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345B1 -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345B1
KR101565345B1 KR1020140089487A KR20140089487A KR101565345B1 KR 101565345 B1 KR101565345 B1 KR 101565345B1 KR 1020140089487 A KR1020140089487 A KR 1020140089487A KR 20140089487 A KR20140089487 A KR 20140089487A KR 101565345 B1 KR101565345 B1 KR 10156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message
status information
address
time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박성진
김우섭
류호
이정희
박승권
이주호
전영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345B1/ko
Priority to DE102014221678.8A priority patent/DE102014221678A1/de
Priority to US14/526,383 priority patent/US20160020863A1/en
Priority to CN201410785646.5A priority patent/CN10530651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6Indicating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된 차량 내 장치에서의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랙박스 주소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 내부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안정적인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lack-box for vehicle diagnosis using in-vehicle time synchronization message}
본 발명은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 및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되고 있으며, 이들 전자 제어 장치간의 상호 통신을 위한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가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있다.
특히,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로 이더넷(Ethernet)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더넷은 다수의 랜(LAN: Local Area Network)과, LAN 간 연결을 위한 다수의 브릿지(Bridge)들로 구성된다.
이더넷은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공유 매체에 다수의 노드들이 경쟁적으로 접근 시도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CSMA/CD 방식은 모든 트래픽에 대해 동일한 우선권을 부여하고 다수의 노드들이 경쟁을 통해 자신의 트래픽을 전송하므로, 동영상, 음성 데이터와 같이 전송 시간 지연에 민감함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더넷은 전송 시간 지연에 민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현재, IEEE 802.1에서는 AVB(Audio Video Bridge)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AVB 표준은 LAN상에서 오디오 및 비데오 등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전송 품질 보장형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의 LAN, 특히 그 대표적 기술인 이더넷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레임에 기반한 패킷스위칭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품질 보장형 전송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AVB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처음에는 IEEE 802.2 에서 Synchronous Ethernet, Residential Ethernet 등의 이름으로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IEEE 802.1에서 기존 비동기 패킷 스위칭의 패러다임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사한 기술을 브리지상에서 구현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IEEE 802.1의 AVB 기술은 패킷 스위칭을 하는 기존 이더넷 브리지들을 이용해 Synchronous Traffic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일정 지리적 범주 내의 브리지들의 클럭을 동기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브리지들의 클럭이 동기화되면 정확하게 원하는 시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크기의 이더넷 프레임이 브리지 사이에서 전달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본 개념을 확장 적용한 브리지 메쉬(Mesh)는 Synchronous Traffic을 안정되게 전달하는 인프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 예로, IEEE 1588 PTP (Precision Time Protocol)는 OSI 계층 전반에서 동작이 가능한 시간 동기화 표준이고, IEEE 802.1AS는 IEEE 1588를 근간으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제2계층-즉,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프로파일만을 지원하는 시간 동기화 표준이다. 브릿지와 스위치 등의 제2계층 장치에 IEEE 802.1AS 표준을 적용할 경우, OSI 제2계층 시간 동기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IEEE 802.1AS의 각 장치 간 시간 동기화 방법은 시간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맞추는 방식으로서, 시간 동기화를 위해 망 내의 장치들 중에 기준 시간을 제공하는 장치인 그랜드마스터(GM: GrandMaster)가 선정되고, 선정된 그랜드마스터의 로컬 시간이 공지(Announce) 메시지를 통해 다른 장치들에 전송됨으로써, 다른 장치들이 그랜드마스터의 로컬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사용한다. 이때, 그랜드마스터는 Announce 메시지를 다른 모든 장치들에 보내어 자신의 존재와 기준 시간 제공 장치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비교수치를 다른 장치들에게 보낸다.
즉, 그랜드마스터는 IEEE 802.1AS 타이밍 트리의 최상위 노드로서 주기적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하위 노드에 전송한다.
IEEE 802.1AS는 그랜드마스터를 결정하고 시간 동기를 획득하는 절차, 다수의 컨트롤 메시지를 이용하여 망 내의 모든 장치들을 탐색하고 링크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절차 및 Announce 메시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링크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 등이 정의되어 있다.
하지만, IEEE 802.1AS에는 망 내 모든 장치들에 대한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하여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EEE802.1AS에 정의된 PTP(Precision Time Protocol)절차에 진단을 위한 메시지 포맷을 추가함으로써 시간 동기화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차량 진단이 가능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 시간 소스를 사용하는 장치들 사이의 공지(Announce) 메시지에 진단을 위한 포맷을 추가하여 자체 차량 진단 및 사후 분석이 가능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시간 동기화에 사용되는 공지(Announce) 메시지에 차량 진단을 위한 정보를 추가 정의함으로써, 별도의 새로운 절차 정의 없이 차량 내 모든 장치들을 진단하고 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진단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진단용 블랙 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된 차량 내 장치에서의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블랙박스 주소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 내부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그랜드마스터(GM: GrandMaster)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상기 그랜드마스터와 연결된 브리지(Bridge)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 주소가 상기 브리지에 의해 상기 그랜드마스터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IEEE 802.1AS에 정의된 공지(Announce) 메시지 포맷의 일측에 상기 블랙박스 주소 필드가 추가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상기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정보, 상기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타입(Type) 정보,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을 지시하는 최종 업데이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의 종류는 스위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랜드마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의 수리가 필요함을 지시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는 정상 상태, 포트 불량 상태, 응답 지연 상태, 전원 불량 상태, 수리 필요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값으로 매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 불량 상태, 상기 응답 지연 상태 및 상기 전원 불량 상태는 옵션 설정에 따라 선택 가능한 옵션 항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치의 슬레이브 포트(Slave Port)를 통해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 주소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블랙박스에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블랙 박스의 주소 정보를 브리지(Bridge)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를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의 종류 별 진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상기 장치로 그랜드마스터(GM:GrandMaster)에 의해 생성된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의 종류는 스위치,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 및 그랜드마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상기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정보와 상기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타입(Type) 정보와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을 지시하는 최종 업데이트 시간 정보와 상기 장치의 현재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목적지 주소를 지시하는 목적지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목적지 주소는 상기 블랙박스의 주소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정상 상태, 포트 불량 상태, 응답 지연 상태, 전원 불량 상태, 수리 필요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값으로 매핑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IEEE 802.1AS에 정의된 공지(Announce) 메시지 포맷의 일측에 상기 블랙박스의 주소 정보 필드가 추가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에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진단기로부터 상태 정보 테이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기에 상기 진단 정보 테이블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동일 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장치는 블랙박스 주소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 내부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과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차량 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블랙박스는 상기 블랙 박스의 주소 정보를 브리지(Bridge)에 전송하는 수단과 상기 브리지를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의 종류 별 진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그랜드마스터(GM:GrandMaster)에 의해 생성된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상기 장치에 수신되면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블랙박스 주소가 포함된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소정 주기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그랜드마스터(GM: GrandMaster)와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차량 내 장치와 상기 차량 내지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진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블랙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블랙박스로 상태 정보 테이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진단 정보 테이블을 수신하는 진단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하여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IEEE802.1AS에 정의된 프로토콜 절차에 진단을 위한 절차를 추가함으로써 시간 동기화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자체 차량 진단이 가능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동일 시간 소스를 사용하는 장치들 사이의 Announce 메시지에 진단을 위한 포맷을 추가하여 자체 차량 진단 및 사후 분석이 가능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기존 시간 동기화에 사용되는 Announce 메시지에 차량 진단을 위한 정보를 추가 정의함으로써, 별도의 새로운 절차 정의 없이 차량 내 모든 장치들을 진단하고 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시간 동기화 주기에 따라 각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진단 정보를 블랙박스에 기록함으로써, 사후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블랙박스에 그랜드마스터의 상태를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안정성의 관점에서 IEEE 802.1AS 표준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 정의된 메시지 헤더 구조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 정의된 Announce 메시지의 구조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서의 Announce 메시지 비교 절차 및 포트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서의 시간 동기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그랜드마스터 선정 및 Announce 메시지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시스템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메시지의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매핑 테이블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메시지를 통한 블랙박스 기록 및 진단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 정의된 시간 동기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IEEE 802.1AS 표준은 네트워크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들의 헤더 구조, 공지(Announce) 메시지의 구조, 기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그랜드마스터(GM)의 선정 방법 및 스위치에서의 각 포트 역할 할당 방법 등이 정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 정의된 메시지 헤더 구조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 정의된 Announce 메시지의 구조이다.
Announce 메시지는 currentUtcOffset, 제1 내지 제2 grandmasterPriority, grandmasterClockQuality, grandmasterIdentity 등의 그랜드마스터를 선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랜드마스터를 선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준 시간 정보라 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서의 Announce 메시지 비교 절차 및 포트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네트워크상의 자격이 있는 모든 장치(Station)들은 자신의 기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Announce 메시지를 구성한 후 다른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좋은 품질의 클락(Clock)을 가진 장치가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장치는 다른 장치로부터 Announce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Announce 메시지에 포함된 기준 시간 정보와 자신의 기준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우선 순위 및 정확도가 가장 높은 장치를 자신의 그랜드마스터로 선정할 수 있다. 물론, 자신의 기준 시간이 다른 장치의 기준 시간 보다 정확한 경우, 자신이 그랜드마스터가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된 장치의 모든 포트는 다른 장치들에 기준 시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랜드마스터의 기준 시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트를 마스터포트라 정의한다. 반면, 마스터포트와 연결되는 다른 장치의 포트로서 그랜드마스터의 기준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포트를 슬레이브포트라 정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치는 Announce 메시지가 수신되면, grandmasterIdentity, grandmasterPriority1, clockclass, clockAccuracy, offsetScaledLogVariance, grandmasterPriority2, grandmasterIdentity, StepRemoved, SourcePortIdentity 등의 기준 시간 정보를 자신의 기준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장치가 그랜드마스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장치 A가 자신이 그랜드마스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치 A는 자신의 모든 포트를 마스터포트로 할당한다. 반면, 다른 장치가 그랜드마스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치 A는 자신의 모든 포트를 슬레이브포트로 할당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IEEE 802.1AS에서의 시간 동기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하게, 도 4는 브리지를 이용한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시간 동기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브리지는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로서,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브리지는 (1)통신망의 범위와 길이를 확장할 때, (2)통신망에 더욱 많은 장치들을 연결시킬 때, (3)통신망에 과다하게 연결된 장치들로 인한 병목 현상을 줄이고자 할 때, (4)서로 다른 물리적 매체(통신선로)로 구성된 통신망을 연결할 때, (5)이더넷, 토큰 링(Token Ring) 같은 서로 다른 토폴로지의 통신망 구조를 연결할 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초기 시간 동기화 절차를 통해, 스위치 E(400)가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스위치 E(400)는 자신의 기준 시간 정보가 포함된 Announce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브리지(Bridge, 450)에 전송할 수 있다. 연이어, 브리지(450)는 수신된 Announce 메시지를 스위치 A(410), 스위치 B(420), 스위치 C(430) 및 스위치 D(44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브리지(450)는 수신되는 Announce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스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Announce 메시지만이 슬레이브 노드들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그랜드마스터 선정 및 Announce 메시지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 1 내지 스위치 4(510 내지 540)는 각각 연결된 스위치로 Announce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스위치상에서의 기준 시간 정보 비교 절차를 통해 그랜드마스터를 선정하고, 선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포트 역할을 할당한다(S50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3(530)이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후, 스위치 3(530)는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주기는 1초일 수 있음- Announce 메시지를 생성하여 마스터포트를 통해 스위치 2(520) 및 스위치 4(540)에 Announce 메시지를 전송하고, 스위치 2(520)는 수신된 Announce 메시지를 자신의 슬레이브 포트(Slave port)를 통해 스위치 1(510)에 전달한다(S502). 즉,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된 장치는 Announce 메시지를 통해 그랜드마스터의 존재(Presence)와 자신의 기준 시간에 대한 우월함(superiority)을 타 장치에 알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간 동기화 메시지와 Announce 메시지를 혼용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 동기화 메시지(600)는 상기 도2의 Announce에 메시지에 진단을 위한 블랙박스 주소(BoxAddr, 610) 필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된 장치는 블랙박스 주소가 포함된 Announce 메시지를 동일 시간 소스를 사용하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에 전송하고, 슬레이브 장치는 내부 상태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상태 정보를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해당 블랙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박스 주소(610)는 블랙박스에 할당된 MAC 주소일 수 있다.
도 6에는 블랙박스 주소(610) 필드가 기존 Announce 메시지 페이로드 영역의 마지막에 추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주소(610)는 기존 Announce 메시지에 포함된 reserved 필드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시스템 구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스타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브리지(Bridge, 760)와 브리지(760)와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들) 및 블랙박스(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리지(760)는 자신과 연결된 블랙박스(710)의 MAC 주소 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선정된 그랜드마스터에게 블랙박스(710)의 MAC 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블랙박스(710)는 소정 제어 절차를 통해 자신이 연결된 브리지(760)에 자신의 MAC 주소를 전송하고, 브리지(760)는 그랜드마스터가 선정되면, 선정된 그랜드마스터에 기 수신된 블랙박스(710)의 MAC 주소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브릿지(760)는 새로운 그랜드마스터가 선정될 때마다, 새롭게 선정된 그랜드마스터로 블랙박스(710)의 MAC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스위치 E(700)가 초기 시간 동기화 절차를 통해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된 경우, 스위치 E(700)는 주기적으로 블랙박스 주소 정보가 포함된 Announce 메시지를 브리지(760)에 전송한다.
연이어, 브리지(760)는 수신된 Announce 메시지를 연결된 모든 스위치(도면 번호 720 내지 750)로 전달한다.
Announce 메시지를 수신한 스위치는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브리지(760)에 전송한다. 이때, 브리지(760)는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710)에 전달한다.
블랙박스(710)는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진단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이를 소정 기록 영역에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도 7에는 진단기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블랙박스(710)는 진단기의 요청에 따라 진단 정보 테이블을 해당 기록 영역으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블랙박스(710)는 무선 근거리 통신 연결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진단 정보 테이블을 직접 진단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기는 브리지(76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블랙박스(710)는 브리지(760)를 통해 진단기로부터 상태 정보 테이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진단 정보 테이블을 진단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도 7에 도시된 스타 토폴로지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 메쉬 토폴로지(Mesh Topology), 트리 토폴로지(Tree Topology)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메시지의 구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태 정보 메시지(800)는 장치식별자(810) 필드, 타입(Type, 820) 필드, 최종 업데이트 시간(LastRecv, 830) 필드, 상태 정보(Status, 840) 필드 및 목적지주소(DestAddr, 850)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식별자(810)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스위치 및 ECU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미리 할당된 장치 식별 정보이다.
타입(820)은 해당 장치의 타입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장치 타입은 크게 스위치, ECU, 그랜드마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위치는 O, ECU는 1, 그랜드마스터는 2 등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최종 업데이트 시간(830)은 슬레이브 장치에서 그랜드마스터로부터 가장 최근에 Announce 메시지를 수신한 날짜 및 시간을 의미한다.
상태 정보(840)는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감지 또는 판단된 진단 정보로서, 정상, 포트 불량, 응답 지연, 전원 불량, 수리 필요 등에 각각 대응하여 정의된 상수일 수 있다.
목적지주소(850)는 블랙박스의 MAC 주소를 의미한다. 여기서, 블랙박스의 MAC 주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랜드마스터로부터 수신된 Announce 메시지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매핑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태 정보 매핑 테이블(900)은 특정 값(910)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920)가 매핑된 테이블이다.
여기서, 상태 정보(920)는 정상, 포트 불량, 응답 지연, 전원 불량 및 수리 필요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태 정보(920)에 대응되는 값은 각각 0x10, 0x20, 0x30, 0x40, 0x50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포트 불량, 응답 지연 및 전원 불량은 옵션 사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옵션 설정에 따라 해당 옵션 사항이 상태 정보 메시지에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정상과 수리 필요는 상태 정보 메시지 생성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상태 정보(920)이다.
일 예로, 옵션 사항이 고려되지 않도록 옵션이 설정된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면, 15초- 동안 Announc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슬레이브 장치는 그랜드마스터와의 통신 링크가 절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태정보(840)가 0x50(수리 필요)로 설정된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블랙박스(71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옵션 사항을 고려하도록 옵션이 설정되고,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면 2초- 동안 Announc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통신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태정보(840)가 0x30(응답 지연)로 설정된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블랙박스(7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도 9에 도시된 상태 정보 매핑 테이블(900)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장치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태 정보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이다.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은 타입(1010) 필드, 장치식별자(1020) 필드, 상태정보(1030) 필드, 최종 업데이트 시간(1040) 필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랙박스(710)는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에 따라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갱신한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 정비사는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확인하여, 장치 고장, 통신 링크 고립, 전원 불량 등의 실시간 진단 결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 고장 원인을 보다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통해 현재 그랜드마스터가 어떤 장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랜드마스터의 변화 추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 사고 발생 이후, 사고 발생 원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차량 급발진/급제동이나 운행 중 시동 꺼짐 등의 문제점은 해당 상황 재현이 거의 불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그에 따라 원인 규명 및 조치가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사용자는 상기한 차량 고장에 따른 사고 이후에도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확인하여 정확한 사고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메시지를 통한 블랙박스 기록 및 진단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단용 블랙 박스 시스템은 그랜드마스터인 스위치 C(1130), 스위치 C(1130)에 직접 연결된 블랙박스(1140) 및 스위치 B(1120), 스위치 B(1120)에 연결된 스위치 A(1115) 및 외/내부 진단기(1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C(1130)가 그랜드마스터로 선정되면, 스위치 C(1130)는 Announce 메시지를 스위치 B(1120)에 전송한 후,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에 전송한다(S1101 내지 S1102).
스위치 B(1120)는 수신된 Announce 메시지를 스위치 A(1115)에 전달한 후 자신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1140)에 전송한다(S1103 내지 S1104).
스위치 A(1115)는 Announce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1140)에 전송한다(S1105).
이 후, 스위치 C(1130)는 주기적으로 Announce 메시지를 스위치 B(1120)에 전송하며, 스위치 B(1120) 및 스위치 A(1115)는 수신된 Announce 메시지에 따라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메시지를 통해 블랙박스(1140)에 전송한다(S1106 내지 S1109). 이때, 그랜드마스터인 스위치 C(113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블랙박스(114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블랙박스(1140)는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갱신한다.
내/외부 진단기(1150)는 미리 설정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태 정보 테이블을 블랙박스(1140)에 요청할 수 있다(S1110).
블랙박스(1140)는 상태 정보 테이블 요청에 따라 블랙 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내/외부 진단기(1150)에 전송한다(S111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그랜드마스터가 아닌 동일 네트워크에 위치한 제1 장치는 소정 타이머를 초기화하여 구동한다(S1203). 여기서, 타이머는 Announce 메시지 전송 주기 동안 구동되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그랜드마스터로부터 Announc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장치는 블랙박스에 해당 사실을 통보한다.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그랜드마스터로부터 Announce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장치는 구동중인 타이머를 리셋(Reset) 시킨 후 제1 장치 내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205 내지 S1207).
만약, 제1 장치의 슬레이브 포트(Slave port)에 연결된 제2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장치는 슬레이브 포트를 통해 상기한 1203 단계에서 수신된 Announce 메시지를 제2 장치에 전송한다(S1209).
이 후, 제1 장치는 자신의 상태 정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한 1203 단계에서 수신된 Announce 메시지에 포함된 블랙박스 주소(610)를 참조하여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710)에 전송한다.
블랙박스(710)는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타입(Type, 820)을 식별하고, 식별된 타입(820) 별 블랙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1000)을 갱신한다(S1215 내지 S1225). 일 예로, 블랙박스(710)는 수신된 상태 정보 메시지의 타입(820) 값이 0이면 스위치 상태 정보, 타입(820) 값이 1이면 ECU 상태 정보, 타입(820) 값이 2이면 그랜드마스터 상태 정보를 각각 업데이트 한다.
만약, 상기한 1205 단계에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Announc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1 장치는 수리가 필요함을 지시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블랙박스(710)에 전송한다. 이 후, 블랙박스(710)는 상기한 1215 단계 내지 1225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600: 시간 동기화 메시지 610: 블랙박스 주소
700: 그랜드마스터 710: 블랙박스
760: 브리지 800: 상태 정보 메시지
900: 상태 정보 매핑 테이블
1000: 블랙박스 진단 정보 테이블 1150:내/외부 진단기

Claims (23)

  1. 네트워크 연결된 차량 내 장치가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블랙박스 주소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 내부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가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그랜드마스터(GM: GrandMaster)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상기 그랜드마스터와 연결된 브리지(Bridge)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주소가 상기 브리지에 의해 상기 그랜드마스터에 제공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IEEE 802.1AS에 정의된 공지(Announce) 메시지 포맷의 일측에 상기 블랙박스 주소 필드가 추가된 형태로 구성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상기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정보, 상기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타입(Type) 정보,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을 지시하는 최종 업데이트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종류는 스위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랜드마스터를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의 수리가 필요함을 지시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정상 상태, 포트 불량 상태, 응답 지연 상태, 전원 불량 상태, 수리 필요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값으로 매핑되어 설정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불량 상태, 상기 응답 지연 상태 및 상기 전원 불량 상태는 옵션 설정에 따라 선택 가능한 옵션 항목인,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치의 슬레이브 포트(Slave Port)를 통해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주소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3. 차량 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블랙박스가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블랙박스의 주소 정보를 브리지(Bridge)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브리지를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의 종류 별 진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그랜드마스터(GM:GrandMaster)에 의해 생성된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상기 장치에 수신되면,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종류는 스위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랜드마스터를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는
    상기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자 정보, 상기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타입(Type) 정보,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시간을 지시하는 최종 업데이트 시간 정보, 상기 장치의 현재 상태를 지시하는 상태 정보,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 목적지 주소를 지시하는 목적지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목적지 주소는 상기 블랙박스의 주소 정보로 설정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정상 상태, 포트 불량 상태, 응답 지연 상태, 전원 불량 상태, 수리 필요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값으로 매핑되어 설정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는 IEEE 802.1AS에 정의된 공지(Announce) 메시지 포맷의 일측에 상기 블랙박스의 주소 정보 필드가 추가된 형태로 구성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가 진단기로부터 상태 정보 테이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랙박스가 상기 진단기에 상기 진단 정보 테이블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차량 내 네트워크 연결되어 동일 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블랙박스 주소를 포함하는 시간 동기화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 내부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21. 동일 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차량 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블랙박스에 있어서,
    상기 블랙 박스의 주소 정보를 브리지(Bridge)에 전송하는 수단;
    상기 브리지를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의 종류 별 진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그랜드마스터(GM:GrandMaster)에 의해 생성된 시간 동기화 메시지가 상기 장치에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가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블랙박스.
  22. 블랙박스 주소가 포함된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소정 주기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그랜드마스터(GM: GrandMaster);
    상기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상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메시지를 상기 블랙박스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차량 내 장치; 및
    상기 차량 내 장치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진단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블랙박스
    를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로 상태 정보 테이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진단 정보 테이블을 수신하는 진단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0089487A 2014-07-16 2014-07-16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487A KR101565345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E102014221678.8A DE102014221678A1 (de) 2014-07-16 2014-10-24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s Fahrtenschreiberdienstes zur Fahrzeugdiagnose unter Verwendung einer fahrzeuginternen Zeitsynchronisationsnachricht.
US14/526,383 US20160020863A1 (en) 2014-07-16 2014-10-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lack box service for vehicle diagnosis using in-vehicle time synchronization message
CN201410785646.5A CN105306517B (zh) 2014-07-16 2014-12-17 用车内时间同步报文提供车辆诊断黑盒服务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487A KR101565345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345B1 true KR101565345B1 (ko) 2015-11-03

Family

ID=5459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487A KR101565345B1 (ko) 2014-07-16 2014-07-16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20863A1 (ko)
KR (1) KR101565345B1 (ko)
CN (1) CN105306517B (ko)
DE (1) DE102014221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7305A1 (de) * 2014-05-23 2015-11-26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Parkassisten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6743763B2 (ja) * 2017-05-31 2020-08-19 株式会社デンソー 記録制御装置
US10666372B2 (en) * 2017-06-30 2020-05-26 Qualcomm Incorporated Precision time protocol over cellular
WO2020020936A1 (en) 2018-07-25 2020-01-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lock topology in an ethernet network
EP3624510A1 (en) * 2018-09-17 2020-03-18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end nodes
US11539452B2 (en) * 2021-06-01 2022-12-27 Ciena Corporation Signaling the distributed 1588v2 clock accuracy relative to UTC
CN114362874B (zh) * 2022-03-21 2022-08-12 北京国科天迅科技有限公司 主时钟设备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210659A1 (ja) * 2022-04-28 2023-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時刻同期システム、時刻検証装置、及び時刻検証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376B1 (ko) 2011-04-06 2011-12-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단말 및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8949B2 (ja) * 2007-02-07 2013-02-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ゲートウェイ装置
KR100876776B1 (ko) * 2007-04-17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gps 정보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 방법및 장치
DE102009000584A1 (de) * 2009-02-03 2010-08-05 Robert Bosch Gmbh Diagnose der Synchronisation zweier Kommunikationsnetzwerke eines elektronischen Datenverarbeitungssystems
DE112010003309B4 (de) * 2009-08-18 2016-03-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ommunikationssystem und Kommunikationsvorrichtungs-Zustandsbestimmungsverfahren
JP2011166501A (ja) * 2010-02-10 2011-08-25 Denso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8504864B2 (en) * 2010-12-01 2013-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ata sensor coordination using time synchronization in a multi-bus controller area network system
CN102546726B (zh) * 2010-12-31 2015-10-07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车载时间同步服务方法和系统
JP2013017104A (ja) * 2011-07-06 2013-01-24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
KR101720134B1 (ko) * 2011-12-21 201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스 브리지 장치
US20130227008A1 (en) * 2012-02-27 2013-08-29 Cisco Technology, Inc. Clock synchronization based on predefined grandmaster
JP5915379B2 (ja) * 2012-05-25 2016-05-11 富士通株式会社 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TWI551099B (zh) * 2013-01-22 2016-09-2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通信系統、主控端裝置與通信方法
AU2014229102A1 (en) * 2013-03-15 2015-10-01 Hayward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evice discovery and address assignment
JP5849990B2 (ja) * 2013-05-29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制御装置及び車載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376B1 (ko) 2011-04-06 2011-12-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단말 및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6517A (zh) 2016-02-03
US20160020863A1 (en) 2016-01-21
DE102014221678A1 (de) 2016-01-21
CN105306517B (zh)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345B1 (ko) 차량 내 시간 동기화 메시지를 이용한 차량 진단용 블랙박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6756B1 (ko) 리던던트 그랜드마스터를 이용한 차량 내 네트워크 시간 동기화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96759B1 (ko) 차량용 이더넷 통신망에서의 시간 동기화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61920B1 (ko) 차량의 시간 정보에 기초한 도메인의 시간 동기화 방법
KR102391798B1 (ko) 차량의 시간 정보에 기초한 도메인의 시간 동기화 방법
JP6567825B2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遅延公開
US20070177574A1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3188064A (zh) 时钟同步方法及装置
KR101589227B1 (ko) 차량용 이더넷 통신망에서의 카메라 셔터 동기화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9298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JP2008263584A (ja) 少なくとも1つの加入者局と少なくとも2つの基地局との間の通信方法
JP6555445B1 (ja) 時刻同期システム、タイムマスタ、管理マスタおよび時刻同期方法
KR101576050B1 (ko) 복수 노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5025513A (zh) 一种时隙状态维护方法和装置
CN109548056B (zh) 一种基于ros主从节点管理器的通信方法和系统
KR100605985B1 (ko) 동기화 이더넷 디바이스에서의 초기 접속 시그널링 방법
JP5457230B2 (ja) 保護継電装置、並びに電流差動保護継電装置
KR101489402B1 (ko)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시간 동기화 방법
KR101481132B1 (ko) 차량용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출력 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973264B1 (ko) PTP(precision time protocol) 시스템에서의 시간 동기 장애 복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5252B1 (ko)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5834003B (zh) 基于兼容实时同步的可定义以太网链路层冗余方法及装置
CN111478838B (zh) 一种高效高带宽的通信方法及系统
KR101947569B1 (ko)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그 노드 장치
KR100968269B1 (ko) 고장 허용 시간 동기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