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87B1 -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87B1
KR102439487B1 KR1020220018086A KR20220018086A KR102439487B1 KR 102439487 B1 KR102439487 B1 KR 102439487B1 KR 1020220018086 A KR1020220018086 A KR 1020220018086A KR 20220018086 A KR20220018086 A KR 20220018086A KR 102439487 B1 KR102439487 B1 KR 10243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rone
transmission line
plate pane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삼종
Original Assignee
이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종 filed Critical 이삼종
Priority to KR102022001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aircraft or space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64C2201/1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drone-based transmission line facility state inspec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stalling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erein a unit is installed at a site around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so as to perform monitoring and responding for the management of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the management of access to the surrounding area, accident management, and situation management.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n obstacle distance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a distance to a fixed object which is an obstacle to flight; an electromagnetic wave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in a flight area; and a risk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flight risk in the flight area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ituations which can affect the system quality can be managed in a complex way.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state inspection system for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using a drone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탑 및 이에 연결된 전력선에 충돌 위험을 드론 기반으로 방지할 수 있고, 드론과 별개의 수단으로 시스템과 주변현장을 관리하며, 송전탑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시설에 접근 차단을 위한 경고를 하고, 설치 운영과정에 신뢰성을 부여하며 검증 가능하도록 안전관리하는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system for checking the status of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using a dron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collision with a transmission tower and a power line connected thereto based on a drone, and manages the system and surrounding sites by means separate from the dron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ystem for checking the condition of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using drones that provides a warning to block access to safety accident-prone facilities such as power transmission towers, provides reliability to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process, and safely manages the verification process.

송전탑 또는 통신기지국 등의 안전점검을 위하여 다양한 장치 및 기구들을 활용하여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나,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점검 자체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For safety inspection of transmission towers or communication base stations, safety inspections are carried out using various devices and instruments, but a lot of costs are incurred and many difficulties are followed in the inspection itself.

이에,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드론을 활용하면 송전탑과 주변의 해당 시설물 등을 용이하게 촬영 및 관리할 수 있어 그 활용 및 응용도가 매우 높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if a drone is used, it is possible to easily photograph and manage the power transmission tower and surrounding facilities, and thus its utilization and application are very high.

이러한 종래 드론은 센서를 부착한 프레임이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일정한 높이로 비행하고 근접하는 물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방향을 판단함으로써, 물체와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부딪힐 위험을 줄여줄 수 있다. In such a conventional drone, the frame to which the sensor is attached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flies at a constant height, and determines the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an adjacent object. can redu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송전탑과 이에 연결된 전력선 등의 안전사고 발생율이 높은 위험 시설물로의 접근 위험을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nd warning the risk of approaching dangerous facilities with a high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such as transmission towers and power lines connected thereto.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제공과 설치 운영과정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vision and installation of such a system are to be provided with reliability and verified to enable safety management.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management means for system prepar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provided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and response for stable handling of the system.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se management means, it is possible to manage and control the system as well as the personnel related to the surrounding field, unauthorized personnel, etc. in these systems, thereby complexly managing various situations affecting the system quality.

또한, 현장 주변에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는 부수적인 별도의 시공보조물(예: 자재 이송수단, 위치이동수단, 운송차량, 작업자 냉난방용기, 컨테이너 등)에 대해서도 함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dditional additional construction aid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ystem around the site (eg, material transfer means, location transfer means, transportation vehicles, workers' heating and cooling containers, containers, etc.) are to be monitored together.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하고 사전 혹은 사후적인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such management means are provided at a minimum so that a large number of objects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onitored and managed, and responsibility for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can be verified before or after the occurrence.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suppress the load and delay that may occur due to the operation change of these management means and to optimiz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te through active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송전선로설비 주변현장에 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로설비관리, 상기 주변현장에 대한 출입관리, 사고관리 및 상황관리 대응을 위한 모니터가 수행되며, 상기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은, 비행에 장애가 되는 고정 물체와의 거리를 인지하는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과; 비행 영역의 전자기파 강도를 인지하는 전자기파 인지 수단과;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로부터 비행 영역의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위험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condition check system using a drone,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stalling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step of operating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erein a unit is installed at a site arou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and a monitor for managing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access management to the surrounding site, accident management and situation management response It is performed, and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n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distance from a fixed object that is an obstacle to flight;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of the flight area; It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system for checking a state of a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using a drone including a risk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flight risk of a flight area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송전탑과 그 주변에 시설되고 연결된 전력선 등 위험 시설물로의 접근을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nd warning access to dangerous facilities, such as power lines installed and connected around a power transmission tower and its surroundings.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제공과 설치 운영과정을 신뢰성을 부여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reliability and verifying the provis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such a system, it is possible to enable safety management.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management means for system preparation, installation, operation, etc. may be provided to enable real-time monitoring and response for stable handling of the system.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se management means, it is possible to manage and control the system as well as the personnel related to the surrounding field, unauthorized personnel, etc. in these systems, so that various situations affecting the system quality can be managed in a complex manner.

또한, 현장 주변에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는 부수적인 별도의 시공보조물(예: 자재 이송수단, 위치이동수단, 운송차량, 작업자 냉난방용기, 컨테이너 등)에 대해서도 함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additional construction aids (eg, material transfer means, location transfer means, transportation vehicles, workers' heating and cooling containers, containers, etc.) that ar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ystem around the site can be monitored together.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하고 사전 혹은 사후적인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uch management means are provided at a minimum,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onitor and manage a large number of objects, and to verify responsibility for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advance or in the aftermath.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load and delay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hange of the management means and to optimize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state through an active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1은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 점검 시스템 도시도,
도 2는 도 1의 드론과 조종사 장치의 무선 연결상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 상태점검 방식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과 조종사 장치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 점검 시스템 운용방법의 순서 설명도,
도 6 내지 도 11은 도 2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system using a drone;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wireless connection state of the drone and the pilot device of FIG. 1;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transmission line condition inspection method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 and a pil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2 .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설비들을 감시하는 드론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넓은 3차원 공간을 감시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감시 면적이 광대할 뿐만 아니라 설비들이 설치된 높이도 상당한 송전선로설비를 감시하는데 유용하다.In addition,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drone for monitoring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Drones can be efficiently used to monitor a large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is is particularly useful for monitoring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with a large monitoring area and a considerable height at which the facilities are installed.

일반적인 드론의 자동 비행 스케쥴링 방안들을 송전선로설비 감시용 드론에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것이다. 송전탑을 잇는 가상의 주의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경계선으로 하되, 상기 경계선 외부에서는 지자기센서를 채용하여 드론의 방향을 측정하는 한편, 상기 경계선 내부에서는 촬영유닛의 화상인식을 통해 촬영된 송전탑의 위치정보와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드론의 상대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송전탑과 송전선로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적인 드론 비행운용을 도모한다.If the automatic flight scheduling methods of general drones ar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onitoring drone, it will b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Set a virtual area of attention connecting the power transmission towers, use this as a boundary line, and measure the direction of the drone by employing a geomagnetic sensor outside the boundary line, while inside the boundary lin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 photographed through image recognition of the recording unit And by measur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ron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around the power transmission tower and transmission line is minimized, and the drone flight operation is promoted safely.

그러나, 송전선로설비, 특히 송전탑들이 설치된 주변은 사람이 거주를 꺼리는 정도로 강한 전자파가 존재하며, 방출 전자파가 거주 지역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 등으로 송전탑 주변의 전자파 분포는 다소 불규칙적이다. 또한, 드론이 송배전 시설물에 충동하게 된다면, 드론 자체의 손상 뿐만 아니라 전기 송전선로설비의 고장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in the vicinity of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especially the transmission towers, there are strong electromagnetic waves that people are reluctant to live, and the distribu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around the transmission towers is somewhat irregular due to a device to block the emitted electromagnetic waves from going to the residential area. In addition, if the drone collides with the transmission/distribution facility, it may cause damage to the drone itself as well as the failure of the electric transmission line facility.

한편, 송전선로설비에서 손상이 의심되는 지점의 경우, 보다 세밀한 영상 정보 등을 취득하기 위해, 드론 비행에 위험이 있는 주의영역일지라도 해당 지점에 보다 근접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상황도 빈번하게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oint where damage is suspected i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in order to acquire more detailed image information, etc., it is frequently necessary to get closer to the point even if it is a caution area with a risk of flying a drone.

따라서, 드론 조종사가 관여하지 않는 완전 자동화된 드론 운영은 현실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 조종사가 관여하는 송전선로설비 감시용 드론 시스템에 있어서, 위험 지역인 송전선로설비 영역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Therefore, fully automated drone operation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drone pilot is not practically desi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one system for monitoring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involving a drone pilot, a method for safely flying over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area, which is a dangerous area, is proposed.

구체적으로, 드론에 탑재된 센서를 통한 설비(송전선로, OPGW, 철탑)와 드론 간 유도전압/이격거리 측정하는 기능 및 적정거리 기준 초과시 지상의 조종사가 조작하는 원격조정기에 알림통보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induced voltage/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acility (transmission line, OPGW, pylon) and the drone through the sensor mounted on the drone, and a notification notification func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d by the pilot on the ground when the appropriate distance standard is exceed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기반의 위험 검출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운용 시스템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electromagnetic wave-based risk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dron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통합 센서를 구비한 드론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설비 감시용 드론 운용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rone having an integrated sensor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one operating system for monitoring transmission lin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드론 운용 시스템은, 비행에 장애가 되는 고정 물체와의 거리를 인지하는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과; 비행 영역의 전자기파 강도를 인지하는 전자기파 인지 수단(130)과;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로부터 비행 영역의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위험 판단 모듈(160)과; 대상 시설물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시설물 모니터링부(110)와; 비행 제어 신호에 따라 비행을 위한 구동 수단들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 모듈(140)과; 상기 비행 제어 신호 및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조종 통신부(180)를 포함하는 드론(100); 및 상기 드론(100)과 비행 제어 신호 및 시설물 모니터링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드론 통신부(280)와; 상기 드론의 비행을 위한 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비행 제어 신호 생성부(240)와; 상기 비행 위험에 대한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하는 출력 수단(270)과;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받은 모니터링 정보를 처리하는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250)를 포함하는 조종사 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100)과 조종사 장치(200)는, 상기 비행 위험에 따라 비행 경로(스케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llustrated drone operating system includes an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120 for recognizing a distance to a fixed object that is an obstacle to flight;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130 for recogniz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of the flight area; a risk determination module 160 for determining a flight risk of a flight area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a facility monitoring unit 110 for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a target facility; a flight control module 140 for controlling driving means for flight according to a flight control signal; a drone 100 including a pilot communication unit 18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light control signal and the facility monitoring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drone communication unit 28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light control signals and facility monitor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drone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flight control signal generator 240 for generating a flight control signal for the flight of the drone; an output means 270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light risk to the pilot; Including a pilot device 200 including a moni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50 for process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 wherein the drone 100 and the pilot device 200 are, according to the flight risk, a flight path (schedule) ) to adjust.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은, 드론(100)과 송전선로설비 중 비행 충돌 위험이 높은 주의 요망 설비들(송전선로, OPGW, 송전철탑 등)의 이격거리 및/또는 근접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격 거리 측정을 위한 상기 센서로서, 초음파,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등 전자파를 활용한 비접촉식 거리 측정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The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120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separation distance and/or proximity of the drone 100 and the high risk of flying collision among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transmission line, OPGW, transmission tower, etc.) may include For example, as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separation distance, a non-contact distance measuring sensor using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ultrasonic waves, infrared rays, and microwaves may be applied.

다른 구현에서,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은, 가급적 서로 길게 이격되도록 드론(100)의 양단에 상기 비접촉식 거리 측정 센서가 2개 이상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 신호의 크기 및 방향을 이용한 삼각측량으로 보다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In another implementation, the obstacle distance recognizing means 120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non-contact distance measuring senso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drone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long as possible, and the sensing signal measured by each distance measuring sensor A more accurate distance can be measured by triangulation using the size and direction of

다른 구현에서,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은,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서 인식한 객체로서 상기 주의 요망 설비와의 이격 거리를 영상을 분석하여 추정하는 영상 분석 모듈일 수 있다.In another implementation, the obstacle distance recognizing unit 120 is an image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in a drone, and analyzing the image to estimat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acility requiring attention as an object recognized in the image can be

비교적 고가 구현의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은, 레이더 및/또는 라이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라이더는 고속의 이동 물체의 장애물 감지 용도로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The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120 of a relatively expensive implementation may include a radar and/or lidar device. In particular, the rider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an obstacle of a high-speed moving object.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으로서 비교적 저가의 초음파 센서나 레이져 거리 감지기를 적용할 수 있으나, 초음파 센서는 전력선에 대한 감지 실패 가능성이 존재하며, 저가의 레이져 거리 감지기는 감지 방향이 좁은 편이므로,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다른 거리 감지 수단과 병용되는 것이 적합하다.As the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120, a relatively inexpensive ultrasonic sensor or laser distance detector can be applied, but the ultrasonic sensor has a possibility of failure to detect the power line, and the low-cost laser distance detector has a narrow detection direction, It is suitable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distance sensing means rather than to be used alone.

상기 전자기파 인지 수단(130)은, 특히, 균일한 전류에 따라 균일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송전선로 간 이격거리 근접유무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전자기파 인지 수단(130)은, 전력 주파수(60Hz)를 가지는 교류에 의한 유도 전압을 검출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안테나 회로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하거나, 무선 전력 하베스팅 회로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130 is particularly useful for measuring the proximity of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lines that generate a uniform electromagnetic wave according to a uniform current. The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that detects an induced voltage by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power frequency (60 Hz).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imilar to an antenna circuit resonating at a power frequency,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imilar to a wireless power harvesting circuit.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과 상기 전자기파 인지 수단(130)은 통합 센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비용 및 센싱 신호 처리 효율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전자기파 인지 수단(130) 및/또는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120), 또는 상술한 통합 센서는, 드론 상에 서로 이격된 다수의 지점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sensing signal processing efficiency to implement the obstacle distance recognizing means 120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recognizing means 130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sensor. The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130 and/or the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120 , or the above-described integrated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drone.

예컨대, 상술한 통합 센서 형태의 6개의 센서 모듈들이, 드론의 중심점에 대하여 6개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개의 프로펠러를 가지는 표준 형태의 드론의 프로펠러(상,하,좌,우) 아래측에 하나씩 설치하고, 드론 몸체의 상단 및 하단에 하나씩 설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x sensor modules of the above-described integrated sensor type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by six ax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drone. More specifically, one may be installed below the propellers (upper, lower, left, right) of a standard type drone having four propellers, and one may b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drone body.

단순한 구현의 경우, 상기 위험 판단 모듈(160)은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또는 상기 전자기파 강도가 소정의 기준을 넘은지 여부만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위험/안전의 이진 판단만 수행할 수 있다. 복잡한 구현의 경우, 상기 위험 판단 모듈(160)은 연속적으로 거리 또는 위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imple implementation, 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160 only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or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exceeds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only performs a binary determination of risk/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 can In the case of a complex implementation, 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160 may continuously determine a distance or a degree of risk.

상기 위험 판단 모듈(160)은, 소정의 판단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로부터 비행 영역의 비행 위험을 판단한다.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160 determines the flight risk of the flight area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algorithm.

가장 단순한 알고리즘은,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또는 상기 전자기파 강도가 소정의 기준을 넘으면 위험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파가 많이 발생하는 위험 구조물은 전력선이며, 상기 전력선은 영상 분석이나 초음파 등으로 감지하기가 난해한 점을 감안하면,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 중 하나라도 소정의 기준을 넘으면 위험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simplest algorithm is to determine that a dangerous area has been entered when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or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exceeds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general, a dangerous structure that generates a lot of electromagnetic waves is a power line, and considering that the power line is difficult to detect by image analysis or ultrasound, it is dangerous if any one of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It is advantageous to judge that it has entered the realm.

다른 알고리즘에서는, 상기 드론(100)의 위치(즉, 감시대상인 송전선로설비의 설치 위치)에 따라, 위험 영역 판단의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기파 강도의 경우 전력선의 용량에 따라 같은 거리에서도 유도 전압 크기가 다르게 되는 바, 위험 영역 판단에 있어 이를 고려할 것이 요구된다.In another algorithm,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drone 100 (that i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to be monitored),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dangerous area may be chang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the magnitude of the induced voltage is different even at the same distance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power line, so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is in determining the danger area.

전력선 용량에 따른 전자기파 강도 기준 변경 방안으로서, 가장 단순한 것은 상기 조종사 장치(200)를 통해 조종사로부터 해당 전력선의 용량(또는 송전등급)을 입력받고, 그 용량에 따라 상기 전자기파 강도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chang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standard according to the power line capacity, the simplest is to receive the capacity (or power transmission grade) of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from the pilot through the pilot device 200 , and determine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standard according to the capacity.

다른 방안으로서 송전선로설비들 위치가 기재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맵을 이용할 수 있다.(온라인 맵은 서버에 접속하여 맵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고, 오프라인 맵은 내부 저장소에 미리 저장된 형태이다) 이 경우, 상기 드론(100)은 GPS 등 위치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판단된 자신의 위치를 상기 온/오프라인 맵에서 찾아서, 대상 전력선(또는 송전선로설비)에 대한 안전 이격 거리 판정 기준이 되는 전자기파 강도 기준을 상기 맵에서 독출하거나, 상기 맵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한다. 보다 복잡한 위험 판단 알고리즘의 경우, 누적된 드론 운용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 러닝에 따라 위험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운용 중에 보정(조정)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n online or offline map in which the locations of transmission line facilities are described. (The online map is to obtain map data by connecting to a server, and the offline map is a form that is pre-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In this case, the drone (100) is provided with a location determination means such as GPS, finds the determined location on the on/offline map, and sets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standard as a safe separation distance determination standard for the target power line (or transmission line facility) on the map or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ap. In the case of a more complex risk determination algorithm, parameters that determine risk according to machine learning using accumulated drone operation data can be corrected (adjusted) during operation.

예컨대, 상기 전자기 강도에 의한 위험 영역 판단 및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에 의한 위험 영역 판단에 불일치 정도가 심한 경우가 누적되면, 해당 위치나 시설물에 대해서는 위험 영역 판단이 빈도가 낮은 수단(거리 또는 전자기 강도)의 위험 판단 기준은 낮추고, 위험 영역 판단이 빈도가 낮은 수단의 위험 판단 기준은 높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gre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dangerous area determination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strength and the danger area determination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accumulates, the risk area determination is performed with a low frequency means (distance or electromagnetic strength) for the location or facility. ) can be lowered, and the risk judgment standard for means with low risk area judgment can be raised.

예컨대, 위험 판단 기준에 미달하여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았는데 조종사가 이탈 명령을 발하거나, 위험 영역 회피 기동으로 추정되는 기동을 수행한 경우, 해당 위치나 시설물에 대해서는 위험 판단 기준을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ilot issues a departure command or performs a maneuver that is estimated to be a dangerous area avoidance maneuver without being judged as a dangerous area because it does not meet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may be lowered for the location or facility.

상기 위험 영역 판단에 있어, 대상 시설물과의 직접적인 충돌 위험 뿐만 아니라, 상기 조종사 장치(200)와의 통신 불능 위험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determining the dangerous area,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not only the risk of a direct collision with the target facility, but also the risk of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pilot device 200 .

특히, 전자기파 강도에 의한 위험 영역 판단 기준은, 대상 전력선와 충돌 위험이 낮아도 대상 전력선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로 인하여 상기 조종사 장치(200)가 상기 드론(100)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dangerous area by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is to determine the dangerous area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pilot device 200 to control the drone 100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target power line even if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target power line is low. can

상기 통신 불능 위험은 상술한 머신 러닝의 요소로서 반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일시적인 전송 오류에 대비하여 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이는 안전한 드론 운용을 위한 드론(100)과 조종사 장치(200)와의 통신에도 반영되어 있다. 그래서, 일시적인 전자파 장애의 경우, 상술한 전송 오류 검출 및 재전송으로 드론 제어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failure risk may be reflected as an element of the aforementioned machine learning. In gener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is implemented to detect a transmission error in preparation for a temporary transmission error and retransmit the data when an error occurs, which is also reflected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100 and the pilot device 200 for safe drone operation. . Therefore, in the case of a temporary electromagnetic wave disturbance, there is no problem in drone control due to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error detection and retransmission.

그런데, 잡음 전자파가 많은 지역에 드론이 위치한 경우 전송 오류 검출 및 재전송이 보다 자주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드론(100)과 조종사 장치(200) 간의 비행 제어 신호 전송에 있어 오류/재전송의 발생 빈도로 드론(100) 위치의 전자파 위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dron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re are many noise electromagnetic waves, transmission error detection and retransmission inevitably occur more frequently. (1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electromagnetic wave risk of the location.

대상 시설물 지역에서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비행 제어 신호 전송에 있어 오류/재전송의 발생 빈도가 높으면, 이를 머신 러닝에 반영하여 위험 영역 판단 기준을 낮출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는, 드론(100) 내부 장치들간의 내부 신호의 유선상 내부 전송에도 오류/재전송의 발생 빈도로도 드론 위치의 전자파 위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내부 유선 신호에도 잡음이 실릴 정도면, 상당한 전자파 위험 영역에 위치한 것임을 반영한 것이다.I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rrors/retransmissions in transmission of the flight control signal is high at a location that is not determined as a hazardous area in the target facility area, this may be reflected in machine learning to lower the risk area determination criteria.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egree of electromagnetic wave risk of the drone location even wit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rrors/retransmissions even in the wired internal transmission of internal signals between devices inside the drone 100 . This reflects that it is located in a significant electromagnetic wave hazard area to the extent that noise is also carried on the internal wired signal.

구현에 따라 상기 위험 판단 모듈(160)은, 기술적인 관점에서 위험 영역을 판단할 뿐만 아니라, 드론(100)과 송전선로/OPGW/송전철탑 간 법적 유도전압/이격거리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종사 장치(200) 또는 드론(100)은 무선 통신 수단으로 외부 서버에 조회하여 상기 법적 유도전압/이격거리 기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160 may not only determine the risk area from a technical point of view, but also apply the legal induced voltage/separation distance standard between the drone 100 and the transmission line/OPGW/transmission tower. To this end, the pilot device 200 or the drone 100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legal induced voltage/separation distance standard by inquiring in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상기 조종 통신부(18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대한 기능으로서 상기 위험 판단 모듈의 판단 정보를 Wi-Fi 또는 LTE 등 RF 방식 무선 통신 채널로 지상 조종사기 구비하는 상기 조종사 장치(200)로 전송한다. 다른 구현에서는 적외선 등 무선 광통신 수단 등 다른 원격 통신 기술을 대체하거나 복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관련하여, 상기 조종 통신부(180)는 상기 조종사 장치(200)와의 RF 방식의 무선 통신 채널의 잡음 수준이나 매질에 의한 통신 품질, 프로토콜상 오류/재전송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pilot communication unit 180 transmits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as a function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ilot device 200 having a ground pilot through an RF typ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Wi-Fi or LTE. In other implementations, other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means such as infrared light may be substituted or applied in combination. In connection wit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ot communication unit 18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oise level or medium of the radio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RF method with the pilot device 200, communication quality by medium, error/retransmission frequency in the protocol, etc. can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부(110)는 송전선로설비를 점검/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인간이 인지하는 RGB 컬러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일반 대역 카메라 촬영 수단; 인간이 진지할 수 없은 대역대의 빛으로서 적외선 촬영 수단 등 특수 대역 카메리 촬영 수단; 화재 등 이상 상황에서 발생되는 분자(일산화탄소 등)를 감지하는 화학적 감지 센서; 시설물 또는 그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 시설물 또는 그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폰; 전파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스캔하는 레이더; 및 레이져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스캔하는 라이더 등 각종 감지 센서들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The facility monitoring unit 110 is for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necessary to inspect/manage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and includes: a general band camera photographing means for obtaining RGB color image information recognized by humans; special band camera photographing means such as infrared photographing means as light in a band in which humans cannot be serious; a chemical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molecules (such as carbon monoxide) generated in abnormal situations such as fire;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facility or its surroundings; a microphone for detecting the sound of the facility or its surroundings; Radar for scanning facilities using radio waves; And it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various detection sensors, such as a lidar for scanning a facility using a laser.

정 물체와 상당이 이격된 상태에서 측정이 진행되는 바, 상기 마이크로폰 및 온도 감지 센서는 특정 방향으로 감지 강도가 높은 지향성 센서인 것이 유리하다. 구현에 따라, 상기 시설물 모니터링부(110)를 구성하는 각종 센서들 중 일부는 상기 장애물 거리 감지 수단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일반 대역 카메라 촬영 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데 이용하거나, 상기 라이더를 이용하여 대상물과의 거리를 판정할 수 있다.Since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in a state that is substa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static objec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icrophone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directional sensors with high detection intensity in a specific direc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some of the various sensors constituting the facility monitoring unit 110 may also serve as the obstacle distance sensing means. For example, the image captured by the general band camera photographing means may be analyzed and used to detect the distance to the object, or the distance to the object may be determined using the lidar.

상기 비행 제어 모듈(140)은 드론의 비행을 위해 4개 내지 8개의 프로펠러에 대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비행 제어 모듈(140)은 위험 영역 이탈을 위한 회피 기동을 위한 운전 알고리즘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운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비행 제어 모듈(140)은 위험 영역에 진입하고 나서 상기 조종사 장치(200)와 통신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험 영역에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로 드론(100)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flight control module 140 outputs driving signals for 4 to 8 propellers for the flight of the dron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flight control module 140 may store in advance a driving algorithm for evasive maneuvers for leaving the danger zone.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pilot device 200 is difficult after the flight control module 140 enters the danger area according to the driving algorithm, the drone 100 returns to a position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danger area. You can control it to move.

상기 조종사 장치(200)는, 드론(100)에 대한 운전을 위한 구성으로는 일반적인 드론 조종 장치와 거의 동일하며,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드론이 수집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며(경우에 따라 데이터 필터링이나 압축 처리 수행), 본 발명의 사상을 위해서는 위험 영역에 대한 통보/알람 기능 및 위험 영역 설정/회피에 대한 조종사의 입력 접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ilot device 200 has almost the same configuration as a general drone control device for driving the drone 100, and transmit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rone to an external server for facility monitoring (in some cases, data filtering) or compression processing),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tification/alarm function for a danger area and a pilot input reception function for setting/avoiding a danger area may be performed.

상기 드론 통신부(280)는 상기 드론(100)의 조종 통신부(180)와 Wi-Fi 또는 LTE 등 RF 방식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다른 구현에서는 적외선 등 무선 광통신 수단 등 다른 원격 통신 기술을 대체하거나 복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비행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조종사의 조종 수단(스틱 등)에 대한 수동 조작에 따라 필요한 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비행 제어 신호는 상기 드론 통신부(280)를 통해 드론(100)으로 전송된다.The drone communication unit 280 forms an RF typ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Wi-Fi or LTE with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180 of the drone 100 . In other implementations, other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means such as infrared light may be substituted or applied in combination. The flight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40 generates a necessary fligh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nual operation of the pilot's control means (stick, etc.). The generated fligh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one 100 through the drone communication unit 280 .

구현에 따라 상기 조종사 장치(20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위험 영역을 조종사가 직감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드론(100)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위험 및/또는 회피를 지시하는 수단(예: 비상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수단이 조작되면, 상기 비행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위험영역 진입 및/또는 회피 기동을 의미하는 비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pilot device 200 provides a means for instructing danger and/or avoidance (eg, an emergency button) so that the pilot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danger area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ify the drone 100 . When the instruction means is operated, the flight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40 may generate a flight control signal indicating a dangerous area entry and/or avoidance maneuver, and transmit it to the drone 100 .

상기 출력 수단(270)은 시각적 출력 수단으로서 LED 등 각종 알림 램프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청각적 출력 수단으로서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진동 발생기 등 촉각적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means 270 may include various notification lamps or displays such as LEDs as visual output means, and may include a speaker or the like as an audible output mean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a tactile output means such as a vibration generator may be further provided.

구현에 따라 상기 출력 수단(270)은 위험 영역 진입 여부만을 표시하거나, 장애물과의 거리 및/또는 전자파 강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드론의 비행 방향을 기준으로 장애물과의 거리 및 방향을 표시하고, 통신 장애 정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output means 270 may display only whether the dangerous area has entered or not, or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and/or the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For example,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obstacle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flight direction of the drone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failure may be displayed together.

드론의 6개 축에 대하여 전자기/거리 감지 센서가 배치된 구현의 경우 상기 출력 수단(270)은, 위험 영역으로 감지된 센서 신호를 생성한 센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6개 각 센서들이 감지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in which electromagnetic/distance detection sensors are disposed with respect to six axes of the drone, the output means 270 may display a sensor that has generated a sensor signal detected as a danger area. For exampl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detected by each of the six sensors may be displayed togeth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250)는, 상기 드론(100)이 수집한 송전선로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들을 처리한다. 예컨대, 상기 드론(100)이 송전선로설비를 촬영한 영상에서 모니터링에 필요한 것들만을 구분하여 저장 및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The moni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50 processes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line equipment collected by the drone 100 . For example, the drone 100 may classify only those necessary for monitoring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store it, and transmit it to an external server.

상기 조종사 장치(200)의 상기 출력 수단(270)은, 상기 위험 판단 모듈(160)이 비행 위험으로 판단하면, 판단된 위험의 방향 및 거리에 대한 경고를 수행한다. 이때 접근 알람은 가장 가까운 센싱값을 기준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드론 조종사는 원격조정기에 신호음 또는 진동, 알람 점등 등의 알림 경보를 통해 위험을 인지할 수 있다.The output means 270 of the pilot device 200, when 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160 determines that it is a flight risk, performs a warning on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determined risk. In this case, the approach alarm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nearest sensed value. Then, the drone pilot can recognize the danger through a notification alert such as a beep or vibra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an alarm is turned on.

구현에 따라, 상기 출력 수단(270)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파 위험 영역 진입 시간이나 통신상 오류/재전송 발생 여부 및 그 회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설비 감시용 드론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isplay device as the output means 270 may display the time of entering the electromagnetic wave danger area or whether or not a communication error/retransmission has occurred and the number thereof.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rone for monitoring transmission lin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드론 운용 방법은, 송전선로설비를 비행하면서 모니터링하는 드론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 시설물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면서 비행 장애물에 대한 거리 및 전자기파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S120, S130); 상기 측정된 비행 장애물에 대한 거리 및 전자기파 강도를 위험 영역 판단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160); 상기 판단된 비행 위험에 대한 정보를 조종사에게 알람하는 단계(S170); 및 상기 조종사의 조작 또는 누적된 비행 장애물에 대한 거리 및 전자파 강도의 측정 정보의 분석에 따라, 상기 위험 판단 기준을 조정하는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drone opera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a distance to a flying obstacle and an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while collecting monitoring information on a target facility (S120, S130); determining the flight risk by analyzing the measured distance and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to the flight obstacle according to the danger area determination criterion (S160); Alarming th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flight risk to the pilot (S170); And according to the pilot's manipulation or analysis of the distance to the accumulated flight obstacle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it may include a step (S180) of adjusting the risk determination criteria.

상기 거리 및 전자기파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S120) 및 드론의 비행 위치에서의 전자기파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S130)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S120)은, 이격 거리 측정을 위한 상기 센서로서, 초음파,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등 전자파를 활용한 비접촉식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measuring the distance and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can be divided into a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an obstacle (S120) and a process of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at the flying position of the drone (S130).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 S120 ) may be performed using a non-contact distance measuring sensor using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ultrasonic waves, infrared rays, and microwaves as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separation distance.

예컨대,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S120)에서는, 가급적 서로 길게 이격되도록 드론의 양단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비접촉식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 신호의 크기 및 방향을 이용한 삼각측량으로 보다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S120)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more accurate triangulation us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sensing signal measured by two or more non-contact distance measuring sensor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ron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long as possible. distance can be measured.

다른 구현에서,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S120)은,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서 인식한 객체로서 상기 주의 요망 설비와의 이격 거리를 영상을 분석하여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송전탑 등과 같이 크기가 알려진 물체에 대해서는 촬영된 영상에서의 대상 객체 이미지의 크기로부터 거리를 추정하고, 이와 연결된 전력선 등은 상기 추정된 송전탑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다시 추정할 수 있다.(전력선은 2개 이상의 구조물로 지상에 지지되는 바, 이 구조물의 추정 거리를 바탕으로 전력선의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In another implementatio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S120) is to analyz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 and as an object recognized in the image, analyze the image to estimat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acility requiring attention can do.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n object of known size, such as a power transmission tower, the distance may be estimated from the size of the target object image in the captured image, and a power line connected thereto may be estimated again based on the estimated distance from the transmission tower (power line). is supported on the ground by two or more structures, so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power line based on the estimated distance of these structures)

비교적 고가 구현의 상기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으로서, 레이더 및/또는 라이더 장치를 구비한 드론의 경우에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라이더의 거리 측정값을 독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As the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of a relatively expensive implementation, in the case of a drone equipped with a radar and/or lidar device,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is performed in a manner that reads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of the lidar. can

드론에 최적 측정 거리가 서로 다른 다수 종류의 거리 감지 센싱 수단들이 구비된 경우,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S120)은, 상기 다수 종류의 거리 감지 센싱 수단들 중 기준 센싱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거리 또는 다수 센싱 수단들의 평균값으로 얻어진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 측정에 최적인 종류의 센싱 수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센싱 수단에서 측정된 거리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drone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distance sensing means having different optimal measuring distances,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 S120 ) is a distance obtained from a reference sensing means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distance sensing and sensing means. Alternatively, based on a distance obtained as an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a sensing unit of the optimal type for distance measurement may be selected, and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selected sensing unit may be determined.

상기 전자기파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S130)은, 전력 주파수(60Hz)를 가지는 교류에 의한 유도 전압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전력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안테나 회로에서의 공진 신호 검출과 유사한 형태로 수행되거나, 무선 전력 하베스팅 과정과 유사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 of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S130) is performed in a manner of detecting an induced voltage by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power frequency (60 Hz), or is performed in a form similar to detection of a resonance signal in an antenna circuit resonating at a power frequency, or , may be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wireless power harvesting process.

상기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160)에서는, 소정의 판단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로부터 비행 영역의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데, 단순한 구현의 경우, 상기 위험 판단 모듈은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또는 상기 전자기파 강도가 각각 자신의 소정 위험 기준을 넘은지 여부만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위험/안전의 이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복잡한 구현의 경우, 연속적으로 거리 또는 위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light risk (S160), the flight risk of the flight area is determined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algorithm. In a simple implementation, the risk determination module is the fix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only whether the distance to the object or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exceeds its own predetermined risk standard, and based on the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isk/safety bina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mplex implement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distance or the degree of risk.

구현에 따라, 상기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160)에서는, 상기 드론의 위치(즉, 감시대상인 송전선로설비의 설치 위치)에 따라, 비행 위험 판단의 기준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기파 강도에 기반한 비행 위험 판단의 경우, 전력선의 용량에 따라 같은 거리에서도 유도 전압 크기가 다르게 되는 바, 위험 영역 판단 기준이 되는 전자기파 강도 기준은 해당 위치의 전력선 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isk of flight ( S160 ),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drone (i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to be monitore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isk of flight may be applied different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light risk determination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 strength, the magnitude of the induced voltage varies even at the same distance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power line. have.

상기 알람하는 단계(S170)는, 드론이 상기 위험 판단 단계(S160)에서 판단한 판단 정보를 Wi-Fi 또는 LTE 등 RF 방식 무선 통신 채널로 지상 조종사가 구비하는 조종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조종사 장치의 시/청각적 출력 장치에서, 조종사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e alarming step (S170), the drone transmits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determined in the risk determination step (S160) to the pilot device provided by the ground pilot through an RF typ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Wi-Fi or LTE, and This can be done in such a way as to generate an alarm in a form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pilot on a visual/audible output device.

상기 위험 판단 기준을 조정하는 단계(S180)는, 조종사의 직관적 판단에 기반하여 위험 판단 기준을 조정하는 방식 및/또는 누적된 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위험 판단 기준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드론은 위험 판단 기준에 미달하여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았는데 조종사가 이탈 명령을 발하거나, 위험 영역 회피 기동으로 추정되는 기동을 수행한 경우, 해당 위치나 시설물에 대해서는 위험 판단 기준을 낮출 수 있다. 반대로, 드론은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여 조종사에게 알람을 발한 위치에서 조종사가 안전한 영역임을 조종사 장치를 통해서 표시하면, 위험 판단 기준을 높일 수 있다.The step of adjusting the risk determination criteria (S180)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based on the pilot's intuitive judgment and/or adjusting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cumulated operational data. can be In the former case, if the pilot issues a departure command or performs a maneuver that is presumed to be a maneuver to avoid the danger area without judging it as a dangerous area because the drone does not meet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for the location or facility will be lowered. can Conversely, if the drone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area and the pilot device indicates that the pilot is in a safe area at the position where the alarm is issued,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can be increased.

후자의 경우, 위험 판단 알고리즘에 대하여, 누적된 드론 운용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 러닝에 따라 위험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운용 중에 보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전자기 강도에 의한 위험 영역 판단 및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에 의한 위험 영역 판단에 불일치 정도가 심한 경우가 누적되면, 해당 위치나 시설물에 대해서는 위험 영역 판단이 빈도가 낮은 수단(거리 또는 전자기 강도)의 위험 판단 기준은 낮추고, 위험 영역 판단이 빈도가 낮은 수단의 위험 판단 기준은 높일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with respect to the risk determination algorithm, parameters for determining risk according to machine learning using accumulated drone operation data are corrected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degre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dangerous area determination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strength and the danger area determination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accumulates, the risk area determination is performed with a low frequency means (distance or electromagnetic strength) for the location or facility. ) can be lowered, and the risk judgment standard for means with low risk area judgment can be raised.

예컨대, 위험 판단 기준에 미달하여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았는데 조종사가 이탈 명령을 발하거나, 위험 영역 회피 기동으로 추정되는 기동을 수행한 경우, 해당 위치나 시설물에 대해서는 위험 판단 기준을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ilot issues a departure command or performs a maneuver that is estimated to be a dangerous area avoidance maneuver without being judged as a dangerous area because it does not meet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the risk determination standard may be lowered for the location or facility.

상기 위험 영역 판단에 있어, 대상 시설물과의 직접적인 충돌 위험 뿐만 아니라, 상기 조종기 장치와의 통신 불능 위험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자기파 강도에 의한 위험 영역 판단 기준은, 대상 전력선와 충돌 위험이 낮아도 대상 전력선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로 인하여 상기 조종기 장치가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In determining the dangerous area,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not only the risk of a direct collision with the target facility, but also the risk of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manipulator device. In particular,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dangerous area by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wave may be to determine the dangerous area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manipulator device to control the drone due to the electromagnetic wave emitted from the target power line even though the risk of collision with the target power line is low.

상기 통신 불능 위험은 상술한 머신 러닝의 요소로서 반영할 수 있다. 대상 시설물 지역에서 위험 영역으로 판단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비행 제어 신호 전송에 있어 오류/재전송의 발생 빈도가 높으면, 이를 머신 러닝에 반영하여 위험 영역 판단 기준을 낮출 수 있다.The communication failure risk may be reflected as an element of the aforementioned machine learning. I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rrors/retransmissions in transmission of the flight control signal is high at a location that is not determined as a hazardous area in the target facility area, this may be reflected in machine learning to lower the risk area determination criteria.

도 6 내지 도 11를 참고하면,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6 to 11 ,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condition check system using a drone, the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stalling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여기서 상기 송전선로설비 주변현장에 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로설비관리, 상기 주변현장에 대한 출입관리, 사고관리 및 상황관리 대응을 위한 모니터가 모니터링설비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송전선로설비 관리시스템은 비행에 장애가 되는 고정 물체와의 거리를 인지하는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과; 비행 영역의 전자기파 강도를 인지하는 전자기파 인지 수단과;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로부터 비행 영역의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위험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Here, a unit is installed at the site arou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and monitoring for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access management to the surrounding site, accident management and situation management response is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ing facility. The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n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distance to a fixed object that is an obstacle to flight;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of the flight area; and a risk determination module for judging the flying risk of the flying area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상기 모니터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한다.The monitor equipment includes: a lower body unit (10') located in the field; a central monitoring unit (20')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body unit (1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in a rotational manner; a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which is moved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and a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which is moved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한다.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includes a drive module 21' installed in the lower body unit 10', a connecting rod module 22' installed above the drive module 21', and the A plate panel module 23'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ules 24'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a lighting module 25'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modules 24' along the periphery to provide illumination.

상기 촬영모듈(25')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The photographing module 25' performs photograph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module 21' through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s interlocked with one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stop

여기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Here,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s interlock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stop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한다.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ncludes a first side drive module 31' provided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first side drive module 31' provided above the first side drive module 31'. A flange module 32', the first flange module 32', a second flange module 33' provided to face upward, and the first flange module 32'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It includes a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provided between (33').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ncludes a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provided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provided on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A third flange module 42', the second flange module 33', a fourth flange module 43' provided to face upward, and the third flange module 42' and the fourth flange It includes a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provided between the modules 43'.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된다.The first flange module 32' of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odule 71'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the plate panel module 23 ') a second connection module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is provided,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of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s a third connection contacting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 module and a fourth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re provided.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은 제2하방연결대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은 제3상방연결대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가 구비된다.The first connection module 71 ′ is provided with a first upper connecting rod and a first magnetic fixing bod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module includes a second lower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A second magnetic fixing body provided under the lower connecting rod is provided, and the third connect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third upper connecting rod and a third magnetic fixing body provid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upper connecting rod.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은 제4하방연결대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킨다.The fourth conn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fourth lower connecting rod and a fourth magnetic fixing body provided under the fourth lower connecting rod, and the first to fourth magnetic fixing members are the plate panel modules. In the rotational or non-rotating state of 23',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primarily fixed by a magnetic suction method.

상기 제1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 내지 상기 제4연동체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킨다.The first magnetically fixed body has a first interlocking bod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econd magnetically fixed body has a second interlocking bod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third magnetically fixed body is a third interlocking bod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 body protrudes and protrudes, and a fourth interlocking body protrudes and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fourth magnetic fixing body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interlocking body to the fourth interlocking body are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plate panel module 23', respectively, and the plate The panel module 23' is secondarily fixed.

여기서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된다.Here, the lower body unit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de drive module 31' and the drive module 21', and the first side drive module 31' and the drive module 21' ), a first gap maintaining module for securing a gap between A second gap maintaining module for securing a gap between the module 41' and the driving module 21' is provided.

이러한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한다.The first gap maintaining module includes a first upper body 81' installed above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first upper actuator 82 installed above the first upper body 81'. '), the first contact body 83'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82'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82'. and a second contact body 84'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21'.

상기 제2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몸체(91')와, 상기 제2상방몸체(91')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구동(92')체와, 제2상방구동(92')체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에 접하는 제3접촉체(94')와, 제2상방구동(92')체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4접촉체(95')를 포함한다.The second gap maintaining module includes a second upper body 91' installed above the lower body unit 10', and a second upper drive 92' installed above the second upper body 91'. ) body, a third contact body 9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upward driving module 41'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and the second upward driving unit 92'. and a fourth contact body 95'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21'.

한편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상방구동체(82')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act body 83' to the second contact body 84' are activated when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is moved toward the driving module 21'. The module 31'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21', respectively, to cushion the shock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but the first contact body 83' to the second contact body 84' are the shock absorbers. In response to the impact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toward the driving module 21' for buffering, a predetermined range flows into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82'.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상방구동(92')체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Here, the third contact body 94 ′ to the fourth contact body 95 ′ is activated when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 is moved toward the driving module 21 ′. The module 41'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21', respectively, to cushion the shock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but the third contact body 94' to the fourth contact body 95' are the shock absorbers. In response to the impact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side drive module 41' toward the drive module 21' for buffering, a predetermined range flows into the second upper drive module 92'.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은, 상기 구동모듈(2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되는 경우, 상기 제1상방구동체(82')와 상기 제2상방구동(92')체의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가속되도록 보조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 and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 are moved outwardly from the driving module 21 ′, the first upper driving body ( 82') and the second upwardly driven body 92' through rotation of the body to assist in accelerating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to the outside.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외측으로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취급유닛(50')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외측으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취급유닛(60')이 구비된다.The lower body unit 10' is a first handling unit for performing a handling operation including fixing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50'), and a second handling unit (60') for performing handling operations including fixing and temperature control of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driving module (41') this is provided

이러한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1패널부(51')와, 상기 제1패널부(5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1배터리모듈(53')이 구비되는 제1가동몸체(52')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하부접속체(55')가 구비된다.The first handling unit 50 ′ includes a first panel part 51 ′ installed upwardly on the lower body unit 10 ′,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panel part 51 ′ to vertically A first movable body 52' which is movably provided and has a first battery module 53' therein, and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installed as a front part of the first movable body 52' ') and supplying the power of the first battery module 53' to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for emergency use, the first upper connection body 54', and the first movable body 52 '), the first lower par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and supplies the power of the first battery module 53' to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for an emergency. A connecting body 55' is provided.

상기 제2취급유닛(6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2패널부(61')와, 상기 제2패널부(6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2배터리모듈이 구비되는 제2가동몸체(62')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하부접속체(65’)가 구비된다.The second handling unit 60 ′ includes a second panel part 61 ′ installed upwardly on the lower body unit 10 ′, and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panel part 61 ′ to move vertically. A second movable body 62' provided as possible and having a second battery module therein, and installed as a front part of the second movable body 62' to contact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A second upper connection body 64'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to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for an emergency, and a front part of the second movable body 62', installed as the first A second lower connection body 65'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and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to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for an emergency.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유체취급부(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급유닛(60')의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유체취급부(66')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handling unit 5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movable body 52' to handle a first fluid that sprays a fluid for heating or cooling toward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It further includes a part 56',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movable body 62' of the second handling unit 60', and is heated or cooled toward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fluid handling unit (66') for spraying the fluid for.

상기 제1유체취급부(56')와 상기 제2유체취급부(66')는 각기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에 접하여 흡기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하부접속체(5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을 눌러 고정시킨다.The first fluid handling unit 56' and the second fluid handling unit 66'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and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respectively, and operate in the intake mode. to fix the first side photographing module 34' and the second side photographing module 44', and the first upper connector 54' and the first lower connector 55' The first flange module 32'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are pressed and fixed through an opera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하부접속체(6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을 눌러 고정시킨다. The second upper connector 64' and the second lower connector 65' are fixed by pressing the third flange module 42' and the fourth flange module 43' through an opera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ke it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driving method of the physic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forward and backward flow and rotational movement are made based on a motor, an actuator, etc., and the shape and size of each component may be variously selec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and materials to be implemented. .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드론 110 : 시설물 모니터링부
120 :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 130 : 전자기파 인지 수단
140 : 비행 제어 모듈 160 : 위험 판단 모듈
100: drone 110: facility monitoring unit
120: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130: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140: flight control module 160: risk determination module

Claims (2)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으로서,
송전선로설비 주변현장에 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로설비관리, 상기 주변현장에 대한 출입관리, 사고관리 및 상황관리 대응을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은,
비행에 장애가 되는 고정 물체와의 거리를 인지하는 장애물 거리 인지 수단과; 비행 영역의 전자기파 강도를 인지하는 전자기파 인지 수단과; 상기 고정 물체와의 거리 및 상기 전자기파 강도로부터 비행 영역의 비행 위험을 판단하는 위험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하되,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되는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As a transmission line facility status check system using a drone,
A unit is installed at the site around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and includes a monitoring facility that performs monitoring for the power transmission line facility management, access control to the surrounding site, accident management and situation management response,
The transmission line equipment condition check system,
an obstacle distanc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distance to a fixed object that becomes an obstacle to flight; Electromagnetic wav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of the flight area; A risk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flight risk of the flight area from the distance to the fixed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wave intensity,
The monitoring equipment is
a lower body unit (10') located in the field;
a central monitoring unit (20')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body unit (1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in a rotational manner;
a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which is moved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and
A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which is moved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in the lower body unit 10'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The central monitoring unit 20 'is,
a driving module 21' installed in the lower body unit 10';
a connecting rod module 22'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module 21';
a plate panel module 23'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modules 24' which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a lighting module 25'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modules 24'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provide lighting,
The photographing module 24' performs photograph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panel module 23'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module 21' through the connecting rod module 22',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is interlocked with one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stop the rota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make it,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is interlock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o fix the plate panel module 23' or stop the rota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make it,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A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 provided in the lower body unit 10 ′, a first flange module 32 ′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driving module 31 ′, and the first flange A module 32', a second flange module 33' provided to face upward, and a first side shot provided between the first flange module 32'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a module 34';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A second side drive module 41' provided in the lower body unit 10', a third flange module 42' provided on the second side drive module 41', and the second flange Module 33', a fourth flange module 43' provided to face upward, and a second side photographing provided between the third flange module 42' and the fourth flange module 43' a module 44';
The first flange module 32' of the first side monitoring unit 30',
A first connection module 71' contacting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nd a second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are provided, and the second side monitoring unit 40' ), the second flange module 33'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includes a third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a lower portion and a fourth connection module contac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panel module 23'. Transmission line facility status check system using drone
삭제delete
KR1020220018086A 2022-02-11 2022-02-11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2439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086A KR102439487B1 (en) 2022-02-11 2022-02-11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086A KR102439487B1 (en) 2022-02-11 2022-02-11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487B1 true KR102439487B1 (en) 2022-09-05

Family

ID=8327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086A KR102439487B1 (en) 2022-02-11 2022-02-11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4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854B1 (en) * 2022-11-14 2023-01-12 이삼종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ing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nd utility po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033A (en) * 2010-12-28 2012-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obile system for monitoring power transfer line
KR20190090551A (en) * 2018-01-25 2019-08-02 황순구 Lighting equipment for drone mounting
KR20210044332A (en) * 2019-10-14 2021-04-23 한국전력공사 DRONE OPERATI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POWER FACILITIES
KR102300163B1 (en)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equipment having distribution line between utility pole by using dr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033A (en) * 2010-12-28 2012-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obile system for monitoring power transfer line
KR20190090551A (en) * 2018-01-25 2019-08-02 황순구 Lighting equipment for drone mounting
KR20210044332A (en) * 2019-10-14 2021-04-23 한국전력공사 DRONE OPERATI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POWER FACILITIES
KR102300163B1 (en)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equipment having distribution line between utility pole by using dr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854B1 (en) * 2022-11-14 2023-01-12 이삼종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ing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nd utility po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752B2 (en) Railway maintenance device
KR102262384B1 (en) DRONE OPERATI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POWER FACILITIES
WO2021159548A1 (en) Traffic safety early-warning monitoring and alarm apparatus
US201703378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avoidance
JP6080568B2 (en) Monitoring system
US10679504B2 (en) Applications of a plurality of safety laser scanners combined with a camera or mobile computer
KR102166095B1 (en) safety device
US20220019949A1 (en) Safety management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program
KR102439487B1 (en) Providing method for a drone-bas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1212630B1 (en) Mobile system for monitoring power transfer line
KR20170061968A (en) Patrol system using robot
KR102112340B1 (en) Near field drone detection and identifying device
KR20120017113A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on railway crossing using 3d laserrader and method thereof
JP6195447B2 (en) Shooting system
JP6140436B2 (en) Shooting system
KR1024188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place alarm
JP6045806B2 (en) Intrusion monitoring device
JP2007145518A (en) Electric wire contact avoiding device
KR102276634B1 (en)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pantograph on electric train installed on vehicl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JP6093596B2 (en) Moving object monitoring system
KR20230103002A (en) System for managing safety in industrial site
KR20140118631A (en) Context awareness system for vessel
JP2012153232A (en) Cooling control system
JP2017182454A (en) Monitoring system and object detection device
KR101919023B1 (en) Crane System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Crane, And Operating Method Ther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