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656B1 -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656B1
KR101566656B1 KR1020150045702A KR20150045702A KR101566656B1 KR 101566656 B1 KR101566656 B1 KR 101566656B1 KR 1020150045702 A KR1020150045702 A KR 1020150045702A KR 20150045702 A KR20150045702 A KR 20150045702A KR 101566656 B1 KR101566656 B1 KR 10156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rive shaft
stage
gea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모
Original Assignee
윤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모 filed Critical 윤여모
Priority to KR102015004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조명이나 무대설비 등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장치에 비상제어수단을 형성하여 비상시 또는 오동작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강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A BRAKE SYSTEM FOR STAGE PROPERTIES}
본 발명은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 조명이나 무대설비 등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승/하강장치에 브레이크장치를 형성하여 비상시 또는 오동작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강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 또는 강당이나 음악회 등의 실내 또는 실외 공연장에서의 무대 천장 부근에는 공연에서의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 많은 조명을 고정 설치하고, 무대 배경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강시키기 위한 무대 설비용 승/하강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무대 설비용 승/하강장치는 와이어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벨트에 의해 연동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복수개의 감속기어가 맞물려 연동되는 2개의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에 와이어드럼 및 리미트스위치가 각각 연결된 구성인 것이다.
상기한 무대 설비용 승/하강장치는 입력축에 감속기어로 연결된 2개의 출력축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를 제어하므로 동작이 비교적 정확하나 2개의 출력축을 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는 입력축에 복수개의 감속기어를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감속기어의 기어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가 어렵고 복수개의 감속기어를 사용하므로 2개의 출력축의 동작이 일정하지 못하고 오동작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입력축에 연동되는 출력축은 통상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의 평 기어를 사용하여 2개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어느 한쪽의 출력축에 과부하가 걸리면 회전을 제어할 수 없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의 비상시 또는 오동작시 사용하는 종래의 비상제어수단은 디스크가 맞물리는 브레이크시스템으로 구동모터의 모터팬이 있는 위치에 장착하여 비상시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구동모터를 직접 정지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한 브레이크장치는 구동모터에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제어하므로 브레이이의 응답력은 좋으나 구동모터를 장시간 사용 했을때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가 열을 받는 문제점이 있어 비상시 완벽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브레이크장치를 구동모터에 직접 설치하는 제품은 구동모터 또는 브레이크가 망가지면 어느 하나의 제품만을 구입할 수 없고 브레이크와 구동모터가 일체로 된 제품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과중한 투자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와이어드럼에 전자식브레이크를 장착하여 비상시 와이어드럼을 정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와이어드럼에 장착된 센서의 신호를 받아 와이어드럼을 정지시키는 구조로 사용자가 승/하강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 아닌 검출된 신호값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오작동이 발생되는 확률이 높고 센서의 신호값을 검출하는 수단이 두 개의 센서중 하나는 베이스에 설치하고, 하나는 회전되는 와이어드럼에 설치하여 와이어드럼이 회전하면서 검출하는 방식이므로 오차 범위가 발생하여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정지되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다.
또한 와이어드럼의 1회전마다 신호가 검출되므로 1회전 이상은 항상 정지 후 구동되므로 승/하강장치가 순간적으로 정지할 때 충격이 발생하여 무대설비가 흔들리는 폐단 또는 와이어가 늘어나는 폐단 등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전자식 브레이크는 정전 등 비 전원상태에서는 작동이 불가능하여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4408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대에 설치되는 무대설비 및 무대장치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설정된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의 오동작시 또는 비상시 사용자가 직접 구동축을 제어하도록 하여 비상시 안정성이 확보된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의 브레이크장치는 구동축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여 동작이 간단하고 구동축을 직접 제어하므로 브레이크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대와 같이 정숙함을 요하는 장소에 적합하고 구동모터와 브레이크장치를 분리하여 구동모터의 효율을 높이고 수동으로의 전환이 간편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벨트에 의해 연동되는 V-풀리(V-pulley)의 구동축에 직류형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브레이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류가 브레이크 코일에 흘러 마그네틱에 강한 자기력이 발행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잡고 있는 아마추어가 순간적으로 달라붙어 마찰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브레이크를 개방하고, 비상시에는 브레이크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판이 달라붙어 구동축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는 V-풀리의 구동축에 형성된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오동작시 또는 비상시 사용자가 직접 구동축을 제어할 수 있어 비상시 안정성이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는 구동축을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여 동작이 간단하고 구동축을 직접 제어하므로 브레이크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는 전자식 다판 구조로 서로 밀접되는 두 장의 브레이크판을 강제로 밀착하여 정지시키는 것으로 동작이 정확하고 작동시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장치는 소음이 없고 구동모터와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축을 직접 제어하므로 모터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구동모터가 가지고 있는 효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식으로 작동하나 비전원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여 구동축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와이어드럼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구동축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승/하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브레이크가 정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레버를 당겨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구동축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된 승/하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브레이크가 정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레버를 당겨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는 무대설비가 설치되는 와이어를 권취하여 회전시키는 와이어드럼(1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M),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벨트(10)로 연결되는 V-풀리(14), 상기 V-풀리의 구동축(2)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브레이크(B)로 특정할 수 있다.
상기한 V-풀리(1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M)는 무대장치의 천정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설치되어 벨트(10)로 V-풀리(14)를 연결하여 V-풀리를 연동되도록 구동한다.
V-풀리의 중심축에 축설된 구동축(2)은 워엄샤프트(22)가 형성되어 상기 워엄샤프트에 워엄기어(8)가 연결되고 워엄기어의 출력축(4)에는 와이어드럼이 연결되어 와이어를 권취하여 무대 장치를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동축의 동축에는 마그네틱 브레이크(B) 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두 장의 원판형 마찰판(30)(30a)과 마찰판의 사이에 브레이크패드(32)를 일체로 한 허브링(34)이 위치되어 구동축(2)에 끼워져 구비되고, 허브링(34)의 안쪽 내측 둘레에는 키이(key) 모양의 기어(36)를 형성하여 이 기어(36)에 맞물리며 끼워지는 스플라인기어(38)를 구동축에 삽입하여 구동축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두 장의 마찰판(30)(30a)은 일측은 구동축과 출력축의 외측을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케이스(40)에 고정하고, 다른 쪽은 마그네틱 브레이크(B)에 스터드보울트(35)와 스프링으로 조립하여 두 장의 마찰판이 스프링으로 인하여 서로 맞닿으려는 힘에 의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밀착하여 브레이크를 잡도록 구성한다.
마그네틱 브레이크는 전원을 공급하면 전원장치에서 전류가 브레이크 코일로 흘러 마그네틱에 강한 자기력을 발생하여 아마추어(armatere) 즉, 마찰판(30a)를 당겨 두 장의 마찰판(30(30a)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구동축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마그네틱 브레이크 장치에는 마찰판(30a)의 양쪽에 고정되어지며 마그네틱 브레이크(B)을 관통한 가이드핀(41)에 수동식 레버(37)를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핀을 축으로 지렛대원리로 레버를 당기면 가이드핀을 당겨 두 장의 마찰판을 수동으로 간극을 벌려 구동축을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는 승/하강장치가 설치된 베이스를 이용하여 천장에 설치하고 무대배경 또는 무대장치를 와이어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에 연결하면 승/하강장치의 설치는 완료된다.
승/하강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무대설비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필요가 있을 때 구동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M)에 연결된 벨트(12)가 구동되고 벨트에 연결된 V-풀리(14)가 구동되어 구동축(2)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마그네틱 브레이크(B)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브레이크 코일로 흘러 마그네틱에 강한 자기력을 발생하고 이 자기력은 마찰판(30a)를 당겨 마찰판(30)(30a)의 사이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32)에 밀착된 두 장의 마찰판(30(30a)의 사이의 간극이 벌어지면서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구동축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2)에 설치된 워엄샤프트(22)에 맞물린 워엄기어(8)가 회전되고 따라서 워엄기어에 설치된 출력축(4)이 회전되어 와이어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를 권취하여 무대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무대장치를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면 발생된 자기력이 약해져 두 장의 마찰판이 서로 밀착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것이다.
이후 다시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전원을 인가하면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마그네텍 브레이크 장치에 설치된 레버를 전원이 미 인가된 상태에서 당기면 마찰판이 당겨지면서 수동으로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어 수동으로 무대설비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의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구동축 4: 출력축
6: 베벨기어

Claims (3)

  1. 와이어를 권취하여 회전시키는 와이어드럼(16)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M),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벨트(10)로 연결되는 V-풀리(14), V-풀리의 구동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출력축에 연결된 와이어드럼, 상기 와이어드럼에 센서로 작동되도록 구동축의 동축에 마그네틱 브레이크(B) 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두 장의 원판형 마찰판(30)(30a) 사이에 브레이크패드(32)를 일체로 한 허브링(34)이 위치되어 구동축(2)에 끼워져 구비되고, 허브링(34)의 안쪽 내측 둘레에는 키이(key) 모양의 기어(36)를 형성하여 이 기어(36)에 맞물리며 끼워지는 스플라인기어(38)를 구동축에 삽입하여 마그네틱 브레이크에 발생된 자기력이 마찰판(30a)을 당겨 마찰판(30)(30a)의 사이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32)에 밀착된 두 장의 마찰판(30(30a)의 간극을 벌려 구동축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한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브레이크 장치는 마찰판(30a)의 양쪽에 고정되어지며 마그네틱 브레이크(B)을 관통한 가이드핀(41)에 수동식 레버(37)를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핀을 축으로 지렛대원리로 레버를 당기면 가이드핀을 당겨 두 장의 마찰판을 수동으로 간극을 벌려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구동축을 수동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45702A 2015-03-31 2015-03-31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KR10156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02A KR101566656B1 (ko) 2015-03-31 2015-03-31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02A KR101566656B1 (ko) 2015-03-31 2015-03-31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656B1 true KR101566656B1 (ko) 2015-11-05

Family

ID=5460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02A KR101566656B1 (ko) 2015-03-31 2015-03-31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59B1 (ko) 2020-09-29 2021-01-07 이윤성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CN113911875A (zh) * 2021-08-27 2022-01-11 中国矿业大学 一种用于深井大吨位提升系统的过卷保护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32Y1 (ko) * 2007-06-08 2008-07-03 (주)삼주스테이지 무대소품 승강장치
KR200455932Y1 (ko) 2009-12-28 2011-10-04 황병선 체중에 따른 하강속도를 자동 조절하는 완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832Y1 (ko) * 2007-06-08 2008-07-03 (주)삼주스테이지 무대소품 승강장치
KR200455932Y1 (ko) 2009-12-28 2011-10-04 황병선 체중에 따른 하강속도를 자동 조절하는 완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59B1 (ko) 2020-09-29 2021-01-07 이윤성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CN113911875A (zh) * 2021-08-27 2022-01-11 中国矿业大学 一种用于深井大吨位提升系统的过卷保护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864B2 (en) Door curtain anti-dropping device for electric rolling door
KR100297198B1 (ko) 엘리베이터드라이브시스템과그에결합된브레이크조립체
KR101566656B1 (ko) 무대설비 승/하강장치용 브레이크장치
JP6405053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
EP1193442A2 (en) Hoisting apparatus
US9221656B2 (en) Braking systems for pneumatic hoists
JP3422809B2 (ja) エレベータ駆動綱車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2504207A (ja) ブレードピッチ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220898U (ja) 非通電制動の外部ロータモータ
KR101620316B1 (ko) 디스크형 드럼을 이용한 바튼 승강 안전구동장치
US8080962B2 (en) Motorised barrier roller
JP2015169273A (ja) 電磁ブレーキ装置、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
CN106032234A (zh) 一种自动复位防坠安全器
KR101623519B1 (ko) 에스컬레이터용 헤리컬기어 감속구동 제어장치
US20160090771A1 (en) Cylinder Type Door Operator
JP2006076793A (ja) 巻取ドラム用の安全ブレーキ装置および安全ブレーキ研磨のための作業方法
KR101488412B1 (ko) 승강기용 독립 제동 장치
US10351397B2 (en) Chain hoist
US20140131646A1 (en) Self-Braking Motor
JP51434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78371B1 (ko) 무대장치용 구동부의 비상제동장치
JP2007012602A (ja) 照明用昇降装置
JP6151433B2 (ja) エレベーター
JPH08259187A (ja) ブレーキで調節できるクラッチを有するチェーンホイスト
CN207451360U (zh) 一种全机械变速离心锁止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