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309B1 -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 Google Patents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309B1
KR101564309B1 KR1020140011110A KR20140011110A KR101564309B1 KR 101564309 B1 KR101564309 B1 KR 101564309B1 KR 1020140011110 A KR1020140011110 A KR 1020140011110A KR 20140011110 A KR20140011110 A KR 20140011110A KR 101564309 B1 KR101564309 B1 KR 10156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wer
panel
wor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450A (ko
Inventor
신의재
Original Assignee
신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의재 filed Critical 신의재
Priority to KR102014001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3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03Nailing or stapling machines provided with assemb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서랍을 가지고, 책상이나 테이블의 하단에서 이리저리 이동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을,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장 저렴한 비용을 들여 가장 튼튼한 서랍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밑판이나 상판과 좌, 우 측판을 먼저 일체화시키고, 가장 체결이 어려운 상판이나 밑판은 스크류가 아닌 타카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체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자, 작업대차를 통해서 연동할 수 있는 서랍장 수용공간인 작업공간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좌, 우 측판부중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간격을 좁히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에 끼인 서랍장 조립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작업판의 타카셋을 통해서 자동으로 상판이나 밑판과 측판 상단을 강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product method and unit of draw cabine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서랍을 가지고, 책상이나 테이블의 하단에서 이리저리 이동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을,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장 저렴한 비용을 들여 가장 튼튼한 서랍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판이나 밑판과 좌, 우 측판을 먼저 일체화시키고, 가장 체결이 어려운 상판이나 밑판은 스크류가 아닌 타카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체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자, 작업대차를 통해서 연동할 수 있는 서랍장 수용공간인 작업공간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좌, 우 측판부중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간격을 좁히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에 끼인 서랍장 조립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작업판의 타카셋을 통해서 자동으로 밑판과 측판을 강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이란 책상이나 테이블의 하단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설치한 상태에서 문구류나 물품들을 서랍의 내측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서랍장은 종래에는 책상에 체결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었지만,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책상에서 떼어내고, 별도의 가구와 같이 제작하고 있다.
서랍장은 내측에 문구류는 물론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는 것이 주요한 기능인데, 특히 요즘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추세에서는, 의복을 보관하는 기능상의 확대도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서랍장의 사용처는 증가되고 있고, 서랍장의 용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서, 다음과 같은 서랍장이 존재한다. 즉, 책상의 하단에 문구류 수납을 위한 서랍장, TV나 화분과 같이 물건을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서랍장, 의복을 보관하기 위한 서랍장 등 다양한 서랍장이 광범위하게 생산되고 있다.
요즘은 특히 더 많은 량의 서랍장이 생산을 요구받고 있는데, 그 제작방법에 많은 문제점이 있기에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많았다.
도시된 도 1(실용신안 등록 제20-409702호; 서랍장용 측판)과 도 2에는 종래 서랍장을 제작하고 있던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와 같이 서랍장(9)의 경우 밑판(1)과 좌, 우 측판(2, 3), 그리고 상판(5)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면판(4)이 타카 등을 이용하여 체결된다. 서랍장(9)에 별도로 제작된 서랍을 끼워 넣으면 모든 서랍장 제조공정이 완성된다. 서랍은 서랍장(9)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6)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정한 길이만큼 잡아 빼어 물건을 장착하고, 다시 밀어 보관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서랍장(9)의 제조방법에서 유의할 사항이 다음에 있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서랍장(9)의 경우 밑판(1)과 좌, 우 측판(2, 3)을 체결하고 나서 나머지 상판(5)이나 밑판(1)을 체결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실제로 도 2에서는 밑판(1)의 선 체결 후 상판(5)을 체결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모든 조립 과정 중 마지막 공정인 상판(5)을 조립체와 체결하는 공정이 가장 어렵다. 우선 측판(2, 3)의 좌우 양단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스크류(8)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하우징(7)을 삽입하는 공정이 추가된다. 그리고 상판(5)을 상기 측판(2, 3)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난 후에는 상기 상판(5)의 상단에서 스크류(8)를 끼워 하단의 측판(2)에 체결시킨 스크류하우징(7)의 내주면을 타고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술된 조립공정과는 달리 좌, 우 측판(2, 3)과 먼저 상판(5)을 선체결하고 나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1
"자로 조립된 조립체와 밑판(1)을 체결할 수도 있다. 즉, 선 조립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2
"자형 측판(2, 3)과 상판(5)의 조립체에 밑판(1)을 마지막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가장 어려운 공정이 밑판(1)을 조립체에 체결하는 공정이다.
이 작업과정은 사실 눈에 보기는 쉬워 보이지만, 아주 고도한 작업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를 실례로 설명한다. 먼저 측판(2, 3)은 항상 밑판(1)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된 상태로 체결되야 한다. 약간만 그 수직이 틀어지면 작은 토크에 의해서도 좌, 우 측판(2, 3)이 꺽여 체결이 해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욱이 상기 수직으로 세워진 측판(2, 3)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야 하고, 이 관통공에 끼워지는 스크류하우징(7)의 경우도 항상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상판(5)부터 관통될 스크류(8)가 정확하게 스크류 체결되야 만 한다.
틀어지는 작업이 발생되면 이 서랍장(9)은 사실상 불량이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모두 정확한 제 자리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면, 미관상에도 문제가 발생되면서 내구성이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게 타카를 통해서 좌, 우 측판(2, 3)과 상판(5)이나 밑판(1) 즉, 최후에 조립되야 하는 판을 타카로 동시에 체결하는 것이다. 이 공정을 통해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서랍을 가지고, 책상이나 테이블의 하단에서 이리저리 이동하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을,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가장 저렴한 비용을 들여 가장 튼튼한 서랍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판과 좌, 우 측판을 먼저 일체화시키고, 가장 체결이 어려운 밑판은 스크류가 아닌 타카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체결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자, 작업대차를 통해서 연동할 수 있는 서랍장 수용공간인 작업공간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좌, 우 측판부중 일측을 타측을 향하여 간격을 좁히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내측에 끼인 서랍장 조립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작업판의 타카셋을 통해서 자동으로 상판 또는 밑판과 측판 상단을 강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 제조방법은,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5041589030-pat00003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와 미체결된 상판(14)이나 밑판(11)을 제작유닛(100) 작업대차(20) 상부에 안착시키는 제1단계와; 작업대차(20)가 제작유닛(100)의 작업공간(31)으로 진입하면, 제작유닛(100)의 좌, 우 측판부(61, 66)가 그 간격을 좁혀, 서랍장 조립체(10)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며 잡아주는 제2단계와; 제작유닛(100)의 상단 작업판(47)이 하향하며, 일체로 이동하던 다수의 타카셋(51)으로 상기 상판(14)이나 밑판(11)과 좌, 우측판(12)의 상단에 타카를 발사하여 서랍장(19)을 완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랍장 제작유닛(100)은, 일정한 내부영역을 가지도록 기체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45),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승하강 실린더(46)를 통해서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판(47), 작업판(47)의 좌우측 하단으로 다수 개로 장착되는 타카셋(51) 및 상기 지지프레임(45)의 내측으로 작업공간(31)을 구분하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세워지는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로 이루어진 기체부(40);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하여 내부 작업공간(31)에 위치한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판부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평연동수단(70); 상기 작업공간(31)의 전방으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차(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5041589030-pat00004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에 상판(14)이나 밑판(11)을 타카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은, 일정한 내부영역을 가지도록 기체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45),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승하강 실린더(46)를 통해서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판(47), 작업판(47)의 좌우측 하단으로 다수 개로 장착되는 타카셋(51) 및 상기 지지프레임(45)의 내측으로 작업공간을 구분하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세워지는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로 이루어진 기체부(40);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하여 내부 작업공간(31)에 위치한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판부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평연동수단(70); 상기 작업공간(31)의 전방으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차(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5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에 상판(14)이나 밑판(11)을 타카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에 따른, 수평연동수단(70)은, 좌, 우측판부(61, 66)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세운 측판패널(71);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 측판패널(71)의 전방에 측판패널(71)과 수평되게 직립하는 밀착패널(72); 상기 측판패널(71) 후방에 체결되어 그 샤프트(73)가 측판패널(71)을 관통하고 전방의 밀착패널(72)에 샤프트결합되도록 한 다수의 수평연동실린더(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연동실린더(75)가 작동을 하면, 밀착패널(72)이 작업공간(31) 내측에 위치하는 서랍장 조립체(10)를 타측의 측판부에 밀착시켜 정확한 위치를 확보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밑판이나 상판의 좌우 양단부분에서 상승하는 측판을 세우고, 이렇게 조립된 조립체를 본 발명의 제작유닛의 내측 작업공간에 세우는 방식으로 작업공간의 좌, 우측판패널이 조립체를 견고하게 붙잡도록 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서는 작업판을 통해서 순간적이면서 동시에 타카를 체결하여 상판이나 밑판과 측판의 상단을 견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서랍장을 형성할 때, 체결이 가장 어려운 마지막판인 상판이나 밑판을 타카핀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그것도 동시에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타카셋을 작업판의 하단으로 배열한 후, 상판이나 밑판과 좌, 우 측판의 상단을 동시에 한 번에 체결하기에 틀어질 우려가 없이 정확한 작업이 한 번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서랍장에 대하여 특허청에 공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서랍장의 제작방법을 가장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서랍장 제작유닛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좌측판부가 우측으로 연동하여 서랍장 조립체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판이 하향하여 타카를 쏘기 위한 작업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서랍장 제작유닛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서랍장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서랍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순서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먼저 제1단계는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6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와 미체결된 상판(14)이나 밑판(11)을 제작유닛(100) 작업대차 (20)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즉, 종래나 일반적인 서랍장(19)은 도시된 도 7에서처럼 밑판(11), 좌, 우 측판(12), 상판(14) 및 후면판으로 이루어진다. 전면의 경우 서랍(18)이 끼워져야 하기에 개방부를 가진다. 결국 서랍장(19)은 밑판(11), 좌, 우 측판(12) 및 상판(14)이 체결되는 것이 당연한 공정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항상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 측판(12)이 먼저 체결되고, 상판(14)이나 밑판(11)은 나중에 본 발명의 제작유닛(100)의 내측 작업공간(31)에서 체결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방식이 가장 견고하면서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시된 도면에서는 모두 밑판(11)과 좌우 측판(12)이 선체결되어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 조립체에 상판(14)이 체결되는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먼저 좌, 우 측판(12)과 상판(14)을 조립하여 조립체를 형성하고 밑판(11)과 좌, 우 측판(12)을 타카로 일체로 조립하는 제조공정을 취해도 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의 공정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자인 좌, 우 측판과 밑판을 선 체결하여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 조립체에 상판을 타카로 체결하는 실시예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우, 작업공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먼저 종래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밑판(11)의 좌우 양단부분에서 상부로 직립하는 좌, 우 측판(12)을 세운다. 타카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스크류를 통해서 견고히 체결을 한다. 물론 "ㄱ"자형의 조립구를 사용하여 밑판(11)과 좌, 우 측판(12)을 세우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렇게 체결이 완성된 형태를 본 발명에서는 서랍장 조립체(10)라 칭한다.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7
"자로 체결된 상태의 서랍장 제조공정 중의 물품을 서랍장 조립체(10)라 한 것이다. 이 서랍장 조립체(10)는 한 번의 공정을 통해서 상판(14)이 조립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작유닛(100)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구성이 바로 작업대차(20)이다. 작업대차(20)는 전방과 후방으로 수평 연동될 수 있는 형태의 작업대차로서 제작유닛(100)의 전방으로 빠져있는 상태에서 작업대차(20)의 상부에 서랍장 조립체(10)를 안착시킨다. 이러한 간단한 동작만으로 본 발명의 서랍장 제작방법은 시작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2단계는 작업대차(20)가 제작유닛(100)의 작업공간(31)으로 진입하면, 제작유닛(100)의 좌, 우 측판부(61, 66)가 그 간격을 좁혀, 서랍장 조립체(10)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며 잡아주는 단계를 거친다.
전술된 단계에서 제작유닛(100)의 전방으로 빠져나온 작업대차(20)의 상부로 서랍장 조립체(10)를 안착시키면 상기 작업대차(20)가 제작유닛(100)의 기체부(40) 내측 작업공간(31)으로 조립체(10)를 끌고 들어간다. 기체의 내측으로 조립체(10)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작업대차(20)를 끌어당겨 작업공간(31)으로 유입시킨다. 이 후 본 발명의 좌, 우측판부(61, 66)이 간격을 좁혀 서랍장 조립체(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잡아주는 공정이 시작된다.
즉, 조립체(10)가 작업대차(20)를 통해서 작업공간(3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 조립체(10)는 정확한 작업의 위치를 확보한 것이 아니다. 타카를 펀칭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를 확보해야 정확한 체결이 달성된다. 바로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기체부(40)를 형성하는 좌, 우 측판부(61, 66)의 간격을 좁혀 사실상 좌, 우 측판부(61, 66)가 조립체(10)를 좌우방향에서 조여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이리저리 이동할 수 없도록 잡아주게 된다.
좌, 우측판부(61, 66)를 이용하여 조립체(40)를 잡아주는 작업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좌, 우 측판부(61, 66) 중 하나가 일측으로 수평 연동을 하면서 가운데의 조립체(10)를 일측으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잡고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3단계는 제작유닛(100)의 상단 작업판(47)이 하향하며, 일체로 이동하던 다수의 타카셋(51)으로 상기 상판(14)이나 밑판(11)과 좌, 우측판(12)의 상단에 타카를 발사하여 서랍장(19)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즉, 이미 좌, 우 측판부(61, 66)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과 흔들림이 차단된 조립체(10)는 그 상부에 상판(14)이 올라가 있는 상태이기에 직상부에 설치된 작업판(47)이 하향하여 타카를 이용하여 상판(14)과 측판(12)을 긴밀하게 체결한다.
제작유닛(100)의 상단 작업판(47)이 하향하면서, 작업판(47)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타카셋(51)이 상판(14)과 측판(12)을 타카작업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작방법을 사용하면, 조립체(10)를 작업대차(20)에 안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상판(14)과 측판(12)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설명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모두 좌, 우 측판(12)과 밑판(11)을 선체결하여 조립체(10)를 형성한 후,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8
"자형의 조립체(10) 좌, 우 측판(12) 상단에 상판(14)을 안착하고 상판(14)과 좌, 우, 측판(12)의 상단을 타카를 이용하여 동시에 체결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판(14)과 좌, 우 측판(12)을 먼저 체결하여 조립체(10)를 형성하고, 조립된 조립체(10)의 상단에 타카를 이용하여 밑판(11)을 체결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서랍장 제작유닛(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작유닛(100)은, 일정한 내부영역을 가지도록 기체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45),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승하강 실린더(46)를 통해서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판(47), 작업판(47)의 좌우측 하단으로 다수 개로 장착되는 타카셋(51) 및 상기 지지프레임(45)의 내측으로 작업공간(31)을 구분하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세워지는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로 이루어진 기체부(40)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하여 내부 작업공간(31)에 위치한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판부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평연동수단(70)이 있고, 상기 작업공간(31)의 전방으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차(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09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에 상판(14)이나 밑판(11)을 타카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전술된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작방법은 밑판(11)과 좌, 우 측판(12)이 결합된 서랍장 조립체(10)를 작업대차(20)에 올려놓으면, 바로 작업대차(20)가 작업공간(31)으로 끌고 들어가고, 상부의 작업판(47)이 하단으로 하향하여 상판(14)과 측판(12)을 타카로 체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작업방법을 위한 제작유닛(100)의 구성은 도시된 도 3 내지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제작유닛(100)을 통해서 본 발명의 작업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밑판(11)과 좌, 우 측판(12)이 체결된 조립체(10)를 작업대차(20)의 상면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상기 조립체(10)의 상부에 상판(14)을 올려놓게 된다. 이후, 별도로 마련된 조작스위치를 가압하면 상기 작업대차(20)는 후방으로 끌려가면서 작업공간(31)의 내측으로 조립체(10)를 위치시킨다. 작업대차(20)는 도시된 것처럼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작동되는데, 전후방 연동실린더(21)는 상기 조작스위치를 가압하면 그 샤프트를 연장하고 줄이는 과정을 거치며, 서랍장 조립체(10)를 작업공간(31)으로 유입시킨다.
다시 설명한다. 먼저 작업대차(20)의 상부에 조립체(10)가 올려지고, 조작스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연장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는 그 샤프트(22)를 줄이게 된다. 4개의 지지프레임(45)으로 기체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제작유닛(100)은 후면 부분에 체결된 전후방 연동실린더(21)에 의해서 작업대차(20)가 전후방향으로 연동을 한다. 전후방 연동실린더(21)의 샤프트(22)가 그 축을 연장하면 작업대차(20)는 기체의 외부로 빠져나오고, 그 상부에 서랍장 조립체(10)를 올리기 편하도록 한다. 그후 전후방 연동실린더(21)가 조작스위치를 통해서 그 샤프트(22)를 접게 되면,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의 사이 공간인 작업공간(31)으로 작업대차(20)는 이동한다. 작업대차(20)의 첫단에는 도시된 도 3에서와 같이 대차기준판(24)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프레임(45)을 연결하는 별도의 스톱퍼패널(25)이 있기에 상기 작업대차(20)가 후방으로 밀려나는 위치는 항상 고정된 위치를 가진다. 결국 작업자는 밑판(11)과 측판(12)을 미리 조립한 상태에서 대차기준판에 밀착시키고, 상기 작업대차(20) 위에 올리는 작업만을 통해서 본 발명은 시작된다.
이후, 상기 조립체(10)의 상부에 서랍장 상판(14)을 올리게 되면, 상기 좌측판부(61)나 우측판부(66)가 좌우 방향으로 연동하여 사이에 끼인 서랍장 조립체(10)를 정위치로 고정시키면서 잡아주게 된다. 즉,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으로 밀어 주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좌측판부(61)가 우측방향으로 연동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는데, 우측판부(66)가 좌측방향으로 연동하여도 무방하다.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조립체(10)가 작업대차(20)에 올라오고 작업공간(31)에 들어오게 되면, 상기 좌측판부(61)가 우측으로 연동하여 조립체(10)를 우측판부(66)에 밀착시키게 된다. 조립체(10)의 고정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작업인 타카 작업에서 이리저리 흔들리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를 제거하기 위해서 좌측판부(61)는 조립체(10)를 가압하여 우측판부(66)와의 사이에 밀착시키고 정확한 위치를 확보한다.
이후 작업자가 또 다른 스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고정되는 작업판(47)이 작동하여 타카작업을 수행한다. 즉, 지지프레임(45)의 상부로는 도시된 승하강 실린더(46)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46)의 샤프트단에는 작업판(47)이 고정된 상태이다. 작업판(47)에는 하향하는 상태로 다수의 타카셋(51)이 고정되는데, 작업판(47)이 하향할 때에 상기 조립체(10)의 측판(12) 상단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판(47)은 도 5에서 처럼 상판(14)이 안착된 조립체(10)의 직상부에 보다 정확하게는 좌우 측판(12)의 직상부에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하향을 한다. 본 발명의 도시된 도면에서는 좌 측판(12)의 상부에 5개의 타카셋(51)이 우 측판(12)의 상부에 5개의 타카셋(51)이 설치된 작업판(47)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랍장(19)의 종류에 따라서 5개 이상의 타카셋(51)을 설치할 수도 있고, 그 이하의 타카셋(51)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이 작업판(47)과 동일한 거리로 하향하던 타카셋(51)은 그 끝단의 팁이 상판(14)에 밀착되고 끝단 팁이 가압되면 고속으로 타카핀(17)을 발사한다. 강한 힘으로 타카핀(17)이 상판(14)을 뚫고 측판(12)의 상면을 파고 들면 아주 간단하게 측판(12)과 상판(14)이 결합되는 것이다.
종래의 서랍장(19)의 경우 상판(14)을 측판(12)의 상단에 체결하는 과정에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아주 간단하게 서랍장(19)을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이 정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것처럼, 서랍장(19)을 조립하는 방법, 제작방법만이 그 특징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서랍장(19)을 아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제작유닛(100)에도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제작유닛(100)을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내부영역을 가지도록 기체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45),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승하강 실린더(46)를 통해서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판(47), 작업판(47)의 좌우측 하단으로 다수 개로 장착되는 타카셋(51) 및 상기 지지프레임(45)의 내측으로 작업공간을 구분하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세워지는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로 이루어진 기체부(40)가 있다. 또한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하여 내부 작업공간(31)에 위치한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판부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평연동수단(70)이 있고, 상기 작업공간(31)의 전방으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차(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10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에 상판(14)이나 밑판(11)을 타카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술된 제작방법의 설명에서처럼, 서랍장(19)의 상판(14)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먼저 밑판(11)과 좌, 우 측판(12)을 조립하고 난 후, 좌우 측판(12)의 상부에 상판(14)을 체결하되, 스크류가 아닌 타카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하는 제작유닛(100)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먼저 작업대차(20), 작업판(47), 기체부(40), 수평연동수단(70)이 갖추어져 있는데, 전술된 설명에서 이미 어느 정도의 설명이 있었기에 다음에는 간략하게 그 구성과 작동만 설명한다.
작업대차(20)는 작업대차(20)의 상단에 조립체(1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고 전후방으로 연동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작업대차(20)의 하단으로는 다수의 케스터(23)를 고정하고, 작업대차(20)의 첫 단에는 수직으로 상승하는 대차기준판(24)을 형성한다. 이 대차기준판(24)은 지지프레임(45)을 연결하는 별도의 스톱퍼패널(25)과 대응하여 작업대차(20)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후방 연동실린더(21)가 그 샤프트(22)를 뻗으면 작업대차(2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서랍장 조립체(10)를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위치를 갖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만일 전후방 연동실린더(21)가 그 샤프트를 접으면 작업대차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작업공간(31)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이때 들어가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작업대차(20)의 첫 단에는 대차기준판(24)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45)에는 스톱퍼패널(25)이 형성된다. 대차기준판(24)이 스톱퍼패널(25)에 밀착되면 샤프트(22)가 그 길이를 축소한 최대의 위치가 된다. 바로 이 위치를 확보함으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작업대차(20)의 작업이 끝나면, 수평연동수단(70)이 작업공간(31) 내측의 서랍장 조립체(10)를 안전하게 잡아주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가 그 사이에 낀 조립체(10)를 잡아주는 것이다. 그 작동의 방식은 좌측판부(61)나 우측판부(66)가 타측의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내측에 끼인 조립체(10)를 강하게 잡아주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좌측판부(61)가 우측판부(66)를 향하여 연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사실상 우측판부(61)가 좌측판부(66)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한 실시형태를 도시된 도 4를 통해서 살펴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평연동수단(70)은, 좌, 우측판부(61, 66)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세운 측판패널(71)이 있고,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 측판패널(71)의 전방에 측판패널(71)과 수평되게 직립하는 밀착패널(72)이 있으며, 상기 측판패널(71) 후방에 체결되어 그 샤프트(73)가 측판패널(71)을 관통하고 전방의 밀착패널(72)에 샤프트결합되도록 한 다수의 수평연동실린더(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연동실린더(75)가 작동을 하면, 밀착패널(72)이 작업공간(31) 내측에 위치하는 서랍장 조립체(10)를 타측의 측판부에 밀착시켜 정확한 위치를 확보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좌측판부(61)가 연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는 서랍장 조립체(10)의 측판(12)과 마주하는 측판패널(71)을 가진다. 이 측판패널(71)은 항상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 4에서 보이는 좌측판부(61)는 상기 측판패널(71)의 전방에 밀착되는 밀착패널(72)을 가진다. 이 밀착패널(72)은 측판패널(71)의 후방에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연동실린더(75)의 샤프트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측판패널(71)에 고정된 수평연동실린더(75)가 그 샤프트를 뻗으면 밀착패널(72)이 그 길이만큼 우측판부(66)를 향하여 이동을 한다. 바로 이 힘이 조립체(10)를 가압하게 된다.
작업공간(31)에 끼인 조립체(10)를 향하여, 특히 좌측판부(61)의 밀착패널(72)이 우측판부(66)를 향하여 근접하게 되면, 사이에 끼인 조립체(10)를 밀어 우측의 측판패널(71)에 밀착시킨다. 실질적으로 밀착패널(72)과 우측판부(66)의 측판패널(71)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가압하게 된다. 조립체(10)는 상판(14)을 올린 상태에서 이리저리 이동이 차단되면서 정위치를 확보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작업판(47)은 도시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작업판(47)의 하단으로 결합된 다수의 타카셋(51)이 작업판(47)의 하향과 함께 하향하면서 상판(14)과 측판(12)을 체결시킨다. 작업판(47)은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고정되는 승하강 실린더(46)의 샤프트에 체결되기에 작동스위치를 가압하면 샤프트가 연동을 한다. 조립체(10)가 작업공간(31)의 내측에 끼인 상태에서 작업판(47)이 하향하게 되면, 타카셋(51)도 동일한 거리만큼 하향한다.
이때 상기 타카셋(51)은 조립체(10)의 좌우 측판(12) 직상부에 그 팁을 위치시킨 상태로 하향한다. 측판(12)의 상단에는 상판(14)이 올려진 상태이기에 작업판(47)이 하향을 하면 타카셋(51)은 상판(14)과 밀착된다. 정확하게는 측판(12)의 직상부 상판(14) 상면에 밀착되면서 타카핀(17)을 발사하여 상판(14)과 측판(12)을 결합시킨다.
한번에 다수 개의 타카핀(17)이 동시에 상판(14)과 측판(12)을 체결하기에 견고하면서도, 정확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미 조립체(10)는 작업공간(31)내에서 정확한 위치를 확보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기에 작업판(47)의 작업은 항상 정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작유닛(100)은 보다 정확하고, 견고한 상판(14)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앞선 설명에서 처럼 본 발명은 조립체(10)에 마지막에 장착하는 상판(14)이나 밑판(11)의 체결방식에 그 특징이 있다. 전술된 설명과는 역 순으로 좌, 우 측판(12)과 상판(14)을 먼저 체결하여 본 발명의 제작유닛(100)을 통해서 조립체(10)의 좌, 우 측판(12)과 밑판(11)을 타카로 동시에 체결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을 통해서 서랍장을 제조하게 되면, 보다 빠른 속도로 비용을 절감하며, 견고한 서랍장(19)를 완성할 수 있다.
11; 밑판 12; 측판
14; 상판 20; 작업대차
31; 작업공간 40; 기체부
45; 지지프레임 46; 승하강 실린더
47; 작업판 61; 좌측판부
66; 우측판부 70; 수평연동수단
71; 측판패널 72; 밀착패널
73; 샤프트 75; 수평연동실린더

Claims (4)

  1. 서랍장 제조방법에 있어서,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5041589030-pat00011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와 미체결된 상판(14)이나 밑판(11)을 제작유닛(100) 작업대차(20) 상부에 안착시키는 제1단계와; 작업대차(20)가 제작유닛(100)의 작업공간(31)으로 진입하면, 제작유닛(100)의 좌, 우측판부(61, 66)가 그 간격을 좁혀, 서랍장 조립체(10)를 정위치에 위치시키며 잡아주는 제2단계와; 제작유닛(100)의 상단 작업판(47)이 하향하며, 일체로 이동하던 다수의 타카셋(51)으로 상기 상판(14)이나 밑판(11)과 좌, 우측판(12)의 상단에 타카를 발사하여 서랍장(19)을 완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랍장 제작유닛(100)은,
    일정한 내부영역을 가지도록 기체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45),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승하강 실린더(46)를 통해서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판(47), 작업판(47)의 좌우측 하단으로 다수 개로 장착되는 타카셋(51) 및 상기 지지프레임(45)의 내측으로 작업공간(31)을 구분하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세워지는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로 이루어진 기체부(40);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하여 내부 작업공간(31)에 위치한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판부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평연동수단(70);
    상기 작업공간(31)의 전방으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차(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5041589030-pat00012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에 상판(14)이나 밑판(11)을 타카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제작방법.
  2. 삭제
  3.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에 있어서,
    일정한 내부영역을 가지도록 기체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프레임(45), 지지프레임(45)의 상단에 승하강 실린더(46)를 통해서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판(47), 작업판(47)의 좌우측 하단으로 다수 개로 장착되는 타카셋(51) 및 상기 지지프레임(45)의 내측으로 작업공간을 구분하도록 좌측과 우측으로 세워지는 좌측판부(61)와 우측판부(66)로 이루어진 기체부(40);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연동을 하여 내부 작업공간(31)에 위치한 서랍장 조립체(10)를 일측판부로 밀어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수평연동수단(70);
    상기 작업공간(31)의 전방으로 전후방 연동실린더(21)를 통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차(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밑판(11)이나 상판(14)과 좌, 우측판(12)이 조립된 "
    Figure 112014009638511-pat00013
    "자형 서랍장 조립체(10)에 상판(14)이나 밑판(11)을 타카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수평연동수단(70)은,
    좌, 우측판부(61, 66)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세운 측판패널(71);
    상기 좌, 우측판부(61, 66) 중 일측 측판패널(71)의 전방에 측판패널(71)과 수평되게 직립하는 밀착패널(72);
    상기 측판패널(71) 후방에 체결되어 그 샤프트(73)가 측판패널(71)을 관통하고 전방의 밀착패널(72)에 샤프트결합되도록 한 다수의 수평연동실린더(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연동실린더(75)가 작동을 하면, 밀착패널(72)이 작업공간(31) 내측에 위치하는 서랍장 조립체(10)를 타측의 측판부에 밀착시켜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KR1020140011110A 2014-01-29 2014-01-29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KR10156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110A KR101564309B1 (ko) 2014-01-29 2014-01-29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110A KR101564309B1 (ko) 2014-01-29 2014-01-29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450A KR20150090450A (ko) 2015-08-06
KR101564309B1 true KR101564309B1 (ko) 2015-10-29

Family

ID=5388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110A KR101564309B1 (ko) 2014-01-29 2014-01-29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6079B (zh) * 2015-10-26 2017-11-03 江苏百代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地板芯板切槽机构
CN114633328B (zh) * 2022-04-12 2023-03-14 福建省银泰林业开发有限公司 盒子自动化打钉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450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506B1 (ko) 적재대
KR101564309B1 (ko) 서랍장 제작방법과 서랍장 제작을 위한 제작유닛
US3854783A (en) An arranging shelf
CN1870924B (zh) 烤架的底板组件
CN207141673U (zh) 一种卡扣式组合包装箱的异型材组合结构
KR101356778B1 (ko) 받침다리 절첩장치
JPS5940445B2 (ja) モジユ−ル式家具
KR101643359B1 (ko) 조립식 책상
KR200479533Y1 (ko) 캠핑 테이블
KR101848083B1 (ko) 중간대를 구비한 중공문짝
KR101400418B1 (ko) 수장고용 수납장
JP3211724U (ja) 組み立て式のラック
CN206898143U (zh) 一种用于汽车中柱板两侧方向相反包边机构
US20050023942A1 (en) Steel cabinet drawer file
JP3074429U (ja) 可動式キャビネット
KR20150136803A (ko) 조립식 가구
CN205871893U (zh) 一种用于轮式运输车车厢的多功能折叠尾梯
CN208972861U (zh) 密集架
TW202005571A (zh) 置物架及置物架組合裝置
USD1022666S1 (en) Mounting device for floor panels
CN104000386A (zh) 面板调高器
KR200418551Y1 (ko) 분리형 작업대
CN208740406U (zh) 一种可变床的座椅
KR100489752B1 (ko) 철제가구의 서랍 조립구조
JP3113051U (ja) チェ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