 또는 홈페이지에 등록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내용과 평가란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5점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순위 결정 및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1a는 컨텐츠 1-3의 평가결과에 대한 누적 평가점수 계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 도 11b는 컨텐츠 1-3에서 각 평가자가 얻는 점수 계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 도 11c는 각 컨텐츠에 대한 누적 평가점수 순위를 보여주는 표, 도 11d는 각 평가자들이 얻은 점수 순위를 보여주는 표,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평균점수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순위 결정 및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컨텐츠 1-3의 평가결과에 대한 평균점수 계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 도 12b는 각 컨텐츠에 대한 평균점수 순위를 보여주는 표, 도 12c는 컨텐츠 1-3에서 각 평가자가 얻는 점수 계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 도 12d는 각 평가자들이 얻은 점수 순위를 보여주는 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a-1n ; 컨텐츠 등록자 클라이언트 3a-3n ; 컨텐츠 평가자 클라이언트
5a-5n ; 사용자 클라이언트 6 ; 시스템 서버
7a-7c ; 웹서버 8 ; DB 서버
9a,9b ; 관리자 단말기 10 ; 인터넷 망
18a ; 회원정보 DB 18b ; 컨텐츠 DB
18c ; 게시판 정보 DB 18 ; DBMS
21 ; 홈페이지 화면 22 ; 회원가입 메뉴
23 ; 쇼핑 메뉴 24 ; 커뮤니티 메뉴
25 ; 검색 메뉴 26 ; 뉴스 메뉴
27 ; 메일 메뉴 28 ; 게임 메뉴
29 ; 전체보기 메뉴 31 ; 로그인 메뉴
32 ; 마이 포인트 메뉴 33 ; 검색 메뉴
34 ; 탑 뉴스창 35 ; 이벤트 안내창
36 ; 세부 메뉴 안내부 36a ; 요리맛집 메뉴
40 ; 게시판 화면 41 ; 게시판 등록번호
42 ; 작성자 ID 43 ; 컨텐츠 분류
44 ; 제목 45 ; 우수 컨텐츠 표시마크
50 ; 검색창 51 ; 글쓰기 메뉴
52 ; 우수 컨텐츠 보기메뉴 53 ; 목록선택 메뉴
61 ; 컨텐츠 제목 62 ; 컨텐츠 내용
63 ; 컨텐츠 평가란
본 발명은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글 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상의 다수의 열람자들이 웹 게시판에 올려진 각종 컨텐츠를 평가할 때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상태로 평가하여 부여한 누적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선정하여, 시상 및 벌칙을 부여함에 의해 우수 컨텐츠를 등록하도록 유도/발굴함과 동시에 우수 컨텐츠 선정의 객관성을 기함으로써 다른 다수의 열람자는 보다 유용한 우수 컨텐츠만을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글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인프라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의 대중화와 활성화가 이루어졌으며, 사용자들은 사용자들이 필요한 각종 정보 수집에 사전이나 전문서적을 이용하는 것 대신에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검색에 만족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정보 검색 엔진의 구축뿐 아니라 정보 검색에 기초가 되는 지식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질 높은 데이터로 채워져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를 질 높은 데이터로 채우는 것은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많은 인터넷 포탈 사이트에서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부 웹 사이트(예를들어, www.empas.com)에서는 베스트 질문과 답변을 포함하여 질문과 답변의 수준에 따라, 답변 평가시, 퀴즈, 고민, 자료를 올리거나 답하는 경우, 로그인 및 신규회원 가입시 등에 마일리지 개념의 차등 포인트를 부여하고, 질문 삭제, 비공개 질문, 질문유기(답변 미채택), 미해결 질문으로 넘어갈 경우, 경고/삭제된 게시물인 경우는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네티즌의 참여를 유인함에 의해 양질의 정보를 수집하여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이 사이트에서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5점 평가방식에 따라 평가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답변의 질을 판단하여 평점을 제시하고 있고, 평가는 1일당 10회 로 제한하고 있으며, 질문, 답변, 평가, 의견쓰기 등 지식거래소(KDAQ) 내부에서 다양한 활동을 한 종합 지식포인트를 기반으로 하여 지식거래 순위를 매기고 지식거래 순위에 따라 지식의 달인, 박사, 대학생, 고등학생 등의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인트 부여/차감 방식은 포인트 부여의 객관성과 정보의 등급을 판단하는 데 많은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와, 질문자와 답변자 및 평가자들의 등급 정보와 답변 채택률, 퀴즈 정답률 등이 공개되므로 이러한 자료들이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러한 포인트 부여/차감 방식만으로는 베스트 글 선정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인터넷 포탈 사이트들은 많은 회원수 확보를 위해 각종 커뮤니티(즉, 동호회 모임)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는 게시판을 운영하면서 커뮤니티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사진 자료와 같은 컨텐츠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정보교류 및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게시판은 커뮤니티 사이트 뿐 아니라 각종 인터넷 웹 사이트는 대부분 회원 게시판 또는 자유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저명한 인터넷 뉴스 포탈 사이트나 유명 정치인 또는 인기 스타 사이트의 게시판에는 많은 사용자들이 몰리고 있고, '북한 핵문제' 또는 '햇빛정책'이나 '지역감정'과 같은 민감한 주제가 올려진 경우는 상호 비방, 욕설과 함께 자신의 주장을 도배하는 등의 유해성 글이 건전한 글 또는 유익한 글과 함께 혼재되어 게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의 게시판에는 불특정 다수의 방문객들이 각각 다양한 글을 등록하게 되므로 그 중에서 내용이 우수한 글을 찾아내어 우선적으로 간편하게 열람하게 하려면 검토 대상의 양이 너무 많아서 사이트 운영자가 선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객관적인 선정 기준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이러한 게시판에는 각각의 등록된 글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 및/또는 추천수를 병기하여 제시함에 의해 다른 사용자들이 우수 글을 판단하는데 다소 도움을 주고 있으나, 효과적인 우수 글 선정에 한계가 있고, 대부분은 우수 글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적인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우수 글로 선정된 글의 작성자 또는 평가자에게 시상을 하는 사이트에서는 대부분 등록된 글마다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여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 이 경우 열람자들이 시상(즉, 마일리지)을 받기 위하여 이미 누적된 점수가 높은 글(즉, 수수 글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글)에 평가 점수를 몰아주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더욱이, 글을 올리는 등록자에게도 시상을 하는 경우는 점수 획득에 의한 시상만을 목적으로 불성실한 글을 등록하는 폐단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84418호에는 고객이 읽은 텍스트에 관한 정보와 같은 정보에 기반한 개별화된 텍스트 컨텐츠 등급 및/또는 추천을 제공하는 네트웍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기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인터넷 도서 판매 쇼핑몰 등에서 새로운 서적이 등록된 경우 서적에 대한 서평 또는 추천을 올릴 때 서평 등록자 개인이 선호하고 있는 사항 과 싫어하는 사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유익한 등급 및 추천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65033호에는 사이버 증권거래를 수행할 때 웹 게시판에 올려진 데이터를 평가한 평점을 게시 데이터와 함께 표시해줌에 따라 각 사용자들이 양질의 주식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사이버 증권거래 시스템의 다기능 게시장치 및 게시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등록 정보에 대한 게시방법은 일정기간별로 게시 데이터의 조회수와 평균 평점이 가장 높은 정보 등록자를 선정하여 시상하는 방식으로 양질의 주식정보를 등록하도록 유인하고 있으나, 이는 거짓 정보 또는 미확인 정보에 대한 제재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루머와 작전세력이 난무하는 증권업계의 속성상 부여된 평점/평균평점의 신뢰성이 낮고, 작전세력에 이용당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 또는 웹 운영자가 웹 게시판 또는 홈페이지에 올린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평가할 때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상태로 평가하여 부여한 누적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일정한 기간별로 순위를 산정함에 의해 우수 컨텐츠를 발굴하여 다른 다수의 열람자는 보다 유용한 우수 컨텐츠만을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시판에 올라온 각종 컨텐츠를 1등급 평가방식으로 평가할 때 각 컨텐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로 인하여 해당 컨텐츠가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경우 컨텐츠 등록자와 함께 마일리지 포인트 부여 등의 시상을 실시하고, 이와 반대로 하위순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등록자 및 하위순위 컨텐츠에 우수 평가 점수를 부여한 평가자에 대하여는 통상적으로 부여되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거나 또는 벌점을 부가함에 의해, 평가자들의 불성실한 평가를 방지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문자들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 회수를 기간별로 제한을 설정함에 의해 시상을 목적으로 무한정 많은 컨텐츠들에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제한하고 우수한 컨텐츠에 대하여만 평가점수를 부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록된 컨텐츠에 대하여 2주 또는 1개월 정도의 일정한 기간동안 평가자들이 부여하여 누적된 점수를 비공개로 설정함에 의해 평가자들이 컨텐츠의 질에 관계없이 누적 평가점수가 높은 글에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폐단을 차단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일정한 기간동안만 평가를 허용하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평가를 차단함과 동시에 각 컨텐츠에 부여된 누적 평가점수를 공개하여 보여주면서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것을 표시해줌에 의해 평가자 입장에서 자신이 평가한 결과와 다른 평가자의 평가 결과를 비교/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의 평가시 5점 평가와 같은 가중 평가방법을 채용한 경우 누적 평가 점수에 대한 평균치를 구하여 평균평점이 높은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 선정함에 의해 누적 평가점수만으로 질이 낮은 컨텐츠가 우수 컨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평가자들이 컨텐츠를 평가할 때 우수 컨텐츠로 평가된 컨텐츠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경우는 이에 비례하는 보상점수를 부여하여 상위득점 및 하위득점 보상점수 획득자를 선발하여 시상 및 벌점을 부과하는 것에 의해 우수 컨텐츠 선정을 유도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질이 우수한 컨텐츠와 질이 낮은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구별하여 시상과 벌점을 부여함에 의해 건전한 토론 문화의 정착과 함께 유익한 정보를 구비한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분야의 게 시판 메뉴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선택된 게시판 화면을 각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중의 적어도 일부가 게시판 화면의 글쓰기 메뉴를 선택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한 후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웹서버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요청하며, 새로 등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게시판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송부하여 게시판 화면을 갱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중의 적어도 일부가 게시판에 등록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요구에 응답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에 대한 해당 평가 점수를 선택하여 평가점수 데이터를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로 업로드된 평가점수 데이터를 각각의 컨텐츠별로 누적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서 상위 등위로 입상된 다수의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에 응답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토론되기를 원하는 적어도 1이상의 컨텐츠를 구비한 화면을 각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에 대한 토론 내용을 입력한 후 토론 내용을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웹서버는 해당 토론 내용을 시스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새로 등록된 토론 내용을 홈페이지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송부하여 홈페이지 화면을 갱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중의 적어도 일부가 홈페이지에 등록된 토론 내용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토론 내용을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여 토론 내용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요구에 응답하여 다운로드된 토론 내용에 대한 해당 평가 점수를 선택하여 평가점수 데이터를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로 업로드된 평가점수 데이터를 각각의 토론 내용별로 누적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토론 내용에 대하여 토론 내용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토론 내용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토론 내용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각각의 토론 내용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서 상위 등위로 입상된 다수의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에 응답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평가되기를 원하는 적어도 1이상의 컨텐츠를 구비한 화면을 각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등록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서버는 상기 시스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 내용을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여 컨텐츠 내용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요구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해당 평가 점수를 선택하여 평가점수 데이터를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는 업로드된 평가점수 데이터를 각각의 컨텐츠별로 누적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각 컨텐츠별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위 등위로 입상된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경우 상기 상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비공개로 하고, 평가가 완료된 후에 비공개 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 누적된 평가점수를 비공개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평가자들의 선입견을 배제하고 시상을 받기 위해 점수를 몰아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텐츠는 홈페이지 운영자 또는 사용자, 또는 홈페이지 운영자만에 의해 올려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텐츠 내용은 문의 또는 토론이나 평가를 위한 주제글, 사진, 오디오, 추천 웹사이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컨텐츠의 평가는 1점 평가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등위선정은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평가는 다점 평가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우수 컨텐츠 선정을 위한 등위 결정시에 수준 낮은 컨텐츠가 입상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누적 평가점수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여, 상기 등위선정을 평균평점이 높은 순으로 결정하여 우수 컨텐츠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컨텐츠의 평가가 다점 평가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컨텐츠 평가자에 대한 등위 선정은 (각 평가자가 부여한 점수×(전체 컨텐츠 수 - 해당 컨텐츠의 등위)×해당 컨텐츠의 평균점수)를 계산하여 각 컨텐츠에 대하여 평가시에 얻은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에 따라 얻은 보상점수를 평가자별로 누적하는 단계와, 누적 평가점수의 순서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 평가자에 대한 등위 선정은 (해당 컨텐츠의 평균점수×평가자가 부여한 점수÷해당 컨텐츠의 등위)를 계산하여 각 컨텐츠에 대하여 평가시에 얻은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에 따라 얻은 보상점수를 평가자별로 누적하는 단계와, 누적 평가점수의 순서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누적 평가점수에 대한 평균값을 구한 후 등위선정을 평균평점이 일정 레벨 이상인 컨텐츠에 한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시상을 위하여 무한정 많은 글에 점수를 부여하는 문제의 해결과 동시에 우수 컨텐츠에만 점수를 부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에 대한 평가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평가 기간당 설정된 회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또는 웹 운영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웹 게시판에 다수의 컨텐츠를 올릴 때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웹 게시판에 접속된 다른 사용자가 등록된 컨텐츠를 평가하면 컨텐츠별로 평가점수를 누적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우수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웹 운영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웹 게시판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올릴 때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웹 게시판에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컨텐츠를 평가하면 컨텐츠별로 평가점수를 누적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각 컨텐츠별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우수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게시판에 올라온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평가한 누적 평가점수를 평가기간동안 비공개로 유지한 채 평가를 진행하여 누적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함에 의해 우수 컨텐츠를 발굴한 후, 평가기간이 종료된 후에 비공개된 누적 평가점수를 공개하여 다른 다수의 열람자는 보다 유용한 우수 컨텐츠만을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 대하여는 해당 컨텐츠가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경우 컨텐츠 등록자와 함께 시상을 실시하고, 이와 반대로 등록된 컨텐츠가 하위순위에 해당하게 되는 경우는 등록자 및 평가자에게 부여되는 통상적인 점수를 부여하지 않거나 또는 벌점을 부가함에 의해, 평가자들이 불성실한 평가를 방지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양질의 컨텐츠 확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질이 우수한 컨텐츠와 질이 낮은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구별하여 시상과 벌점을 부여함에 의해 건전한 토론 문화의 정착과 함께 유익한 정보를 구비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게 유도한다.
더욱이, 상기한 우수 컨텐츠 발굴을 이용하면, 지식 검색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의 축적, 우수 이미지 자료 평가, 우수 사이트 평가, 도서 구매 가이드를 위한 도서의 서평, 제품의 사용 평가글 등을 매우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지식검색 사이트,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 웹 사이트에 대한 평가 사이트(ranking site), 제품 사용기 사이트 및 각종 전자상거래 사이트 등의 구축 및 운용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웹 사이트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웹 사이트 시스템은 컨텐츠 등록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컨텐츠 등록 클라이언트(1a-1n)로 이루어진 컨텐츠 등록 집단(1)과, 컨텐츠 평가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컨텐츠 평가 클라이언트(3a-3n)로 이 루어진 컨텐츠 평가 집단(3)과, 단순한 게시판 열람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5a-5n)로 이루어진 사용자 집단(5)과, 컨텐츠 등록 집단(1)과 컨텐츠 평가 집단(3) 및 사용자 집단(5)이 각각에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망(10)을 통하여 홈페이지에 접속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집단(1,3,5) 사이에 인터넷 웹 게시판을 통하여 컨텐츠의 등록 및 평가의 장을 제공하면서 사용자들에게 글 또는 사진 등의 우수 컨텐츠와, 인터넷 전자 상거래시에 거래 물품의 구매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서버(6)로 구성되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 설명에서 다수의 컨텐츠 등록 클라이언트(1a-1n)와 다수의 컨텐츠 평가 클라이언트(3a-3n) 및 다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5a-5n)는 각각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터미널로 구성되며, 이후로는 설명의 편의상 등록자, 평가자 및 사용자로 약칭하여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컨텐츠를 등록 또는 평가/열독하는 행위의 주체가 되는 컨텐츠 등록자/평가자 또는 컨텐츠를 열독하는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고, 컨텐츠 등록자 집단(1)과 컨텐츠 평가자 집단(3) 및 사용자 집단(5)은 각각 다수의 컨텐츠 등록 클라이언트(1a-1n)와 다수의 컨텐츠 평가 클라이언트(3a-3n) 및 다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5a-5n)의 집합체를 가리킨다.
상기 시스템 서버(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웹서버(Web Server)(7a-7c)와 데이터 베이스(DB) 서버(8)로 구성되며, 상기 웹서버(7a-7c)는 각각의 클라이언트(1a-1n,3a-3n,5a-5n)가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접속할 때 도 4에 도시된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을 다운로드시켜 주고, 클라이언트로부터 홈페이지 의 메뉴선택에 따라 해당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 데이터를 DB 서버(8)에 조회하여 입수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시켜 주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입력 내용을 DB 서버(8)에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웹서버(7)와 DB 서버(8) 사이에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구비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홈페이지의 메뉴선택에 따라 웹서버(7)로부터 해당 메뉴에 해당하는 화면 데이터를 요청할 때, DB 서버(8)에 조회하여 입수한 데이터를 웹서버(7)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시켜 주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입력 내용을 DB 서버(8)에 기록하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 서버(6)는 내부 LAN에 접속되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되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고속으로 다운 스트리밍하기 위하여 인터넷(10)에 접속된 파일서버(File Server)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 서버(6)에는 시스템의 전반적 업무과정을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관리자 단말기(9a,9b)가 내부 LAN 또는 인터넷(Internet)(1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9) 또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터미널로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서버(6)는 게시판 운영에 관한 구성만을 나타낸 것으로, 각종 전자상거래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운영에 필요한 쇼핑몰 서버, 검색 서버, 뉴스 서버, 메일 서버, 게임 중계서버 등은 설명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또한, DB 서버(8)는 회원정보 DB(18a), 컨텐츠 DB(18b) 및 게시판 정보 DB(18c)를 구비하고, 웹서버(7)와 연결되어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에서 사용자의 개별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홈페이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 및 갱신하여 관리하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DB 서버(8)는 예를들어, 오라클(Oracle),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서버, Informix 등의 주지된 관계형 데이터 관리 시스템(RDBMS :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 DB(18a)는 컨텐츠 등록자, 컨텐츠 평가자 및 일반 사용자 회원의 이름을 포함한 각종 인적사항 필드, 웹서버에 로그인할 때 회원의 신분확인을 위한 ID 필드와 비밀번호(PW: Pass Word) 필드, 회원의 E-메일과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 회원의 연락처 필드와, 컨텐츠 등록 및 평가에 따라 주어진 평가점수 기록 필드, 평균 평점 기록 필드, 마일리지(포인트) 필드, 시상 내용 기록 필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 DB(18b)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등록자의 ID, 컨텐츠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고, 게시판 정보 DB(18c)에는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게시판 등록번호 필드, 작성자 ID 필드, 분류 필드, 제목 필드, 우수 글(또는 컨텐츠) 선정 필드, 작성일자 필드 등의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물론,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18a-18c)는 웹 게시판 운영과 관련된 데이터만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포탈 사이트 운영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는 주지된 구성에 따라 구비된다. 이들 데이터 베이스는 필요에 따라 더욱더 세분화하여 구성될 수 도 있고 통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시스템 서버(6)와 다수의 클라이언트(1a-5n) 사이의 접속은 모뎀과 PSTN, 전용선, ISDN, xDSL 등을 이용한 각종 유선 인터넷 접속방식 또는 셀룰러, PCS, 마이크로웨이브나 위성통신망 등을 통한 각종 무선 인터넷 접속방식으로 가능하다. 각각의 클라이언트(1a-5n)는 상기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망(10)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클라이언트(1a-5n)는 예를들어, 펜티엄급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와, 통신용 모뎀과, 멀티미디어 수신장치 등을 갖춘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무선 단말기에 인터넷 접속을 지원해주는 인터넷 웹브라우저가 탑재된 것이라면 어떤 기종의 PC 또는 단말기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웹 사이트 시스템의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 동작을 도 3a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웹 사이트 시스템의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경우 보여주는 홈페이지 메인 화면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게시판을 보여주는 화면예,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게시판의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예를들어 컨텐츠 등록자, 평가자 및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1a,3a,5a)에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6)의 웹서버(7)에 접속하면 홈페이지 화면이 다운로드 된다(S1).
상기 홈페이지 화면에는 회원으로 가입을 위한 회원가입창을 제공하는 회원가입 메뉴와 기 등록된 회원에 대한 로그인 메뉴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신규회원은 회원등록 절차(S2-S4)를 거치면서, 회원정보 DB(18a)의 각 필드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여 약관에 동의하는 경우 입력된 정보는 회원정보 DB(18a)에 저장되며, 그후 로그인 과정을 거치면(S5), 도 4에 도시된 홈페이지 화면(21)이 해당 클라이언트(1a,3a,5a)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며, 모든 메뉴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인 홈페이지 화면(21)의 일측편에는 로그인 메뉴(31), 회원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보여주는 마이 포인트(My Point) 메뉴(32), 키워드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구비한 검색 메뉴(33)가 구비되어 있고, 상측에는 회원가입 메뉴(22), 쇼핑 메뉴(23), 커뮤니티 메뉴(24), 검색 메뉴(25), 뉴스 메뉴(26), 메일 메뉴(27), 게임 메뉴(28), 전체보기 메뉴(2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홈페이지 화면(21)의 중앙부에는 탑 뉴스창(34) 및 이벤트 안내창(35)이 배치되고, 하단부에는 각 주제별 세부 메뉴가 배열된 세부 메뉴 안내부(36)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세부 메뉴 안내부(36)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예를들어 요리맛집 메뉴(36a)를 선택하면, 요리맛집 메뉴에 대한 세부 메뉴로서, 예를들어, 각종 음식에 대한 조리방법에 대한 메뉴와, 맛있는 요리를 제공하는 맛집을 소개하는 메뉴와, 요리 및 맛집에 대한 질문과 답변, 정보교환 등의 장을 제공하는 게시판 메 뉴 등이 구비된 커뮤니티(동호회) 성격의 홈페이지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한 웹 사이트에 있어서는 세부 메뉴 안내부의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게시판 메뉴를 포함하는 세부 메뉴가 제공되지 않고, 몇 단계의 세부메뉴를 선택한 이후에 게시판 메뉴가 제공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웹 사이트의 세부 메뉴나 일반적인 커뮤니티 사이트 또는 대부분의 인터넷 웹 사이트는 메인 홈페이지 화면에 게시판 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어떤 종류/구조의 인터넷 웹 게시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올리고 평가하는 것 대신에 웹 사이트(즉, 인터넷 홈페이지) 운영자가 주체가 되어 평가될 콘텐츠, 즉 주제로서 글, 사진 등을 올리고 사용자들이 평가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더욱이, 상기한 운영자가 올리는 콘텐츠는 커뮤니티의 게시판 뿐 아니라 웹 사이트의 메인 홈페이지 화면이나 커뮤니티의 메인 화면에 토론 및/또는 평가의 주제로서 올려질 수 있다.
즉, 웹 사이트의 홈페이지 화면(21)에 구비된 토론/평가 주제창(37)에 예를들어, "북한 인공기 소각 어떻게 생각하나?" 또는 "정민태 선수 최다 연승 기록 세계신기록으로 인정될 수 있나?"와 같이 각종 토론 주제가 올려지고, 이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의견글을 올리면 제3의 사용자가 이들 내용을 평가하는 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토론/평가 주제창(37)에는 토론 주제 이외에 사용자들의 평가를 요하는 주제로서 웹 사이트 명(즉, URL)을 올리면 사용자들이 해당 웹사이트에 대 한 평가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면 해당 웹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가치 평가, 랭킹 평가 등의 정보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사용자가 게시판 메뉴를 선택한 경우(S6), 웹서버(7a)는 도 5와 같은 게시판 화면(40)을 해당 클라이언트(1a)로 제공한다(S7).
상기 게시판 화면(40)에는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게시판 등록번호(41), 작성자 ID(42), 컨텐츠의 분류(43), 제목(44), 우수 컨텐츠 표시마크(45), 작성일자(46) 등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또한, 게시판 화면(40)의 하측에는 게시된 내용을 키워드 검색하기 위한 검색창(50), 새로운 질문 또는 제안 글이나 사진 등의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글쓰기 메뉴(51),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것만을 모아서 볼 수 있게 제공하는 우수 컨텐츠 보기 메뉴(52), 이전 페이지 또는 이후 페이지 게시물을 선택하기 위한 목록 선택 메뉴(53)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후 상기 사용자가 예를들어, 텍스트로 이루어진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 등록자인 경우 등록자 클라이언트(1a)의 게시판 화면(40)에서 글쓰기 메뉴(51)를 선택한 후 예를들어, "짜장면 만드는 법 가르쳐 주세요"라는 질문을 작성하고, 이를 웹서버(7a)로 전송하면 질문 내용은 웹서버(7a)를 통하여 DB 서버(8)의 컨텐츠 DB(18b)에 새로운 게시판 등록번호(41)가 부여되어 저장/등록되며(S8), 이 등록된 사항은 웹서버와 접속중인 모든 클라이언트(1a-5n)로 뿌려져서 게시판 화면(21)이 갱신된다.
즉, 도 6과 같이 다수의 컨텐츠 등록자들은 시차를 두고 등록자 클라이언트(1a-1n)를 통하여 웹사이트의 게시판을 방문하여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글, 추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사진 등)를 등록하게 된다.
이 경우 웹 사이트 운영자도 다른 등록자와 동일하게 관리자 단말기(9a,9b)를 통하여 평가될 콘텐츠 또는 주제를 올릴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 등록은 받지 않고 운영자만이 평가될 콘텐츠를 1 또는 다수개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평가될 콘텐츠는 글, 추천 URL, 사진 이외에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 등 어떤 종류의 콘텐츠도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컨텐츠가 게시판에 올라오거나 홈페이지의 토론 주제로서 올려지면 게시판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되어 있던 다른 사용자들은 도 7과 같이 컨텐츠 평가자(A 내지 F)로서 각각 평가자 클라이언트(3a-3n)를 통하여 각각의 관심분야의 등록된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를 열면 도 10과 같이 등록된 컨텐츠 제목(61), 컨텐츠 내용(62) 및 컨텐츠 평가란(63)이 구비된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컨텐츠가 글인 경우 그 내용을 읽어본 후 컨텐츠에 대한 답글(리플: reply)을 올리면서 또는 리플 없이,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내용의 하측에 제시되는 컨텐츠 평가란(63)에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S9).
평가방법으로 5점 평가방법을 채택한 경우 평가자(A 내지 F)는 자신의 평가에 따라 5등급의 5점 척도 평가항목 중 하나에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5점 척도 평가에서 컨텐츠의 질이 최상급인 경우 평가 표시는 5점으로 표시되고, 질이 중상급인 경우는 4점으로 표시되며, 질이 중간은 3점으로 표시되고, 중하급 질에는 2점 으로 표시되며, 최하급 질에는 1점으로 표시된다. 상기한 평가점수는 컨텐츠의 등록과 마찬가지로 웹서버를 통하여 컨텐츠 DB(18b)에 저장되며, 해당 평가자의 회원정보 DB(18a)에도 저장된다.
5점 평가인 경우 각각의 평가자는 도 10과 같이 1-5 중 어느 하나의 점수를 부여하게 되며, 평가기간이 종료된 경우 각 컨텐츠에 대한 점수는 각 평가자들이 부여한 점수들의 합계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점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어떤 컨텐츠가 도 11과 같이 다수의 평가자로부터 평가점수를 받은 경우 이 컨텐츠에 대한 누적 평가점수는 각 평가 등급에 따른 점수에 해당 평가자 수를 곱하여 합한 값인(즉, 1x2 + 2x11 + 3x30 + 4x15 + 5x1 = 179) "179"점으로 결정된다.
컨텐츠에 대한 평가방법은 상기와 같이 1부터 5까지 5등급으로 '우수' 정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점수를 부여하는 5점 평가점수 부여방법 이외에 도 9와 같이 '우수' 여부만으로 평가하는 1점식의 단일 등급 평가 방법에서부터 다양한 등급제를 적용하여 각 컨텐츠의 우수성 정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평가하는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평가자들이 5점 척도 평가항목 중 하나의 등급에 체크하면, 체크한 평가 등급에 해당하는 점수가 웹서버를 통하여 컨텐츠 DB(18b)의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누적 평가점수 테이블에 종합되어 누적된다. 또한 누적 평가점수는 웹서버에 의해 평균치가 구해져서 평균 평점이 컨텐츠 DB(18b)의 평균평점 테이블에 저장/갱신된다.
상기한 누적 평가점수는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예를 들어, 1주, 2주 또는 1개월 정도의 일정한 기간동안 비공개로 설정함에 의해 다른 평가자들이 컨텐츠의 질에 관계없이 누적 평가점수가 높은 글에 높은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폐단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누적 평가점수가 높은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 선정하나, 평가자들이 5점 평가에서 높지 않은 점수(2점 또는 1점)를 다수의 평가자로부터 부여받아서 누적 평가점수가 높게 나오는 경우 해당 컨텐츠는 실질적으로 양질의 우수한 컨텐츠로 평가할 수 는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누적 평가점수가 최상위권에 속하는 경우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최고의 관심 대상이 된 사실을 어느 정도 고려하여 예를들어, 평균평점이 2.5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우수 컨텐츠에 대한 시상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평균평점이 가장 높은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 선정함에 의해 누적 평가점수만으로 질이 낮은 컨텐츠가 우수 컨텐츠로 선정되는 것을 차단할 수 도 있다.
그러나, 각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우수' 여부만으로 표현하는 단일 등급 평가방식일 경우는 누적 평가점수가 높은 순위로 우수 컨텐츠를 선발한다. 도 9는 컨텐츠에 대한 평가방법으로서 단일 등급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우수 컨텐츠 선정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더욱이, 컨텐츠에 대한 평가는 각각의 평가자에 대하여 일정기간에 소정의 평가 기회만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평가자에게 매 1주일에 20개의 컨텐츠에 대해서만 평가의 기회를 부여하며, 해당 기회의 모든 평가시에 각 평가 등급을 고르게 사용하게 하는 방법으로써 5점 평가 방식으로 20회까지 평가하는 경우 각 평가자들은 각 컨텐츠에 평가한 점수들의 합계가 60점이 넘지 않게 제한함으로써 평가를 남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후, 이러한 방식으로 등록된 각 컨텐츠는 도 8과 같이 등록일을 기준으로 제1기간, 예를들어, 2주일 동안만 평가기회를 부여하고, 그 기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평가를 중지시키며 각 컨텐츠에 대한 제2기간, 예를 들어, 2주간의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 2주차에 등록된 컨텐츠가 2주간의 평가가 종료하는 날짜 이후, 즉 29일차에 누적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도 9와 같이 순위를 결정한다(S10-S12).
한편, 웹 사이트 운영자가 홈페이지 화면에 주제 글, 추천 URL, 사진,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나 멀티미디어 동영상 등의 평가를 위한 콘텐츠를 제시한 경우, 특히 동일한 날자에 평가대상의 다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올린 경우 평가기간의 설정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각 컨텐츠의 등록일로부터 일정한 제1기간을 정하여 평가를 종료하며, 토론을 위한 콘텐츠가 제시된 경우는 토론 주제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올린 다수 사용자들의 다수 토론 내용 글에 동등한 평가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와 도 11c 및 도 11d에서 기호 "*"는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상위 등위 컨텐츠, "@"는 하위 등위 컨텐츠, "#"는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상위 등위 컨텐츠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평가자, "&"는 하위 등위 컨텐츠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평가자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누적 평가점수에 대한 순위가 결정되면 각각의 컨텐츠가 상위 등위, 예를들어 1등 내지 3등의 컨텐츠(즉, 컨텐츠3-5, 컨텐츠8-7, 컨텐츠1-8)(*)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S13), 판단결과 해당 컨텐츠가 상위 등위 컨텐츠(*)에 해당되면 해당 컨텐츠를 등록한 3명의 컨텐츠 등록자에 대하여는 우수 컨텐츠 등록자로 선발하여 포털 사이트 내에서 사용 가능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하며, 해당 컨텐츠에 점수를 주었던 평가자(A-H,Q-S,V,W)에 대하여도 소정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시상한다(S14).
상기 우수 콘텐츠에 대한 평가는 단일 등급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이므로 평가자는 해당 컨텐츠에 "우수"함으로 평가를 주었던 평가자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해당 컨텐츠가 상위 등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하위 등위 컨텐츠(@)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고(S15), 판단결과 하위 등위 컨텐츠(@)에 해당되는 경우는 하위 등위, 예를들어 300등, 299등의 컨텐츠(즉, 컨텐츠3-1, 컨텐츠2-3)를 등록한 2명의 컨텐츠 등록자에 대하여는 저급의 무익한 컨텐츠 등록자로 선정하여 해당 컨텐츠 등록자에게 부여되었던 평가점수를 주지 않거나 또는 주었던 점수를 삭감 또는 취소하며, 해당 하위 등위 컨텐츠(@)에 점수를 주었던 평가자(B,E)에 대하여도 소정의 벌칙을 부여한다(S16).
상기한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가자에 대한 시상은 상위 등위 컨텐츠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모든 평가자에게 시상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는 해당 평가자가 다수의 다른 컨텐츠에 대한 평가 행위를 고려하지 않는 평가방식이므로 해당 웹 사이트측에서 볼 때 상기 평가자는 우수 컨텐츠 확보에 진정한 도움을 주지 못한 경우에도 한번의 정확한 평가로 시상을 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평가자에 대한 시상 기준을 변경하여 다수의 평가기회에서 각각의 평가자가 얻은 누적 보상점수 순위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가려내어 시상과 벌점을 부과함에 의해 단 한번의 평가가 아니라 등록된 모든 컨텐츠의 평가작업에 객관성을 갖고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우수 컨텐츠의 발굴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5점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순위 결정 및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보여준다.
도 11a와 같이 예를들어, 컨텐츠 1-3에 대하여 다수의 평가자(A,P,B, ... ,Y)가 평가점수를 부여한 경우 컨텐츠 1-3에 대한 누적 평가점수는 179점이 된다.
이 경우 컨텐츠 1-3에 대하여 각 평가자가 얻는 점수는 도 11b의 표와 같이 컨텐츠 1-3이 얻은 누적 평가점수, 즉 179에 자신이 부여한 점수를 곱한 값이 평가자가 얻은 보상점수가 된다. 즉, 평가자(Y)가 얻은 보상점수는 179×5=895으로 계산된다.
이 경우 각 컨텐츠에 대한 시상은 도 11c와 같이 누적 평가점수 순위에 따라 상위 등위 컨텐츠(*)와 하위 등위 컨텐츠(@)를 가려내고, 각 평가자들에 대하여는 각 평가자들이 얻은 보상점수 순위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가려내어 시상과 벌점을 부과함에 의해 평가의 객관성을 도모하여 우수 컨텐츠의 발굴을 유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평균점수 평가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순위 결정 및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을 보여준다.
제3실시예에 따른 평균점수 평가방법은 도 12a와 같이 예를들어, 컨텐츠 1-3에 대하여 다수의 평가자(A,P,B, ... ,Y)가 평가점수를 부여한 경우 컨텐츠 1-3에 대한 누적 평가점수는 179점이 되고, 이에 대한 평균점수(ⓐ)는 (누적 평가점수/평가자수)를 계산하여 얻어진 3.03이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평균점수(ⓐ)를 계산하여 득점순으로 정렬하여 등위를 정하면 도 12b의 표와 같이 득점순서에 따라 상위 등위 컨텐츠(*)와 하위 등위 컨텐츠(@)가 가려진다.
평균점수 평가방법을 채용한 제3실시예에서는 각 평가자에게 부여하는 보상점수계산을 도 12c와 같이 2가지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처리하며, 보상점수를 부여하는 기본개념은 순위가 높은 컨텐츠에 점수를 부여한 평가자일수록 그리고 평가자가 부여하였던 평가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컨텐츠로 인하여 획득하는 보상점수가 높게 설정하는 가중치 적용 방식이다. 즉, 각 컨텐츠의 순위에 반비례하는 값으로 보상점수를 부여한다.
예를들어, 첫 번째 계산방식은 (평가자가 부여한 점수×(전체 컨텐츠 수 - 해당 컨텐츠의 등위)×해당 컨텐츠의 평균점수)으로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상기 계산방식으로 보상점수를 계산하면 컨텐츠 1-3의 순위가 전체 100개의 컨텐츠 중에서 20등이므로, 컨텐츠 1-3에 5점을 부여한 평가자(Y)가 얻는 보상점수 는 5점×80×3.03=1212점이 된다.
상기 첫 번째 계산방식에 따라 각 평가자들이 획득한 누적 보상점수의 순위가 도 12d에 표시되어 있다. 도 12d의 표를 참고하면 평가자 C, Y, B가 1등, 2등, 3등을 차지하였고, 평가자 Z가 최하위를 차지하였다.
두 번째 계산방식은 (해당 컨텐츠의 평균점수×평가자가 부여한 점수÷해당 컨텐츠의 등위)로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상기 계산방식으로 보상점수를 계산하면 컨텐츠 1-3의 순위가 전체 100개의 컨텐츠 중에서 20등이므로, 컨텐츠 1-3에 5점을 부여한 평가자(Y)가 얻는 보상점수는 3.03×5÷20=0.76점이 된다.
제3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 컨텐츠에 대한 시상은 도 12b의 평균점수 순위에 따라 상위 등위 컨텐츠(*)와 하위 등위 컨텐츠(@)를 가려내고, 각 평가자들에 대하여는 도 12d와 같이 각 평가자들이 얻은 누적 보상점수의 순위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가려내어 시상과 벌점을 부과함에 의해 평가의 객관성을 도모하여 우수 컨텐츠의 발굴을 유도한다.
상기한 상위 및 하위 등급 컨텐츠 등록자 및 평가자에 대한 시상 내역과 벌칙 내역은 회원 정보 DB(18a)의 마일리지 포인트 테이블에 저장하며, 또한, 우수 컨텐츠와 하위 등위 컨텐츠에 대하여는 해당 기록을 컨텐츠 DB(18b)에 저장하여 둔다.
이와 같이 각 컨텐츠 평가자에 대하여는 해당 컨텐츠가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경우 컨텐츠 등록자와 함께 마일리지 포인트 부여 등의 시상을 실시하고, 이와 반대로 하위순위에 해당하는 컨텐츠에 평가점수를 부여한 평가자에 대하여는 평가자에게 부여되는 통상적인 점수를 부여하지 않거나 또는 벌점을 부가함에 의해, 평가자들의 불성실한 평가를 방지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일정한 기간동안만 평가를 허용하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평가를 차단함과 동시에 각 컨텐츠에 부여된 누적 평가점수를 비 공개상태에서 해제하여 보여주면서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것을 표시해줌에 의해 평가자 입장에서 자신이 평가한 결과와 다른 평가자의 평가 결과를 비교/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적 평가점수에 대한 순위가 결정되어 시상 내역이 결정되면 비공개상태를 해제하여 게시판의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는 우수 컨텐츠 표시마크(45)를 부여한다(S17).
따라서 일반 사용자는 게시판에 올려진 다수의 컨텐츠 중에서 우수 컨텐츠 표시마크(45)가 표시된 컨텐츠를 쉽게 구분하여 열람함에 의해 양질의 컨텐츠만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우수 컨텐츠 보기 메뉴(52)를 클릭하게 되면, 컨텐츠 DB(18b)로부터 우수 컨텐츠만을 모아서 표시해줄 수 있다.
상기한 우수 컨텐츠 발굴방법을 이용하면, 각종 동호회 사이트의 텍스트나 사진 등의 양질의 컨텐츠 확보 및 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지식 검색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의 축적, 도서 구매 가이드를 위한 도서의 서평, 제품의 사용 평가글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이를 이용하여 지식검색 사이트 구축 및 쇼 핑몰 구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평가를 위한 콘텐츠의 종류는 콘텐츠 내용이나 미디어의 제한 없이 어떤 종류의 콘텐츠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사용자 또는 운영자가 올린 텍스트나 이미지 이외에 오디오, 애니메이션이나 멀티미디어 동영상 등도 제3의 사용자가 이를 보거나 듣고 이에 대한 평가를 행하는 방식으로 우수한 컨텐츠를 선정하는 것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 설명을 위해 첨부된 홈페이지 화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으로 각종 화면상의 메뉴의 배치나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의 배치 및 접근 순서는 본 발명의 정신 범위 내에서 다른 방식으로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게시판에 올라온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평가한 누적 평가점수를 평가기간동안 비밀상태로 유지한 채 평가를 진행하여 누적된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함에 의해 우수 컨텐츠를 발굴하여 다른 다수의 열람자는 운영자 평가의 일방에만 의하지 않는 객관적 선정 기준에 의한 보다 유용한 우수 컨텐츠만을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우수 컨텐츠 선정을 운영자가 해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상위 등위 그룹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 대하여는 해당 컨텐츠가 우수 컨텐츠로 선정된 경우 컨텐츠 등록자와 함께 시상을 실시하고, 이와 반대 로 하위 등위 그룹에 해당하게 되는 경우는 등록자 및 평가자에게 부여되는 통상적인 점수를 부여하지 않거나 또는 벌점을 부가함에 의해, 평가자들의 불성실한 평가를 방지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양질의 컨텐츠 확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질이 우수한 컨텐츠와 질이 낮은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구별하여 시상과 벌점을 부여함에 의해 건전한 토론 문화 정착과 함께 유익한 정보를 구비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게 유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분야의 게시판 메뉴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선택된 게시판 화면을 각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중의 적어도 일부가 게시판 화면의 글쓰기 메뉴를 선택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한 후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웹서버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을 요청하며, 새로 등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게시판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송부하여 게시판 화면을 갱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중의 적어도 일부가 게시판에 등록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요구에 응답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에 대한 해당 평가 점수를 선택하여 평가점수 데이터를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로 업로드된 평가점수 데이터를 각각의 컨텐츠별로 누적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서 상위 등위로 입상된 다수의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고,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2.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에 응답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토론되기를 원하는 하나의 주제 컨텐츠를 구비한 화면을 각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서 주제 컨텐츠를 선택하여 주제 컨텐츠에 대한 토론 내용 컨텐츠를 입력한 후 토론 내용 컨텐츠를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웹서버는 해당 토론 내용 컨텐츠를 시스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새로 등록된 토론 내용 컨텐츠를 홈페이지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로 송부하여 홈페이지의 게시판 화면을 갱신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중의 적어도 일부가 홈페이지에 등록된 토론 내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토론 내용 컨텐츠를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여 토론 내용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요구에 응답하여 다운로드된 토론 내용 컨텐츠에 대한 해당 평가 점수를 선택하여 평가점수 데이터를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로 업로드된 평가점수 데이터를 각각의 토론 내용 컨텐츠별로 누적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토론 내용 컨텐츠에 대하여 토론 내용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토론 내용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토론 내용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각각의 토론 내용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서 상위 등위로 입상된 다수의 토론 내용 컨텐츠를 우수 토론 내용 컨텐츠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등위의 토론 내용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토론 내용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고,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토론 내용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3.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스템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 이에 응답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평가되기를 원하는 적어도 1이상의 컨텐츠를 구비한 화면을 각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등록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서버는 상기 시스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 내용을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제공하여 컨텐츠 내용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요구에 응답하여 컨텐츠에 대한 해당 평가 점수를 선택하여 평가점수 데이터를 웹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는 업로드된 평가점수 데이터를 각각의 컨텐츠별로 누적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각 컨텐츠별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위 등위로 입상된 컨텐츠를 우수 컨텐츠로서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상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고,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홈페이지 운영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올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추천 웹사이트 URL 및 멀티미디어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평가는 다점 평가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누적 평가점수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위선정은 평균평점이 높은 순으로 결정하여 우수 컨텐츠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평가자에 대한 등위 선정은
    (각 평가자가 부여한 점수×(전체 컨텐츠 수 - 해당 컨텐츠의 등위)×해당 컨텐츠의 평균점수)를 계산하여 각 컨텐츠에 대하여 평가시에 얻은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에 따라 얻은 보상점수를 평가자별로 누적하는 단계와,
    누적 평가점수의 순서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평가자에 대한 등위 선정은
    (해당 컨텐츠의 평균점수×평가자가 부여한 점수÷해당 컨텐츠의 등위)를 계산하여 각 컨텐츠에 대하여 평가시에 얻은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에 따라 얻은 보상점수를 평가자별로 누적하는 단계와,
    누적 평가점수의 순서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평가는 단일 등급 또는 다점 평가방식으로 진행되며, 상기 컨텐츠의 등위선정은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평가가 다점 평가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평가자에 대한 등위 선정은
    (평가자가 참여한 각 컨텐츠의 누적 평가점수×평가자가 부여한 점수)를 계산하여 각 컨텐츠에 대하여 평가시에 얻은 보상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에 따라 얻은 보상점수를 평가자별로 누적하는 단계와,
    누적 평가점수의 순서에 따라 상위 등위 평가자와 하위 등위 평가자를 선정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평가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평가 기간당 설정된 회수 및 사용자가 평가한 평가 등급의 총 합계 점수를 소정값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은 문의 또는 토론이나 평가를 위한 주제글, 사진, 오디오, 추천 웹사이트 UR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컨텐츠는 동일한 주제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5. 삭제
  16.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또는 웹 운영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웹 게시판에 다수의 컨텐츠를 올릴 때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웹 게시판에 접속된 다수의 제3 사용자가 등록된 컨텐츠를 평가하면 컨텐츠별로 평가점수를 누적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각 컨텐츠에 대하여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기간이 만료된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우수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7. 웹 운영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웹 게시판에 동일한 주제를 갖는 다수의 컨텐츠를 동일 날자에 올릴 때 자신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웹 게시판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가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를 평가하면 컨텐츠별로 평가점수를 누적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등록일로부터 제1기간 동안 각 컨텐츠에 부여된 평가점수를 누적하여 각 컨텐츠별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따라 우수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누적 평가점수의 순위에 기초하여 상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시상을 실시하고, 하위 등위의 컨텐츠 등록자와 평가자에게는 벌점을 부가하며,
    상기 평가가 진행중인 컨텐츠에 대하여는 누적된 평가점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주제의 컨텐츠는 사진, 추천 웹사이트 UR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KR1020030063808A 2003-09-15 2003-09-15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KR100627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08A KR100627845B1 (ko) 2003-09-15 2003-09-15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08A KR100627845B1 (ko) 2003-09-15 2003-09-15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22A KR20050027522A (ko) 2005-03-21
KR100627845B1 true KR100627845B1 (ko) 2006-09-26

Family

ID=3738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808A KR100627845B1 (ko) 2003-09-15 2003-09-15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04B1 (ko) 2008-12-30 2011-03-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기사 편집 방법 및 기사 제공 시스템
WO2012103089A2 (en) * 2011-01-27 2012-08-02 Hsin Lin Content endors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486B1 (ko) * 2000-10-02 2007-07-24 주식회사 케이티 다자간 평가를 이용한 컨텐츠 자동 순위결정 방법
KR101228774B1 (ko) * 2006-05-22 2013-01-31 엔에이치엔(주)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41140B1 (ko) * 2007-01-16 2010-02-09 넷다이버(주) 블로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0893629B1 (ko) * 2007-02-12 2009-04-20 주식회사 이지씨앤씨 전자교재 컨텐츠의 구문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시스템 및방법, 전자교재 컨텐츠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 및 방법,전자교재 컨텐츠의 사용과 제공에 관한 포인트 관리 시스템및 방법
US8626771B2 (en) * 2007-06-29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Container reputation
US8838729B2 (en) 2007-06-29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Gathering statistics based on container exchange
KR101427104B1 (ko) * 2008-01-22 2014-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과 방법 및콘텐츠 제공서버
KR101013574B1 (ko) * 2008-05-20 2011-02-14 주식회사 마이벨 커뮤니티 회원의 활동지수 평가에 의한 베스트 컨텐츠 생성시스템 및 방법
US20110184881A1 (en) * 2010-01-22 2011-07-28 Preston Rigg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using a competitive media site
CA2789701C (en) * 2011-10-11 2020-04-07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Content quality and user engagement in social platforms
KR101941989B1 (ko) * 2018-07-25 2019-01-24 (주)엔터랩 블록체인을 이용한 과제매칭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71705B1 (ko) * 2018-09-10 2020-12-15 (주)에이알에스 블록체인을 이용한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및 운영 시스템
KR101949508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과제 수행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94161B1 (ko) * 2019-07-16 2020-03-27 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지식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과 지식거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942A (ja) * 2000-12-28 2002-07-19 Shiyoujiro Doi インターネット掲示板提供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942A (ja) * 2000-12-28 2002-07-19 Shiyoujiro Doi インターネット掲示板提供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04B1 (ko) 2008-12-30 2011-03-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기사 편집 방법 및 기사 제공 시스템
WO2012103089A2 (en) * 2011-01-27 2012-08-02 Hsin Lin Content endorsement
WO2012103089A3 (en) * 2011-01-27 2012-11-01 Hsin Lin Content endor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22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gue Market research in practice: an introduction to gaining greater market insight
Scott et al. Reconfiguring relations of accountability: Materialization of social media in the travel sector
KR100627845B1 (ko)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Choi et 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eb advertising credibility: A study of consumer response to banner ads
Law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in hospitality and tourism: a review of publications from 2005 to 2007
Brown et al. Household technology use: Integrating household life cycle and the model of adoption of technology in households
Alter et al. True for your school? How changing reputations alter demand for selective US colleges
US8024334B2 (en)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utilizing user options
Paliszkiewicz et al. Social media and trust: A multinational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US20040205065A1 (en)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utilizing user opinions
Zittel Political representation in the networked society: the Americanisation of European systems of responsible party government?
US20090070197A1 (en) Method for electronic data collection about products and services and related electronic system
Kim et al. Seniors’ dual route of persuasive communications in mobile social media and the moderating role of discretionary time
US2010015317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rinsic value provided to internet users by selected web sites
Ibrahim Evaluating hotel websites as a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A dialogic perspective
Aydın The strategic process of integrating gastronomy and tourism: The case of Cappodocia
US20100153178A1 (en)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rinsic value provided to internet users by selected web sites
Cândido Service quality strategy implementation: A model and the case of the Algarve hotel industry
Sun et al. An empirical study on the websites service quality of Hong Kong small businesses
Ibrahim et al. Interrogation of dialogic potential of university websites in Ghana
El-Qawasmeh Assessment of the Jordanian e-government: an empirical study
Schlesinger The suitability of social media for headhunters to recruit managers from and for the fashion business
Chehimi The social web in the hotel industry: the impact of the social web on the information process of German hotel guests
EP1546842A2 (en) A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utilizing user opinions
KR20090123579A (ko) 추천 요청과 답변을 기반으로 성장된 대중의 지혜를 통하여가치있는 정보를 집약적으로 제공하는 지식 공유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