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166B1 -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166B1
KR101565166B1 KR1020090089177A KR20090089177A KR101565166B1 KR 101565166 B1 KR101565166 B1 KR 101565166B1 KR 1020090089177 A KR1020090089177 A KR 1020090089177A KR 20090089177 A KR20090089177 A KR 20090089177A KR 101565166 B1 KR101565166 B1 KR 10156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adrest
hinge
c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780A (ko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8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1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60N2/824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60N2/82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using rubber-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는 헤드레스트(1)에 연결되어 시트프레임(40)쪽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동작동부(4)를 갖춤으로써, 시트 이동시 잠금해제되어 움직이는 시트록커(30)로부터 힘을 받아 당겨지거나 밀려질 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력을 이용해 헤드레스트(1)를 밑으로 내리거나 위로 올릴 수 있으므로, 별다른 조작없이 헤드레스트(1)를 착석자에 적합한 높이로 유지시키고, 헤드레스트(1)의 기본적인 목보호 성능을 최대로 구현하는 특징을 갖는다.
시트, 연동, 헤드레스트

Description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Seat linkage typed headrest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시트등받이 각도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와, 시트 전체를 전·후로 이동해 원하는 위치로 고정하는 시트록커등과 같은 편의장치를 설치한다.
또한, 차량 시트는 착석한 승객의 목부위를 받쳐 부상을 방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추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등받이에서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는 통상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낮추거나 또는 높이려면, 노브(Knob)로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헤드레스트를 잡고 힘을 가해 밑으로 내리거나 위로 올려줌으로써, 원하는 높이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 방식은 불편한 작업량을 요하므로, 실제적으로 불편하더라도 헤드레스트 조절작업을 꺼리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실정이 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조작 불편은 단순히 시트의 전후 이동을 통해 헤드레스트를 자신에게 맞추려는 조작을 선호하게 되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여성운전자의 경우 더욱 선호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기본적인 기능인 착석자의 목 보호 작용을 충분히 구현할 수 없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착석자의 시트 전·후 조정시 헤드레스트를 함께 연동시킴으로써, 시트 전방 이동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내리고 시트 후방이동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올려 별다른 조작없이 착석자에 맞춘 적절한 높이를 갖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이동과 무관하게 헤드레스트를 직접 조작하더라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장치가 시트 이동시 잠금해제되어 움직이는 시트록커(30)로부터 힘을 받아 당겨지거나 밀려나는 케이블(21)을 갖춘 연동조작부(20)와;
등받이를 이루는 시트프레임(40)쪽에 힌지축(9)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 되어, 상기 케이블(21)의 당김과 밀림에 따라 달라지는 회전방향으로 헤드레스트(1)쪽을 밑으로 내리거나 위로 올리도록 헤드레스트(1)에 연결된 연동작동부(4);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레스트(1)는 쿠션(2)을 결합한 한쌍의 파이프로드(3)의 잠금을 수동조작으로 해제하는 조절노브(2a)를 갖추어, 상기 조절노브(2a)의 조작시 상기 연동작동부(4)의 작동과 관계없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작동부(4)는 헤드레스트(1)를 고정한 고정판(5)과, 시트프레임(30)쪽에 힌지축(9)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21)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통해 회전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밑으로 내려가거나 위로 올라가는 이동으로 고정된 상기 고정판(5)을 움직여 주는 힌지체와, 상기 힌지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0)으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판(5)은 헤드레스트(1)를 이루는 한쌍의 파이프로드(3)를 고정한다.
상기 힌지체는 힌지축(K-K)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통해 밑으로 향하거나 위로 향하는 이동거리를 형성하도록 다수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힌지판(6)과, 상기 힌지판(6)의 힌지축(K-K)에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축(9)과, 상기 힌지 판(6)의 저면으로 덧대어져 힌지판(6)을 시트프레임(30)에 대해 떨어진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마운팅브래킷(7)과, 상기 힌지판(6)을 헤드레스트(1)를 이루는 한쌍의 파이프로드(3)를 결합한 고정판(5)과 고정시키는 고정축(8)으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축(8)과 힌지축(9)에는 각각에 결합된 부시(8a,9a)를 더 갖춘다.
상기 힌지판(6)은 회전중심인 힌지축(9)을 체결한 힌지고정단(6a)과, 상기 힌지고정단(6a)에 대해 높이차를 갖도록 다단 절곡되고, 회전중심에 대해 일정한 회전반경을 이루며, 고정축(8)으로 고정판(5)을 고정한 힌지연장단(6b)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0)을 고정하도록 상기 힌지고정단(6a)에서 연장된 스프링고정단(6c)과, 상기 힌지연장단(6b)의 끝단에서 높이차를 갖도록 하방향 절곡된 케이블고정단(6d)으로 형성해, 상기 힌지판(6)을 힌지축(9)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케이블(21)의 힘을 직접받도록 구성한다.
상기 리턴스프링(10)은 일단이 상기 힌지판(6)의 스프링고정단(6c)에 고정되고, 타단은 시트프레임(30)에 결합된 고정핀(11)을 이용해 고정된다.
상기 연동조작부(20)는 시트프레임(30)에서 시트쿠션쪽의 시트록커(30)까지 이어지는 케이블(21)과, 상기 케이블(21)의 끝단을 고정해 케이블(21)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도록 상기 시트록커(30)에서 연장된 연장돌기단(25)으로 구성한다.
상기 연동조작부(20)는 상기 케이블(21)의 경로에서 케이블(21)을 고정하는 제1·2케이블브래킷(22,23)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케이블브래킷(22)은 시트프레임(30)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케이블브래킷(23)은 시트레일(50)을 결합한 시트브래킷(24)쪽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전·후로 조정되는 시트에 연동되어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헤드레스트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없이 높이를 조절해 편리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의 전후 조절이 필요 없을 때 시트 이동과 무관하게 헤드레스트를 직접 조작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자의 신체 크기에 관계없이 최적으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맞추므로, 헤드레스트의 기본적인 목보호 성능을 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장치는 시트등받이를 이루는 시트프레임(40)의 위쪽에서 높낮이 조절 노브(2a)를 갖춘 헤드레스트(1)와, 상기 시트프레임(40)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에 힘을 가해 내리거나 올리는 연동조작부(20)와, 시트쿠션에 설치된 시트레일(5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동조작부(2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는 힘을 가하는 시트록커(30)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드레스트(1)는 목부위를 보호하도록 완충작용을 갖춘 쿠션(2)과, 고정된 상기 쿠션(2)을 시트등받이를 이루는 시트프레임(40)의 위쪽으로 노출시키고, 가해진 힘으로 위·아래로 이동되는 한쌍의 파이프로드(3)와, 상기 파이프로드(3)로부터 상기 쿠션(2)을 밑으로 내리거나 위로 잡아 뺄 수 있도록 상기 쿠션(2)에 대한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조절노브(2a)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1)가 조절노브(2a)를 갖추어 수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로서, 이는 상기 파이프로드(3)를 쿠션(2)이 고정된 로드와, 시트프레임(40)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를 끼운 중공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조절노브(2a)가 로드와 중공파이프를 함께 구속하고 구속을 해제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구현되며, 이러한 구조는 수동타입의 일반적인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연동작동부(4)는 헤드레스트(1)에 연결되어 시트프레임(40)쪽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시트 이동시 잠금해제 되어 움직이는 시트록커(30)로부터 힘을 받아 당겨지거나 밀려질 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력을 이용해 헤드레스트(1)를 밑으로 내리거나 위로 올려주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연동작동부(4)는 헤드레스트(1)를 이루는 한쌍의 파이프로드(3)를 고정한 고정판(5)과, 상기 고정판(5)에 고정되고 시트프레임(30)쪽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힌지체와, 상기 힌지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0)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판(5)은 한쌍의 파이프로드(3)를 고정하고, 시트프레임(30)의 양쪽으로 위치된 양끝단 부위를 절곡시킨 고정단(5a)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체는 힌지축(K-K)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통해 밑으로 향하거나 위로 향하는 이동거리를 형성하도록 다수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힌지판(6)과, 상기 힌지판(6)의 힌지축(K-K)에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축(9)과, 상기 힌지판(6)의 저면으로 덧대어져 힌지판(6)을 시트프레임(30)에 대해 떨어진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마운팅브래킷(7)과, 상기 힌지판(6)을 헤드레스트(1)를 이루는 한쌍의 파이프로드(3)를 결합한 고정판(5)과 고정시키는 고정축(8)으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축(8)과 힌지축(9)에는 각각 부시(8a,9a)를 결합한다.
상기 힌지판(6)은 회전중심인 힌지축(9)을 체결한 힌지고정단(6a)과, 상기 힌지고정단(6a)에 대해 높이차를 갖도록 다단 절곡되고, 회전중심에 대해 일정한 회전반경을 이루며, 고정축(8)으로 고정판(5)을 고정한 힌지연장단(6b)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0)을 고정하도록 상기 힌지고정단(6a)에서 연장된 스프링고정단(6c)과, 상기 힌지연장단(6b)의 끝단에서 높이차를 갖도록 하방향 절곡된 케이블고정단(6d)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고정단(6d)으로는 상기 힌지판(6)을 힌지축(9)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직접 작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턴스프링(10)은 일단이 상기 힌지판(6)의 스프링고정단(6c)에 고정되고, 타단은 시트프레임(30)에 결합된 고정핀(11)을 이용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힌지판(6)의 회전방향이 반 시계방향일 때 인장된 후, 상기 힌지판(6)에 연동조작부(20)를 통한 당김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힌지판(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조작부(20)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연동조작부(20)는 시트프레임(30)에서 시트쿠션쪽의 시트록커(30)까지 이어지는 케이블(21)과, 상기 케이블(21)의 경로에서 케이블(21)을 고정하는 제1·2케이블브래킷(22,23)과, 상기 케이블(21)의 끝단을 고정해 케이블(21)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도록 상기 시트록커(30)에서 연장된 연장돌기단(25)으로 구성한다.
상기 케이블(21)은 케이블피복재로 감싸이며, 한쪽 끝단은 케이블고정단(6d)을 매개로 연동작동부(4)를 이루는 힌지판(6)에 고정되고, 반대쪽 끝단은 시트록커(30)에서 연장된 연장돌기단(25)에 고정함으로써, 연동작동부(4)와 연동조작 부(20)사이를 이어준다.
상기 제1케이블브래킷(22)은 시트프레임(40)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케이블브래킷(23)은 시트레일(50)을 결합한 시트브래킷(24)쪽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장치는 헤드레스트(1)에 연결되어 시트프레임(40)쪽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동작동부(4)와, 시트 이동시 잠금해제되어 움직이는 시트록커(30)로부터 힘을 받아 당겨지거나 밀려나는 케이블(21)을 갖춘 연동조작부(20)로 구성함으로써, 착석자가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시트와 연동해 헤드레스트(1)의 높낮이도 함께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레스트장치를 구성하는 헤드레스트(1)를 수동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으며, 이는 조절노브(2a)를 조작해 파이프로드(3)와 쿠션(2)간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간단히 구현되고, 이러한 조작은 조절노브(2a)를 갖춘 수동 조작 헤드레스트의 일반적인 작동 방식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를 이용해 헤드레스트를 낮추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록커(30)의 잠금을 해제해 시트를 전방으로 밀어 시트레일(50)을 따라 시트록커(30)를 이동시키면, 상기 시트록커(30)의 연장돌기단(25)에 끝단이 고정된 케이블(21)이 당겨진다.
상기와 같이 당겨진 케이블(21)은 그 경로를 따라 시프프레임(40)쪽에 힌지축(9)을 매개로 설치된 힌지판(6)을 밑으로 잡아당기고, 잡아 당겨진 상기 힌지 판(6)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힌지판(6)의 반 시계방향 회전은 힌지판(6)에 고정핀(8)을 매개로 고정된 고정판(5)을 잡아당김으로써, 밑으로 내려가려는 하방향 힘이 헤드레스트(1)에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1)에 가해진 하방향 힘은 고정판(5)과 결합된 파이프로드(3)를 고정판(5)과 함께 밑으로 내리고, 이러한 상기 파이프로드(3)의 내려감으로 쿠션(2)도 함께 내려감으로써, 헤드레스트(1)의 높이가 낮추어진다.
이때, 상기 조작노브(2a)가 미 조작된 상태이므로, 조작노브(2a)와 쿠션(2) 및 파이프로드(3)가 일체로 내려간 상태로 헤드레스트(1)의 높이를 낮춘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1)의 높이를 낮출 때, 힌지축(9)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힌지판(6)에 고정된 리턴스프링(10)이 인장되고, 이러한 상기 리턴스프링(10)의 인장상태는 헤드레스트(1)의 높이 상승시 힌지판(6)의 회전을 도와주는 힘으로 작용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를 이용해 헤드레스트를 높이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록커(30)의 잠금을 해제해 시트를 후방으로 밀어 시트레일(50)을 따라 시트록커(30)를 이동시키면, 상기 시트록커(30)의 연장돌기단(25)에 끝단이 고정된 케이블(21)이 뒤로 밀려난다.
상기와 같이 뒤로 밀려난 케이블(21)은 그 끝단을 고정한 힌지판(6)을 미약하게 밀어줄 뿐이지만, 상기 힌지판(6)은 인장되었던 리턴스프링(10)의 초기 복귀 작용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뒤로 밀려난 케이블(21)이 상기 힌지판(6)에 큰 힘을 가하지 못하므로, 상기 힌지판(6)의 반 시계방향 회전시 인장되었던 리턴스프링(10)이 상기 케이블(21)의 반대쪽에서 힌지판(6)을 잡아 당겨준다.
상기와 같이 리턴스프링(10)에 의해 잡아당겨진 힌지판(6)은 힌지축(9)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상기 힌지판(6)의 시계방향 회전은 힌지판(6)에 고정핀(8)을 매개로 고정된 고정판(5)을 밀어냄으로써, 위로 올라가려는 상방향 힘이 헤드레스트(1)에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1)에 가해진 상방향 힘은 고정판(5)과 결합된 파이프로드(3)를 고정판(5)과 함께 위로 올리고, 이러한 상기 파이프로드(3)의 올라감으로 쿠션(2)도 함께 올라감으로써, 헤드레스트(1)의 높이가 상승된다.
이때, 상기 조작노브(2a)가 미 조작된 상태이므로, 조작노브(2a)와 쿠션(2) 및 파이프로드(3)가 일체로 내려간 상태로 헤드레스트(1)의 높이를 낮춘다.
상기와 같이 시트의 후방이동으로 케이블(21)의 당김력이 없는 경우, 시트으 전방이동시 인장되었던 리턴스프링(10)이 당겨주는 힘으로 힌지판(6)을 힌지축(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1)의 높이를 올려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를 이용해 헤드레스트를 낮추는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를 이용해 헤드레스트를 높이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레스트 2 : 쿠션
2a : 노브
3 : 파이프로드 4 : 연동작동부
5 : 고정판 5a : 고정단
6 : 힌지판 6a : 힌지고정단
6b : 힌지연장단 6c : 스프링고정단
6d : 케이블고정단 7 : 마운팅브래킷
8 : 고정축 8a,9a : 부시
9 : 힌지축 10 : 리턴스프링
11 : 고정핀 20 : 연동조작부
21 : 케이블 22,23 : 제1·2케이블브래킷
24 : 시트브래킷 25 : 연장돌기단
30 : 시트록커
K-K : 힌지축

Claims (12)

  1. 시트 이동시 잠금해제되어 움직이는 시트록커로부터 힘을 받아 당겨지거나 밀려나는 케이블을 갖춘 연동조작부와;
    등받이를 이루는 시트프레임쪽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당김과 밀림에 따라 달라지는 회전방향으로 헤드레스트쪽을 밑으로 내리거나 위로 올리도록 헤드레스트에 연결된 연동작동부;를 포함해 구성되고,
    상기 연동작동부는 헤드레스트를 고정한 고정판과, 시트프레임쪽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통해 회전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밑으로 내려가거나 위로 올라가는 이동으로 고정된 상기 고정판을 움직여 주는 힌지체와, 상기 힌지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는 쿠션을 결합한 한쌍의 파이프로드의 잠금을 수동조작으로 해제하는 조절노브를 갖추어, 상기 조절노브의 조작시 상기 연동작동부의 작동과 관계없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헤드레스트를 이루는 한쌍의 파이프로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통해 밑으로 향하거나 위로 향하는 이동거리를 형성하도록 다수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판의 저면으로 덧대어져 힌지판을 시트프레임에 대해 떨어진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힌지판을 헤드레스트를 이루는 한쌍의 파이프로드를 결합한 고정판과 고정시키는 고정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과 힌지축에는 각각에 결합된 부시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판은 회전중심인 힌지축을 체결한 힌지고정단과, 상기 힌지고정단에 대해 높이차를 갖도록 다단 절곡되고, 회전중심에 대해 일정한 회전반경을 이루며, 고정축으로 고정판을 고정한 힌지연장단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 리턴스프링을 고정하도록 상기 힌지고정단에서 연장된 스프링고정단과, 상기 힌지연장단의 끝단에서 높이차를 갖도록 하방향 절곡된 케이블고정단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단은 상기 힌지판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케이블의 힘을 직접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힌지판의 스프링고정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시트프레임에 결합된 고정핀을 이용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조작부는 시트프레임에서 시트쿠션쪽의 시트록 커까지 이어지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고정해 케이블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주도록 상기 시트록커에서 연장된 연장돌기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동조작부는 상기 케이블의 경로에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2케이블브래킷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브래킷은 시트프레임쪽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케이블브래킷은 시트레일을 결합한 시트브래킷쪽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KR1020090089177A 2009-09-21 2009-09-21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KR10156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177A KR101565166B1 (ko) 2009-09-21 2009-09-21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177A KR101565166B1 (ko) 2009-09-21 2009-09-21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780A KR20110031780A (ko) 2011-03-29
KR101565166B1 true KR101565166B1 (ko) 2015-11-02

Family

ID=4393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177A KR101565166B1 (ko) 2009-09-21 2009-09-21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72Y1 (ko) *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엑티브 헤드레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069A (ja) * 2003-11-21 2005-06-30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5304565A (ja) * 2004-04-16 2005-11-04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高さ調整装置
KR100774419B1 (ko)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용 헤드레스트 높이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069A (ja) * 2003-11-21 2005-06-30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5304565A (ja) * 2004-04-16 2005-11-04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高さ調整装置
KR100774419B1 (ko)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용 헤드레스트 높이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780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8625B1 (en) Seat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
JP419055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110316317A1 (en) Adjustable vehicle seat
JP6237465B2 (ja) 乗物用シート
JP3509715B2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およびこのようなスライドレールを有するシート
USRE40527E1 (en) Translatable head restraint for automotive seat backrest
US20170080831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motor vehicle seat
JP2004513821A (ja) 自動車のシート
US11027638B2 (en) Locking mechanisms for a foldable armrest for a seat of a vehicle
CN110654280A (zh) 机动车辆座椅
US8616625B2 (en) Seat headrest
US20100295355A1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JP6237467B2 (ja) 乗物用シート
JP4058546B2 (ja) 自動車シート
US6629730B2 (en) Seat displacement mechanism for a seat with tilting back
US8414054B2 (en) Tilt-mechanism-integrated suspension mechanism
JP2004526626A (ja) 原動機付き車両シート
KR101565166B1 (ko) 시트연동형 헤드레스트장치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KR101372108B1 (ko) 시트 높이 조절 연동형 슬라이딩 레버장치
CN112074434B (zh) 用于安装在机动车座椅上的儿童座椅
EP1964711A1 (en) A motor vehicle seat which is collapsible under the level of the motor vehicle floor
JP4784802B2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シート
JP3077073B2 (ja) 車両用シートの上下調節機構
KR102420607B1 (ko) 변위 조절식 콘솔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