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323B1 -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323B1
KR101567323B1 KR1020150023381A KR20150023381A KR101567323B1 KR 101567323 B1 KR101567323 B1 KR 101567323B1 KR 1020150023381 A KR1020150023381 A KR 1020150023381A KR 20150023381 A KR20150023381 A KR 20150023381A KR 101567323 B1 KR101567323 B1 KR 10156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ork
support
deflection correcting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용
Original Assignee
(주)비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비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2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로 마주하는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며, 긴 막대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일단을 측면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되는 포크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포크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길이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슬롯; 상기 경사슬롯에 끼워져 구비되고,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하면에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처짐 보정 막대;로서, 상기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처짐 보정 막대;를 포함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CASSETTE FOR LOADING LCD GLASS HAVING DEFLECTION COMPENSATION UNIT OF GLASS SUPPORTING FORK}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된 글라스를 지지하는 외팔 보 형상의 지지 포크가 글라스의 무게로 인해 휘어져 처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통상적인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라 함은, 글라스 생산공정 중 원판 글라스를 크기에 맞게 절단된 다수 글라스를 상,하 다단 적재한 후 로봇에 의해 각 이동/대응하면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장치이다.
한편, 최근 TV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가 커지는 경향에 따라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필요한 기술개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화면 크기가 커짐에 따라, 무게에 따른 휨 정도의 증가 및 파손 우려의 증가에 대해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561호는, 일측 끝에 안착볼(25)이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24)가 고정되고 중앙부에 지지편(23)이 구성되는 스포팅바(21)의 타측 끝부분을 상부에 고정홀(11)과 하부에 걸림구(12)가 형성된 플레이트(10) 전면에 고정구(24)가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고착시키며 각각의 스포팅바(21) 상부에 일측이 고정구(24)에 고착되고 지지편(23)을 지나 나선부(22a)가 형성된 타측이 플레이트(10)를 지나 너트(26)로 장착되는 당김핀(22)이 대칭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텐션장치(10)를 구성토록 하는 것을 개시한 바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406호는, 엘씨디 글라스를 적재하는 카세트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 프레임(2)(2')을 좌,우측 및 후측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지지바(11)(11')(12)가 지지 연결하되, 상기 후측 수직 지지바(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우측 수직 지지바(11)(11')에는 본체(110) 양측을 직각 절곡한 절곡부(120)(120')를 갖는 보강대(100)를 감싸 지지하는 형태로 일체로 고정하여 보강하고, 상기 좌,우측 수직 지지바(11)(11')의 상하로 결합되는 링크(210)를 하나의 링크바(220)로 수평되게 일체 연결하여 보강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개시한 바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7159호는,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상,하 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방 수직바에 다층 결합 설치되는 서포트바 및 그 서포트바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서포트바(20)는 전방의 지지구(21)와 후방의 고정구(25)를 상호 조립 및 본딩 결합하여 후방 수직바에 수직바에 체결 조립하되, 상기 서포트바 고정구(25)의 후방은 상부에 평면의 밀착 결합부(28)와 하부에 밀착 결합부보다 내측으로 단차진 미세 조정홈(29a)을 형성하는 조정부(29)로 구성하되, 상기 밀착 결합부(28)는 수직바 내측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하여 고정볼트(31)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조정부(29)는 수직바 내측에 이격 상태로 조정볼트(32)로 체결 고정하여 상기 조정볼트의 나사 조절에 의해 서포트바 전방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개시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7964호는, 서포트 바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과 접촉되는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 비율로 테이퍼진 사선영역을 갖는 일체형의 서포트 바;와, 상기 서포트 바의 중공빔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트 바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빔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 구멍과 상응하는 볼트 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부재가, 지지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개시한 바 있다.
국제공개공보 WO 2007/117545호는, 수직 방향으로 다중 레벨로 복수의 수평 배향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카세트 내의 지지 바아이며, 지지 바아는 각각의 기판의 중심부의 휨을 방지하도록 배열되고, 탄소 섬유 복합 재료로 제조되는 상부 판과, 탄소 섬유 복합 재료로 제조되는 하부 판과, 상부 판과 하부 판 사이에 배치되고 탄소 섬유 복합 재료 이외의 재료로 제조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바아에 관한 것을 개시한 바 있다.
본 개시는, 적재된 글라스를 지지하는 외팔 보 형상의 지지 포크가 글라스의 무게로 인해 휘어져 처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로 마주하는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며, 긴 막대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일단을 측면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되는 포크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포크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길이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슬롯; 상기 경사슬롯에 끼워져 구비되고,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하면에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처짐 보정 막대;로서, 상기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처짐 보정 막대;를 포함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처짐 보정 막대를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글라스 지지 포크에 위쪽으로 향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 정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그 처짐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포크 결합부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처짐 보정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짐 보정 막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처짐 보정 슬롯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처짐 보정 볼트; 및 상기 처짐 보정 볼트에 결합되는 처짐 보정 너트;로서 상기 연장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처짐 보정 너트;를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처짐 보정 슬롯, 처짐 보정 볼트 및 처짐 보정 너트에 의해, 처짐 보정 볼트의 회전에 의해 간단히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 보정을 할 수 있으며, 보정되는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글라스 지지 포크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바에 결합 되어 상기 사이드 바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기 하판에 대해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 조절 홀; 및 상기 높이 조절 홀에 나사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로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그 단부가 상기 하판을 밀어 상기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높이 조절 유닛에 의해, 복수의 글라스 지지 포크가 고정된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한번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의하면, 처짐 보정 막대를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글라스 지지 포크에 위쪽으로 향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 정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그 처짐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의하면, 처짐 보정 슬롯, 처짐 보정 볼트 및 처짐 보정 너트에 의해, 처짐 보정 볼트의 회전에 의해 간단히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 보정을 할 수 있으며, 보정되는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의하면, 높이 조절 유닛에 의해, 복수의 글라스 지지 포크가 고정된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한번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자세히 보인 도면,
도 3은 도 2를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높이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의 명료한 이해를 위해 제한된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실시형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자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그 의미를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도록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자세히 보인 도면, 도 3은 도 2를 구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100)는, 프레임(110), 글라스 지지 포크(120), 지지 브라켓(130), 경사슬롯(141)과 처짐 보정 막대(142)로 구성되는 처짐 보정 유닛(14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서로 마주하는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프레임(110)은, 서로 마주하는 2면 이상이 개방되는 것이라면, 3 또는 4면이 개방된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글라스 지지 포크(120)는,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된다.
글라스 지지 포크(120)는, 프레임(110)의 높이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가지는 수평한 바 또는 막대로 구비된다.
또한, 글라스 지지 포크(120)는, 일 단과 타 단이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각각 향하도록 배치된다.
글라스 지지 포크(120)는 일 단이 지지 브라켓(130)에 결합 되어 지지 된다.
지지 브라켓(130)은, 2개의 개방된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된다.
지지 브라켓(130)은, 프레임(110)에 결합 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지지 브라켓(130)은, 2개의 개방된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30)은,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일단을 측면에서 고정하도록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되는 포크 결합부(134)를 가진다.
경사슬롯(141)은, 포크 결합부(134)를 글라스 지지 포크(1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경사슬롯(141)은,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길이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처짐 보정 막대(142)는, 경사슬롯(141)에 끼워져 구비되고,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글라스 지지 포크(120)와 교차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처짐 보정 막대(142)는, 경사슬롯(14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글라스 지지 포크(120)를 위쪽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처짐 보정 막대를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글라스 지지 포크에 위쪽으로 향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 정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그 처짐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130)은, 포크 결합부(134)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131)(extended portion)와, 그것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처짐 보정 슬롯(131a)을 포함한다. 연장부(13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또한, 처짐 보정 볼트(143)와 처짐 보정 너트(144)를 더 포함한다.
처짐 보정 볼트(143)는, 처짐 보정 막대(142)에 일단이 고정되고, 처짐 보정 슬롯(131a)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처짐 보정 너트(144)는, 처짐 보정 볼트(143)에 나사 결합 되며, 연장부(131)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처짐 보정 슬롯, 처짐 보정 볼트 및 처짐 보정 너트에 의해, 처짐 보정 볼트의 회전에 의해 간단히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 보정을 할 수 있으며, 보정되는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130)은,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폭방향으로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브라켓(130)은,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지지 브라켓(130)에 경사슬롯(141)이 대칭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에 의하면,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글라스 지지 포크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글라스 지지 포크의 처짐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글라스 지지 포크(120)과 지지 브라켓(130)의 결합은 글라스 지지 포크(120)의 회동이 가능한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경사슬롯(141)과 처짐 보정 막대(142)가 구비되기 때문에 가능한 결합구조이며, 글라스 지지 포크(120)과 지지 브라켓(130)의 결합에 요구되는 공수가 감소 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높이 조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1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앞선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높이 조절 유닛(15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앞선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100)는, 프레임(110)이 상판(111), 하판(112) 및 상판(111)과 하판(112)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며, 2개의 개방된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115)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 브라켓(130)은, 사이드 바(115)에 결합 되어 사이드 바(115)를 따라 그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높이 조절 유닛(150)은, 지지 브라켓(130)을 하판(112)에 대해 상부로 밀어 올려 지지 브라켓(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유닛(150)은, 높이 조절 홀(151)와 높이 조절 볼트(152)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홀(151)은, 지지 브라켓(1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높이 조절 홀(151)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높이 조절 홀(151)의 형성을 위해, 지지 브라켓(130)의 하단은, 하판(112)과 맞대어져 구비되는 판재로 구비된다.
높이 조절 볼트(152)는, 높이 조절 홀에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말단이 하판(112)을 밀어 지지 브라켓(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높이 조절 유닛에 의해, 복수의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적재된 글라스의 처짐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지 브라켓에 체결된 복수의 글라스 지지 포크의 높이가 한번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서로 마주하는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며, 긴 막대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일단을 측면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촉되는 포크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포크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길이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슬롯;
    상기 경사슬롯에 끼워져 구비되고,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하면에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처짐 보정 막대;로서, 상기 경사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처짐 보정 막대;를 포함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포크 결합부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처짐 보정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짐 보정 막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처짐 보정 슬롯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처짐 보정 볼트; 및
    상기 처짐 보정 볼트에 결합되는 처짐 보정 너트;로서 상기 연장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처짐 보정 너트;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지지 포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판,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2개의 개방된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바에 결합 되어 상기 사이드 바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을 상기 하판에 대해 상부로 밀어 올려 상기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 조절 홀; 및
    상기 높이 조절 홀에 나사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로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그 단부가 상기 하판을 밀어 상기 지지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KR1020150023381A 2015-02-16 2015-02-16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KR10156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381A KR101567323B1 (ko) 2015-02-16 2015-02-16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381A KR101567323B1 (ko) 2015-02-16 2015-02-16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323B1 true KR101567323B1 (ko) 2015-11-10

Family

ID=5460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381A KR101567323B1 (ko) 2015-02-16 2015-02-16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3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59Y1 (ko) 2001-11-28 2002-04-11 케이 이엔지(주) 액정 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카세트용 글라스 처짐방지서포팅바
JP2006293257A (ja) 2005-04-08 2006-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パネル用ガラスを積載するためのガラスカセット
KR101279941B1 (ko) 2013-02-08 2013-07-05 (주)상아프론테크 변형 방지용 보강구조를 갖는 유리기판 적재 카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59Y1 (ko) 2001-11-28 2002-04-11 케이 이엔지(주) 액정 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카세트용 글라스 처짐방지서포팅바
JP2006293257A (ja) 2005-04-08 2006-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パネル用ガラスを積載するためのガラスカセット
KR101279941B1 (ko) 2013-02-08 2013-07-05 (주)상아프론테크 변형 방지용 보강구조를 갖는 유리기판 적재 카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9197A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24298B2 (en) Panel display suspension system and a panel display provided with a panel display suspension system
US20070102596A1 (en) Tension adjusting device of support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8196875B2 (en) Support stand with intermediate connecting assembly
US20140063698A1 (en) Back Frame and Liqui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738926B1 (ko) 멀티비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고정장치
US20200355314A1 (en) Led screen support
WO2008129725A1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554631B1 (ko) 기판용 카세트
US20100133402A1 (en) Visual display unit mount
KR101567323B1 (ko) 글라스 지지 포크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KR200489848Y1 (ko) 평면 tv용 벽걸이 거치대
KR200386422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글라스 적재 카세트
US20100108829A1 (en) Support stand for flat-panel display monitor and elevating support used for support stand
US11106004B2 (en) Connecting device for focusing lens or aiming lens
KR101189669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US10016072B2 (en) Display showcase with reinforced supporting beam of the upper ceiling
US5752820A (en) Panel support mechanism
JP7415514B2 (ja) スタンド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11318977B1 (en) Lift/moving system
KR200271561Y1 (ko) 텐션장치를 구성한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카세트용글라스 처짐방지 스포팅바
KR101579826B1 (ko) 글라스 지지 바 처짐 보정 유닛을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 적재용 카세트
CN213682498U (zh) 装配式横梁安装结构
CN219994814U (zh) 可调节挂架及拼接显示设备
CN208331695U (zh) 安装框架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