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628B1 -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 Google Patents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628B1
KR101567628B1 KR1020120123350A KR20120123350A KR101567628B1 KR 101567628 B1 KR101567628 B1 KR 101567628B1 KR 1020120123350 A KR1020120123350 A KR 1020120123350A KR 20120123350 A KR20120123350 A KR 20120123350A KR 101567628 B1 KR101567628 B1 KR 10156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support
piston rod
trus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900A (en
Inventor
김태형
곽현신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628B1/en
Publication of KR2014005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 E04G23/065Lift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기둥의 주위에 잭업시스템을 설치하여 건물지붕의 트러스를 상승시키고, 보강부재를 기둥에 삽입 고정하여 건물지붕을 증고 또는 증층 할 수 있도록 하는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둥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방법 대신에 건물지붕의 트러스를 지지부재를 통해서 지지하고 이를 잭업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시켜서 대형 건축물의 지붕을 증고, 증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ck-up device for increasing the height of a truss structure building roof and a jack-up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ack-up system provided around a building column, And a jack-up system using the jack-up device and a jack-up device for enabling a building roof to be increased or increas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member into a colum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a truss of a building roof through a supporting member instead of fixing one side of the column and elevating and raising the roof of the large building by using a jack-up device.

Description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ck-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기둥의 주위에 잭업시스템을 설치하여 건물지붕의 트러스를 상승시키고, 보강부재를 기둥에 삽입 고정하여 건물지붕을 증고 또는 증층 할 수 있도록 하는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ck-up device for increasing the height of a truss structure building roof and a jack-up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ack-up system provided around a building column, And a jack-up system using the jack-up device and a jack-up device for enabling a building roof to be increased or increas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member into a column.

최근에는 철골건물에서는 철골 빔과 트러스를 이용한 건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철골건물들은 통상적으로 기둥, 보, 지붕, 외벽 및 외장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처음 시공시 필요한 높이와 층이 확정되어 건축되어 지며 완공된 후에는 건물의 높이 또는 그 층수를 증가시켜 건물을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사용할 필요가 발생되면 그 건물을 철거하고 재건축하여 원하는 층의 높이와 층수를 확장 시공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buildings using steel beam and truss have been widely used in steel buildings. These steel buildings are usually constructed of pillars, beams, roofs, exterior walls and exterior materials, and the height and floor required for the initial construction are established. After completion, the height of the building or the number of floors is increased, The building is demolished and reconstructed to expand the desired height and number of floo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4956호에서는 양 기둥에 설치하는 수평, 수직균형유지가세 설치단계와, 상기 기둥들의 일측면에 유압실린더들의 피스톤 로드의 종단을 결착 고정하는 유압실린더 고정단계와, 독립기초에서 기둥의 베이스를 분리하는 기둥-베이스 분리 단계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를 상승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의 종단이 결착 고정된 각각의 기둥들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고 각각의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상승시 각각의 피스톤 로드의 상승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피스톤 로드의 상승거리가 서로 차이가 날 때 각각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승거리가 차이나는 피스톤로드를 가진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타 피스톤로드의 상승거리만큼 그 상승거리를 보정하면서 각각의 기둥을 상승시키는 상승단계와, 상승이 완료된 각각의 기둥과 지면의 독립기초사이에 보강 철골 부재를 삽입하고 삽착고정하는 보강 철골 부재 고정단계, 각각의 보강철골 부재의 외측에 외장재를 설치하는 외장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건물의 증고, 증층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습니다.Korean Patent No. 10-0454956 discloses a hydraulic cylinder fix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balancing gauze on both poles, fixing a hydraulic cylinder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s on one side of the poles, A piston-base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base of the piston and a piston-rod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piston-rod and the piston-rod from each other when the piston rod is lifted by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The rising distance of each piston rod is measured in real time. When the rising distance of each piston ro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peration of each hydraulic cylinder is stopped, and then the hydraulic cylinder having the piston rod having a different rising distance is operated Each of the columns is elevated while correcting the rising distance by the rising distance of the other piston rod A reinforcing steel member fixing step of inserting and inserting a reinforcing steel member between the rising step and the separated foundation of each raised column and the ground, and a step of installing a facing material on the outer side of each reinforcing steel member, An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steel-framed buildings.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및 시스템은 피스톤로드의 일단이 기둥의 일측 면에 고정 결합되어 기둥자체를 상승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할 경우 각 기둥들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해서 기둥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좌굴이 발생할 수 있어 시공 자체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apparatus and system used in the above method, one end of the piston rod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lumn to raise the column itself. However, when such a method is adopted, Or the buckling may occur, thereby causing difficulty in the construction itself.

또한,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및 시스템은 기둥과 기둥사이에 수평, 수직균형가세를 설치하여 기둥을 상향할 때 기둥자체에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이나, 이와 같은 구조는 기둥과 기둥사이의 거리가 먼 대형건물에서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system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rizontal and vertical balance force is provided between a column and a column to prevent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column itself when the column is rais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in large buildings that are far away.

또한,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및 시스템은 건물의 기둥을 지지하는 면이 기둥의 일측면에 있어 대형 건축물의 지붕을 증고, 증축하기에는 보강관계 및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system used in the above method have a reinforcing relationship and a structural problem in order to increase or increase the roof of a large building on the side of the pillar, which supports the pillars of the build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둥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방법 대신에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건물지붕의 트러스를 지지부재를 통해서 지지하고 이를 잭업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시켜서 대형 건축물의 지붕을 증고, 증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uss structure for a truss structure in which a truss of a building roof to which a load is directly transmitted is supported through a support member, To elevate and enlarge the roof of a large buil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러스를 가지는 철골건물의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 양측으로는 블록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잭업실린더; 잭업실린더의 하향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의 신장으로 생성되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두 개의 라이너블록; 상기 라이너블록을 고정시킨 후 피스톤로드를 수축시키고, 상기 트러스의 하중을 상기 두 개의 라이너블록으로 떠받치는 상태에서 피스톤로드가 수축되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잭 서포트 빔; 및 슬래브에 고정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ck-up device for strengthening and expanding a steel building having a truss,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truss; An upper support having the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block guid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 jack-up cylinder connected to a lower center of the upper support; A piston rod extending downward of the jack-up cylinder; Two liner blocks disposed in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support resulting from the extension of the piston rod; A jack support beam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retracting the piston rod after fixing the liner block and contracting the piston rod in a state where the load of the truss is supported by the two liner blocks; And a support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slab.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라이너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by a liner plate.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결착고정 하지 않고 상기 트러스 구조물을 감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the truss structure without being fixed in place.

또한, 상기 잭업실린더의 내측에는 피스톤로드의 위치 및 압력을 제어하는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jack-up cylinder further includes a strok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the pressure of the piston rod.

또한, 상기 라이너블록을 설치할 때, 블록가이드가 상기 라이너블록을 측면에서 지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liner block is installed, the block guide supports the liner block from the side and fixes the liner block at an accurate position.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은 슬래브의 일부를 파내고,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평을 유지한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formed by digging a part of the slab, placing the non-shrinkage concrete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fixing the slab by using an anchor bolt.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에 수평지지부재 및 수직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지지 보강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 are provided on the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상부지지대와, 잭업실린더와, 피스톤로드와, 지지부재와, 라이너블록과, 잭 서포트 빔과, 지지구조물과, 잭업실린더의 내측에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잭업장치; 상기 복수개의 잭업장치에 유압을 공급해주는 유량공급기; 상기 유량공급기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를 제어하고, 잭업실린더에 유압 공급을 제어하여 피스톤로드를 하향으로 신장시킬 때 단차거리 만큼 이동되었는지를 검정하며, 피스톤로드가 스트로크 만큼 이동되었는지를 검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jack-ups including a top support, a jack-up cylinder, a piston rod, a support member, a liner block, a jack support beam, a support structure, a strok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inside the jack- Device; A flow rate supplier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plurality of jack-up devic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rok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and controls the supply of hydraulic pressure to the jack-up cylin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iston rod has been moved by a step distance when the piston rod is extended downward, And a jacking-up system for the thickening and the thick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iston rod is moved by a stroke.

본 발명에 따른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의 경우는 트러스 구조 및 대형 건물의 증고 및 증축에 효과적이고, 종래의 장치 및 시스템에 비해서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The jack-up device for the hyperbole and the multiplication and the jack-up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ffective for enhancing and enlarging the truss structure and the large building and have a simpl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vices and systems.

또한, 기둥의 양측에 잭업장치를 설치하고, 기둥의 트러스를 지지하도록 하여 지붕 증고 및 증축 도중에 기둥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좌굴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상 안전성이 보장된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jack-up devic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to support the truss of the column, so that the column is prevented from tilting or buckling during the thickening and enlarging of the roof, thereby ensuring safety in construction.

또한, 기둥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시키는 종래방식에 비해서 증고 및 증축할 수 있는 하중이 크고, 공장건물의 특성상 잭업을 하기 위한 수직재 등의 설치시 바닥 슬래브가 잭업시 하중의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럴 경우 기둥의 푸팅 상단에 수직재를 안정적으로 설치 할 수 있는 구조로 건물 상향에 있어 안정성이 큰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ad that can be increased and enlarged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xing to the one side of the column, the bottom slab can not receive the load during jack-up when the vertical material for jack- In this case, the vertical structure can be stably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illars.

또한, 잭업실린더의 길이에 상관 없이 지붕 상향시 들어 올리는 거리에 제약이 없고 상황에 따른 활용도가 높아 경제적인 이점이 크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jack-up cylinder,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lifting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roof, and th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high,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또한, 상향시 태풍이나 그 외 설치시 건물자체의 비틀림 등으로 인한 부가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도 안정성이 크다.In addition, stability is high even when an additional load is applied due to twisting of the building itself during typhoon or other installation at the time of upward.

또한, 라이너블럭 등이 볼트로 고정이 되어 지그재그로 올라가며 블록가이드가 이를 지지해서 올라가는 경우 수평력 등이 올 경우에 라이너블록 등이 이를 저항하여 하부 벤트로 전달되는 구조로 수평력 등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lock guide is supported by the bolts, the liner block is fixed with a bolt, and when the block guide is supported by the bolt, the liner block is transmitted to the lower vent when the horizontal forc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 주위에 설치되는 잭업장치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장치의 상단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4 내지 7은 잭업장치를 통해서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증고 및 증층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잭업장치의 지지구조물 고정 설치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지붕의 증고 및 증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흐름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cross-sectional view of a jack-up device provided around a pilla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jack-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jack-up system for enrichment and enri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7 are sid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increasing and increasing the truss structure building roof through a jack-up device. Fig.
Fig. 8 is a view showing the fixed structure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jack-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creasing and increasing a building ro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잭업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jack-up device for enrichment and enri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jack-up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 주위에 설치되는 잭업장치(100)의 설치 단면도이다.Fig. 1 is an installation sectional view of a jack-up device 100 provided around a pillar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래브(1)에 배치되어 있는 기둥의 하부(2)와 기둥의 상부(3), 상기 기둥의 상부(3)의 일측에 배치되는 트러스(4)가 있는 철골 건물이 존재한다.There is a steel building with a lower part 2 of the column disposed in the slab 1, an upper part 3 of the column, and a truss 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3 of the column.

지지구조물은 하부 받침대(10), 제 1 스크류잭(11), 수직받침대(12), 스크류잭 받침대(13), 제 2 스크류잭(14), 수평받침대(15), 상부 받침대(16), 수평빔(17)로 크게 구성된다. The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lower pedestal 10, a first screw jack 11, a vertical pedestal 12, a screw jack bracket 13, a second screw jack 14, a horizontal pedestal 15, an upper pedestal 16, And a horizontal beam 17.

슬래브(1)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하부 받침대(10)를 가로방향으로 하부에 두 개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인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두 개의 하부 받침대(10)의 상부에는 각각 두 개의 제 1 스크류잭(11)이 배치되며, 지지구조물의 높낮이 조절과 각각의 평행을 맞추는 역할을 수행한다.And a lower pedestal 10 disposed so as to abut the slab 1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its lower portion, and h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overall load. Two first screw jacks 11 are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two lower pedestals 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structure and align the respective parallelism.

제 1 스크류잭(11)은 수직받침대(12)를 지지하며, 상기 수직받침대(12)는 각각 수평지지부재(29) 및 수직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29) 및 수직지지부재(30)의 설치로 인해서 구조의 건전성이 증가한다.The first screw jack 11 supports the vertical pedestal 12 and the vertical pedestal 12 may be arranged to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member 29 and a vertical support member 30, respectively. The install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29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0 increases the structural integrity.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수직받침대(12)는 스크류잭 받침대(13)를 지지하며, 상기 스크류잭 받침대(13)에는 두 개의 제 2 스크류잭(14)이 세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 스크류잭(14)은 제 1 스크류잭(11)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Two vertical supports 12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upport the screw jack support 13 and two second screw jacks 14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crew jack support 13. [ The second screw jack 14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screw jack 11.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제 2 스크류잭(14)은 각각 두 개의 수평받침대(15)를 지지한다. 상기 두 개의 수평받침대(15)에 90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다시 네 개의 상부 받침대(16)가 설치된다. 지지구조물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서 상부 받침대(16)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의 상부(3) 주위에 양쪽을 승강시키는 경우의 설명이다.The two second screw jacks 14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each support two horizontal pedestals 15. Four upper pedestals (16) are installed on the two horizontal pedestals (15) so as to be staggered in the 90 direction. The number of the upper supports 16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and the situa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and in this embodiment, both sides are raised and lowered around the upper part 3 of the column.

두 개의 상부 받침대(16)는 각각 90방향으로 엇갈리도록 두 개의 수평빔(17)을 지지하고 있으며, 두 개의 수평빔(17)은 다시 하나의 상부지지대(19)를 지지한다.The two upper pedestals 16 support two horizontal beams 17 so as to be staggered in the direction of 90 respectively and the two horizontal beams 17 again support one upper pedestal 19.

다음으로 잭업장치의 상단부는 크게, 상부지지대(19), 잭업실린더(20), 피스톤로드(21), 지지부재(22), 라이너블록(23), 잭 서포트 빔(24)로 구성된다.The upper end of the jack-up device is largely constituted by an upper support 19, a jack-up cylinder 20, a piston rod 21, a support member 22, a liner block 23 and a jack support beam 24.

상부지지대(19)의 하부에는 잭업실린더(20)와 피스톤로드(21)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평빔(17)과 맞닿는 위치에 블록가이드(18)가 아랫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지지대(19)의 상부에는 지지부재(22)가 U자 형태의 배치되어 있으며, 트러스(4)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A jack-up cylinder 20 and a piston rod 21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pport 19 and a block guide 18 is disposed at a position below the horizontal beam 17 in a downward direction. A support member 22 is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19 in a U-shape to support the truss 4.

잭업장치(100)에는 배관 파손시 잭업실린더의 급하강을 방지하는 비상용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피스톤로드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jack-up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valve (not shown) for preventing a sudden drop of the jack-up cylinder at the time of piping failure, and may further include a strok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iston rod It is possible.

또한, 피스톤로드(19)가 단차거리만큼 하강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잭업실린더(20)의 동작상태 및 압력값을 표시해주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iston rod 19 is lowered by a step distance and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and the pressure value of each of the jack-up cylinders 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잭업장치의 상단부(110)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end 110 of the jack-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지지대(19) 양측으로는 잭업실린더(20)의 상승 과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블록가이드(18)가 형성되어 있고, 잭업실린더(20)는 피스톤로드(21)가 하향으로 신장되는 구조로 상부지지대(19)에 결합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부지지대(19) 상측에는 트러스(4)와 결착 고정되지 않고 단지 면접촉 되어 트러스(4)와 상호 미끄럼(slip)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지지부재(22)가 라이너 플레이트(26)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붕구조물의 상승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인 스트로크 센서(25)가 잭업실린더(20) 내부에 구비(도 2에는 유압실린더 일측에 구비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도시된 것임)되어 있으며, 잭업실린더(20)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피스톤로드(21)가 하향으로 신장되고 상부 받침대(16)와 맞닿아 있는 피스톤로드(21)의 끝단인 슈페리컬(27)과 상부 받침대(16)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 결과적으로 지붕구조물이 상승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2, a block guide 18 for guiding the up-stroke of the jack-up cylinder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pport 19, and the jack-up cylinder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iston rod 21 is extende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19 by a structure. 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pport 19, a support member 22, which is not engaged with the truss 4 but is on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russ 4 and is kept slidabl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russ 4, As shown in Fig. A stroke sensor 25, which is a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rising distance of the roof structure in real time, is provided inside the jack-up cylinder 20 (shown as be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in FIG. 2,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jack-up cylinder 20, the piston rod 21 is extended downward, and the upper end of the piston rod 2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edestal 16, 16 as a result of which the roof structure is rai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시스템의 개요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jack-up system for enrichment and enri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잭업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증고 및 증층을 위해서 복수개의 잭업장치(100)가 기둥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잭업장치(100)는 각각 유량공급기(200)에 연결되며, 유량공급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있다. 잭업장치(100)의 개수는 증고 및 증층을 하기 위한 건물의 기둥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jack-up system is as follows. A plurality of jack-up devices (100) are disposed around a column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nd increasing the building roof, and the plurality of jack-up devices (1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low feeder (200)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The number of the jack-up devices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illars of the building for the increase and increase.

상기 제어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잭업장치(100)의 잭업실린더의 단차거리만큼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스크로크 센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잭업실린더의 압력값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잭업장치(100)로 적절한 유압이 분배될 수 있도록 유량공급기(200)를 제어해 준다. 제어부(300)에서는 각각의 잭업장치(100)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각각의 잭업장치(10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전체 작업을 정지시키고, 문제해결 후에 다시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해준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scroll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jack-up device 100 is lowered by the step distance of the jack-up cylinder 100, and displays the pressure value of the jack-up cylinder , And controls the flow rate supply device 200 so that an appropriate hydraulic pressure can be distributed to the jack-up device 100. The control unit 300 confirms that each of the jack-up devices 100 operates properly, stops the entire opera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each of the jack-up devices 100, and allows the system to operate again after the problem is solved.

도 4 내지 7은 잭업장치를 통해서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증고 및 증층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Figs. 4 to 7 are sid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increasing and increasing the truss structure building roof through a jack-up device. Fig.

도 4를 참조하면, 잭업실린더(20)를 작동시켜 원하는 위치만큼 피스톤로드(21)를 하강시키면, 피스톤로드(21)가 상부받침대(16)에 밀착되어 상부지지대(19)와 수평빔(17)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각각의 잭업장치에서 동일한 위치로 피스톤로드(21)가 하강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피스톤로드(21)의 하강거리가 다른 경우에는 전체적인 잭업장치의 작동이 정지하고, 다른 하강거리를 가지는 잭업장치만 작동시켜서 건물지붕의 수평을 맞추어주는 작업을 별도로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술한 제어부에 의해서 수행된다.4, when the piston rod 21 is lowered by a desired position by operating the jack-up cylinder 20, the piston rod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edestal 16 so that the upper pedestal 19 and the horizontal beam 17 ). At this time, it is checked whether the piston rod 21 is lowered to the same position in each of the jack-up devices. When the descending distance of the piston rod 21 is different, the entire operation of the jack-up device is stopped, and only the jack-up device having a different falling distance is operated to horizontally align the building ro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종래의 발명에서는 피스톤로드의 일단이 기둥의 일측 면에 고정 결합되어 기둥자체를 상승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할 경우 각 기둥들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해서 기둥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좌굴이 발생할 수 있어 시공 자체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ne end of the piston rod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lumn to elevate the column itself. When such a method is employed, the column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lumns, And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itself occurred.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재(22)와 트러스(4)가 결착고정된 것이 아니고,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에 불과하여, 각각의 기둥들의 높이 차이에도 기둥이 기울어지거나 혹은 좌굴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22 and the truss 4 are not fixedly coupled but merely support the support,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that the column is inclined or buckled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respective columns .

트러스(4) 구조 상승시 일측으로 하중이 집중되거나 혹은 기둥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전체적으로 중심 균형이 재구성될 수 있도록 트러스(4)와 지지부재(22)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임에 따라 시공의 안정성이 보정되고, 트러스(4)와 지지부재(22)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Since the truss 4 and the supporting member 22 can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 central balance can be reconstructed as a whole even if a load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r a column is inclined when the truss 4 is raised, The stability is corrected, and a separate process of joining the truss 4 and the support member 22 can be omitted, so that the ease of construction can be secured.

도 5에서는 상술한 상부지지대(19)와 수평빔(17)사이에 공간에 두 개의 라이너블록(23)을 끼워 넣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 피스톤로드(21)의 신장 길이보다 약간 높이가 작은 두 개의 라이너블록(23)을 수평빔(17) 상단과 상부지지대(19) 사이의 공간에 끼워 넣고, 상기 라이너블록(23)을 수평빔(17)에 볼트 결합시킨다. 상기 라이너블록(23)은 블록가이드(18)에 의해서 위치가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가이드(18)로 인해서 라이너블록(23)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지붕구조물이 위치변동 없이 똑바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5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liner blocks 23 are sandwich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support 19 and the horizontal beam 17 described above. Two liner blocks 23 that are slightly shorter than the actual length of the piston rod 21 ar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beam 17 and the upper support 19, (17). The liner block 23 can be fixedly positioned by the block guide 18 and the block guide 18 fixes the liner block 23 at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going to be able to go up straight.

도 6에서는 라이너블록(23)을 이용하여 상부지지대(19)를 지지한 후에, 다시 피스톤로드(21)를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지붕구조물의 하중을 라이너블록(23)과 수평빔(17)이 떠받치고 있는 상태로서 상기 피스톤로드(21)를 상승되어 형성된 공간에 잭 서포트 빔(24)을 끼워 넣고, 잭 서포트 빔(24)과 수평빔(17)을 볼트 결합시킨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rod 19 is supported by the liner block 23 and then the piston rod 21 is retracted. In this state, the jack support beam 24 is inserted into the space where the load of the roof structure is supported by the liner block 23 and the horizontal beam 17 and the piston rod 21 is raised. The beam 24 and the horizontal beam 17 are bolted together.

도 7에서는 상기 도 6의 상태에서 잭업실린더(20)를 작동시켜 원하는 위치만큼 피스톤로드(21)를 하강시키면, 피스톨로드(21)가 상부받침대(16)에 밀착되어 상부지지대(19)와 수평빔(17)사이에 재차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술한 도 4 내지 6 과정을 반복하면, 결과적으로 원하는 거리만큼 지붕 트러스 구조물을 증고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평빔(17)의 높이만큼 잭 서포트 빔(24)이 끼워진 후에는 보다 작은 잭 서포트 빔(24)이 끼워질 수도 있으며, 상기 잭 서포트 빔(24)은 라이너블록(23)과 볼트결합으로 체결된다.6, when the piston rod 21 is lowered by a desired position by operating the jack-up cylinder 20 in the state of FIG. 6, the piston rod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edestal 16, When a space is again formed between the beams 17 and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steps 4 to 6 in this state, the roof truss structure is increased by a desired distance. A smaller jack support beam 24 may be fitted after the jack support beam 24 is fitted by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beam 17 and the jack support beam 24 may be engaged with the liner block 23 by bolt- Respectively.

한편, 상기한 전체적인 공정에 앞서 잭업장치의 지지구조물 설치시 지반이 견고하지 못하거나 혹은 지반의 수평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수축 콘크리트(29)를 이용하여 지반을 견고하게 하거나 혹은 수평을 유지하는 작업을 상기 공정에 앞서 선행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슬래브(1)의 상부에 지지구조물을 설치하고, 지반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수평을 유지하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수축 콘크리트(29)를 타설하고, 상기 무수축 콘크리트(29)에 앵커볼트(28)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래브가 견교하지 못한 경우에도 슬래브의 일부를 파내어 일정깊이 만큼 무수축 콘트리트(29)를 타설하여 수평을 유지한 후 상기 앵커볼트(28)를 이용하여 무수축 콘크리트(29) 내에 상기 지지구조물을 고정하도록 하여, 잭업장치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If the ground is not rigid or the ground level is not good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jack-up device prior to the above-described overall process,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precede the above-mentioned process of hardening or maintaining a horizontal position. The supporting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1 and a non-shrinking concrete 29 is laid in ord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when the ground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support structure is fixed by using anchor bolts (28) on the support structure (29). Also, even if the slabs can not be crossed, a part of the slab is dug and the shrink concrete 29 is pour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 maintain the horizontal, and then the anchor bolt 28 is used to hold the shrink concrete 29 So that the jack-up device is held horizontally.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증고 및 증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흐름도이다. 증고 및 증층하고자 하는 트러스 구조 건물지붕의 기둥 주위에 트러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 피스톤로드를 가지는 잭업실린더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잭업장치를 기둥 주위에 설치하는 S1단계를 가진다.FIG. 9 is a sequence flow chart showing the method of increasing and increasing the truss structure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uss structure to be thickened and strengthene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a truss around a column of a building roof, and a jack-up cylinder including a jack-up cylinder having a piston rod.

상기 지지부재는 결착고정 하지 않고 트러스 구조를 감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이 많이 쓰이나, 트러스 구조를 감싸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관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붕구조물(트러스)과 결착고정되지 않고 단지 면접촉 되어 지붕구조물과 상호 미끄럼(Slip) 및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경우에 따라서 라이너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rrounds the truss structure without being fixed in a fixed manner. In general, the U-shaped structure is used in many cases, but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truss structure. The support member is on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oof structure (truss) without being engaged with the roof structure, and is kept slip and rotatable with the roof structur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iner plate as the case may be.

또한, 상기 잭업장치에는 배관 파손시 잭업실린더의 급하강을 방지하는 비상용밸브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피스톤로드의 위치 및 압력을 제어하는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jack-up device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valve for preventing rapid rise and fall of the jack-up cylinder at the time of piping failure, and further includes a strok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pressure of the piston rod.

상기 잭업장치의 하부에는 지지구조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슬래브(지반)의 상부에 지지구조물을 설치하고, 지반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수평을 유지하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무수축 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구조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래브가 견교하지 못한 경우에도 슬래브의 일부를 파내어 일정깊이 만큼 무수축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수평을 유지한 후 상기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무수축 콘크리트 내에 상기 지지구조물을 고정하도록 하여, 잭업장치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The lower part of the jack-up device is provided with a support structure. The supporting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ground), and when the ground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he non-shrinkage concrete is laid so as to maintain the horizontal, So as to fix the support structure. In addition, even when the slab is not crossed, a part of the slab is dug and the shrinkage concrete is poured to a certain depth to maintain the horizontal, and then the support structure is fixed in the shrinkage concrete using the anchor bolt, .

상기 S1단계 후, 상기 잭업실린더에 유량공급기를 연결하고, 상기 잭업실린더에 일정량의 압력을 증가하여 잭업장치를 건물지붕의 트러스에 밀착시키는 S2단계를 실시한다. 본 단계는 각각의 잭업실린더에 압력증가 및 밀착을 실시하는 이유는 트러스를 지지하여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키는 사전 준비작업이다.After the step S1, a flow rate feeder is connected to the jack-up cylinder, and a certain amount of pressure is increased to the jack-up cylinder so as to bring the jack-up devi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russ of the building roof. In this step, the pressure increase and tightness are applied to each of the jack-up cylinders because the truss is supported to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olumn.

일반적으로 5~10ton의 압력을 부가하며, 후술할 각각의 트러스의 반력값을 산정하여 일정량의 압력을 각각의 잭업실린더 별로 차등하게 부여할 수도 있다.Generally, a pressure of 5 to 10 tons may be added, and a certain amount of pressure may be given differently for each of the jack-up cylinders by calculating the reaction force value of each truss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건물지붕의 높이들이 지점침하, 설치오차 또는 행잉 하중에 의한 변위로 차이가 있으므로, 잭업장치를 이용하여 트러스를 밀착시킬때 초기 평탄성을 확보하는 초기 셋팅 단계를 필요로 한다. 구조계산에 의해 잭업장치 각각의 반력값들을 산정하여 반력값 만큼의 하중을 잭업실린더 가하여 밀착을 시키고, 밀착시 생기는 공극에는 라이너 플레이트를 고여 평탄성을 확보한 후 지붕을 상승시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Also, since the heights of the building roofs differ in displacement due to point settlement, installation error, or hanging load, an initial setting step is required to ensure initial flatness when the truss is closely contacted with a jack-up device. The reaction force values of each of the jack-up devices are calculated by structural calculation, and the load corresponding to the reaction force value is applied by a jack-up cylinder, and a liner plate is attached to the gap formed in the close contact to secure the flatness.

상기 S2단계 후, 상기 기둥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앵커볼트를 해체하고, 상기 기둥의 상부를 1~2mm 인양하여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키는 S3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기둥이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지 않은 일체형 기둥인 경우에는 슬래브와 연결되는 부분을 분리시킨다.After step S2, the anchor bolt locat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lumn is dismantled, and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is lifted by 1 to 2 mm to perform the S3 step of separat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At this time, if the column is an integral column that is not composed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part connected to the slab is separated.

상기 S3단계 후, 상기 복수개의 잭업장치를 작동시켜 설정된 단차거리 만큼 피스톤로드를 하강시킴으로써 각각의 트러스를 상승시키는 S4단계를 실시한다. 잭업장치는 유압분배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서 피스톤로드를 하강시킨다.After step S3, the plurality of jack-up devices are operated to lower the piston rods by a predetermined step distance, thereby performing step S4 of raising each of the trusses. The jack-up device receives th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hydraulic distributor to lower the piston rod.

상기 S4단계 후, 각각의 피스톤로드가 설정된 단차거리를 도달할 경우 나머지 피스톤로드가 설정된 단차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 정지하고, 전체 잭업장치의 피스톤로드가 설정 단차거리에 도달되면 제어부에서 검정을 하여 평탄성을 확보하고 ok사인을 출력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의 최종 상승높이인 스트로크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각각의 트러스를 상승시키는 S5단계를 실시한다.After the step S4, when the piston rod reaches the set step distance, the remaining piston rod automatically stops until it reaches the set step distance. When the piston rod of the entire jack-up device reaches the set step distance, Thereby securing the flatness and outputting an ok sign, and at the same time, repeating steps S5 to repeatedly raise the respective trusses until reaching the stroke, which is the final rising height of the piston rod.

피스톤로드의 최종 상승높이인 스트로크는 통상적으로 200~300mm인 것이 일반적이며, 단차거리는 1~4mm로 설정하는 것이 각 기둥들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해서 기둥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혹은 좌굴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The stroke, which is the final rising height of the piston rod, is generally 200 to 300 mm. When the step distance is set to 1 to 4 mm, the column tilts in one direction or buckling occurs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lumns. Can be prevented.

예로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는 250mm로 설정하고, 단차거리는 2mm로 설정할 경우 피스톤로드가 하강하여 먼저 2mm높이에 도달한 피스톤로드는 나머지 피스톤로드가 2mm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 정지하고, 전체 피스톤로드가 2mm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검정하여 ok사인을 츨력함과 동시에 다시 위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을 하여 최종 상승높이인 250mm에 도달 할 때까지 자동반복 작동하게 된다. 피스톤로드의 하강 도중에는 최소 단차를 1mm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하강시의 단차는 1mm이지만 작동이 완료된 후의 피스톤로드들의 단차는 0mm로 작동이 된다.For example, if the stroke of the piston rod is set to 250 mm and the step distance is set to 2 mm, the piston rod descends to reach the height of 2 mm first. Then, the piston rod automatically stops until the remaining piston rod reaches 2 mm height. When reaching the height of 2mm, the control part checks the OK sign and performs the above operation repeatedly, and it automatically repeats operation until reaching the final rising height of 250mm. During the descent of the piston rod, the minimum step can be set to 1 mm, and the step at the time of descent is 1 mm, but the step of the piston rods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is operated at 0 mm.

제어부는 피스톤로드가 단차거리 만큼 하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잭업실린더의 동작상태 및 압력값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trok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iston rod is lowered by the step distance,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and the pressure value of the jack-up cylinder.

상기 S5단계 후, 스트로크의 길이만큼 상승된 상부지지대의 하부 공간에 라이너 블록을 체결하고, 다시 피스톤로드를 상승시킨 후, 피스톤로드가 상승된 공간에 잭 서포트 빔을 설치하는 S6단계를 실시한다.After step S5, the liner block is fastened to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support raised by the stroke length, the piston rod is raised again, and then the jack support beam is installed in the space where the piston rod is raised.

원하는 높이만큼 건물지붕이 상승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원하는 높이만큼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S4 내지 S6단계를 반복하여 원하는 높이만큼 건물지붕을 상승시킨다. 원하는 높이만큼 건물지붕이 상승되었다면, 잭업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시켜주는 보강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잭업장치를 분리시키는 S7단계를 실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uilding roof has risen to a desired height and the desired height has not been reached, the steps S4 to S6 are repeated to raise the building roof to a desired height. If the building roof has been raised by a desired height, the operation of the jack-up device is stopped,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is inserted and fixed, and step S7 for separating the jack-up device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건물을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트러스 구조를 가지지 않는 대형건물에서도 지지부재의 형상변경으로 증고 및 증층을 할 수 있고, 또한, 잭업장치의 일부를 이용하여 교량 등의 이동에도 활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uilding having a trus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and increase the size of the buildin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even in a large building without a truss structure, It can be utilized for movement of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슬래브 2: 기둥의 하부
3: 기둥의 상부 4: 트러스
10: 하부 받침대 11: 제 1 스크류잭
12: 수직받침대 13: 스크류잭 받침대
14: 제 2 스크류잭 15: 수평받침대
16: 상부 받침대 17: 수평빔
18: 블록가이드 19: 상부지지대
20: 잭업실린더 21: 피스톤로드
22: 지지부재 23: 라이너블록
24: 잭 서포트 빔 25: 스트로크 센서
26: 라이너 플레이트 27: 슈페리컬
28: 앵커볼트 29: 무수축 콘크리트
30: 수평지지부재 31: 수직지지부재
100: 잭업장치
110: 잭업장치의 상단부
200: 유량공급기
300: 제어부
1: Slab 2: Lower part of the column
3: Top of column 4: Truss
10: lower pedestal 11: first screw jack
12: Vertical stand 13: Screw jack bracket
14: Second screw jack 15: Horizontal bracket
16: Upper pedestal 17: Horizontal beam
18: block guide 19: upper support
20: Jack-up cylinder 21: Piston rod
22: support member 23: liner block
24: Jack support beam 25: Stroke sensor
26: liner plate 27:
28: Anchor bolt 29: Shrinkage free concrete
30: horizontal support member 31: vertical support member
100: Jack-up device
110: upper end of the jack-up device
200: Flow feeder
300:

Claims (8)

트러스를 가지는 철골건물의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가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 양측으로는 블록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 중앙에 연결되는 잭업실린더;
잭업실린더의 하향으로 신장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의 신장으로 생성되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두 개의 라이너블록;
상기 라이너블록을 고정시킨 후 피스톤로드를 수축시키고, 상기 트러스의 하중을 상기 두 개의 라이너블록으로 떠받치는 상태에서 피스톤로드가 수축되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잭 서포트 빔; 및
슬래브에 고정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1. A jack-up device for strengthening and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 steel structure having a trus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truss;
An upper support having the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block guid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 jack-up cylinder connected to a lower center of the upper support;
A piston rod extending downward of the jack-up cylinder;
Two liner blocks disposed in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support resulting from the extension of the piston rod;
A jack support beam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retracting the piston rod after fixing the liner block and contracting the piston rod in a state where the load of the truss is supported by the two liner blocks; And
And a support structure secured to the slab. ≪ Desc / Clms Page number 2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라이너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upport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said upper support by a liner plate.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결착고정 하지 않고 상기 트러스 구조물을 감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truss structure without being fixedly coupled theret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업실린더의 내측에는 피스톤로드의 위치 및 압력을 제어하는 스트로크 센서 및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rok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the pressure of the piston rod on the inside of the jack-up cylin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블록을 설치할 때, 블록가이드가 상기 라이너블록을 측면에서 지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liner block is installed, a block guide supports the liner block from the side and fixes it in the correct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슬래브의 일부를 파내고,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평을 유지한 후,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lab, placing the shrinkage concrete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fixing the slab by using an anchor bo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에 수평지지부재 및 수직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지지 보강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고 및 증층을 위한 잭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a vertical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jacket up and down.
삭제delete
KR1020120123350A 2012-11-02 2012-11-02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KR101567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350A KR101567628B1 (en) 2012-11-02 2012-11-02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350A KR101567628B1 (en) 2012-11-02 2012-11-02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00A KR20140056900A (en) 2014-05-12
KR101567628B1 true KR101567628B1 (en) 2015-11-10

Family

ID=5088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350A KR101567628B1 (en) 2012-11-02 2012-11-02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6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15B1 (en) * 2017-08-17 2022-03-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pparatus for position recognition and leveling of platform for shiplist, method for position recognition and leveling
CN112211429A (en) * 2020-10-28 2021-01-12 张燕 Whole displacement conveyer of building
CN112878736A (en) * 2021-03-05 2021-06-01 中国铁建国际集团有限公司 Positioning device, positioning unit, positioning assembly and unloading method of positioning assembly
CN113685209B (en) * 2021-09-30 2024-01-30 太原理工大学 Mining bottom plate deformation self-adaptive multi-stage high-strength filling column cylinder and use method thereof
CN115324375B (en) * 2022-08-26 2024-01-19 蒋建栋 Reinforced structure for building structure design be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063A (en) 2000-11-10 2002-05-22 Kaihatsu Denki Kk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steel tower intermediate part
JP2003204612A (en) 2002-01-08 2003-07-1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Method of repairing tower main pole, and apparatus for lifting up the same
JP2005256343A (en) 2004-03-10 2005-09-22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Elevating method and device of power transmission line steel t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063A (en) 2000-11-10 2002-05-22 Kaihatsu Denki Kk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steel tower intermediate part
JP2003204612A (en) 2002-01-08 2003-07-1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Method of repairing tower main pole, and apparatus for lifting up the same
JP2005256343A (en) 2004-03-10 2005-09-22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Elevating method and device of power transmission line steel t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00A (en)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5276B (en) Cabin top steel beam hydraulic hoist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of cylinder cabin structur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5220769B (en) Large area bolt-ball net frame integral top lifting construction method
KR101567628B1 (en) The jackup device for the extension and floor increase
CN104110035A (en) Perpendicularity correcting device for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s constructed by top-down process and construction method implemented by perpendicularity correcting device
CN108265618A (en) A kind of reverse increasing layer construction method in overpass pier base underground
KR101491212B1 (en) The extension of the trussed structure building roof and adding method
CN103276909B (en) The assembled moulding bed of rack of arch-shaped space truss assembling method and use thereof
CN110700416B (en) Large-span net rack integral jacking method and limiting and anti-tipping device thereof
CN107587770A (en) Disjunctor storehouse synchronization slding form operation method
CN110886332A (en) Wall foundation underpinn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8003559A (en) Column-beam frame repairing method and repaired column-beam frame
JP7041463B2 (en) How to build a building
CN106592623B (en) Pit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CN104372948A (en) Elevator shaft formwork lifting frame
JP6508959B2 (en) Demolition system and demolition method
CN211113725U (en) Construction elevator foundation based on basement structure
KR10131417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ower silo
RU96381U1 (en) REGULATED FOUNDATION FOR OPERATING FRAME FRAM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CN110629814A (en) Jacking deviation rectifying device for high-rise shear wall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JP2536249B2 (en) Lift-dow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N110344443A (en) A kind of bright open tunnel internal model support equipment
JP2003119806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idewall of underground tank
CN215330097U (en) A prefabricated pile extension device for jacking is rectified
CN100357555C (en) Controllable lifting underpinning tool
CN102587404A (en) Construction method for large-sized blast furnace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