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946B1 -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946B1
KR101565946B1 KR1020150102595A KR20150102595A KR101565946B1 KR 101565946 B1 KR101565946 B1 KR 101565946B1 KR 1020150102595 A KR1020150102595 A KR 1020150102595A KR 20150102595 A KR20150102595 A KR 20150102595A KR 101565946 B1 KR101565946 B1 KR 10156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unit
impedanc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희
Original Assignee
(주)청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화테크 filed Critical (주)청화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이 개시된다. 신호 결합기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신호 입력부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신호 입력부와,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신호 출력부와, 제1 신호 입력부와 결합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와, 제2 신호 입력부와 결합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와,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신호차단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Signal coupler, and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호 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현되어 소형화가 가능한 신호 결합기와,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통주택의 세대 단자함에는 케이블 방송, 공시청 방송, 인터넷 서비스 등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수신기와 케이블 등이 설치되어 있다. 다양한 종류의 수신기와 케이블 등으로 인해 세대 단자함 내부가 복잡하고 과밀화되어 있어 유지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위한 장치의 추가도 힘들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3202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대 단자함 같이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수신하고 통합하여야 하는 환경에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PCB 기반으로 소형화한 신호 결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PCB 기반의 소형 신호 결합기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에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신호 입력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신호 입력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신호 출력부; 상기 제1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결합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결합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제1 신호 입력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 상기 결합신호 출력부, 상기 제1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신호차단막;을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의 일 예는, 제1 인쇄회로기판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신호를 처리하는 영역 사이에 일정 높이의 도체판으로 구성된 신호차단막을 포함하는 신호 결합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결합기로 출력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1 신호 수신부;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결합기로 출력하는 제3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2 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결합기를 PCB 기반으로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신기를 신호 결합기를 이용하여 통합하여 하나의 소형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예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실시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케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의 소형화를 위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를 세대 단자함에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닛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닛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와 인터넷 신호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신호 전송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장치와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예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결합기(100)는 인쇄회로기판(170)에 형성된 제1 신호 입력부(110), 제2 신호 입력부(130), 제1 신호 처리부(120), 제2 신호처리부(140), 결합신호출력부(160) 및 신호차단막(150)을 포함한다.
제1 신호 입력부(110)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고, 제2 신호 입력부(130)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제1 신호는 수~수천MHz 대역의 방송 신호이고, 제2 신호는 수십 GHz 대역의 인터넷 신호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두 개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신호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제1 신호 입력부(110)와 결합신호출력부(16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신호 처리부(140)는 제2 신호 입력부(130)와 결합신호출력부(15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는 각각 제1 신호 입력부(110)와 제2 신호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임피던스 매칭이나 잡음 제거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로 구성된다.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의 상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신호출력부(160)는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를 통해 제공받은 두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신호 결합기의 소형화를 위해서, 인쇄회로기판(170)의 제1 신호 처리부(120)가 위치한 영역과 제2 신호 처리부(140)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따라서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 사이의 공간도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20,140)가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서로 간에 신호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신호차단막(150)은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가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차단막(150)은 인쇄회로기판의 앞면(즉, 각종 전자소자가 위치한 면)에서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체 판으로 구성된다. 도체 판의 모양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신호간섭 방지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톱니 부분은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차단막(150)은 인쇄회로기판(170)을 관통하여 뒷면에 솔더링(납땜)(200)을 통해 고정된다.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 사이의 신호 간섭은 인쇄회로기판(170)의 뒷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70)의 뒷면에서의 신호 간섭 방지는 도 4에 도시한 케이스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일 실시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신호 결합기는 수~수천MHz 대역의 제1 신호와 수십GHz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신호 결합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결합하고자 하는 신호들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신호 결합기의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결합기(100)의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300)를 포함한다. 제2 신호 처리부(130)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310), 노이즈 제거부(320), 주파수 변환부(330)를 포함한다.
제1 임피던스 매칭부(300)는 MHz 대역의 제1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1 신호 입력부(110)와 결합신호 출력부(16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저역필터(low pass filter)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임피던스 매칭부(310)는 GHz 대역의 제2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2 신호 입력부(130)와 결합신호 출력부(16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고역필터(high pass filter)로 구성될 수 있다.
MHz 대역의 제1 신호와 GHz 대역의 제2 신호를 결합하는 경우에, GHz 대역의 제2 신호에 남아있는 잡음신호가 제1 신호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부(320)는 제2 신호의 크기(dB)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통과시키고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거하여 낮은 주파수 대역의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주파수변환부(330)는 제2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제1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에 이웃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다.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결합한 결합신호는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출력되므로, 케이블의 전송 특성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전송손실 등 전송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신호가 출력되는 케이블이 주로 MHz 대역의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동축 케이블인 경우에, GHz 대역의 제2 신호의 전송 손실이 높아 멀리까지 전송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변환수(330)는 제2 신호의 제2 주파수 대역을 제1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에 이웃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비슷한 주파수 대역의 두 신호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주파수변환부(330)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2 신호 처리부(140)에만 노이즈 제거부(320)와 주파수 변환부(330)를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의 특성에 따라 제1 신호의 주파수 변환도 필요한 경우라면, 제1 신호 처리부(120) 또한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각 주파수 대역은 케이블의 전송 특성에 맞도록 서로 겹치지 않는 주파수 대역으로 각각 변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의 케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케이스(400)는 제1 신호 처리부(120)와 제2 신호 처리부(140) 사이의 신호 간섭이 인쇄회로기판(170)의 뒷면에서도 방지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170)의 신호차단막(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분리막(410)을 포함한다.
분리막(410)은 신호차단막(150)을 고정하는 인쇄회로기판 뒷면의 솔더링(200)과 맞닿을 수 있는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분리막(150)은 솔더링(200)과 맞닿아 신호차단막(150)에 대한 일종의 접지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전송 장치(500)는 제1 신호 수신부(510), 제2 신호 수신부(520), 신호 결합기(100), 신호 분배부(530)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수신부(510)는 제1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되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결합기(100)로 제공하고, 제2 신호 수신부(520)는 제2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결합기(100)로 제공한다.
신호 결합기(100)는 제1 신호 수신부(510)로부터 입력받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수신부(520)로부터 입력받은 제2 신호를 결합한 결합신호를 신호 분배부(530)로 출력하는 제3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신호 분배부(530)는 결합신호를 복수의 출력 단자(540)를 통해 출력하는 제4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 신호 전송 장치(500)는 신호 분배부(530)를 생략할 수 있다.
제1 신호 수신부(510)와 신호 결합기(100), 제2 신호수신부(520)와 신호 결합기(100), 신호 결합기(100)와 신호분배부(540)는 모두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이므로, 별도의 동축 케이블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인쇄회로기판의 각 입출력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선(515,525,535)만 존재하면 된다. 신호분배부(530)는 각 단자(540)와 연결된 동축 케이블(550)을 통해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전송 장치(500)는 소형화를 위하여 제1 내지 제4 인쇄회로기판을 하나의 평면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인쇄회로기판을 복수의 층으로 배치하는 일 예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의 소형화를 위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의 신호 분배부를 포함하지 아니한 신호 전송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케이스(600)는 제1 신호 수신부(510)의 제1 인쇄회로기판, 제2 신호 수신부(520)의 제2 인쇄회로기판, 신호 결합기(100)의 제3 인쇄회로기판을 각각 수용하기 공간을 분리하는 영역 분리막(610,620)을 포함한다.
각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각 영역을 구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 예는 신호 전송 장치(500)의 소형화를 위하여 복수의 층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적층하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 간섭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분리하는 영역 분리막(610,6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600)의 제1 영역 분리막(610)을 통해 케이스의 위 아래에 각각 제1 신호 수신부(510)의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제2 신호 수신부(520)의 제2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되어 위치한다. 신호 결합기(100)의 제3 인쇄회로기판은 제1 신호 수신부(510)의 제1 인쇄회로기판과 동일층에 위치하되, 제2 영역 분리막(620)을 통해 서로 영역이 분리된다. 신호 결합기(100)의 제3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한 영역은 도 4에서 살핀 신호 결합기의 케이스(400) 구조와 같이 신호 간섭 방지를 위한 분리막(630)을 포함한다.
영역 분리막(610,620)에는 각 영역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을 위한 관통구(640,65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분리막(610)은 제2 신호 수신부(520)의 제2 인쇄회로기판과 신호 결합기(100)의 제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을 위한 제1 관통구(650)를 포함하고, 제2 영역 분리막(630)은 제1 신호 수신부(510)의 제1 인쇄회로기판과 신호 결합기(100)의 제3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을 위한 제2 관통구(640)를 포함한다. 신호 결합기(100)는 제1 관통구(650) 및 제2 관통구(640)를 통해 각각 연결된 제1 신호 수신부(510) 및 제2 신호 수신부(520)를 통해 수신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를 세대 단자함에 구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세대 단자함에 위치한 신호 전송 장치(500)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결합한 결합 신호를 복수 개의 댁내 유닛(700,702)에 분배한다.
결합 신호를 수신한 댁내 유닛(700,702)은 결합 신호로부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신호가 방송신호이고, 제2 신호가 인터넷 신호인 경우에, 댁내 유닛은 제1 신호를 TV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신호를 패치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닛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유닛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댁내 유닛은 신호 분리부(800), 주파수 변환부(810), 출력단자(820) 및 패치안테나(830)를 포함한다.
신호 분리부(800)는 결합 신호를 각각의 신호로 분리한다. 결합 신호에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두 가지 신호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신호 분리부(800)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800)는 각 대역 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810)는 필요에 따라 분리한 각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주파수 변환부(330)에 의해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변환되었다면, 댁내 유닛의 주파수 변환부(810)는 제2 신호를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다시 변환한다. 도 3의 주파수 변환부(330)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되었다면, 본 실시 예의 댁내 유닛의 주파수 변환부(810)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출력단자(820)는 분리된 제1 신호를 출력하고, 패치안테나(830)는 분리된 제2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한다.
댁내 유닛의 소형화를 위하여, 패치안테나(830)는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설계된다. 댁내 유닛의 신호 분리부(800) 등의 구성이 패치안테나의 출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신호분리부(800) 및 주파수 변환부(810)는 신호 차폐가 되는 밀폐케이스(840)에 내장된다. 패치안테나(830)는 밀폐 케이스(840)의 한 면에 평행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판 형태로 구성된다. 패치안테나(830)는 출력 단자(8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케이스(840)는 외부 케이스(940)와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결합기를 이용하여 방송신호와 인터넷 신호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신호 전송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신호 전송 장치는 변조부(1000), RF 절체부(1005), 광신호분배부(1010), 무선송수신부(1015), 신호결합기(100), 신호분배부(530)를 포함한다.
신호 결합기(100)는 각종 방송신호와 각종 통신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로는 케이블방송 신호, 공시청방송 신호, 전관방송 신호 등이 있으며, 통신 신호로는 인터넷통신 신호, 전화통신 신호, CCTV와 같은 영상감시 신호, 소방 및 방재 신호 등이 있으며, 이외 다양한 종류의 방송신호나 통신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결합기(100)에서 결합된 신호는 영상감시 신호, 방재 신호 등과 같은 다른 신호와 함께 신호 분배부(530)로 입력된다. 신호 분배부(530)는 하나의 결합 신호를 다수의 신호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일종의 다중 분배기(multi splitter)이다.
신호 분배부(530)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은 다수의 전송라인을 통해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송라인과 출력단자를 통해, 신호 분배부(530)에서 출력된 여러 신호들은 공동주택이나 건물의 댁내 유닛(700,702)에 도달하여 출력된다.
신호 결합기(100)의 입력단에는, 각종 통신신호 중 하나인 인터넷 통신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신호 결합기(100)에 무선신호가 입출력되도록 한다. 광신호분배부(1010) 및 무선송신부(1015)는 도 5, 도 6의 제2 신호 수신부(520)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결합기(100)에 입력된 무선 통신신호는 방송신호와 결합된 후, 신호 분배부(530)를 통해 다수의 신호로 분배되고, 댁내 유닛(700,702)에 내장된 무선 패치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신호를 송출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통신용 무선신호는 2.4~2.5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텔레비전 방송신호는 5~2,15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이들 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 결합기(100)는 케이블의 전송 특성에 따라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겹치지 않는 이웃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결합한 후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전송할 수 있다.
댁내 유닛(700,792)은, 결합신호 중에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820)와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패치안테나(830)를 포함한다. 출력단자(820)는 동축 케이블 출력단 형태로 형성되고, 댁내의 텔레비전이나 스피커 장치 등에 연결된다. 패치안테나(830)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판 형태로 구성되고 PC나 스마트폰 등과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댁내 유닛(700,702)은 도 9에서 살핀 바와 같이, 방송신호와 무선통신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댁내의 벽체 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댁내 유닛(700,702)은 댁내의 각 방에 위치하므로, 각 방마다 무선통신신호을 위한 패치안테나가 설치되는 결과가 되어 무선신호의 음영지역을 없앨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무선통신을 댁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신호 결합기(100)에 입력되는 TV 방송신호는 신호 결합기의 전단에 설치되는 RF 절체부(1005)를 통해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CATV) 신호와 공시청 방송(MATV) 신호가 동시에 인입될 경우에, RF 절체부(1005)에 의해 케이블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신호 결합기에 입력된다.
TV 방송 이외에, 전관방송(Public Address) 신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전관방송 신호는 공중에 일방적인 전달을 하는 방송신호로서 아파트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전관방송 신호는 통상 별도의 전송라인을 통해 각각의 댁내에 설치된 스피커로 전송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관방송신호를 FM 변조하여 TV 방송신호와 혼합하여 TV 전송라인으로 전송한다. 즉 전관방송 신호를 FM 변조하는 변조부(1000)를 신호 결합기(100)의 전단에 설치하고,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미도시)를 댁내에 설치된 스피커 장치에 설치한다.
각종 통신신호는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공동주택 또는 건물로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OHM(Opticla Home Multiplexer)과 같은 광신호분배부(101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통신신호로 분배한다. 광신호분배부는 입력된 광신호를 인터넷 신호, 전화신호, 영상감시신호, 방재신호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영상감시신호는 공동주택 등에 설치된 CCTV 신호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전송라인으로 전송되거나, TV 방송 신호와 혼합되어 댁내 유닛을 통해 TV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신호 입력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신호 입력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신호 출력부;
    상기 제1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결합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1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결합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2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제1 신호 입력부, 상기 제2 신호 입력부, 상기 결합신호 출력부, 상기 제1 임피던스 매칭부 및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신호차단막;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될 때 상기 신호차단막을 고정하는 인쇄회로기판 뒷면의 솔더링과 맞닿는 일정 높이의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결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차단막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앞면에 일정 높이를 가진 도체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결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뒷면에 솔더링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결합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피던스 매칭부는 저역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임피던스 매칭부는 고역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결합기.
  6. 제1 인쇄회로기판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신호를 처리하는 영역 사이에 일정 높이의 도체판으로 구성된 신호차단막을 포함하는 신호 결합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결합기로 출력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1 신호 수신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 결합기로 출력하는 제3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2 신호 수신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3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될 때 상기 신호차단막을 고정하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뒷면의 솔더링과 맞닿는 일정 높이의 분리막;을 포함하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신호 결합기를 통해 결합한 결합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4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신호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영역분리막; 및
    상기 영역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각 영역에 내장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관통하는 상기 영역분리막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결합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결합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는 댁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1. 삭제
  12. 결합 신호를 제1 신호 및 제2 신호로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패치안테나; 및
    상기 신호 분리부를 외부와 차폐하여 내장하는 밀폐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안테나는 상기 밀폐케이스의 한 면에 수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된 판 구조이고, 상기 판 구조의 일측에 상기 출력단자가 관통하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유닛.
KR1020150102595A 2015-07-20 2015-07-20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KR10156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95A KR101565946B1 (ko) 2015-07-20 2015-07-20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95A KR101565946B1 (ko) 2015-07-20 2015-07-20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946B1 true KR101565946B1 (ko) 2015-11-05

Family

ID=5460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95A KR101565946B1 (ko) 2015-07-20 2015-07-20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36A (ko) * 2017-09-18 2019-03-27 김평우 통합형 세대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36A (ko) * 2017-09-18 2019-03-27 김평우 통합형 세대 단자함
KR102003800B1 (ko) * 2017-09-18 2019-07-25 김평우 통합형 세대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207B2 (en) Apparatus and systems for electrically isolating and transmitting RF signals between two devices
US10561030B2 (en) Radio frequency subscriber drop units having printed circuit boards with ground plane layers and/or housings with ground walls
US7505088B2 (en) Signal selector selecting one of a ground wave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cable televis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program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lected signal to a tuner
JP2009533950A (ja) ダイプレクス・フロントエンドを用いるアクティブ・スプリッタ装置および方法
US20120025929A1 (en) Filter with improved impedance match to a hybrid coupler
KR20220031674A (ko) 무선 주파수 프론트엔드 회로 및 이동 단말
FI126420B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and broadcast television signals indoors
KR101565946B1 (ko) 신호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장치와 그 방법
WO20151644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in a device due to electrostatic discharge or surge event
KR20150087525A (ko) 통합 분배 장치
KR101090066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WO2003041412A1 (en) Repeating system for satellite broadcasting
US10594092B1 (en) Connector module and set-top box
KR200143238Y1 (ko) 케이블-텔레비젼의 신호분배회로
CN202261611U (zh) 串接式信号传输器、系统及终端设备
KR101619701B1 (ko) 평판 안테나 및 상기 평판 안테나를 포함하는 위성 신호 전송 시스템
JP5312767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JP6430165B2 (ja) 壁面コネクタ
EP1125385A1 (en) In-home network using an existing coaxial cable installation
RU2457633C1 (ru) Система коллектив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визионных сигналов с различными типами модуляции
JP2019220808A (ja) 中継装置
US3617624A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KR20010100257A (ko) 텔레비젼의 다채널 무선 송수신 장치
JP2001346064A (ja) 共同受信機器
JP2001346185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