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49B1 -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49B1
KR101564949B1 KR1020140065971A KR20140065971A KR101564949B1 KR 101564949 B1 KR101564949 B1 KR 101564949B1 KR 1020140065971 A KR1020140065971 A KR 1020140065971A KR 20140065971 A KR20140065971 A KR 20140065971A KR 101564949 B1 KR101564949 B1 KR 10156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gnetic force
height
bas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대엽
김대영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54Rests or supports for movable ship-born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0Magn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되지 않고 구조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철재판에 고정되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는 철재 지지판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조물을 지지하는 안착부, 베이스부와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안착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고정되며 자기력을 형성하여 철재 지지판에 부착되는 자기력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heavy material}
본 발명은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되지 않고 구조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철재판에 고정되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이다.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는 무거운 기자재들이 설치되면서, 기자재들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되도록 기자재를 들어 올리는 작업 즉, 리프팅 작업을 필요로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프팅 작업은 크게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바닥면에 일정 두께의 플레이트를 놓고, 그 위에 유압 램을 올려 놓아 유압 램의 승강조절을 통해 기자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또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파이프를 이용하여 임시적으로 기자재를 들어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프팅 작업은 크고 작은 여러 문제가 있다.
유압 램을 이용한 승강조절 방법은 유압 램에 용접 및 사상 등의 부가적인 작업등을 필요로 하게 되면서 작업 시간이 낭비되고, 작업의 전체적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지렛대를 이용한 방법은 작업자가 파이프를 이용해 기자재를 들어올린 후, 기자재 밑에 플레이트를 임시 적으로 받쳐 기자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기자재의 정확한 높이를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가 고안되고 있다. 일 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9800호는 철도레일 보수용 유압식 잭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균일한 힘으로 지속적인 높이 조절 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9800 (2007.08.16)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철재판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전복되지 않고 구조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는 철재 지지판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조물을 지지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고정되며 자기력을 형성하여 상기 철재 지지판에 부착되는 자기력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력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기력 고정부는 상기 철재 지지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접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자기력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접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철재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랙기어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랙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조정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 상기 구조물이 안착되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판은 상기 자기력 고정부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철재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중량물에 의해 쉽게 전복되지 않고 중량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철재 지지판(P)은 자기력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강철 또는 강철로 형성된 선박 바닥면의 일부이거나, 또는 바닥면의 전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높이 조절 장치(1)를 지지하면서,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와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는 전복되지 않고 구조물(G)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철재 지지판(P)에 자기력을 형성하여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에, 대상 구조물(G)의 정렬상태에 대응하여 일부분(후술할 자기력고정부, 슬라이더, 연장판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 확장되거나 위치가 변동되어 전복되지 않고 구조물(G)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는 철재 지지판에 지지 되는 베이스부(10), 베이스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구조물을 지지하는 안착부(20), 베이스부(10)와 안착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안착부(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30), 및 베이스부(10)의 일 측에 고정되며 자기력을 형성하여 철재 지지판(P)에 부착되는 자기력 고정부(40)를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장치(1)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10)는 철재 지지판(P)에 수직으로 지지 되도록 구조물의 높이조절 장치(1)의 기본적인 기초 지지대의 역할을 하며, 구동부(30)를 고정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0)는 제1 슬라이더부(11), 제2 슬라이더부(12), 및 제1 슬라이더부(11)와 제2 슬라이더부(12)를 조정하는 조정핸들(13)이 형성된 바닥부(10a)와, 바닥부(10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 되어 있는 직립부(10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10a)에 형성된 제1 슬라이더부(11)는 자기력 고정부(40)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 슬라이더부(12)는 조정핸들(13)의 작동에 의해 제1 슬라이더부(11)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철재 지지판(P)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더부(1)와 제2 슬라이더부(12)는 조정핸들(13)을 이용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부(11) 및 제2 슬라이더부(12)의 동작관계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직립부(10b)는 바닥부(10a)로부터 적정한 높이로 신장되어 구동부(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안착부(20)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부(10b)의 일측면에는 바닥부(10a)와 수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안착부(20)의 일측면에는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안착부(20)는 직립부(10b)로부터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0)와 안착부(20)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은 홈과 돌기의 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착부(20)가 베이스부(10)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안착부(20)는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부(20a) 및 수평부(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부(20a)는 전술한 직립부(10b)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동부(30)와 연결된다. 수직부(20a)의 상단부에는 파지부(21a)가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의 결합방식으로 견고하게 부착되어 사용자가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를 손쉽게 파지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21a)에는 사용자가 파지했을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 스폰지 등의 미끄럼 방지패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직부(20)의 하단부에는 수평부(20b)가 철재 지지판(P)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평부(20b)에는 수평부(20b)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장판(21b)이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20b)의 상측면 및 연장판(21b)의 상측면에는 구조물 및 받침부재 등 중량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중량물과 마찰력을 높이는 댐핑용 고무 등 미끄럼 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부(20b)에 슬라이딩 가능한 연장판(21b)이 형성됨으로써 연장판(21b)을 통해 연장된 수평부(20b)의 끝단부가 베이스부(10)의 끝단부 보다 더 바깥쪽으로 신장 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의 끝단부와 접하는 장애물(후술할 받침부재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이 존재하더라도, 구조물을 안착부(20)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베이스부(10) 및 안착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안착부(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30)는 유체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 일을 하는 액츄에이터 즉, 예를 들어, 피스톤을 포함하는 유압식 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관을 통해 펌프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작동 유체를 공급받도록 형성된 장치일 수 있다.
피스톤은 안착부(20)와 연결되어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안착부(20)를 승/하강 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자기력 고정부(40)는 철재 지지판(P)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베이스부(10)의 외측에 연결된다. 자기력 고정부(40)는 자력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자석을 포함하거나, 영구자석 및 영구자석의 자력을 차폐하는 철판 등의 차폐물질을 포함하는 기구가 될 수 있다. 영구자석과 차폐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차폐물질 사이에서 영구자석의 정렬상태를 변화시켜 자기력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방출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력 고정부(40)는 철재 지지판(P) 상에서 이동하면서, 자기력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철재 지지판(P)에 탈부착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와 같은 자기력 고정부(40)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예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자기력 고정부(40)는 도면상 정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자기력 고정부(40)가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철재 지지판(P)과의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직육면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이나 그 외 원통형상등 정형화되지 않은 다른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를 바닥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더부(11) 및 제2 슬라이더부(12)는 베이스부(10)에 접하면서 베이스부(1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 슬라이더부(11) 및 제2 슬라이더부(12)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랙기어(11a, 12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슬라이더부(11)의 랙기어(11a)와 제2 슬라이더부(12)의 랙기어(12a) 사이에 치합 되는 피니언기어(13a)가 형성된 조정핸들(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핸들(13)이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자기력 고정부(40)와 연결된 제1 슬라이더부(11)는 도면상의 좌측방향(화살표참조)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슬라이더부(12)는 도면상의 우측방향(화살표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정핸들(1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슬라이더부(11)는 반대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슬라이더부(12) 역시 반대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슬라이더부(11)와 제2 슬라이더부(12)는 조정핸들(13)의 회전에 대응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부(11)와 연결된 자기력 고정부(40)는 제2 슬라이더부(12)의 이동에 맞춰서 철재 지지판(도 1의 P 참조)과 접촉하는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특히, 피니언기어(13a)는 제1 슬라이더부(11)와 제2 슬라이더부(12) 사이에 개재되어 각각의 슬라이더부가 연동 되어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부(11)는 제2 슬라이더부(12)가 이동한 만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 슬리어부(11)와 연결된 자기력 고정부(40)는 반대편으로 이동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구조물의 작동도이다. 동작과정을 좀 더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약간 과장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의 안착부(20)는 구동부(30)의 작동에 연계되어 승강된다. 이 때, 수평부(20b)상에 연결된 연장판(21b)이 수평부(20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화살표 참조)하여 위치가 조정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력 고정부(40)와 제2 슬라이더부(11)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배열상태에 대응하여 연장판(21b), 자기력 고정부(40), 제2 슬라이더부(11)의 위치를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구조물 하부에 후술할 받침부재 등의 장애물이 있다 하더라도 이를 적절히 회피하여 자기력 고정부(40), 제2 슬라이더부(11)를 이용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연장판(21b)은 대상 구조물의 하부까지 도달하여 안정적으로 구조물을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요소들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는 철재 지지판(P)의 적정한 위치에 자기력을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구조물의 하중이 작용하는 안착부(20)의 위치가 지지해주는 베이스부(10)보다 외측에 있다 하여도 전복되지 않고 철재 지지판(P)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구조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가 철재 지지판(P)에 부착되어 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자석 고정부(40), 제1 슬라이더부(11), 제2 슬라이더부(12), 및 연장판(21b)이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의 (a)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가 구조물(G)에 인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구조물(G)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조물(G)은 H빔, I빔 등의 형상을 한 상 하단 돌출부(Ba, Bb)가 형성된 받침부재(B)에 얹혀져 정렬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도 구조물의 높이 조절장치(1)를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받침부재(B)의 상 하단 돌출부(Ba, Bb)의 길이가 같은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는 우선 도 5의 (a)와 같이 안착부(20)가 받침부재(B)의 상 하단 돌출부(Ba, Bb) 사이에 개재되면서도, 베이스부(10)의 끝단부가 받침부재(B)의 하단돌출부(Bb)에 접하는 위치에 지지 될 수 있다. 이 후, 자기력 고정부(40)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철재 지지판(P)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구동부(30)는 유압펌프 등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로 인해 안착부(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0)는 받침부재(B)의 상단돌출부(Ba)와 접하게 된다.
이로써,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는 안정된 자세로 견고하게 고정된 채, 전도되지 않고 받침부재(B) 및 받침부재(B)가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G)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의 자기력 고정부(40), 제1 슬라이더(11), 제2 슬라이더(12), 및 연장판(21b)이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구조물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의 (a)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가 구조물(G)에 인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의 작동에 의해 구조물(G)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구조물(G)은 H빔, I빔 등의 형상을 한 상/하단 돌출부(Ba, Bb)가 형성된 받침부재(B)에 얹혀져 정렬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도 구조물의 높이 조절장치(1)를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받침부재(B)는 상 하단 돌출부(Ba, Bb)의 돌출된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 즉, 하단돌출부(Bb)의 길이가 상단돌출부(Ba) 보다 길게 형성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6의 (a)와 같이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1)는 연장판(21b), 제2 슬라이더부(12), 제1 슬라이더부(11)에 연결된 자기력 고정부(4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신장되고,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0) 및 연장판(21b)이 받침부재(B)의 상하단 돌출부(Ba, Bb)의 사이에 개재되면서도, 베이스부(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된 제2 슬라이더부(12)의 끝단부가 받침부재(B)의 하단돌출부(Bb)에 접하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슬라이더부(12)와 자기력 고정부(40)의 위치변화에 의해 베이스부(10)가 확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연장판(21b)의 위치변화에 의해 안착부(20)가 확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이 다른 받침부재(B)에 대해서도 손쉽게 적용되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구조물 높이 조절장치(1)는 제2 슬라이더부(12)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자기력 고정부(40)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철재 지지판(P)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구동부(30)는 유압펌프 등으로 통해 공급되는 유체로 인해 안착부(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0)는 받침부재(B)의 상단돌출부(Ba)와 접하게 된다.
이로써,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높이 조절장치(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정된 자세로 견고하게 고정된 채, 전도되지 않고 받침부재(B) 및 받침부재(B)가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G)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예는 받침부재(B)위에 정렬된 구조물(G)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몇 가지 예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높이 조절장치(1)는 이와 다른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거나, 구비된 돌출부가 비대칭 형상이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지지구조가 적절히 형성될 수 없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히 제2 슬라이더부(12)와 자기력 고정부(40)의 위치를 변화시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연장부(21b)의 위치를 변화시켜 구조물(G)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10: 베이스부
10a: 바닥부 10b: 직립부
11: 제1 슬라이더부 11a, 12a: 랙기어
12: 제2 슬라이더부 13: 조정핸들
13a: 피니언기어 20: 안착부
20a: 수직부 20b: 수평부
21a: 파지부 21b: 연장판
30: 구동부 40: 자기력 고정부
41: 손잡이부 P: 철재 지지판
G: 구조물 B: 받침부재

Claims (7)

  1. 철재 지지판에 지지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랙기어가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조물을 지지하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고정되며 자기력을 형성하여 상기 철재 지지판에 부착되는 자기력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기력 고정부는 상기 철재 지지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베이스부에 접하여 상기 제2 슬라이더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구조물이 안착되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장판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은 상기 자기력 고정부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0140065971A 2014-05-30 2014-05-30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KR10156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71A KR101564949B1 (ko) 2014-05-30 2014-05-30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71A KR101564949B1 (ko) 2014-05-30 2014-05-30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949B1 true KR101564949B1 (ko) 2015-11-02

Family

ID=5459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71A KR101564949B1 (ko) 2014-05-30 2014-05-30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9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667A (ja) * 2011-08-09 2013-02-21 Seizo Ito ジャッキ装置
KR101323758B1 (ko) * 2011-10-11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667A (ja) * 2011-08-09 2013-02-21 Seizo Ito ジャッキ装置
KR101323758B1 (ko) * 2011-10-11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810B2 (ja) 溶接装置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KR100807793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판재 이송장치
US20220162814A1 (en) Side-Step Concrete Screeding Apparatus
JP2004308415A (ja) 重荷重の移動装置
KR101564949B1 (ko) 구조물의 높이 조절 장치
JP2013223910A (ja) 製缶構造物支持装置
KR102434531B1 (ko) 수중운동체용 압력용기 탑재장치
KR101564937B1 (ko) 중량체 설치장치 및 중량체 설치방법
JP5596503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JP2010265102A (ja) 門型クレーン
KR101682628B1 (ko) 사선 이동 쐐기를 이용한 교량 인상 장치
KR101588848B1 (ko) 타워 받침용 스키드
CN104014899A (zh) 磁力切割机升降导行装置
KR101682634B1 (ko) 이중쐐기를 이용한 교량 인상 장치
JP3150047U (ja) ジャッキ装置
JP4286206B2 (ja) ワーク支持装置
JP6812842B2 (ja) 搬送装置
JP6223728B2 (ja) 支持治具
CN203944973U (zh) 磁力切割机升降导行装置
KR100671779B1 (ko) 위치결정 스테이지
ATE501413T1 (de) Höhen- und neigungseinstellvorrichtung
KR20120026748A (ko)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
KR101091386B1 (ko)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CN208628183U (zh) 一种板材压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