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643B1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643B1
KR101569643B1 KR1020147027917A KR20147027917A KR101569643B1 KR 101569643 B1 KR101569643 B1 KR 101569643B1 KR 1020147027917 A KR1020147027917 A KR 1020147027917A KR 20147027917 A KR20147027917 A KR 20147027917A KR 101569643 B1 KR101569643 B1 KR 10156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user value
safet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167A (ko
Inventor
이성한
권대현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4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77Measures taken prior to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deterministic access, e.g. token pass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장치가 제2 통신 장치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과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장치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통신의 주도권을 갖는 개시자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통신의 주도권을 갖지 않는 응답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전 통신 장치 및 안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계에서 사용되기 위한 안전 통신(safety communication)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작업자의 안전, 환경에 대한 위협, 기타의 안전 관련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에 대해 규정된 수준 이상의 무결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무결성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오염(corruption), 의도되지 않은 반복(unintended repetition), 부정확한 서열(incorrect sequence), 손실(loss), 받아들일 수 없는 지연(unacceptable delay), 삽입(insertion), 속임(masquerade), 주소(addressing)에 관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오염(corruption)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전송되는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의도되지 않은 반복(unintended repetition)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악의를 가진 자의 의도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 반복이 발생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부정확한 서열(incorrect sequence)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의 전송 순서가 변경되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손실(loss)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전송된 데이터의 일부에 손실이 발생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받아들일 수 없는 지연(unacceptable delay)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의 전송에 받아들일 수 없는 지연이 발생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삽입(insertion)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 의도치 않은 데이터가 삽입되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속임(masquerade)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악의를 가진 자에 의한 데이터 변경이 발생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주소(addressing)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서,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데이터가 올바른 수신자(receiver)에게 전송되었는지를 규정된 수준 이상의 확률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IEC 61508에서는 에러 발생 확률을 아래의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IL 등급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4094532800-pct00001
예컨데, SIL3를 만족하기 위하여는 에러 확률은 10-9를 만족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 후, 통신 장치간 연결을 재수행하기 위해 불필요한 메시지들이 전달되어, 네트워크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업용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메시지의 전달을 방지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장치가 제2 통신 장치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과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장치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통신의 주도권을 갖는 개시자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통신의 주도권을 갖지 않는 응답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에 불필요한 메시지들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와 안전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100)는 메시지 수신부(110), 사용자 값 확인부(120), 사용자 값 비교부(130), 설정부(140), 메시지 전송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부(110)는 다른 안전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값 확인부(120)는 상기 요청 메시지로부터 다른 안전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값은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또는 MAC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설정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사용자 값 비교부(130)는 확인된 사용자 값을 자신의 사용자 값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값 비교부(130)는 다른 안전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과 자신의 사용자 값 중 어느 값이 더 큰지 비교할 수 있다.
설정부(140)는 사용자 값 비교부(130)의 비교에 따라 안전 통신 장치(100)를 개시자 또는 응답자로 설정한다. 설정부(140)는 안전 통신 장치 간 주도권을 설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는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도 이를 무시할 수 있고,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로 요청 메시지를 다른 안전 통신 장치에 전송하여 그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는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는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는 있으나, 그에 대응한 응답 메시지는 받을 수 없다.
메시지 전송부(150)는 다른 안전 통신 장치에 연결 설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 또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안전 통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100)로부터 연결 설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도 이를 무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안전 통신 장치 간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연결 단계(Connection Phase) 및 데이터 전송 단계(Data transmitting Phase)를 포함한다.
연결 단계는 안전 통신 장치 간 동작 수행을 위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서로 간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이고, 데이터 전송 단계는 상기 연결 단계가 완료된 후, 동작 수행을 위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 단계는 리셋 상태(reset state), 연결 상태(connection state), 파라미터 상태(parameter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상태는 안전 통신 장치 간 통신 오류 검출 후, 안전 통신 장치 간 연결이 초기화되고, 연결을 위해 준비하는 상태일 수 있다.
연결 상태는 안전 통신 장치 간 연결을 위해 서로를 식별하는 상태일 수 있다.
파라미터 상태는 안전 통신 장치 간 안전 관련 통신에 관한 파라미터와 안전 관련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들을 송수신하여 연결 단계를 종료하고, 데이터 전송 단계에 들어가기 위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100)간 통신 방법은 연결 단계(Connection Phase) 및 데이터 전송 단계(Data transmitting Phase) 중 연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일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100)간 통신 방법은 연결 단계내의 리셋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안전 통신 장치(100)는 모두 리셋 상태에 있다.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메시지 전송부(110)는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가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S101)은 연결 단계의 리셋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일 수 있다. 고유 식별자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는 사용자 값(User Value)과 MAC 주소((Media Address Control Address)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 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지정된 임의의 값,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정된 특정한 범위의 값, 안전 통신 장치의 식별자, 안전 통신 장치의 주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값은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자는 안전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MAC 주소는 이더넷 접속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유 식별자의 크기는 64 비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디바이스 식별자의 크기는 16 비트이고, MAC 주소의 크기는 48 비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 확인부(120)는 전송된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값을 확인한다(S103). 여기서, 안전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은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또는 MAC 주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설정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 비교부(130)는 확인된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사용자 값과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을 비교하여 어느 안전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이 더 큰지를 확인한다(S105).
만약,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14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를 응답자로 설정하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를 개시자로 설정한다(S107). 구체적으로,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는 사용자 값의 비교에 따라 통신의 주도권을 누가 가질지를 설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140)는 상기 사용자 값의 비교에 따라 사용자 값이 더 큰 안전 통신 장치를 개시자로 설정하고, 사용자 값이 더 작은 안전 통신 장치를 응답자로 설정할 수 있다.
개시자 및 응답자 설정은 안전 통신 장치 간 통신의 주도권을 누가 갖는지를 설정하기 위한 작업으로,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가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가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개시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는 요청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고, 응답자로 설정된 안전 통신 장치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그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사용자 값이 5이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이 10인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를 응답자로 설정하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를 개시자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제어부(160)는 설정부의 설정에 따라 수신한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요청 메시지를 무시한다(S109).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전송부(11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111),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수신부(150)는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13). 이로 인해,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와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는 서로 간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고,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 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한편,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이 더 작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14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를 개시자로 설정하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를 응답자로 설정한다(S115).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전송부(11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17). 이로 인해,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와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는 서로 간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고,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수신 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100)간 통신 방법은 연결 단계(Connection Phase) 및 데이터 전송 단계(Data transmitting Phase) 중 연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일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통신 장치(100)간 통신 방법은 연결 단계 내에서 어느 하나만의 안전 통신 장치(100)가 리셋 상태에 있거나, 둘다 리셋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정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 확인부(12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 및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을 확인한다(S201). 여기서, 안전 통신 장치(100)의 사용자 값은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또는 MAC 주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설정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사용자 값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사용자 값을 미리 알고 있을 수 있다.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 비교부(130)는 확인된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사용자 값과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을 비교하여 어느 안전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이 더 큰지를 확인한다(S203).
만약,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14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를 응답자로 설정하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를 개시자로 설정한다(S205). 구체적으로,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140)는 사용자 값의 비교에 따라 통신의 주도권을 누가 가질지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는 통신의 주도권을 갖는 개시자로 동작하고,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는 통신의 주도권을 갖지 않는 응답자로 동작한다.
만약,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가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207),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제어부(160)는 안전 통신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실패-안전 상태(fail-safe state)로 천이한다(S209).
이 실패-안전 상태에서, 안전 통신 장치(100)는 리셋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안전 통신을 중단한다. 특히, 이 실패-안전 상태에서, 안전 통신 장치(100)는 안전 데이터와 관련한 통신 이외의 통신을 중단할 수도 있고 중단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적어도 안전 데이터와 관련된 통신을 중단한다.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전송부(11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S211),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수신부(15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로부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13).
즉,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와의 관계에서 통신의 주도권을 갖는 개시자 입장에 있고,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는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와의 관계에서 통신의 주도권을 갖지 않는 응답자의 입장에 있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대기하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에 전송한다.
한편,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사용자 값이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의 사용자 값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설정부(140)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를 개시자로 설정하고,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를 응답자로 설정한다(S215).
이 경우,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는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와의 관계에서 통신의 주도권을 갖지 않아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대기한다(S217).
만약,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수신부(150)가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219), 제2 안전 통신 장치(100B)의 메시지 전송부(110)는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제1 안전 통신 장치(100A)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제1 통신 장치가 제2 통신 장치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과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장치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통신의 주도권을 갖는 개시자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통신의 주도권을 갖지 않는 응답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값은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장치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식별자인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이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이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통신 장치를 개시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를 응답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자로 설정된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동작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응답자로 설정된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리셋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통신을 중단하는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이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이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통신 장치를 응답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를 개시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자로 설정된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개시자로 설정된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삭제
KR1020147027917A 2012-03-02 2012-10-22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1569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5759P 2012-03-02 2012-03-02
US61/605,759 2012-03-02
PCT/KR2012/008655 WO2013129753A1 (ko) 2012-03-02 2012-10-22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167A KR20140143167A (ko) 2014-12-15
KR101569643B1 true KR101569643B1 (ko) 2015-11-16

Family

ID=4908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917A KR101569643B1 (ko) 2012-03-02 2012-10-22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13078A1 (ko)
EP (1) EP2822233B1 (ko)
JP (1) JP5883163B2 (ko)
KR (1) KR101569643B1 (ko)
CN (1) CN104272670B (ko)
ES (1) ES2618217T3 (ko)
WO (1) WO20131297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4943A (en) * 1988-08-22 1992-06-23 Pacific Bell Digital network utilizing telephone lines
JPH07203035A (ja) *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親子式通信システムの親機、子機及び親子式通信システム
WO1996037849A1 (en) * 1995-05-26 1996-11-28 Jin Young Cho Sequential polling/arbitration method using signal bisection and device therefor for multinode network
DE69632289T2 (de) * 1995-07-25 2005-05-19 Jin-Young Cho Verteiltes serielles schiedsverfahren
US6070193A (en) * 1997-11-26 2000-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ordered transmission on networks
US6272145B1 (en) * 1998-07-01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links
US6463473B1 (en) * 1999-04-09 2002-10-08 Sharewave, Inc. Configuring a wireless computer network to allow automatic access by a guest client device
US6732189B1 (en) * 2000-03-20 2004-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tunneling of multicast datagrams
US7143153B1 (en) * 2000-11-09 2006-11-28 Ciena Corporation Internal network device dynamic health monitoring
US6885644B1 (en) * 2000-05-30 2005-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pology propagation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ith no topology message traffic in steady state
US20050063313A1 (en) * 2001-07-03 2005-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al clustering of master-slave ad-hoc wireless network
KR20030084162A (ko) * 2002-04-25 2003-11-01 전자부품연구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장난감에서의 화음 발생 장치및 그 방법
KR100713508B1 (ko) * 2002-10-2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와 다수의 슬레이브들이 유동적 데이터를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그 방법
US7359939B2 (en) * 2002-12-06 2008-04-15 Alcatel Canada, Inc. Fast service restoration for lost IGMP leave requests
US6898468B2 (en) * 2003-03-28 2005-05-24 Fisher-Rosemount Systems, Inc. Function block implementation of a cause and effect matrix for use in a process safety system
US7480281B2 (en) * 2005-11-30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cluster bring-up in a distributed topology liveness system
US7710884B2 (en) * 2006-09-01 2010-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 for dynamic reallocation of data processing resources for efficient processing of sensor data in a distributed network
KR100823722B1 (ko) * 2006-09-01 2008-04-18 주식회사 포스콘 Plc 시스템의 삼중화 장치 및 방법
JP2009081779A (ja) * 2007-09-27 2009-04-16 Oki Semiconductor Co Ltd 通信路確立方法および方式
CN101442403B (zh) * 2008-12-25 2010-12-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自适应的复合密钥交换和会话密钥管理方法
JP2010258595A (ja) * 2009-04-22 2010-11-11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WO2011115622A1 (en) * 2010-03-18 2011-09-22 Utc Fire & Security Corporation Method of conducting safety-critical communications
US8819170B2 (en) * 2011-07-14 2014-08-2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Communication protoc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16709A (ja) 2015-06-11
US20150113078A1 (en) 2015-04-23
ES2618217T3 (es) 2017-06-21
EP2822233B1 (en) 2016-12-07
JP5883163B2 (ja) 2016-03-09
CN104272670B (zh) 2017-05-31
EP2822233A1 (en) 2015-01-07
EP2822233A4 (en) 2015-10-14
WO2013129753A1 (ko) 2013-09-06
KR20140143167A (ko) 2014-12-15
CN104272670A (zh)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930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EP2548330B1 (en) Method of conducting safety-critical communications
CN107508746B (zh) 好友添加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547172A (zh) 数据传输方法、系统及数据发送设备、数据接收设备
JP2017079429A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569643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1639929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12286734B (zh) 备份任务执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175315B (zh) 一种控制移动台进行更新的方法及其系统
KR101639931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07040507B (zh) 网络封锁方法及设备
CN106301708A (zh) 一种信息发送失败时的处理方法及装置
KR20150052561A (ko) 통신 시스템에서 sms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331257A1 (en) Terminal configur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622386B1 (ko) WiBro Access 시스템의 프로토콜 시험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N112969238A (zh) 基于多优先级数据传输的智能楼宇信息传输方法及系统
KR101389604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15967635A (zh) 一种汽车通信中间件dds的设计方法及装置
CN116015824A (zh) 一种平台统一认证方法、设备、介质
CN115243204A (zh) 消息发送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3812722A (zh) 用于网络系统的检测方法及网络系统
TWI395431B (zh) 連線數之檢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