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585B1 -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585B1
KR101568585B1 KR1020140058273A KR20140058273A KR101568585B1 KR 101568585 B1 KR101568585 B1 KR 101568585B1 KR 1020140058273 A KR1020140058273 A KR 1020140058273A KR 20140058273 A KR20140058273 A KR 20140058273A KR 101568585 B1 KR101568585 B1 KR 101568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ase block
actuator
measuring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5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로부터 탈거된 주형의 수리 작업을 위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블록과, 연속주조기용 주형이 체결고정되고 상기 주형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에 놓여지도록 상기 주형을 이동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주형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인력 절감 및 작업 속도를 향상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MEASUREMENT APPARATUS FOR MOLD OF CONTINUOUS CASTER AND A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주조기로부터 탈거된 주형의 수리작업을 위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기는, 도 1(a)를 참조하면, 고로에서 녹여진 용강이 래이들(1)에 담겨서 이동한 뒤 턴디쉬(2)를 거쳐 주형(3)으로 주입되면서 1차 냉각이 되어 응고층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가이드롤이 있는 2차 냉각대(4)를 거치면서 응고가 완료됨으로써 상기 주형의 내측 형상에 따라 슬래브(slab), 블룸(bloom), 빌레트(billet) 타입의 주편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주형은, 도 1(b)를 참조하면, 초기 응고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결합되는 단변주형(3a)과 장변주형(3b)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주형의 결합 상태 및 표면 상태 등에 따라 주편의 품질이 좌우된다. 액상의 용강은 주형 내에서 1차적으로 응고가 시작되며, 주편의 표면 및 표면 직하의 품질은 주형 내에서의 초기 응고 과정이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주편의 단면부는 용강 토출구 막힘에 의한 비대칭 유동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응고 불균일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주형을 연속주조기에 설치하기 전 주형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주형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베이스블록에 주형을 올려두고 주형의 전면의 상태를 측정하고,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주형을 뒤집어서 베이스블록에 올려두고 주형의 후면의 상태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정방법은, 많은 작업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주형에 로프를 설치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주형을 뒤집어 베이스블록 위에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형을 베이스블록에 안전하게 위치 및 반전시켜 주형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는, 베이스블록; 및 연속주조기용 주형이 체결고정되고, 상기 주형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에 놓여지도록 상기 주형을 이동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주형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주형지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주형지지부를 체결고정하는 주형체결부재; 일측단에 상기 주형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주형을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형체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형체결부재에 체결된 상기 주형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주형을 회전시켜 상기 주형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에 수평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주형을 하강시켜 상기 베이스블록에 놓이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베이스블록, 타측에 제2 베이스블록으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베이스블록에 상기 주형의 일면이 놓이고, 상기 제2 베이스블록에 상기 주형의 타면이 차례로 놓일 수도 있다.
상기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상기 주형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주형의 일면 또는 타면의 표면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방법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주형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주형지지부가 삽입되는 주형체결부재에 상기 주형지지부를 체결고정하는 주형체결단계; 일측단에 상기 주형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주형을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주형을 상승시키는 주형상승단계;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형체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주형을 회전시키는 주형회전단계; 및 상기 주형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베이스블록에 놓이는 주형하강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베이스블록, 타측에 제2 베이스블록으로 마련되고, 상기 주형회전단계는 상기 제1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상기 주형의 일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주형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상기 주형의 타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주형을 반전시키는 주형반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주형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력절감 및 작업속도를 향상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연속주조기에서 탈거된 주형의 이동 및 회전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형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측정부를 마련하여 작업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연속주조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개략도,
도 2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의 주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의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을 개략적인 도시해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연속주조기에 설치되는 주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주형은 연속주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고, 상기 주형의 각 부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연속주조기의 일부 구성들을 기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주형(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 형태로 마련되고, 용강(미도시)을 가이드하는 전면(20), 연속주조기에 설치되는 후면(30), 주형(10)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주형지지부(40), 그리고 상기 용강을 세그먼트(미도시)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주형의 전면(20)은 연속주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강을 하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표면이 고르게 마련된다.
상기 주형의 후면(30)은 주형을 연속주조기에 설치시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기 위하여 복수의 패드(31, 32)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상기 패드(31, 32)는 상측 패드(31)와 하측 패드(32)로 마련되어 있고, 상측 패드(31) 간에는 높이가 동일하고, 하측 패드(32) 간에 높이가 동일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주형지지부(40)는 후술할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에 설치되도록 주형(10)의 양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50)는 주형의 전면(20)의 하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20)을 통과한 용강을 하측으로 가이드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50)는 상기 주형의 전면(20)과 수평한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주형의 전면(20)과 동일하거나, 높게 또는 낮게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롤러(50)를 주형(1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를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100)는, 상기 주형(10)이 놓이는 베이스블록(200), 상기 주형(10)의 주형지지부(40)가 체결되고 상기 주형(1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300),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블록(200)은 정확하며 평활(平滑)하게 다듬질된 평면을 가지는 금속의 튼튼한 테이블 즉, 정반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록(200)에는 상기 주형(10)이 놓이게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가이드프레임(310), 상기 주형(10)의 주형지지부(40)가 체결되는 주형체결부재(330),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20), 그리고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40)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10), 액츄에이터(320), 주형체결부재(330)는 상기 주형(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이하 에서는, 주형(10)의 좌측에 배치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며, 우측에 배치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은 베이스블록(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320)가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320)에 의하여 이동되는 주형체결부재(33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3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블록(200)의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주형체결부재(330)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는 상측부가 개방되어 상기 주형의 주형지지부(40)가 삽입되고, 하측부는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상측단부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형지지부(40)는 볼트(미도시) 등의 체결 구성에 의하여 상기 주형체결부재(3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주형체결부재(330)의 동작에 구속되어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체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는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이동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상기 회전부재(340)는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상측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주형체결부재(330)와 함께 액츄에이터(320)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하고, 상기 주형체결부재(330)와 체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40)가 일측에 하나만 개시되어 있으나, 주형(10)의 크기 또는 무게 등을 고려하여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3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전부재(340)를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속주조기로부터 탈거된 주형(10)을 크레인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형(10)의 주형지지부(40)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100)의 주형체결부재(330)에 삽입되도록 이동시키고, 주형지지부(40)가 주형체결부재(330)에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상기 제어부는 액츄에이터(320)를 구동시켜 주형(1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주형(10)의 하측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50)가 베이스블록(200)의 상측면의 위쪽으로 위치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회전부재(340)를 구동하여 상기 주형(10)이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이동 방향축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는 액츄에이터(320)를 구동하여 주형(10)이 베이스블록(200)에 안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승한계 제한부 및 하강한계 제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는 주형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승한계 제한부는 주형이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노출되는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하강한계 제한부는 주형이 베이스블록에 안착된 높이에서 액츄에이터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부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제어부에 한계제한 값을 설정하여 제어하거나, 하드웨어 적으로 별도의 이동측정부재를 마련하여 한계를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100)는, 상기 주형(10)이 안착되는 베이스블록(200)이 액츄에이터(32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액츄에이터(320)의 좌측에 마련되는 제1 베이스블록(210)과 우측에 마련되는 제2 베이스블록(22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블록(200)이 제1 베이스블록(210)과 제2 베이스블록(220)으로 마련되면, 상기 제어부는 액츄에이터(320)를 구동시켜 주형(1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부재(340)를 구동하여 상기 주형(10)이 상기 제1 베이스블록(2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주형(10)의 후면(30)이 제1 베이스블록(210)에 안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경우, 주형(10)의 전면(20)이 노출되므로, 주형(10)의 전면(20)의 측정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주형(10)의 전면(20)에 대한 작업이 끝나면, 제어부는 다시 액츄에이터(320)를 구동시켜 주형(1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부재(340)를 구동하여 상기 주형(10)이 제2 베이스블록(2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주형(10)의 전면(20)이 제2 베이스블록(220)에 안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형(10)의 후면(30)의 측정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주형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동 및 회전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의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상기 측정부에는 롤러단차측정부와 패드단차측정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단차측정부(400)는,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블록(210)에 주형의 전면(20)이 노출되도록 안착되면, 롤러단차측정부(400)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부(410)를 이용하여 상기 주형의 전면(20)과 가이드롤러(50) 간의 단차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410)가 물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져 센서로 마련되면, 상기 센서부(410)는 가이드롤러(50)와의 간격(r)과 주형의 전면(20)과의 간격(f)을 측정하여 이들의 차를 이용하여 가이드롤러(50)와 주형의 전면(20) 간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패드단차측정부(500)는, 도 5(b)를 참조하면, 제2 베이스블록(220)에 주형의 후면(30)이 노출되도록 안착되면, 패드단차측정부(500)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부(510)를 이용하여 상기 주형의 전면(20)이 안착되어 있는 제2 베이스블록(220)의 상측면과 하측 패드(32) 간의 단차를 측정한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센서부(510)가 레이져 센서로 마련되면, 상기 센서부(410)는 제2 베이스블록(220)와의 간격(p)과 하측 패드(32)과의 간격(e)을 측정하여 이들의 차를 이용하여 하측 패드(32)와 주형의 전면(20) 간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상측 패드(31)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형의 전면(20)과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10, 510)는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측정영역으로 이동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고, 측정영역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410, 510)은 상기한 설명과 같이 레이져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고, 3D 스캐너 등으로 마련되어 주형의 전면(20) 및 후면(30)을 스캐닝 하고 스캐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여 표면의 상태 또는 각 구성간의 단차 등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측정부의 측정 방법은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측정부가 하나로 마련되어 제1 베이스블록과 제2 베이스블록 사이를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도 있고, 포터블로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측정할 수 있는 등 어떠한 방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의 측정방법을 도시해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우선, 주형의 측정작업을 위하여 연속주조기로부터 외부장비를 이용하여 주형을 탈거한다. 그리고, 탈거된 주형은 외부장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측정장치의 주형지지부에 주형을 체결하는 주형체결단계(S10)에 진입하여 주형상승단계(S20), 주형회전단계(S30), 주형하강단계(S40)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주형체결단계(S10)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주형체결부재에 상기 주형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주형지지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주형체결부재에 상기 주형지지부가 구속되도록 체결고정하여, 상기 주형체결부재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주형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형상승단계(S20)는 상기 주형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주형체결부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주형을 상승시킨다.
상기 주형회전단계(S30)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형체결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주형의 전면 또는 후면이 베이스블록에 대향하도록 상기 주형을 회전시킨다.
상기 주형하강단계(S40)는 상기 주형의 전면 또는 후면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블록에 놓이도록 상기 주형을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베이스블록, 타측에 제2 베이스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형회전단계는 상기 제1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상기 주형의 일면이 향한 상태에서, 상기 주형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상기 주형의 타면이 향하도록 상기 주형을 반전시키는 주형반전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제1 베이스블록에 주형의 전면을 안착시키면 측정부를 이용하여 후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로 주형을 상승시키고 회동부재로 주형을 반전시킨 뒤 제2 베이스블록에 주형의 후면을 안착시키면 측정부를 이용하여 전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주형 20 : 전면
30 : 후면 40 : 주형지지부
50 : 가이드롤러 100 : 측정장치
200 : 베이스블록 300 : 구동부
310 : 가이드프레임 320 : 액츄에이터
330 : 주형체결부재 340 : 회전부재
400 : 롤러단차측정부 500 : 패드단차측정부

Claims (7)

  1. 베이스블록(200); 및
    연속주조기용 주형(10)이 체결고정되고, 상기 주형(10)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200)에 놓여지도록 상기 주형(10)을 승강 및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0)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주형(10)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주형지지부(40)가 삽입되고 상기 주형지지부(40)를 체결고정하는 주형체결부재(330)와, 일측단에 상기 주형체결부재(330)가 체결되어 상기 주형(10)을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20),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일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록(200)은 상기 회전부재(340)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블록(210)과,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베이스블록(220)으로 마련되며,
    상기 주형(10)은 상기 구동부(300)에 의하여 상기 제1 베이스블록(210)에 일면이 놓이고, 상기 제2 베이스블록(220)에 타면이 차례로 놓이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주형체결부재(330)에 체결된 상기 주형(1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320)를 제어하고, 상기 주형(10)을 회전시켜 상기 주형(10)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베이스블록(200)에 수평하도록 상기 회전부재(340)를 제어하고, 상기 주형(10)을 하강시켜 상기 베이스블록(200)에 놓이도록 상기 액츄에이터(320)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는,
    상기 베이스블록(200)에 상기 주형(10)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주형(10)의 일면 또는 타면의 표면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6.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어 주형(10)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주형지지부(40)가 삽입되는 주형체결부재(330)에 상기 주형지지부(40)를 체결고정하는 주형체결단계;
    일측단에 상기 주형체결부재(330)가 체결되어, 상기 주형(10)을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20)에 의하여 상기 주형(10)을 상승시키는 주형상승단계;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일측단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32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형체결부재(3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40)에 의하여 상기 주형(10)을 회전시키는 주형회전단계; 및
    상기 주형(10)의 일면 또는 타면이 상기 액츄에이터(320)에 의하여 베이스블록(200)에 놓이는 주형하강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200)은, 상기 회전부재(340)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베이스블록(210), 타측에 제2 베이스블록(220)으로 마련되고,
    상기 주형회전단계는, 상기 제1 베이스블록(210)의 상측에 상기 주형(10)의 일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주형(10)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베이스블록(220)의 상측에 상기 주형(10)의 타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주형(10)을 반전시키는 주형반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방법.

KR1020140058273A 2014-05-15 2014-05-15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56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73A KR101568585B1 (ko) 2014-05-15 2014-05-15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73A KR101568585B1 (ko) 2014-05-15 2014-05-15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585B1 true KR101568585B1 (ko) 2015-11-12

Family

ID=54610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273A KR101568585B1 (ko) 2014-05-15 2014-05-15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5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38Y1 (ko) * 2000-09-29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슬래브의 회전장치
JP4099652B2 (ja) * 2001-12-26 2008-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形用金型の保全治具及び成形用金型の保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38Y1 (ko) * 2000-09-29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슬래브의 회전장치
JP4099652B2 (ja) * 2001-12-26 2008-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成形用金型の保全治具及び成形用金型の保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32544A1 (ja) 枠付き上下鋳型の枠合せ装置
EP3403742A1 (en) Mold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ld displacement detecting method for upper and lower molds
KR101167996B1 (ko) 노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35460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KR101568585B1 (ko) 연속주조기용 주형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01687252B (zh) 使用于连铸金属板坯的浸入式注入口居中
KR101958973B1 (ko) 롤 정렬 검사장치
CN108555274B (zh) 异型坯中间包快换方法
JP6302358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スキージ位置自動補正機構及びスキージ位置自動補正方法
KR101299853B1 (ko) 연주 슬라브의 길이측정장치
KR101316514B1 (ko) 기계 위치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편절단기
JP6631393B2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装置、及び、金属薄帯の製造方法
KR101330580B1 (ko) 래들 위치 조정 장치
KR102362664B1 (ko) 몰드 위치조절장치
KR20140033685A (ko) 연속주조장치의 벤더 롤 갭 조정 장치 및 방법
CN108290215A (zh) 铸造设备和铸造方法
CN108393481B (zh) 异型坯中间包快换装置
KR101277498B1 (ko) 후판의 형상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742923B2 (ja) 曲げ試験機及びl形擁壁専用の曲げ試験補助機
KR101701985B1 (ko) 자기장 측정 장치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102472284B1 (ko) 알루미늄 중력식 주조기
KR101129951B1 (ko) 연속 주조용 몰드의 마모량 측정 장치
KR102626307B1 (ko) 세그먼트 롤 레벨 측정장치
KR20150017268A (ko) 지지 블럭의 높낮이 제어가 가능한 디파일러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