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773B1 -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773B1
KR101567773B1 KR1020130166822A KR20130166822A KR101567773B1 KR 101567773 B1 KR101567773 B1 KR 101567773B1 KR 1020130166822 A KR1020130166822 A KR 1020130166822A KR 20130166822 A KR20130166822 A KR 20130166822A KR 101567773 B1 KR101567773 B1 KR 10156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acility
hazardous
monito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0080A (en
Inventor
조병록
김동현
김진수
박민주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73B1/en
Publication of KR2015008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0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거리에 마련된 위험 설비와, 상기 위험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위험설비를 감지하는 감시부와, 외부 제어 신호와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반과 감시부를 제어하고, 제어반과 감시부의 결과를 송출하는 무선 중계기와,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관제 서버 및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관제 서버 및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dangerous facility, including a dangerous facility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angerous facility, a monitoring unit for detecting the dangerous facility, A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the monitoring unit,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result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onitoring unit, a control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r the CDMA network, and a control server and a wireless repeater A smart terminal, and a smart terminal.

Description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방향 듀얼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산업현장의 위험시설을 원격에서 관제할 수 있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dangerous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dangerous facility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hazardous facility in an industrial site using a two-way du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종래의 산업 현장의 위험시설의 감시 방법은 감시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센서와 통신 시설의 발달로 인하여 원격에서 위험시설을 관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적용되는 센서와 통신 방식의 적용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원격 감시 설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장비와 센서를 추가 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통신 방법은 단거리 통신 시스템을 적용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위험시설을 원격으로 감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monitoring methods for hazardous facilities in industrial sites have adopted a method in which supervisors directly visit the site.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sensors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technology for managing hazardous facilities remotely has been developed. Various systems could be developed depending on the applied sensor and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in order to operate such a remote monitoring facility, additional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ensors have to be purchased.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is applied to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remotely monitor a dangerous facility from a remote place.

(특허 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468627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468627 (특허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709894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0709894 (특허 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0489244호(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048924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방향 듀얼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산업현장의 위험시설을 원격에서 관제할 수 있고, 위험 설비에 대한 제어 및 감시를 스마트 단말기로 진행함으로 인하여 원거리에서도 위험설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dangerous facility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dangerous facilities.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에 마련된 위험 설비와, 상기 위험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상기 위험설비를 감지하는 감시부와, 외부 제어 신호와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반과 감시부를 제어하고, 제어반과 감시부의 결과를 송출하는 무선 중계기와,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관제 서버 및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관제 서버 및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a monitoring unit for sensing the hazardous equipme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th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 sensing signal, And a smart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server and a wireless repeat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CDMA network, and a smart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a control server and a wireless repeat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CDMA network. And provides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상기 제어반은 위험 설비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듈과, 위험설비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는 위험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마모 등을 감시하되, 위험설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위험설비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반과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반과 감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설비 제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panel includes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hazardous equipment and a drive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hazardous equipment is driven. The monitoring unit is adapted to detect corrosion, deformation, sinking, leakage, vibration,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dangerous facility, wherein the wireless repeater receives an external signal and outputs a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panel and the monitoring unit to the outside And a facilit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monitoring unit.

상기 관제 서버는 무선 중계기 및 스마트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서버 통신 모듈과, 위험 설비의 현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른 리스크를 알리는 위험 설비 감시 모듈과, 위험 설비의 현 상태 정보와 리스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동작을 관리하는 위험 설비 관리 모듈과, 설비 감시 모듈의 감시결과에 따라 리스크 발생시 해당 리스크를 알리는 알림 모듈과, 관제 서버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과, 관제 서버의 상태 및 위험 설비의 상태를 화면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server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and the smart terminal, a risk facility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risk facility and informing the risk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 notification module for notifying the risk when the risk occur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facility monitoring module,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and data of the control server,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state of the server and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상기 서버 통신 모듈은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중계기 통신 모듈과,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단말기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중계기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하고, 단말기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망 또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을 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망의 장애 발생시 CDMA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에 장애 상태를 알리고, 관련 자료를 송부하는 장애 해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repeater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repeater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terminal. The repeater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use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or a CDMA And a failure solving module for communicating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notifying the smart terminal of the failure status through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sending related data.

상기 위험 설비 감시 모듈은 위험 설비의 설치시 상태 및 동작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설비 기준 모듈과, 위험 설비 관리 모듈을 통해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제공받는 현 설비 확인 모듈과, 감시부로부터 확인된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제공받는 설비 검출 모듈과, 설비 기준 모듈을 기준으로 설비 확인 모듈에 의한 위험 설비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1차 파악하고, 설비 검출 모듈에 의한 위험 설비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2차 파악하고, 1차 파악 값과 2차 파악 값의 비교를 통해 위험 설비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판단하거나,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이전 설비의 상태 정보와 현 설비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파악하는 설비위험도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zard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includes an equipment referenc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state and operati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installed, an existing equipment identification module for receiving st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through the hazard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A facility detec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st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dangerous facility identified by the facility identification module and a facility identification module that detects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vibration (vibration) (Leakage), vibration (shaking), deviation and abras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s by the facility detection module, and compares the primary and secondary values (Leakage), vibration (shake), deviation and wear of the hazardous equipment, or by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revious facility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unit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orrosion, deformation, sink, leaks (leaks), the vibration (runout), age, exits, and equipment wear risk determination module to determine the degree.

상기 설비 위험도 판단 모듈은 감시부의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및 영상 정보 중에서 위험 설비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정보와 이전 이미지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이미지상의 차이를 분석하여 위험 정보 신호를 산출하되,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을 통해 위험설비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총 5개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ility risk determination module extracts an image related to the hazardous apparatus from the image and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of the monitoring unit, compares and analyzes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 image information, and analyzes the difference on the image to calculate a danger information signal, And a total of five images of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dangerous facility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amera unit.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위험 설비의 현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른 리스크를 알리는 스마트 감시 모듈과, 위험 설비의 현 상태 정보와 리스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동작을 관리하는 스마트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terminal includes a smart monitoring module that monitors the current status of the hazardous equipment and informs the risk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a smart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using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and the risk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equipmen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에 위치한 위험 설비의 상태를 센싱 및 촬영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망 중 인터넷 통신망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위험 설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리스크 발생을 통지하고, 판단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기 저장된 위험 설비 상태 정보와 현재 촬영된 위험설비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다시한번 리스크를 판단하여 리스크가 있는 경우 리스크 발생을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CDMA망을 통해 위험 설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위험 설비의 리스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sensing and photographing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ing the stat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quipment,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risk, and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judgment,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dangerous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with the currently photographed hazardous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isk facility status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CDMA network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ransmitting the risk facility status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smart terminal,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양방향 듀얼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산업현장의 위험시설을 원격에서 관제할 수 있고, 위험 설비에 대한 제어 및 감시를 스마트 단말기로 진행함으로 인하여 원거리에서도 위험설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할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망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CDMA망을 통해 위험 설비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the hazardous facilities in the industrial field by using the bidirectional du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and monitor the dangerous facilities as a smart terminal, And in case of an abnormality i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angerous equipment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CDMA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 감시부 및 무선중계기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블록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통신 모듈 및 위험설비감시모듈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facili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panel, a monitoring unit, and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and a hazard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FIG. 5 is a flowchart of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method for a dangerous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mponen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by main function which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funct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nstituent units themselves, and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According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function. For this reason, it is clear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ris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fferent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 감시부 및 무선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통신 모듈 및 위험설비감시모듈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facili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panel, a monitoring unit, and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and a hazard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은 원거리에 마련된 위험 설비(100)와, 위험설비(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200)과, 위험설비(100)를 감지하는 감시부(300)와, 외부 제어 신호와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반(200)과 감시부(300)를 제어하고, 제어반(200)과 감시부(300)의 결과를 송출하는 무선 중계기(400)와,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무선 중계기(400)와 통신하는 관제 서버(500)와, 인터넷망 또는 CDMA망을 통해 관제 서버(500) 및 무선 중계기(400)와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기(600)를 포함한다.1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hazardous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cludes a dangerous facility 100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a control panel 2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facility 100, A wireless repeater 40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 sens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sults of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A control server 500 that communicates with a wireless relay device 40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CDMA network and a smart terminal 600 that communicates with a control server 500 and a wireless relay device 40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CDMA network .

위험 설비(100)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위험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험 설비(100)로 배관을 연결하는 밸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위험 설비(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설비를 지칭한다. 또한, 위험 설비는 윈거리에 위치하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자동제어될 수 있는 설비를 추가 지칭할 수 있다.The hazardous equipment 100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kind of dangerous materials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connecting the piping to the hazardous equipment 100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hazardous installation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refers to any facility in which corrosion,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leakage), vibration (vibration), aging, Furthermore, the hazardous installation can additionally be referred to as a facility which is located at the win distance and whose operation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제어반(200)은 위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반(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설비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듈(210)과, 위험설비(100)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모듈(220)을 포함한다.The control panel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The control panel 200 includes a drive module 210 for driving the hazardous equipment and a drive confirmation module 220 for confirming whether the hazardous equipment 100 is driven as shown in FIG.

위험 설비(100)로 배관의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듈(210)로 밸브를 온/오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모터와 기어를 구동 모듈로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valve of the piping is used as the hazardous equipment 100, it is effective to use the valve on / off device with the drive module 21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solenoid. Of course, motors and gears can be used as drive modules.

이에 따라 구동 확인 모듈(220)로는 솔레노이드의 동작 확인 수단 또는 모터의 인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확인 모듈(220)은 위험설비(100)를 감지하는 감시부(300)의 감시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Accordingly, as the drive confirmation module 220, an operation check unit of a solenoid or an inverter of a motor can be used. The driving confirmation module 220 may use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unit 300 that senses the hazardous equipment 100. [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반(200)에는 별도의 동작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동작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되, 전압 또는 전류를 가변하여 동작 모듈을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panel 2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operation control module. It is effectiv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module,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module by varying the voltage or current.

감시부(300)는 위험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마모등을 감시한다.The monitoring unit 300 monitors corrosion,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vibration (vibration), aging, deviation, abrasion, and the like of the dangerous equipment.

감시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설비(1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310)와, 위험설비(100)를 촬영하는 카메라부(320)를 포함한다.The monitoring unit 300 includes a sensor unit 310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nd a camera unit 320 for shooting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s shown in FIG.

센서부(310)로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충격 감지 센서, 거리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누수 감지 센서 및 압력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Various types of sensors can be used for the sensor unit 31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motion sensing sensor, a heat sensing sensor,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an impact sensing sensor, a distance sensing sensor, a vibration sensing sensor, a leakage sensing sensor, and a pressure sensing sensor may be used.

카메라부(320)로는 CCTV와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고, 이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s the camera unit 320, it is effective to use a CCTV and an infrared camera, and a moving unit to move the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센서부(310)와 카메라부(320)의 감시 결과를 전송하는 감시 결과 전송부와, 센서부와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시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result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onitoring results of the sensor unit 310 and the camera unit 320, and a monitor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and the camera unit.

무선 중계기(400)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반(200)과 감시부(300)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통신 모듈(410)과, 제어반(200)과 감시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설비 제어 모듈(42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repeater 4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0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nd delivering signals provided from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to the outside, And a facility control module 420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무선 통신 모듈(410)로는 CDMA 망 및/또는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 모듈로, 지그비 통신, RF 통신을 사용하는 장치가 가능하다.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0, it is effective to use a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CDMA network and / or Wi-Fi.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 apparatus that uses Zigbee communication and RF communication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possible.

설비 제어 모듈(420)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반(200)과 감시부(300)에 제어 신호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거리에 위치한 제어반(200)과 감시부(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facility control module 420 analyzes signals provid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as control signals.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located at a long distance.

설비 제어 모듈(420)은 제어반(200)과 감시부(30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410)을 통해 관제 서버(500)에 제공한다.The facility control module 420 provides signals generated from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monitoring unit 300 to the control server 5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10.

설비 제어 모듈(420)은 감시부(300) 내의 카메라부(320)를 제어하는 DV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부(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편집 및 가공이 쉬워질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module 420 may include a DVR module for controlling the camera unit 320 in the monitoring unit 300. This makes it easy to edit and process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320. [

관제 서버(500)는 무선 중계기(400) 및 스마트 단말기(60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서버 통신 모듈(510)과, 위험 설비(100)의 현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른 리스크를 알리는 위험 설비 감시 모듈(520)과, 위험 설비(100)의 현 상태 정보와 리스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험 설비(100)의 동작을 관리하는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과, 설비 감시 모듈(520)의 감시결과에 따라 리스크 발생시 해당 리스크를 알리는 알림 모듈(540)과, 관제 서버(500)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550)과, 관제 서버(500)의 상태 및 위험 설비(100)의 상태를 화면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60)을 포함한다.The control server 500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510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repeater 400 and the smart terminal 600 and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510 for monito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 facility monitoring module 520 and a risk facility management module 530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using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and the risk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 storage module 550 for storing information and data of the control server 500, a status of the control server 500, and a status of the control server 500. The notification module 540 informs the user of the risk, And a display module 560 for displaying the status on the screen.

서버 통신 모듈(510)은 무선 중계기(400)와 통신하는 중계기 통신 모듈(511)과, 스마트 단말기(600)와 통신을 하는 단말기 통신 모듈(512)을 구비한다. 이때, 중계기 통신 모듈(511)은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을 실시하고, 단말기 통신 모듈(512)은 무선 인터넷 망 또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을 실시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510 includes a repeater communication module 511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repeater 400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512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terminal 600. At this time, the repeater communication module 511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512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or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그리고, 서버 통신 모듈(510)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의 장애 발생시 CDMA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600)에 장애 상태를 알리고, 관련 자료를 송부하는 장애 해결 모듈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망 단절시 비상체제로 위험 설비를 원격 관리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510 includes a failure resolution module for notifying the smart terminal 600 of the failure status through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related data when the failure occurs in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us, in this embodiment, the dangerous facility can be remotely managed by the emergency system in case of the Internet network disconnection.

위험 설비 감시 모듈(520)은 위험 설비의 설치시 상태 및 동작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설비 기준 모듈(521)과,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을 통해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제공받는 현 설비 확인 모듈(522)과, 감시부(300)로부터 확인된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제공받는 설비 검출 모듈(523)과, 설비 기준 모듈(521)을 기준으로 설비 확인 모듈(522)에 의한 위험 설비(100)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1차 파악하고, 설비 검출 모듈(520)에 의한 위험 설비(100)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2차 파악하고, 1차 파악 값과 2차 파악 값의 비교를 통해 위험 설비(100)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판단하거나, 감시부(300)로부터 제공된 이전 설비의 상태 정보와 현 설비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파악하는 설비위험도 판단 모듈(524)을 포함한다.The danger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520 is provided with an equipment reference module 521 for storing and managing status and operation related informa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A facility detection module 523 that receives the st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dangerous facility identified by the monitoring unit 300 and an equipment identification module 522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leakage), vibration (shake), deviation and wear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by the facility detection module 520, (Leaking), leakage (leakage), vibration (swinging), deviation and abras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by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values with each other, (Shaking), departure and abrasion of the previous facility or the state of the previous facility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unit 300 And a facility risk determination module 524 that compa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eam and the current facility to determine corrosion,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leakage), vibration (shake), aging, deviation, and wear of the facility.

설비 기준 모듈(521)은 위험 설비(100)의 초기 설치시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별도의 정보로 관리한다. 또한, 설비 기준 모듈(521)은 감시부(300)로부터 제공된 이전 설비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The facility reference module 521 stores information inputted at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nd manages the information as separate information. The facility reference module 521 may also manage stat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facility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unit 300. [

현 설비 확인 모듈(522)은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의 제어 신호 또는 설비 관리 신호에 의해 위험 설비가 어느 정도 이동 또는 동작하였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이론적인 위험 설비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The current facility identification module 522 determines to what extent the hazardous equipment has moved or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hazard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530 or the facility management signal. This allows you to know the theoretical hazardous installation status.

설비 검출 모듈(523)은 감시부(300)에 의해 실지로 파악된 위험 설비(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설비 검출 모듈(523)은 센서부(310)의 센서 출력을 관리 및 저장하고, 카메라부(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이미지를 관리 및 저장한다. 이를 통해 위험 설비 현 외관 및 실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facility detection module 523 can check the status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ctually detected by the monitoring unit 300. [ The facility detection module 523 manages and stores sensor outputs of the sensor unit 310, and manages and stores images and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320. This makes it possible to grasp the current appearance and actual condition of the hazardous installations.

설비 위험도 판단 모듈(524)은 다양한 동작을 하지만, 먼저 센서부(310)의 센서 출력에 의한 판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acility risk determination module 524 performs various operations. First, the determination based on the sensor output of the sensor unit 310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설비 확인 모듈(522)에 의한 위험 설비 상태와 설비 기준 모듈(521)에 의한 위험 설비 상태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를 산출하여 1차 파악한다. 즉, 설비 확인 모듈(522)은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에 의한 위험 설비 제어 및 관리 신호에 따른 위험 설비(100)의 상태 변경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값을 설비 기준 모듈(521)에 대응하여 그 차이를 산출한다. 이어서, 감시부(300)의 정보 및 신호에 의해 설비 검출 모듈(523)이 위험 설비의 상태를 2차 파악한다. 이때의 파악은 무선 원격 통신에 의해 실시된다.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of the dangerous facility by the facility confirmation module 522 and the state of the dangerous facility by the facility reference module 521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is calculated and firstly grasped. That is, the facility confirmation module 522 calculates the state change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ccording to the hazardous equipment control and management signal by the hazard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530. The calculated value is calculated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reference module 521. Then, the facility detection module 523 secondarily grasps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by the information and the signal of the monitoring unit 300. This grasping is carried out by wireless telecommunication.

이과 같이 1차 파악된 결과와 2차 파악된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1 내지 3%) 이내의 값인지 파악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위험 정보 및 신호를 산출한다.If the result of the first detection i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 second det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rror is within the error range (± 1 to 3%). If the error is outside the error range, the risk information and the signal are calculated.

또한, 설비 위험도 판단을 위해 감시부(300)에 의해 기 제공된 이전 설비의 상태 정보와 현 설비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이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파악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위험 정보 및 신호를 산출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facility risk,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facility provided by the monitoring unit 300 is compared with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 facility. If the comparison value is within the error range, And a signal.

설비 위험도 판단 모듈(524)은 카메라부(32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및 영상 정보 중에서 위험 설비 관련 이미지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이미지 정보와 이전 이미지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이미지상의 차이를 분석하고, 해당 이미지 상의 차이가 오차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위험 정보 신호를 산출한다. 여기서 이전 이미지 정보는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에서 생성되는 위험 설비 제어 또는 관리 신호에 따라 취할 수 있는 위험 설비(100)의 모든 상태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앞서와 같이 산출되는 이전 이미지 정보 또한 현 설비의 상태와 맞는 이미지 정보가 로딩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오류는 최소화할 수 있다.The facility risk determination module 524 extracts the hazardous equipment related image from the image and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320.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image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n the image. If the difference on the imag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error range, the danger information signal is calculated. Here, the previous image information stores an image corresponding to all the states of the hazardous equipment 100 that can be taken according to the hazardous equipment control or manag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hazard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530. Accordingly, since the previous image information calculated as above is also load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matching the state of the current facility, the error caused thereby can be minimized.

그리고, 카메라부(320)의 이동을 통해 위험설비(100)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총 5개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하좌우의 이동은 중앙을 기준으로 카메라부(320)를 5 내지 30도 각도로 이동시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인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 카메라의 중앙에 밸브가 위치한 이미지 1개와, 카메라부(320)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촬영한 이미지 4개를 각기 앞서와 같이 이전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위험 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amera unit 320, the five images in total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hazardous equipment 100. At this time, it is effective that the image is an image or an image photographed by moving the camera unit 320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For example, when a valve is used, one image in which the valv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amera and four images taken by moving the camera unit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images, Corrosion,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leakage), vibration (shaking), aging, deviation and abrasion.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은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위험 설비 제어를 위한 상태 및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원격에서 위험설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은 앞의 위험 설비 감시 모듈(520)에 의해 위험(리스크) 정보가 발생할 경우, 위험 설비(100)의 동작 자체를 제어하는 위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은 감지부(300)에 의한 지속적인 위험 설비 감지 결과를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등을 파악하여 이후 위험설비 상태 및 동작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The hazard facility management module 530 manages the status and operation of the hazard facility. To this end, a state and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azardous facility is generated, thereby enabling remote control of the hazardous facility. The dangerous facility management module 530 may generate a risk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facility 100 when the risk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risky facility monitoring module 520. [ The danger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530 is provided with the result of the continuous detection of the dangerous equipment by the sensing unit 300. Thi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current hazardous equipment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condition and operation.

알림 모듈(540)은 위험 설비 감시 모듈(520)에 의하여 위험 신호가 발생된 경우, 이를 신호 또는 영상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마트 단말기(600)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600)가 위험 설비에 위험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a danger signal is generated by the danger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520, the notification module 540 informs the user through a signal or an image. Of course, a signal is sent to the smart terminal 600, and through this signal, the smart terminal 600 can recognize that a danger has occurred in the dangerous equipment.

저장 모듈(550)은 앞서 언급한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 그리고, 신호들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560)은 이의 결과를 표시한다.The storage module 550 stores the aforementioned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and signals, and the display module 560 displays the results thereof.

스마트 단말기(6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제 서버(500) 및 무선 중계기(400)와 통신을 실시한다.The smart terminal 600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500 and the wireless repeater 400 through the installed application.

스마트 단말기(6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관제 서버(500)의 위험 설비 감시 모듈(520)과 동일한 동작과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감시 모듈과, 위험 설비 관리 모듈(530)과 동일한 동작과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관리 모듈을 구비한다.Although not shown, the smart terminal 600 has the same functions and functions as the smart monitoring module and the risk facility management module 530, which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nd functions as the risk facility monitoring module 520 of the control server 500 described above And a smart management module for performing the smart management module.

그리고, 스마트 감시 모듈과 스마트 관리 모듈은 서버 통신 모듈에 의해 무선 인터넷 통신망 장애 발생시 생성된 비상 네트워크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서버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터넷 망 단절시 CDMA 통신망을 통해 위험 설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smart monitoring module and the smart management module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emergency network signal generate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ilure occurs by 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server instead.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dangerous facilities through the CDMA network when the Internet is disconnected.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remote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hazardous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설비 원격 감시 제어 방법은 먼저, 원거리에 위치한 위험 설비의 상태를 센싱 및 촬영한다(S110).As shown in FIG. 5,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for dangerous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senses and captures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located at a remote place (S110).

이어서, 무선 통신망 중 인터넷 통신망의 상태를 확인한다(S120). 위험 설비 근처에 위치한 무선 중계기를 통해 인터넷 통신망을 확인한다. 인터넷 통신망이 정상인 경우, 무선 중계기를 통해 촬영 영상 정보를 포함한 위험 설비의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에 제공한다(S130).Then, the stat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s checked (S120). Identify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located near the hazardous installation. If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s normal,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including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wireless repeater (S130).

이어서, 관제 서버는 제공받은 위험 설비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S140). 즉, 위험 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판단한다.Then, the control server judg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dangerous facility using the provided status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facility (S140). In other words, determine the degree of corrosion, deformation, sinking, leakage (leakage), vibration (vibration), aging, deviation and wear of the hazardous equipment.

이를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설비 상태 정보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된 현 설비 상태 정보를 통해 설비 상태를 1차 파악한다. 이어서, 센싱 및 감지된 위험설비의 상태 정보를 통해 위험 설비 상태를 2차 파악하고, 1차 파악 결과와 2차 파악 결과의 대비를 통해 위험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리스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스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리스크 발생이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스마트 단말기에 리스크 발생 여부를 통지한다(S160).For this, the facility status is firstly identified through the current facility status information operat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facility status information and the control command as described above. Then, the state of the dangerous equipmen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ed and detected stat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equipment, and the risk equipment is judg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identification. At this time, if there is a match within th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isk, and if the error range is exceeded, it is determined that a risk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a risk has occurred, the manager or smart terminal is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 risk (S160).

또한, 리스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 저장된 위험 설비의 상태 정보와 현재 촬영된 위험 설비의 상태정보를 비교한다(S150). 비교 값이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는 리스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스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리스크 발생이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스마트 단말기에 리스크 발생 여부를 통지한다(S160). 이때, 기 저장된 위험 설비의 상태 정보는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사용하고, 현재 촬영된 이미지 정보와의 대비를 통해 위험 설비의 리스크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및 마모 정도를 이미지 비교를 통해 판단한다. 즉, 이전 이미지와 현 이미지 간의 색상 차이 등을 이용하여 리스크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판단 기준을 통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의 정확성과 다양한 부분의 검색을 위해 위험 설비의 상하좌우 이미지를 분석하여 리스크를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isk,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dangerous equipment is compared with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photographed dangerous equipment (S150). If the comparison value is within th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isk. If the comparison value is out of th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a risk has occurred, the manager or smart terminal is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 risk (S160). At this tim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e-stored hazardous equipments uses the stored imag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isk facility is risky by comparing with the currently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this case, judging criteria are corrosion,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leakage), vibration (shake), aging, deviation and weariness. That is, the risk is determined by using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image and the current imag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judged based on various criteria. And, risk can be judged by analyz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mages of the hazardous equipment for the accuracy of judgment and searching various parts.

또한, 만일 인터넷 통신망의 상태 확인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CDMA망을 통해 위험 설비의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한다(S170).If the result of the status check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s abnormal,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CDMA network (S170).

이를 제공 받은 스마트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험 설비의 리스크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The smart terminal that provided it judges the risk of the hazardous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status and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through the smart terminal.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위험 설비 200 : 제어반
210 : 구동모듈 220 : 구동확인 모듈
300 : 감시부 400 : 무선 중계기
410 : 무선 통신 모듈 420 : 설비 제어 모듈
500 : 관제 서버 510 : 서버 통신 모듈
520 : 위험설비 감시 모듈 530 : 위험설비 관리 모듈
540 : 알림모듈 550 : 저장 모듈
560 : 디스플레이 모듈 600 : 스마트 단말기
100: Hazardous facilities 200: Control panel
210: drive module 220: drive confirmation module
300: monitoring unit 400: wireless repeater
41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20: Equipment control module
500: control server 510: server communication module
520: Hazard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530: Hazard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540: Notification module 550: Storage module
560: Display module 600: Smart terminal

Claims (8)

원거리에 마련된 위험 설비;
위험 설비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듈과, 위험설비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는 구동 확인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
위험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마모 등을 감시하되, 위험설비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위험설비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위험설비를 감지하는 감시부;
외부 제어 신호와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반과 감시부를 제어하고, 제어반과 감시부의 결과를 송출하기 위해 외부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반과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제어반과 감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설비 제어 모듈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기;
무선 중계기 및 스마트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서버 통신 모듈과, 위험 설비의 현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른 리스크를 알리는 위험 설비 감시 모듈과, 위험 설비의 현 상태 정보와 리스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동작을 관리하는 위험 설비 관리 모듈과, 설비 감시 모듈의 감시결과에 따라 리스크 발생시 해당 리스크를 알리는 알림 모듈과, 관제 서버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과, 관제 서버의 상태 및 위험 설비의 상태를 화면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통신망을 통해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관제 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서버 및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Remote installation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through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dangerous facility and a drive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whether the dangerous facility is driven;
A sensor unit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hazardous equipment,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hazardous equipment, for monitoring corrosion, deformation, subsidence, leakage, vibration, A monitoring unit for detecting a dangerous facility;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n external signal to control the control panel and th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the external control signal and the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monitoring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panel and the monitoring unit to the outside, A wireless repeater including a facilit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units;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repeater and a smart terminal, a dangerous facility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the present state of the dangerous facility and notifying the risk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and risk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facility A notification module for notifying the risk when a risk occurs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facility monitoring module,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and data of the control server, A control serve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repeat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hazardous equipment on the screen; And
And a smart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nd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 모듈은 무선 중계기와 통신하는 중계기 통신 모듈과,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단말기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중계기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을 하고, 단말기 통신 모듈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의 장애 발생시 CDMA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에 장애 상태를 알리고, 관련 자료를 송부하는 장애 해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repeater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repeater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terminal. The repeater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ault remedy module for informing the smart terminal of the fault condition through the CDM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related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설비 감시 모듈은 위험 설비의 설치시 상태 및 동작관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설비 기준 모듈과, 위험 설비 관리 모듈을 통해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제공받는 현 설비 확인 모듈과, 감시부로부터 확인된 현 위험 설비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제공받는 설비 검출 모듈과, 설비 기준 모듈을 기준으로 설비 확인 모듈에 의한 위험 설비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1차 파악하고, 설비 검출 모듈에 의한 위험 설비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2차 파악하고, 1차 파악 값과 2차 파악 값의 비교를 통해 위험 설비의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판단하거나,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이전 설비의 상태 정보와 현 설비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설비의 부식, 변형, 침하, 누수(누출), 진동(흔들림), 노후, 이탈 및 마모 정도를 파악하는 설비 위험도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zardous equipment monitoring module includes an equipment reference modul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state and operati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installed, an existing equipment identification module for receiving st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through the hazardous equipment management module, A facility detection module that receives the status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dangerous facility identified by the facility identification module and a facility identification module that detects deformation, settlement, leakage, vibration (vibration) (Leakage), vibration (shaking), deviation and abras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s by the facility detection module, and compares the primary and secondary values (Leakage), vibration (shake), deviation and wear of the hazardous equipment, or by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revious facility provided from the monitoring unit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facility, Corrosion, deformation, sink, leaks (leaks), the vibration (runout), risk facilities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comprises a plant risk judgment module for age, wear, and determine the release degre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위험도 판단 모듈은 감시부의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정보 중에서 위험 설비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정보와 이전 이미지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이미지상의 차이를 분석하여 위험 정보 신호를 산출하되,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을 통해 위험설비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총 5개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acility risk determination module extracts an image related to the hazardous apparatus from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of the monitoring unit, compares and analyzes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 image information, and analyzes the difference on the image to calculate a danger information signal, And a total of five images a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hazardous equipments through the negative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위험 설비의 현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른 리스크를 알리는 스마트 감시 모듈과, 위험 설비의 현 상태 정보와 리스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동작을 관리하는 스마트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terminal includes a smart monitoring module that monitors the current status of the hazardous equipment and informs the risk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a smart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hazardous equipment using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and the risk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equipment Wherein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omprises:
원거리에 위치한 위험 설비의 상태를 센싱 및 촬영하는 단계;
무선 통신망 중 무선 인터넷 통신망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위험 설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설비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리스크 발생을 통지하고, 판단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기 저장된 위험 설비 상태 정보와 현재 촬영된 위험설비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다시한번 리스크를 판단하여 리스크가 있는 경우 리스크 발생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CDMA망을 통해 위험 설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위험 설비의 리스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방법.
Sensing and photographing the state of a hazardous facility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Checking a status of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hazardous equipment using the dangerous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f there is no abnormality;
If there is an abnormality, the risk occurrence is notified.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judgment, the risk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dangerous equipments. ;
Transmitting the dangerous equipment state information to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CDMA network if the abnormality is fou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And
And determining whether a risk of a hazardous facility is generated through the smart terminal.
KR1020130166822A 2013-12-30 2013-12-30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KR101567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822A KR101567773B1 (en) 2013-12-30 2013-12-30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822A KR101567773B1 (en) 2013-12-30 2013-12-30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080A KR20150080080A (en) 2015-07-09
KR101567773B1 true KR101567773B1 (en) 2015-11-12

Family

ID=5379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822A KR101567773B1 (en) 2013-12-30 2013-12-30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73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00B1 (en) 2016-01-05 2017-08-02 (주)씨에이앤에이 Engine scanning method of wireless control type
KR101843650B1 (en) * 2016-10-05 2018-05-14 (주)아인스텍 Remote control system
KR102030509B1 (en) * 2019-01-11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Safet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ld building using fire risk assessment result
KR102046072B1 (en) * 2019-01-11 2019-11-1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agonostic assessment of old building
KR20200047120A (en)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System for recognizing abnormal situation of fuel transportation
KR102214190B1 (en) 2020-07-30 2021-02-08 유종근 Central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2266547B1 (en)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Monitor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2266545B1 (en)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20210123172A (en) 2020-04-02 2021-10-13 유종근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279B1 (en) 2016-04-12 2022-04-18 엘에스일렉트릭(주) Apparatus for relaying data transmission in scada system
CN108039030B (en) * 2017-12-06 2021-03-02 泉州禾逸电子有限公司 Wireless alarm signal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being copied quickly in long distance
KR101885865B1 (en) * 2017-12-20 2018-08-21 금양산업개발 (주)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of remote facility
CN114460889A (en) * 2022-01-07 2022-05-10 深圳比特耐特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security monito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220A (en) 2004-06-18 2006-01-05 Kashima Doryoku Kk Plant facility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4220A (en) 2004-06-18 2006-01-05 Kashima Doryoku Kk Plant facility monitoring syst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00B1 (en) 2016-01-05 2017-08-02 (주)씨에이앤에이 Engine scanning method of wireless control type
KR101843650B1 (en) * 2016-10-05 2018-05-14 (주)아인스텍 Remote control system
KR20200047120A (en) *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System for recognizing abnormal situation of fuel transportation
KR102162147B1 (en) * 2018-10-26 2020-10-06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System for recognizing abnormal situation of fuel transportation
KR102030509B1 (en) * 2019-01-11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Safet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old building using fire risk assessment result
KR102046072B1 (en) * 2019-01-11 2019-11-1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agonostic assessment of old building
KR20210123172A (en) 2020-04-02 2021-10-13 유종근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2214190B1 (en) 2020-07-30 2021-02-08 유종근 Central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2266547B1 (en)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Monitor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2266545B1 (en)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080A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73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dangerous facility and controlling method
EP3409629B2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KR101570640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high voltage package switchgear, low voltage package switchgear, distribute board, motor control center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KR101983738B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field control panel
KR101843650B1 (en) Remote control system
KR1014116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ire
KR101396459B1 (en) A monitoring system of cctv operation state
KR102459503B1 (en) Monitoring area abnorm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dual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1205265B1 (en) Monitoring Camera System Having Fault Diagnosis Functionality
KR101539734B1 (en) Automatic tracking system failure in distribution lines
KR101663489B1 (en) Fire monitoring device of fabrication system for semiconductor or display using thermovision sensor
JP2015229224A (en) Industrial robot
JP4645900B2 (en) Floating roof storage tank monitoring system
KR102192783B1 (en) Video recording device for badness cause analytical of product
JP2007179366A (en) Security system
KR20170013513A (en) Multi control device for remote security
KR101621821B1 (en) Intelligent apparatus for safety alarm of switchboard and method for safety alarm of switchboard using the same
KR101616973B1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device
KR100440786B1 (en) Remote digital video recording and emergency-monitoring system
KR2015006792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afety Administration Object
KR101891926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on equipment
KR2020009283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equipment in combat system
KR102439487B1 (en)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1883672B1 (e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capable of Safety Monitoring
KR102093615B1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alfuction monitoru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