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29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29B1
KR101569029B1 KR1020090017941A KR20090017941A KR101569029B1 KR 101569029 B1 KR101569029 B1 KR 101569029B1 KR 1020090017941 A KR1020090017941 A KR 1020090017941A KR 20090017941 A KR20090017941 A KR 20090017941A KR 101569029 B1 KR101569029 B1 KR 10156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ondensate drain
condensate
hos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444A (ko
Inventor
김성룡
유혜경
이동수
김영민
고철수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29B1/ko
Priority to EP10743908.5A priority patent/EP2398948B1/en
Priority to PCT/KR2010/000867 priority patent/WO2010095833A2/en
Priority to CN2010800050424A priority patent/CN102292490B/zh
Priority to US12/709,751 priority patent/US8656745B2/en
Publication of KR2010009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하는 배수 구조를 갖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닛;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응축수 배수펌프; 및 일단은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세탁장치, 히트펌프 모듈, 응축기, 응축수, 응축수 배수펌프, 응축수 배수호스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히트펌프 모듈이 구비된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하는 배수 구조를 갖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수직으로 설치된 드럼 내부의 펄세이터(pulsator)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 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낙차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드럼 세탁기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애지테이터(agitator)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애지테이터 세탁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드럼 세탁기는 세탁조인 드럼이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의류의 꼬임 등과 같은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럼 세탁기는 펄세이터 세탁기와는 달리 건조 기능이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탁에 이용하는 스팀 세탁 기능 등의 부가 기능을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건조 기능이 구비된 세탁장치의 경우,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히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장치는 건조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고인 상태로 오랜시간 방치하게 되면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수시키는 배수 구조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하는 배수 구조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닛;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응축수 배수펌프; 및 일단은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 내측 하부에 모인 세탁수를 배수하는 메인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 하부에 모인 세탁수와 함께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브 내측 하부에는 잔수량을 감지하는 잔수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닛;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역류방지 커넥터; 상기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응축수 배수펌프; 및 일단은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역류방지 커넥터는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역U자형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일측으로는 세탁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연결관과,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에어브레이크 호스가 결합된 공기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브레이크 호스의 터브측 단부에는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이 설치되어 상기 에어브레이크 호스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에 결합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응축수 배수펌프; 및 일단은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터브로 보내 세탁수와 함께 배수함으로써 별도의 응축수 배수 유로를 구비하지 않고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탁수 배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세탁장치의 응축수 배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세 탁장치에 따른 응축수 배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크게 제1 공간(100)을 형성하는 제1 캐비닛(10)과, 제1 캐비닛(1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제1 캐비닛(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20)과, 제1 캐비닛(10)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공간(200)을 형성하는 제2 캐비닛(20)으로 구성된다.
제2 캐비닛(20) 내부에는 세탁물 건조를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210)과, 히트펌프 모듈(210)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입덕트(미도시)와, 히트펌프 모듈(210)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터브(120)로 유입시키는 배출덕트(미도시)와, 유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모듈(미도시)이 설치된다. 유입덕트 및 배출덕트는 순환 덕트(미도시) 및 건조덕트(미도시)를 통해 터브(120)와 연통된다.
히트펌프 모듈(210)은 히트펌프의 구성 요소를 탈착 가능하게 모듈 형식(module type)으로 구성한 것으로, 제2 캐비닛(2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히트펌프 모듈(210)은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공기를 만드는 증발기(미도시)와, 증발기를 경유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를 경유한 냉매의 열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미도시)와, 증발기로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 압을 낮추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이들을 연결하는 냉매 파이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유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 내부의 저온 저압의 냉매에 의해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빼앗긴다. 증발기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은 응축되어 건조해진다. 이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발생한 잠열은 증발기 내부의 냉매를 증발시킨다.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로 공급되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응축기로 공급된다. 건조된 공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잠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유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지나면서 공기는 고온 건조해진 후 배출덕트를 통해 터브(120)로 공급된다. 터브(120)로 공급된 공기는 드럼(130)으로 유입되어 세탁물을 건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유입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지나면서 공기는 고온 건조해진 후 배출덕트를 통해 터브(120)로 공급된다. 터브(120)로 공급된 공기는 드럼(130)으로 유입되어 세탁물을 건조하는데 사용된다.
제2 캐비닛(20)은 제1 캐비닛(10)과 제1 공간(100) 및 제2 공간(200)으로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고, 제1 공간(100) 및 제2 공간(200)은 전장품의 장착을 위해 일부분이 구획만 될 뿐 상호 연통될 수도 있다.
따라서 히트펌프 모듈(210)은 제2 공간(200) 내에만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터브(110)와의 연결 구조 일부가 제1 공간(100)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캐비닛과 제2 캐비닛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캐비닛에 터브 및 드럼이 설치되고, 터브의 하측에 히트펌프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하나의 캐비 닛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히트펌프 모듈 및 이하에서 설명할 응축수를 터브 측으로 보내 메인 배수펌프로 배수시키는 응축수 배수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드럼(120)은 터브(11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낙하 운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세탁된다. 급수밸브(미도시)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세탁에 사용되고, 사용된 세탁수는 드럼(120)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터브(110)로 빠져나간다.
잔여 세탁수가 터브(110) 내부에 일정시간 이상 남아있게 되면 냄새 발생으로 위생성이 저하되고 소비자의 불만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터브(110)의 내측 바닥면에 고인 세탁수는 터브(110)에 연결된 메인 배수펌프(150)에 의해 터브(11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배수펌프(150)는 메인 배수펌프(150)는 터브(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터브(110) 하부에 모이는 세척수를 역류방지 커넥터(130)로 펌핑하여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배수펌프(150)에 의해 터브(110)로부터 배수된 세탁수는 배수호스()를 거쳐 역류방지 커넥터(130)로 보내지고, 역류방지 커넥터(130)를 통해 드레인호스()로 이송되어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역류방지 커넥터(130)는 U자형으로 형성된 파이프로, 실제 설치시에는 메인 배수펌프(150)의 상측에 역U자 형태로 설치된다.
역류방지 커넥터(130)는 제1 공간(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역U자형의 커넥터 바디(132)와, 커넥터 바디(132)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2개의 연결관(134)과, 커넥터 바디(132)의 상부 일측에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흡입 부(136)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흡입부(136)에는 에어브레이크 호스(137)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일측 연결관(134)에는 메인 배수펌프(150)와 연결된 배수호스(미도시)가 결합되고, 타측 연결관(134)에는 제1 캐비닛(10)의 외부와 연통되는 드레인호스(미도시)가 결합된다. 배수호스를 통해 메인 배수펌프(150)로부터 펌핑된 세척수가 역류방지 커넥터(130)로 유입되고, 드레인호스를 통해 역류방지 커넥터(130)로 유입된 세척수가 제1 캐비닛(10) 외부로 배수된다.
공기흡입부(136)는 원통형으로, 내측에 사이폰 현상 및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사이폰 브레이크(미도시)가 삽입될 수도 있고, 터브(110)의 일측과 연결되어 터브(110) 내부의 공기를 커넥터 바디(132)로 연통시키는 에어브레이크 호스(137)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브레이크 호스(137)가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메인 배수펌프(150)와 역류방지 커넥터(130)를 연결하는 배수호스에는 설치 위치 상의 구조적 특성상 항상 일정량의 잔수가 남아 있다. 이 잔수는 드레인호스쪽을 통해 외부(주로 하수구)의 불쾌한 냄새가 세탁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메인 배수펌프(150)를 작동하지 않을 때 역류방지 커넥터(130)의 내부 및 외부에 기압차가 발생하면 사이폰 현상에 의해 배수호스 내부의 잔수가 메인 배수펌프(150) 쪽으로 역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이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폰 브레이크나 에어브레이크 호스(137)를 구비하여 역류방지 커넥터(130) 내외부의 기압차 발생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브레이크 호스(137)는 공기흡입부(136)에 결합되어 역류방지 커넥터(13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터브 쪽의 공기)의 유동은 허용하고, 역류방지 커넥터(130) 내부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는 것은 차단한다(이와 관련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캐비닛(20)의 일측에는 히트펌프 모듈(210)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응축수 배수펌프(220)와, 응축수 배수펌프(220)로부터 배수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응축수 배수호스(140)가 구비된다.
응축수 배수펌프(220)는 제2 캐비닛(20)의 일측에 설치되며, 히트펌프 모듈(210) 내 응축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펌핑하여 응축수 배수호스(140)를 통해 역류방지 커넥터(130)로 보낸다.
응축수 배수호스(140)는 일단이 응축수 배수펌프(2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110)의 상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역류방지 커넥터(130)가 구비되지 않은 세탁장치의 경우에도 메인 배수펌프(150)는 구비되어 있으므로, 히트펌프 모듈(21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터브(110)로 보내지므로 터브(110) 내측의 세탁수와 혼합되어 함께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터브(110) 내측 하부에 응축수 및 세탁수의 잔수가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되면 메인 배수펌프(150)를 작동시켜 세탁수를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수량이 너 무 적을 때 메인 배수펌프(150)를 작동시키면 배수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므로 기설정된 잔수량 만큼 응축수 및 세탁수가 모인 후에 메인 배수펌프(150)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터브(110)의 내측 하부에는 잔수량을 감지하는 잔수감지센서(112)가 설치될 수 있다. 잔수감지센서(112)는 일반적으로 세탁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수위센서의 종류라면 그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배수호스(140)는 에어브레이크 호스(137)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에어브레이크 호스(137)의 일단이 역류방지 커넥터(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110)의 상부 일측에 직결되므로 응축수 배수호스(140)가 에어브레이크 호스(137)에 결합되면 응축수 배수호스(140)가 터브(110)에 직결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단, 응축수 배수호스(140)를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가 역류방지 커넥터(130) 쪽으로 역류되지 않고 터브(110) 쪽으로 바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 응축수 배수호스(140)는 에어브레이크 호스(137)의 터브(110)측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수 배수호스(140)가 에어브레이크 호스(137)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에어브레이크 호스(137)에는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138)이 결합될 수 있다.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138)에 의해 응축수 배수호스(140)가 에어브레 이크 호스(137)의 터브(110) 측 단부에 결합되므로 응축수 배수펌프(220)에 의해 펌핑되어 응축수 배수호스(140)를 통해 배수된 응축수가 터브(110)의 상부 일측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가 터브(110) 내측 하부로 모여 세탁수의 잔수와 함께 메인 배수펌프(150)의 작동시 제1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탁수 배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세탁장치의 응축수 배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장치에 따른 응축수 배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캐비닛 20 : 제2 캐비닛
100 : 제1 공간 110 : 터브
120 : 드럼 130 : 역류방지커넥터
140 : 응축수 배수호스 150 : 메인 배수펌프
200 : 제2 공간 210 : 히트펌프 모듈
220 ; 응축수 배수펌프

Claims (12)

  1.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닛;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닛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역U자형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일측으로는 세탁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연결관과,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에어브레이크 호스가 결합된 공기흡입부를 포함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역류방지 커넥터;
    상기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응축수 배수펌프;
    일단은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수호스; 및
    상기 에어브레이크 호스의 터브측 단부에는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이 설치되어 상기 에어브레이크 호스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에 결합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 내측 하부에 모인 세탁수를 배수하는 메인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를 통해 상기 터브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 하부에 모인 세탁수와 함께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측 하부에는 잔수량을 감지하는 잔수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역U자형의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일측으로는 세탁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는 세탁수가 배수되는 연결관과,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 에어브레이크 호스가 결합된 공기흡입부를 포함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역류방지 커넥터;
    상기 히트펌프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응축수 배수펌프;
    일단은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수호스; 및
    상기 에어브레이크 호스의 터브측 단부에는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이 설치되어 상기 에어브레이크 호스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T'자형 또는 'Y'자형 분지관에 결합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터브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수호스는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017941A 2009-02-23 2009-03-03 세탁장치 KR101569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41A KR101569029B1 (ko) 2009-03-03 2009-03-03 세탁장치
EP10743908.5A EP2398948B1 (en) 2009-02-23 2010-02-11 Washing machine
PCT/KR2010/000867 WO2010095833A2 (en) 2009-02-23 2010-02-11 Washing machine
CN2010800050424A CN102292490B (zh) 2009-02-23 2010-02-11 洗衣机
US12/709,751 US8656745B2 (en) 2009-02-23 2010-02-2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41A KR101569029B1 (ko) 2009-03-03 2009-03-03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44A KR20100099444A (ko) 2010-09-13
KR101569029B1 true KR101569029B1 (ko) 2015-11-13

Family

ID=4300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41A KR101569029B1 (ko) 2009-02-23 2009-03-03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901A2 (en) * 2005-03-16 2006-09-21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JP2006345919A (ja) * 2005-06-13 2006-12-28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7901A2 (en) * 2005-03-16 2006-09-21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JP2006345919A (ja) * 2005-06-13 2006-12-28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44A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8947B1 (en) Washing / drying machine
KR101498027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7841219B2 (e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KR101435822B1 (ko) 의류처리장치
EP2398948B1 (en) Washing machine
KR10143581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80041118A1 (e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20080040869A1 (en) Determining Fabric Temperature in a Fabric Treating Appliance
KR20210134255A (ko) 의류처리장치
CN105088627A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冷凝器
EP1889962A2 (e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anti-siphoning
CN106637796A (zh) 一种洗干一体机
CN110373879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1569029B1 (ko) 세탁장치
KR101569028B1 (ko) 세탁장치
JP2015146933A (ja) 洗濯乾燥機
KR101430459B1 (ko) 의류처리장치
JP4352803B2 (ja) 洗濯乾燥機
JP4525463B2 (ja) 洗濯乾燥機
JP4453568B2 (ja) 洗濯乾燥機
JP2015204859A (ja) 衣類乾燥機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9240547A (ja) 衣類乾燥機
JP2008183307A (ja) 乾燥機
KR101241877B1 (ko) 세탁장치의 사이펀 작용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