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37B1 -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37B1
KR101568637B1 KR1020150068117A KR20150068117A KR101568637B1 KR 101568637 B1 KR101568637 B1 KR 101568637B1 KR 1020150068117 A KR1020150068117 A KR 1020150068117A KR 20150068117 A KR20150068117 A KR 20150068117A KR 101568637 B1 KR101568637 B1 KR 10156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ule
standby
sig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승철
Original Assignee
파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의 더욱 정확한 연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가 가능한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기전원 소모를 개선하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로서,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부하로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대기모듈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모듈; 상기 부하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듈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모듈; 상기 제1 감지모듈 또는 제2 감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ON/OFF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기모듈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모듈과 부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의 더욱 정확한 연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ENERGY SAVING POWER SUPPLY UNIT WITH DOUBLE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의 더욱 정확한 연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가 가능한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사용자의 전원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는데, 사용자는 사용시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원을 오프하는 것이 번거로워 사용 여부와는 무관하게 하루종일 컴퓨터를 켜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컴퓨터는 다시 동작할 시에 신속하게 동작하기 위해 메인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대기전원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장치를 활성화한다.
예컨대, 절전모드를 구비하여 키보드 입력 등을 검출하고, 일정시간 동안 키보드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절전 기능을 수행하여 메인전원의 전력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기술은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라고 일컫는 컴퓨터의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함에 따라 달성되고 있는 실정이며, 도 1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은 파워서플라이(20)가 메인보드(10)의 SIO(12)와 24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5V의 스탠바이 전압(+5VSB)의 인가용이다.
사용자가 PC 케이스의 파워스위치(미도시됨)를 누르면, 이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파워 버튼(13)이 눌려지고, 상기 파워 버튼(13)이 SIO(12)로 제1 신호(PWRBTN#)를 보내며, 다시 SIO(12)는 파워서플라이(20)로 파워온 신호선(PSON#)을 활성화하며, 칩셋(14)으로는 제2 신호(PWRBTN#_SB)를 발하는바, 파워서플라이(20)는 CPU(11) 및 칩셋(14)으로 파워굳 신호(PWROK) 신호를 보내서 이를 알리며, 이후 메인 보드로 파워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20)와 메인보드 간에는 비작동시에도 +5V의 대기전원이 인가되는바, 시동 버튼의 인식 및 원격시동의 인식 등을 위해 약 1W의 대기전원을 필요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컴퓨터 전원공급장치는 메인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대기전원은 소모하게 되며, 이는 개별적으로는 결코 높지 않는 소비전력이나, 일 기관 전체로는, 나아가 일 국가 전체로는 막대한 에너지의 낭비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전원까지도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기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대기전원을 절감시키는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존의 대기전원 절감 기술은 대기전원 제어부가 외부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거나, 메인보드의 신호를 감지해야 하므로, 전원공급장치 내부에서의 자체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하면서도 고비용의 별도 장치를 추가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우며, 생산 및 경제적인 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시스템의 최대절전을 전원공급장치의 외부나 내부에서 한 가지의 구성을 통해 감지하므로, 최대절전에 대한 정확한 감지 및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가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08717호(2006.01.27.)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의 더욱 정확한 연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가 가능한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기전원 소모를 개선하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로서, 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용전원을 정류 및 안정화하여 동작모듈과 대기모듈로 분배하며, 상기 상용전원이 미리 설정된 전류변경용 전압(VAC)의 일정기준에 따라 임의의 필터링용 커패시터로 충방전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소비전력을 1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동작모듈과 대기모듈로 분배되는 상용전원을 센싱하여 PC의 구동신호 또는 PC의 절전신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전원분배모듈; 상기 전원분배모듈에서 PC의 절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분배모듈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소된 소비전력으로 부하에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대기모듈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모듈의 ON/OFF 동작여부를 검출하고, 결과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모듈; 상기 전원분배모듈에서 PC의 구동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분배모듈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소된 소비전력으로 부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듈에서 상기 대기모듈의 동작시에 출력되는 특정 전원이 일정시간동안 감지되면, ON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모듈; 상기 제1 감지모듈, 제2 감지모듈로부터 ON 신호가 검출되면,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기모듈과 부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모듈과 부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동작하여 소비전력이 2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아날로그 게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감지모듈, 제2 감지모듈, 제어부 및 스위칭 소자는 전원공급장치 내에 설치된 내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는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의 더욱 정확한 연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검출되는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통해 스위칭 소자가 대기모듈과 부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스템을 비교적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대기전원의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모듈, 제어부 및 스위칭 소자의 구성을 전원공급장치 내에 설치한 내장형의 구조를 통해 전원공급장치 내부에서 자체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대기전원의 더욱 효율적인 소비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전형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200)는 전원부(100)로부터 임의의 전원을 입력받아 부하(300)에 PC가 동작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원분배모듈(210), 동작모듈(220), 대기모듈(230), 제1 감지모듈(231), 제2 감지모듈(232), 제어부(233) 및 스위칭 소자(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300)는 SPU, SIO, 파워 버튼, 칩셋, 리셋 버튼, 배터리, 리쥼 리셋, LAN 등을 갖는 메인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일반적인 공지기술로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은 전원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용전원을 필터링하여 신호 노이즈를 제거하며, 상기 필터링된 상용전원을 정류 및 안정화하여 후술되는 동작모듈(220)과 대기모듈(230)로 분배하는 것으로서, 입력부, 필터부, 정류부 및 전원 분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분배모듈(21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여 간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전원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임의의 전원을 검출하여 상기 필터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용전원(AC 220V)을 검출한다.
상기 필터부는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용전원을 필터링하여 신호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으로, 전자파 장해 필터(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임의의 제어 스위칭 소자를 통해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체적인 소비전력을 1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터부의 제어 스위칭 소자는 전류변경용 전압(VAC)의 일정기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임의의 필터링용 커패시터로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매직 스위칭(MAGIC SWITCHING) 소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비전력은 50 내지 60mW 정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직 스위칭 소자는 다양한 트랜지스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정류부는 필터부를 거친 상용전원이 정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용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한 후,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전원 분배부로 공급한다.
상기 전원 분배부는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상용전원을 검출하고, 상기 정류부에서 형성된 직류전압에 따라 전류 값이 균등해지도록 제어하여 안정화된 상용전원을 상기 동작모듈(220)과 대기모듈(230)로 분배한다.
또한, 상기 전원 분배부는 상용전원을 센싱하여 PC의 구동신호와 PC의 절전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 분배부는 전기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구성으로서, 전압에 따라 PWM제어를 하여 전류 값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만들고, 전류파형을 사인파 형태로 형성하는 PFC(Power Factor Corrector) 회로소자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동작모듈(220)은 전원분배모듈(210)로부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부하(300)로 PC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도록 하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에서 PC의 구동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PC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장치 및 프로그램이 동작모드로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동작제어신호를 동작전원과 함께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작모듈(220)은 전원분배모듈(210)로부터 분배된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ON/OFF 스위칭을 통해 동작모드의 실행을 판단하는 동작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모드 판단부에 의해 도통되는 동작전력을 정류 및 필터링하는 정류 필터부와, 상기 동작모드 판단부에 의해 도통되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전원공급장치의 ON신호, 프로그램 신호 등 다양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제어신호 출력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동작모듈(220)에 대한 구성은 이미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기술로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며,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대기모듈(230)은 전원분배모듈(210)로부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부하(300)로 PC의 절전모드를 제어하도록 하는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에서 PC의 절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시동 버튼의 인식 및 원격시동의 인식 등 PC의 최소한의 장치가 절전모드로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절전제어신호를 대기전원과 함께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모듈(230)은 전원분배모듈(210)로부터 분배된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ON/OFF 스위칭을 통해 절전모드의 실행을 판단하는 절전모드 판단부와, 상기 절전모드 판단부에 의해 도통되는 대기전력을 정류 및 필터링하는 정류 필터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동작모듈(220) 및 대기모듈(230)에 대한 구성은 이미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기술로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며,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감지모듈(231)은 대기모듈(230)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계기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m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감지모듈(231)은 대기모듈(230)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모듈(230)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233)에 계측가능한 전류가 입력되도록 상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일정비율로 변환하며, 상기 일정비율로 변환된 전류에 따라 ON 또는 OFF 동작하게 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1 감지모듈(231)은 과전류 및 임의의 사고전류까지 용이하게 검출가능하게 되므로, 전기적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감지모듈(232)은 동작모듈(220)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작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타이머 소자(Timer Integrated Circuit)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감지모듈(232)은 동작모듈(220)에서 출력되는 특정 전원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특정 전원이 턴온 후 턴오프 동작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시간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PC가 절전모드로 진행되면, 동작모듈(220)에서는 +5V의 출력전원이 약 10초 내지 20초 정도 턴온(Turn On) 후 턴오프(Turn Off)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모듈(232)은 이러한 특정 전원이 일정시간으로 턴온-턴오프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시간에 따라 ON 또는 OFF 동작하게 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타이머 소자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출력전원의 Turn ON-OFF TIME을 체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가 취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3)는 제1 감지모듈(231) 또는 제2 감지모듈(232)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ON/OFF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ON/OFF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이컴(micro computer)이다.
상기 스위칭 소자(234)는 제어부(233)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모듈(230)과 부하(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대기모듈(230)과 부하(300)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스위칭 소자(234)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 아날로그 게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스위칭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 감지모듈(231. 232), 제어부(233) 및 스위칭 소자(234)는 전원공급장치(200) 내에 설치된 내장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 감지모듈(232)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공급장치(200) 외부에 설치되어, 출력전원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모듈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의 더욱 정확한 연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의 최대절전 감지 및 오동작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중으로 검출되는 절전모드 판단용 신호를 통해 스위칭 소자가 대기모듈과 부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스템을 비교적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대기전원의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감지모듈, 제어부 및 스위칭 소자의 구성을 전원공급장치 내에 설치한 내장형의 구조를 통해 전원공급장치 내부에서 자체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대기전원의 더욱 효율적인 소비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원부 200 : 전원공급장치
210 : 전원분배모듈 220 : 동작모듈
230 : 대기모듈 231 : 제1 감지모듈
232 : 제2 감지모듈 233 : 제어부
234 : 스위칭 소자 300 : 부하

Claims (6)

  1. 대기전원 소모를 개선하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로서,
    전원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용전원을 정류 및 안정화하여 동작모듈(220)과 대기모듈(230)로 분배하며, 상기 상용전원이 미리 설정된 전류변경용 전압(VAC)의 일정기준에 따라 임의의 필터링용 커패시터로 충방전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소비전력을 1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동작모듈(220)과 대기모듈(230)로 분배되는 상용전원을 센싱하여 PC의 구동신호 또는 PC의 절전신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전원분배모듈(210);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에서 PC의 절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소된 소비전력으로 부하(300)에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대기모듈(230)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모듈(230)의 ON/OFF 동작여부를 검출하고, 결과에 따라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모듈(231);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에서 PC의 구동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분배모듈(210)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소된 소비전력으로 부하(3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듈(220)에서 상기 대기모듈(230)의 동작시에 출력되는 특정 전원이 일정시간동안 감지되면, ON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모듈(232);
    상기 제1 감지모듈(231), 제2 감지모듈(232)로부터 ON 신호가 검출되면,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3); 및
    상기 대기모듈(230)과 부하(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233)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모듈(230)과 부하(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동작하여 소비전력이 2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하는 스위칭 소자(234)를 포함하는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234)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아날로그 게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모듈(231), 제2 감지모듈(232), 제어부(233) 및 스위칭 소자(234)는 전원공급장치(200) 내에 설치된 내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KR1020150068117A 2015-05-15 2015-05-15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KR10156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117A KR101568637B1 (ko) 2015-05-15 2015-05-15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117A KR101568637B1 (ko) 2015-05-15 2015-05-15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637B1 true KR101568637B1 (ko) 2015-11-11

Family

ID=5460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117A KR101568637B1 (ko) 2015-05-15 2015-05-15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84A (ko) 2020-02-14 2021-08-24 (주)엔와이컴퓨터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102453722B1 (ko) 2022-04-11 2022-10-12 (주)주연테크 모니터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385A (ja) * 1999-05-21 2000-11-30 Toshiba Corp 電源装置
JP2009232520A (ja) * 2008-03-19 2009-10-08 Nec Commun Syst Ltd マルチ電源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385A (ja) * 1999-05-21 2000-11-30 Toshiba Corp 電源装置
JP2009232520A (ja) * 2008-03-19 2009-10-08 Nec Commun Syst Ltd マルチ電源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84A (ko) 2020-02-14 2021-08-24 (주)엔와이컴퓨터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102453722B1 (ko) 2022-04-11 2022-10-12 (주)주연테크 모니터 소비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6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levels to save energy
US940163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for a load in stanby mode
JP3139721U (ja) 二電源回路自動切替電気回路システム
KR20090092820A (ko) 전원공급 제어장치
KR101568637B1 (ko) 이중 감지모듈을 갖는 절전형 전원공급장치
KR100975220B1 (ko)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컴퓨터
KR100862640B1 (ko)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KR101741225B1 (ko) Sio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TWI597601B (zh) 低功率產品之有效能源利用
KR101657593B1 (ko)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절전 방법
KR101550178B1 (ko) 절전형 파워서플라이
KR20190054708A (ko)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46434B1 (ko) 다중 감지 기능을 갖는 대기 전력 차단 방법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KR100981248B1 (ko) 주변기기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컴퓨터
US7764517B2 (en) Power supply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when a load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KR102244643B1 (ko) 전원공급장치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101774715B1 (ko) 능동형 절전 제어 전원공급장치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20160141092A (ko) 부하유형에 따라 출력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각구제어 멀티탭
US8542001B2 (en) Power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KR200360781Y1 (ko) 자동 제어 멀티콘센트
KR101245291B1 (ko) 스마트카드로 인가되는 전원 제어 및 과전류 감지 장치
KR20200081814A (ko) 전원공급장치 내장형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방법
KR20100082063A (ko) 자동으로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장치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