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030B1 -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030B1
KR101567030B1 KR1020150100065A KR20150100065A KR101567030B1 KR 101567030 B1 KR101567030 B1 KR 101567030B1 KR 1020150100065 A KR1020150100065 A KR 1020150100065A KR 20150100065 A KR20150100065 A KR 20150100065A KR 101567030 B1 KR101567030 B1 KR 101567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ing
insert
roller
fix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곤
Original Assignee
김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곤 filed Critical 김치곤
Priority to KR1020150100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9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pressure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9Conveying means details, e.g. 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는, 양단부에 샤프트가 구비된 롤러본체 외주면으로 일정두께의 실리콘층, 접착성 프라이머층 및 내열용 정착튜브 순으로 적층된 정착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착튜브를 관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정착튜브 양단부를 관 단부의 외측으로 뒤집어서 정착튜브 일단부를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키도록 금속재질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금형관; 상기 인서트금형관 하부를 폐쇄하는 탄성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인서트금형관 상부를 폐쇄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중앙에 구비되는 니플에 에어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정착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인서트금형관 내주면에 정착튜브를 밀착시키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정착튜브 인서트부재; 상기 정착튜브가 밀착된 인서트금형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링장치 및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정착튜브 내주면으로 액상의 접착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스프레이건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 상기 인서트금형관 일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상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일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진 보스가 구비된 상부캡; 상기 인서트금형관 타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하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타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홈을 가진 보스와 상기 관통홈 일측으로 상기 정착튜브와 상기 롤러본체 사이로 실리콘을 충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공을 가진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의 주입공으로 2액형의 껌상 실리콘을 주입하는 액상실리콘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정착롤러 제조함에 있어서, 정착롤러 성형을 위한 인서트금형관 내부에 정착튜브를 인서트 방식으로 사전 장착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인서트금형관 내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롤링장치에 의해 인서트금형관을 회전시키면서 정착튜브 내주면에 액상의 접착프라이머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정착롤러의 롤러본체와 정착튜브 사이로 2액형 실리콘주입장치 또는 껌상실리콘주입장치에 의해 대량의 실리콘 자동 충진 작업 및 제조가 가능해지며 정착롤러의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Settlement method fixing roller tube insert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정착롤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면에 정착튜브가 구비된 정착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면에 정착튜브가 구비된 정착롤러는 복사기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용지에 착상된 화상을 가압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프레스롤러를 말한다.
이러한 정착롤러의 제조장치 또는 제조방법에 관한 제1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203호 "정착롤러 또는 정착벨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선행기술의 경우 기재상에 순서대로, 탄성층, 표층을 형성한 정착 롤러로서, 이때 상기 표층은 PFA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킴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선행기술에서, 정착튜브의 재료로서, 내주면에 내면 처리되어 있지 않은 열 수축성 PFA 튜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 손실이 작고 탄성층의 열화가 적은 소경의 정착 롤러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PFA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키 과정에서 가열 온도에 따라 튜브의 수축률이 국부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난위도의 수축 가열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정착롤러의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함으로써 정착롤러의 생산 단가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제2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3301호 "정착 장치, 정착 장치용 롤러, 정착 장치용 가요성 슬리브 및 그 정착 장치용 롤러와 정착 장치용 가요성 슬리브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제2선행기술의 경우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고무층과, 불소 수지제의 튜브로 된 표면층을 갖는 정착 장치용 롤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고무층을 형성한 고무 롤러에 불소 수지제의 튜브를 씌우는 공정과, 상기 고무층을 갖는 상기 고무 롤러에 씌운 상기 불소 수지제의 튜브를 그 모선 방향으로 잡아 늘이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소 수지제의 튜브가 상기 고무 롤러 상에 씌워지기 전 즉 잡아 늘이긴 전에는, 상기 불소 수지제의 튜브의 내경은 상기 고무 롤러의 고무층의 외경보다도 작고, 상기 불소 수지제의 튜브는 두께가 20㎛ 이하로 한정하고 있으며, 잡아 늘인 후에는 상기 불소 수지제의 튜브가 상기 고무 롤러 상에 씌워진 이후에는, 상기 불소 수지제의 튜브의 결정화도가 50% 이하가 되도록 한정하고 있다.
이처럼 제2선행기술은 상기 불소 수지제의 튜브를 모선 방향으로 잡아 늘이는 공정에 의해 정착롤로의 튜브를 성형하는 방식이므로 잡아 늘이는 작업 상태에 따라 정찰롤러의 외면에 구비되는 튜브의 두께가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품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결국, 이러한 성형 불량으로 인해 결국 출력물의 인쇄 품질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현재는 이러한 생산 방식이 적용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튜브를 씌우는 공정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고품질을 정착롤러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착롤러 제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90203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633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정착롤러 제조함에 있어서, 정착튜브를 정착롤러 성형 금형 내부에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하여 롤러본체와 필름 사이로 실리콘을 주입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착튜브 내부에 액상의 접착 프라이머를 스프레이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착튜브와 롤러본체 사이에 2액 타입의 액상 실리콘을 교반하여 주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착튜브와 롤러본체 사이에 껌상 실리콘 재료를 강제 주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는,
양단부에 샤프트가 구비된 롤러본체 외주면으로 일정두께의 실리콘층, 접착성 프라이머층 및 내열용 정착튜브 순으로 적층된 정착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착튜브를 관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정착튜브 양단부를 관 단부의 외측으로 뒤집어서 정착튜브 일단부를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키도록 금속재질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금형관; 상기 인서트금형관 하부를 폐쇄하는 탄성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인서트금형관 상부를 폐쇄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중앙에 구비되는 니플에 에어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정착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인서트금형관 내주면에 정착튜브를 밀착시키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정착튜브 인서트부재; 상기 정착튜브가 밀착된 인서트금형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링장치 및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정착튜브 내주면으로 액상의 접착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스프레이건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 상기 인서트금형관 일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상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일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진 보스가 구비된 상부캡; 상기 인서트금형관 타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하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타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홈을 가진 보스와 상기 관통홈 일측으로 상기 정착튜브와 상기 롤러본체 사이로 실리콘을 충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공을 가진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의 주입공으로 2액형의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는 액상실리콘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실리콘주입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 중앙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의 가동로드에 조립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부판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중앙에 주입안내홀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2액형 제어밸브와, 상기 2액형 제어밸브와 접속되어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와, 상기 액상실리콘주입기 단부 측면에 구비되어 실리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정량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이 조립된 인서트금형관을 상기 승강판과 상기 가압부재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주입공과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의 주입노즐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 가압부재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에 의해 실리콘을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는, 양단부에 샤프트가 구비된 롤러본체 외주면으로 일정두께의 실리콘층, 접착성 프라이머층 및 내열용 정착튜브 순으로 적층된 정착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착튜브를 관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정착튜브 양단부를 관 단부의 외측으로 뒤집어서 정착튜브 일단부를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키도록 금속재질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금형관; 상기 인서트금형관 하부를 폐쇄하는 탄성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인서트금형관 상부를 폐쇄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중앙에 구비되는 니플에 에어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정착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인서트금형관 내주면에 정착튜브를 밀착시키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정착튜브 인서트부재; 상기 정착튜브가 밀착된 인서트금형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링장치 및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정착튜브 내주면으로 액상의 접착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스프레이건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 상기 인서트금형관 일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상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일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진 보스가 구비된 상부캡; 상기 인서트금형관 타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하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타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홈을 가진 보스와, 상기 관통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정착튜브와 상기 롤러본체 사이로 껌상의 실리콘을 가압하여 충진하는 다수의 주입공을 가진 주입노즐; 및 상기 주입공으로 껌상의 실리콘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껌상실리콘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껌상실리콘주입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 중앙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의 가동로드에 조립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베이스 중앙에 상기 가압부재와 동일 축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주입노즐과,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껌상 실리콘을 가압하여 상기 주입노즐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이 조립된 인서트금형관은 상기 주입노즐과 가압부재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가압부재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캡을 가압한 상태에서 주입노즐을 통해 껌상실리콘을 충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실리콘 또는 껌상실리콘이 충진된 인서트금형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을 조립한 상태에서 오븐에서 일정온도와 시간을 유지하여 열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캡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이격되게 조립되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송되게 나사 조립되고 밑면은 상기 상부캡을 가압 지지하면서 중앙으로 상기 롤러본체의 샤프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가압구로 이루어진 경화용 지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화용 지그부재를 통해 경화 처리된 정착튜브가 씌워진 정착롤러 양단부에 남은 여분의 정착튜브와 실리콘 미성형부를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본체 양측의 샤프트를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주축대와, 상기 정착튜브 및 미성형부를 직각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여 절단하는 커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정착롤러 제조함에 있어서, 정착롤러 성형을 위한 인서트금형관 내부에 정착튜브를 인서트 방식으로 사전 장착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인서트금형관 내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롤링장치에 의해 인서트금형관을 회전시키면서 정착튜브 내주면에 액상의 접착프라이머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정착롤러의 롤러본체와 정착튜브 사이로 2액형 액상실리콘주입장치 또는 껌상실리콘주입장치에 의해 대량의 실리콘 주입작업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롤러본체와 정착튜브 사이로 주입되는 2액형 액상실리콘 또는 껌상의 실리콘은 정착튜브와 균일한 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정착튜브와 실리콘이 박리되지 않으면서 균일한 외경 치수를 갖는 고품질의 정착롤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착튜브가 구비된 정착롤러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의 인서트 금형과 롤링장치의 구성과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2액형 액상실리콘주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껌상실리콘주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용 지그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팅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착튜브가 구비된 정착롤러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의 인서트 금형과 롤링장치의 구성과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2액형 액상실리콘주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껌상실리콘주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화용 지그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는 도 1과 같이 양단부에 샤프트(5)가 구비된 롤러본체(2) 외주면으로 일정두께의 실리콘층(3)과 접착성 프라이머층(4c) 및 내열용 정착튜브(4) 순으로 적층된 정착롤러(1)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인서트금형관(10)과, 정착튜브인서트부재(20)와, 롤링장치(31)와, 도포장치(30)와, 상부캡(40)과, 하부캡(50)과, 액상실리콘주입장치(100) 또는 껌상실리콘주입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인서트금형관(10),
상기 인서트금형관(10)은 도 2와 같이 상기 정착롤러(1)의 정착튜브(4)를 관 내부에 장착하여 정착튜브(4) 내주면에 상기 접착성프라이머층(4c)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며, 그 이후에는 상기 롤러본체(2)와 정착튜브 내주면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하기 위한 금형으로서 금속재질의 원통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정착튜브(4)의 길이는 인서트금형관(10)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후술된 바와 같이 정착튜브(4)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어진다.
또한, 상기 인서트금형관(10)은 후술된 바와 같이 오븐(미도시)을 이용하여 실리콘을 열처리하여 경화시킬 때 내부의 실리콘까지 열전달이 양호하도록 하여 균일한 경화 작용을 도모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으면서 열변형이 적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인서트금형관(10)의 내경은 완성된 정착롤러(1)의 외경과 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가지는데, 이는 후술된 바와 같이 오븐에서 실리콘이 경화된 이후의 축소된 외경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축소되는 공차 정도는 정착튜브가 열처리되어 축소되기 전 외경 기준에서 볼 때 축소된 후의 한쪽의 수축공차는 0.2 내지 0.5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축 공차는 롤러본체(2)와 정착튜브(4) 사이로 충진되는 2액형 액상실리콘 또는 껌상실리콘(GS)의 수축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정착튜브(4)는 열처리에 의해 실리콘의 수축 공차로 인해 축소되는 형태이므로 실리콘을 충진할 때에는 인서트금형관(10)과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있다가 열 경화 처리되어 성형된 이후에 정착튜브(4)의 전체적인 외경은 축소됨으로써 인서트금형관(10)에서 쉽게 빠질 수 있게 된다.
인서트금형관(10) 내부에 정착튜브(4)의 인서트 작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튜브(4)의 전체길이를 상기 인서트금형관(10)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절단한다.
이러한 정착튜브(4)를 인서트금형관(10) 내부로 삽입한 후 정착튜브(4) 양단부(4a,4b)가 도 2와 같이 인서트금형관(10)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참고적으로 정착튜브(4)는 압출로 제작된 후 반으로 접혀 납작하게 상태로 납품된다.
따라서, 납작한 상태의 정착튜브(4) 양단부(4a,4b) 입구를 벌려 인서트금형관(10) 단부의 외측으로 뒤집어 준 다음 인서트금형관(10) 가장자리 단부에 말아서 밀착시킨다. 이때 정착튜브(4) 중간은 아직 벌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정착튜브(4)가 말려진 한쪽(4a; 도면에서는 상단부) 끝단부에 접착테이프(6)를 부착하여 인서트금형관(10) 외주면에 부착시키면 정착튜브(4)의 인서트 작업이 완료된다.
정착튜브인서트부재(20),
정착튜브인서트부재(20)는 압축 공기를 정착튜브(4)를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분사하여 확장시킴으로써 납착한 상태의 정착튜브를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편리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정착튜브인서트부재(20)는 도 2와 같이 상기 인서트금형 하부를 폐쇄하는 탄성 재질의 탄성베이스판(21)과, 상기 인서트금형 상부를 폐쇄하는 가압판(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22) 중앙에는 니플(23)이 구비되어 이 니플(23)에 에어공급관(24)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정착튜브(4)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정착튜브(4)를 밀착시키는 분사노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베이스판(21)과 가압판(22)은 5mm 내지 20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우레탄 또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압축공기를 분사할 때 가압판(22)을 누르면서 분사함으로써 압축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여 정착튜브(4) 내주면에 압축공기가 균일한 압력으로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압축 공기 분사를 통해 정착튜브(4)가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처럼 정착튜브(4)는 필름 형태이므로 납작한 상태에서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들뜨지 않고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도포장치(30),
도포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착튜브(4)가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압축공기에 의해 밀착된 후 정착튜브(4) 내주면에 접착성 프라이머(4c)를 간편하고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링장치(31)와 스프레이건(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링장치(31)는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밀착된 정착튜브(4)의 내주면에 액상의 접착성 프라이머(4c)를 고르게 분사하기 위해 인서트 금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롤링장치(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와 같은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된 한 쌍의 회전축(34)에 한 쌍의 원반형 휠(33)이 구비된 구성이다.
원반형 휠(33)은 서로의 가장자리가 약간 겹쳐진 상태로 회전축(34)에 조립되어 구동부재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며, 한 쌍의 원반형 휠(33)은 회전축(34)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더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롤링장치(31)에 정착튜브(4)가 인서트된 상기 인서트금형관(10)을 올려 놓은 후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면 원반형 휠(33)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인서트금형관(10)이 함께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정착튜브(4) 내주면에 액상의 접착 프라이머를 상기 스프레이건(32)을 이용하여 일정량 도포함으로써 롤링장치(31)에 의해 회전되는 인서트금형관(10)에 의해 정착튜브(4) 내주면에 균일한 두께의 접착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부캡(40) 및 하부캡(50),
상부캡(40) 및 하부캡(50)은 인서트금형관(10) 내부에 인서트 되어 있는 정착튜브(4)와 롤러본체(2)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하기 위해 롤러본체(2)의 양측 샤프트(5)를 지지하며, 인서트금형관(10)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구성이다.
먼저, 상부캡(40)은 도 2와 같이 상기 인서트금형관(10) 일측 입구에 조립되도록 원반형 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으로 보스(41)가 돌출되어 계단 형태를 이루는 있는 구성이다.
상기 보스(41)는 외주면이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과 적절한 끼움공차를 유지하여 조립되어 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스(41)의 단부는 상기 롤러본체(2) 상단부를 가압 지지하여 인서트금형관(10)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보스(41)의 중앙에는 롤러본체(2)의 샤프트(5)가 끼워지기 위한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이 관통홀(42)에 롤러본체(2)의 샤프트(5)가 끼워짐으로써 롤러본체(2)가 인서트금형관(10) 정중앙에 자동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실리콘 주입 압력에 의해 롤러본체(2)와 인서트금형관(10)의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정착롤러(1)의 샤프트(5)는 양쪽에 구비되며, 이러한 샤프트(5)는 복사기나 프린터의 구동부와의 연결 구조에 따라 양쪽 샤프트의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한쪽 길이가 짧은 숏샤프트(5a)가 일측에 구비되고, 다른 쪽에는 롱샤프트(5b)로 구성된 정착롤러(1)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부캡(40)의 보스(41)에는 길이가 긴 롱샤프트(5b)가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보스(41) 중앙에 관통홀(42)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하부캡(50)은 상기 인서트금형관(10) 타측(도 2에서 볼 때 하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2) 하단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하부캡(50) 중앙에는 롤러본체(2) 타측의 숏샤프트(5a)를 수용하는 관통홈(52)을 가진 보스(5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홈(52) 일측에는 상기 정착튜브(4)와 상기 롤러본체(2)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부(11)로 실리콘을 충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공(53)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캡(50)은 상부캡(40)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롤러본체(2)의 숏 샤프트(5a)가 관통홈(52)에 끼워지는 차이점이 있으며, 후술된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의 주입노즐(171)과 연결되는 주입공(53)이 관통홈(52)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입공(53)을 통해 2액형 액상 실리콘이 상기 정착튜브(4)와 상기 롤러본체(2) 사이의 충진공간부(11)로 충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부캡(40) 상단부에는 롱샤프트(5b)가 끼워지는 샤프트수용홀(61)을 가진 원통형의 샤프트보호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보호구(60)는 후술된 바와 같이 실리콘주입장치에 인서트금형관(10)을 설치하여 실리콘을 주입할 때 가압구(303)의 가압력에 의해 샤프트(5)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롱샤프트(5b)에 조립된다.
따라서, 후술된 가압부재(140)가 하강하면서 샤프트보호구(60)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더라도 샤프트(5)에는 가압력이 전달되지 않고 샤프트보호구(6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부재(140)가 상부캡(40)을 직접 가압하게 되된다. 결국 실리콘 주입 과정에서는 인서트금형관(10)과 상부캡(40) 및 하부캡(50)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인서트금형관(10)의 입구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실리콘 충진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액상실리콘주입장치(100),
액상실리콘주입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캡(50)의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정착튜브(4)와 상기 롤러본체(2) 사이로 2액형의 액상실리콘을 믹싱하면서 충진공간부(11)에 자동 충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액상실리콘주입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의 금속베이스(110)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베이스(110) 네모서리에는 복수의 가이드(120)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가이드(120) 상단에는 금속베이스(110)와 동일한 구성의 상부판(130)이 인서트금형관(10)이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S)를 두고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130) 중앙에는 액츄에이터(190)의 가동로드(191)가 관통되어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되어 이 가동로드(191) 단부에 원통형의 가압부재(140)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에 안내되어 상기 금속베이스(110)와 상부판(130)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중앙에 주입안내홀(150a)이 형성된 승강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공간부(S)는 상기 가압부재(140)와 상부캡(40), 인서트금형관(10) 및 하부캡(50)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이며, 후술된 승간판(150)은 이 공간부(S)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승강판(150)은 인서트금형관(10)이 정착롤러(1)의 종류에 따라 전체 길이에 달라질 때 서로 다른 종류의 인서트금형관(10)의 전장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승강판(150)을 이동시켜가며 인서트금형관(10)을 공간부(S)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승강판(150)은 가이드(120)에 설치된 위치고정구(151)에 탄발되게 장차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발되게 구성되어 인서트금형관(10) 내부에 실리콘이 주입될 때 상기 가압부재(140)의 가압력에 대응하여 적절한 완충 작용을 제공한다.
그리고, 위치고정구(151)에는 핀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스토퍼(152)가 가이드에 끼워져 위치고정부(151) 상단에 탄발되게 조립된 코일스프링(153) 일측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152)는 승강판(150)의 저면과 접촉되게 하는 스토핑 기능을 제공하여 가압부재(140)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되는 승강판(150)이 하측으로 가압되더라도 후술된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의 주입노즐(171)과 하부캡(50)의 주입공(53)이 무리하게 접촉되지 않도록 승강판(150)의 하강을 저지하여 주입노즐(171)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베이스(110) 상에는 한 쌍의 2액형 제어밸브(16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액형 제어밸브(160)에는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가 접속되어 상기 금속베이스(110)에 수직으로 장착됨으로써 이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를 통해 2액형제어밸브(160)를 통해 공급되는 2가지의 액상실리콘이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 내부의 스크류형태의 믹서(미도시)에 혼합되면서 주입노즐(171)을 통해 인서트금형관(10) 내부로 충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액상실리콘주입기(170) 단부 측면에는 실리콘 주입량을 정량 제어하는 정량공급기(180)가 추가로 마련되어 인서트금형관(10) 내부에 적정량의 실리콘을 충진하도록 하여 과도한 충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캡(40)과 상기 하부캡(50)이 조립된 인서트금형관(10)을 상기 승강판(150)과 상기 가압부재(140)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53)은 하부캡(50)의 중앙의 관통홈(52)에 끼워져 있으므로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주입공(53)에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의 주입노즐(171)을 먼저 일치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140)를 하강시키며, 상기 상부캡(40)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170)에 의해 실리콘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는, 껌상의 실리콘을 주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제조장치의 대부분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와 명칭은 그대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는 양단부에 샤프트(5)가 구비된 롤러본체(2) 외주면으로 일정두께의 실리콘층(3), 접착성 프라이머층(4c) 및 내열용 정착튜브(4) 순으로 적층된 정착롤러(1)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착튜브(4)를 관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정착튜브(4) 양단부(4a,4b)를 관 단부의 외측으로 뒤집어서 정착튜브(4) 일단부를 접착테이프(6)로 고정시키도록 금속재질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금형관(10);
상기 인서트금형관(10) 하부를 폐쇄하는 탄성재질의 탄성베이스판(21)과, 상기 인서트금형관(10) 상부를 폐쇄하는 가압판(22)과, 상기 가압판(22) 중앙에 구비되는 니플(23)에 에어공급관(24)이 연결되어 상기 정착튜브(4)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인서트금형관(10) 내주면에 정착튜브(4)를 밀착시키는 분사노즐(25)로 이루어진 정착튜브 인서트부재(20);
상기 정착튜브(4)가 밀착된 인서트금형관(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링장치(31) 및 상기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정착튜브(4) 내주면으로 액상의 접착성 프라이머(4c)를 도포하는 스프레이건(32)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30);
상기 인서트금형관(10) 일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2) 상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일측의 상기 롱샤프트(5b)를 수용하는 관통홀(42)을 가진 보스(41)가 구비된 상부캡(40);
상기 인서트금형관(10) 타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2) 하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타측의 상기 숏샤프트(5a)를 수용하는 관통홈(272)을 가진 보스(271)와, 상기 관통홈(27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정착튜브(4)와 상기 롤러본체(2) 사이의 충진공간부(11)로 껌상실리콘(GS)을 가압하여 충진하는 다수의 주입공(273)을 가진 주입노즐(270); 및 상기 주입공(273)으로 껌상의 실리콘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껌상실리콘주입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실시예에서 전술한 구성 중에 인서트금형관(10), 인서트부재(20), 도포장치(30), 상부캡(40)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1실시예의 구성을 인용하기로 한다.
다만 본 제2실시예에서는 하부캡(50)을 대신하여 후술된 주입노즐(270)이 구비된 것이며, 껌상의 실리콘 원료를 인서트금형관(10)에 충진하기 위한 껌상실리콘주입장치(200)가 추가로 마련된 구성이다.
주입노즐(270)은 상부캡(40)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껌상실리콘주입장치(200)의 금속베이스(210)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주입기(250)의 충진노즐(251)과 접속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입노즐(270)은 하부캡(50)을 대신하여 상기 인서트금형관(10) 타측 입구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본체(2) 하단부를 지지하는 보스(271)가 마련되고 보스(271) 중앙에는 롤러본체(2) 타측의 숏샤프트(5a)를 수용하는 관통홈(272)이 형성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홈(72)을 중심으로 다수의 주입공(273)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정착튜브(4)와 상기 롤러본체(2) 사이로 겔상의 실리콘을 가압하여 충진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에 따라 주입노즐(270)의 주입공(273)을 통해 껌상실리콘주입장치에서 공급되는 껌상의 실리콘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껌상실리콘주입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베이스(210)와, 상기 금속베이스(210)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220)와, 상기 가이드(220)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판(230)과, 상기 상부판(230) 중앙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의 가동로드에 조립되는 가압부재(240)와, 상기 금속베이스(210) 중앙에 상기 가압부재(240)와 동일 축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주입노즐(270)과, 상기 금속베이스(210) 하부에 설치되어 껌상 실리콘을 가압하여 상기 주입노즐(273)로 공급하는 스크류주입기(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주입기(250) 일면에는 껌상의 실리콘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40)이 조립된 인서트금형관(10)은 상기 주입노즐(270)과 가압부재(240) 사이에 설치한 후 상기 가압부재(240)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캡(40)을 가압한 상태에서 주입노즐(270) 및 주입공(273)을 통해 껌상 실리콘(GS)을 자동 충진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의해 액상 실리콘 또는 껌상실리콘(GS)가 충진된 인서트금형관(10)은 일정 가열시간 동안 고온의 가열을 통해 열처리하여 실리콘을 경화시킴으로써 정착롤러(1)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실리콘 또는 껌상실리콘(GS)이 충진된 인서트금형관(10)에 상기 상부캡(40)과 하부캡(50)을 조립한 상태에서 가열 오븐 내부를 일정온도와 시간을 유지하여 열 경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하부캡(50)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301)과, 상기 하부지지판(301)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305)에 의해 이격되게 조립되는 상부지지판(302)과, 상기 상부지지판(302)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송되게 나사 조립되는 가압축(306) 마련되어 있고, 가압축 하부에 상기 상부캡(40)을 가압 지지하면서 중앙으로 상기 롤러본체(2)의 롱샤프트(5b)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가압구(303)로 이루어진 경화용 지그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구(303)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샤프트보호구(6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이다.
이러한 경화용 지그부재(300)는 예를 들어 오븐에 인서트금형관(10)에 상부캡(40)과 하부캡(5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열 경화 처리를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오븐 내의 열처리 온도는 액상실리콘을 주입한 인서트금형의 표면온도가 120℃를 유지하도록 오븐의 내부온도는 130℃ 내지 15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껌상실리콘(GS)을 주입한 인서트금형의 표면온도가 180℃를 유지하도록 오븐의 내부온도는 200℃ 내지 25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화용 지그부재(300)를 통해 경화 처리된 정착튜브(4)가 씌워진 정착롤러(1) 양단부(4a,4b)에 남은 여분의 정착튜브(4)와 실리콘 미성형부(4d)를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본체(2) 양측의 샤프트(5)를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주축대(401)와, 상기 롤러본체(2) 양측의 샤프트(5)를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주축대(401)와, 상기 정착튜브(4) 및 미성형부(4d)를 직각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여 절단하는 커팅기(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축대(401)의 회전 속도는 커팅부재(400)의 절단면이 양호하도록 저속 회전보다는 중속 또는 고속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팅기(402)는 주축대(401)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미도시)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미성형부위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일자형 칼날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미성형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정착롤러 2: 롤러본체
3: 실리콘층 4: 정착튜브
4a,4b: (정착튜브의) 양단부 4c: 접착성 프라이머층
4d; 미성형부
5: 샤프트 5a: 숏샤프트
5b: 롱샤프트 6: 접착테이프
10: 인서트금형관 11: 충진공간부
20: 정착튜브 인서트부재 21: 탄성베이스판
22: 가압판 23: 니플
24: 에어공급관 25: 분사노즐
30: 도포장치 31: 롤링장치
32: 스프레이건 33: 원반형 휠
34: 회전축
40: 상부캡 41: 보스
42: 관통홀
50: 하부캡 51: 보스
52: 관통홈 53: 주입공
60: 샤프트보호구 61: 샤프트수용홀
100: 액상실리콘주입장치
110: 금속베이스 120: 가이드
130: 상부판 140: 가압부재
150: 승강판 150a: 주입안내홀
151: 위치고정구 152: 스토퍼
160: 2액형 제어밸브
170: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 171: 주입노즐
180: 정량공급기 190: 액츄에이터
191: 가동로드
200: 껌상실리콘주입장치
210: 베이스 220: 가이드
230: 상부판 240: 가압부재
250: 스크류주입기 251: 충진노즐
252)
270: 주입노즐 271: 보스
272: 관통홈 273: 주입공
300: 경화용 지그부재 301: 하부지지판
302: 상부지지판 303: 가압구
304: (가압구의)수용홈 305: 지지프레임
306: 가압축
400: 커팅부재 401: 주축대
402: 커팅기 GS: 껌상실리콘

Claims (6)

  1. 양단부에 샤프트가 구비된 롤러본체 외주면으로 일정두께의 실리콘층, 접착성 프라이머층 및 내열용 정착튜브 순으로 적층된 정착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착튜브를 관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정착튜브 양단부를 관 단부의 외측으로 뒤집어서 정착튜브 일단부를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키도록 금속재질으로 이루어지는 인서트금형관;
    상기 인서트금형관 하부를 폐쇄하는 탄성재질의 탄성베이스판과, 상기 인서트금형관 상부를 폐쇄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 중앙에 구비되는 니플에 에어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정착튜브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인서트금형관 내주면에 정착튜브를 밀착시키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정착튜브 인서트부재;
    상기 정착튜브가 밀착된 인서트금형관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롤링장치 및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정착튜브 내주면으로 액상의 접착성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스프레이건으로 이루어진 도포장치;
    상기 인서트금형관 일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상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일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진 보스가 구비된 상부캡;
    상기 인서트금형관 타측 입구에 조립되며, 상기 롤러본체 하단부를 지지하며 중앙에 타측의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통홈을 가진 보스와 상기 관통홈 일측으로 상기 정착튜브와 상기 롤러본체 사이로 실리콘을 충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공을 가진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의 주입공으로 2액형의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는 액상실리콘주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액상실리콘주입장치는,
    금속베이스와,
    상기 금속베이스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 중앙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의 가동로드에 조립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기 금속베이스와 상부판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중앙에 주입안내홀이 형성된 승강판과,
    상기 금속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2액형 제어밸브와,
    상기 2액형 제어밸브와 접속되어 상기 금속베이스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와,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 단부 측면에 구비되어 실리콘 주입량을 제어하는 정량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이 조립된 인서트금형관을 상기 승강판과 상기 가압부재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주입공과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의 주입노즐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 가압부재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캡 및 하부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액상실리콘믹서주입기에 의해 실리콘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실리콘이 충진된 인서트금형관에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을 조립한 상태에서 오븐에서 일정온도와 시간을 유지하여 열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캡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이격되게 조립되는 상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송되게 나사 조립되고 밑면은 상기 상부캡을 가압 지지하면서 중앙으로 상기 롤러본체의 샤프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가압구로 이루어진 경화용 지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용 지그부재를 통해 경화 처리된 정착튜브가 씌워진 정착롤러 양단부에 남은 여분의 정착튜브와 실리콘 미성형부를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본체 양측의 샤프트를 지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주축대와, 상기 정착튜브 및 미성형부를 직각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여 절단하는 커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KR1020150100065A 2015-07-14 2015-07-14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KR101567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65A KR101567030B1 (ko) 2015-07-14 2015-07-14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65A KR101567030B1 (ko) 2015-07-14 2015-07-14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30B1 true KR101567030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65A KR101567030B1 (ko) 2015-07-14 2015-07-14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3813A (ja) * 2013-08-09 2015-02-19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Oa機器用ローラ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3813A (ja) * 2013-08-09 2015-02-19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Oa機器用ローラー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7499B2 (en) Bonded patches with bond line control
KR102326457B1 (ko) 보호 부재의 형성 방법
EP2777959B1 (en) Methof of manufacturing a tire with a groove containing a bonded tube
KR101761669B1 (ko) 접착제 도포장치
KR101567030B1 (ko) 정착튜브 인서트방식 정착롤러 제조장치
CN101615589B (zh)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KR101567751B1 (ko) 정착튜브 인서트 성형방식 정착롤러 제조방법
JP4962247B2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への離型液塗布方法及び装置
JP6633617B2 (ja) 部品上にガスケット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かかる方法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成形ツール
TWI637863B (zh) 印刷用膠毯的製造方法
TWI692757B (zh) 已塗佈塗佈物質的對象物的製造方法
JP6705221B2 (ja) 離型剤の塗布装置および方法
CN210630737U (zh) 压鞋机
CN100578693C (zh) 带导线电阻器的保护膜形成方法及保护膜形成装置
JP2010046814A (ja) 弾性ローラの成形金型
JPH03331Y2 (ko)
WO2020039578A1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及び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EP2489057B1 (en) Method of assembling fuse end cap
CN204107763U (zh) 一种车用橡胶密封条植绒上胶装置
JP4324841B2 (ja) 流動性樹脂原料の封止方法
JP2022014519A (ja) 非ニュートン流体を塗布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4357022A (ja) ローラの製造装置
KR20210083068A (ko) 포밍장치
WO2017166964A1 (zh) 触摸屏填缝工艺方法
KR20050033333A (ko) 멤브레인 프레스에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시트의 제조 장치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