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979B1 -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979B1
KR101562979B1 KR1020140141453A KR20140141453A KR101562979B1 KR 101562979 B1 KR101562979 B1 KR 101562979B1 KR 1020140141453 A KR1020140141453 A KR 1020140141453A KR 20140141453 A KR20140141453 A KR 20140141453A KR 101562979 B1 KR101562979 B1 KR 10156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moving object
support
optical sensor
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14014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근이 감지되는 조류 또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레이저를 방출하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판단결과,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방출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저를 움직이는 물체쪽으로 방출하는 레이저방출기; 및 구성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다. 레이저방출기는 광센서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될 수도 있고, 방향 변경을 위하여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이저방출기는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방출 거리가 조절된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Bird and animal subjug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접근이 감지되는 조류 또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레이저를 방출함으로써 장치의 동작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용 장치로는 한국특허등록제10-1373698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지역의 지면이나 바닥면에 견고하게 상기 지지대(110)를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지대(11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몸체(130)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기 고정구(131)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30)가 지면을 향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30)에는 상기 회전몸체(160)가 삽입 설치되되 그 일부가 상기 고정몸체(13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나머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160)가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상기 레이저모듈(170)이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60)의 하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슬립링(150)이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슬립링(150)을 통해 레이저모듈(170)로도 전원이 인가되면서 레이저가 방출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가 구동되면 구동축(121)에 연결된 감속기(140)가 회전된다. 감속기(140)가 회전되면 이와 연결 고정되는 회전몸체(160)가 회전되면서 그 외부측에 구비된 레이저모듈(170)도 회전되면서 레이저가 전방향으로 방출된다.
그러면 유해조류나 야생동물이 전방향으로 방출되는 레이저에 의해 시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접근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는, 조류의 접근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사방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전원의 소모가 심하고, 조류가 항상 사방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류 퇴치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한국특허등록제10-1373698호
본 발명은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접근방향을 판단하고, 그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여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추가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이저를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방출하거나, 조류 또는 야생동물 접근 감지시에도 레이저 방출 거리 조절 또는 간헐적 방출에 의해 전원소모를 방지할 있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판단결과,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방출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저를 움직이는 물체쪽으로 방출하는 레이저방출기;구성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센서와 레이저방출기는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이저방출기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이저방출기는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방출 거리가 조절된 레이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부는 태양전지 또는 배터리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따르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접근방향을 판단하고, 그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여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추가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조류 또는 야생동물 접근시에만 레이저를 방출하거나 레이저 방출 거리 조절 또는 간헐적 방출에 의해 전원소모를 방지하여 장치의 동작시간을 최대한 연장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조류 또는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과수용 조류 퇴치장치의 기구적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작물용 조류 퇴치장치의 기구적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의 기구적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방출기의 회전 동작 원리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방출 거리 조절 원리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움직이는 물체와 지지대간의 거리에 따른 레이저 방출 거리 조절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방향 감지에 따른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과수용 조류 퇴치장치의 기구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빔 발생수단으로는 레이저방출기(10)를 사용하며, 레이저방출기(10)는 4 방향으로 레이저 방출이 가능하도록 총 4 개가 지지대(50)의 최상단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 개수는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상기 레이저방출기(10)는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어 일방향으로부터 조류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레이저방출기만 구동하면 되며, 쌍방향 혹은 다방향으로부터 조류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각각의 레이저방출기를 동시에 구동하면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방출기는 설치방향을 고정하지 않고 회전식으로 구성하여도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총 4 개의 레이저방출기 설치가 필요없게 된다. 즉 1개의 레이저방출기만 설치된 상태에서 조류가 접근하는 방향이 판단되면, 해당하는 방향으로 레이저방출기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방출기는 동일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20)와 각각 쌍을 이루어 동작할 수 있다. 즉 동서남북 4 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방출기 중 임의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방출기가 구동되는 조건은, 구동되어야 할 레이저방출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에 의해 조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가 되는 것이다.
동쪽 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방출기는 역시 동쪽 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 서쪽 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방출기는 역시 서쪽 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 남쪽 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방출기는 역시 남쪽 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 북쪽 방향으로 설치된 레이저방출기는 역시 북쪽 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와 각각 쌍을 이루어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레이저방출기가 동시에 구동되는 조건은, 역시 복수 개의 광센서에 의해 복수 방향으로부터 조류가 접근하는 경우일 것이다.
본 발명의 조류 또는 야생동물 퇴치용 레이저 방출장치에 있어서, 조류 또는 야생동물 접근 감지수단으로는 상기 광센서(20)를 사용한다. 광센서(20)는 빛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로, 이러한 장치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광센서(20)는 지지대의 적절한 위치에 4 방향에서 조류 접근을 감지하도록 4 개로 구성된다.
광센서(20)도 상기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사용하면 되므로 1 개만 구성해도 될 것이다.
상기 광센서(20)는 거리감지용 초음파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초음파센서로 대체 구성된다면, 접근하는 조류 또는 야생동물과 지지대간의 거리 판단이 가능한바, 이러한 판단은 레이저방출기를 통해 방출되는 레이저의 방출거리를 조절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가 접근한 거리에 따라 레이저 방출거리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 접근하는 조류 또는 야생동물간의 거리가 L1이라면 매우 가까이 접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레이저방출기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방출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 접근하는 조류 또는 야생동물간의 거리가 L2라면 아직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레이저방출기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방출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는 식으로, 지지대와 조류 또는 야생동물간의 접근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레이저 방출거리를 조절하되, 조류 또는 야생동물 퇴치는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지지대로의 접근 거리에 따라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퇴치용 레이저 방출거리는 예를 들어 1미터 변화시마다 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전원수단으로는 태양전지(30)를 사용하며, 지지대(50)의 소정부분에 설치된 태양광 집광판을 통해 태양광을 집광하면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2의 장치는 과수가 주로 키가 크고, 조류가 주로 과수의 상단부로 접근하는 것을 감안하여 최상단부에 레이저방출기(10)를 구성하고, 그 하부에 과수 사이에서 햇빛을 받아 충전이 가능하도록 태양전지(30)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흐린날, 비오는 날 등 태양전지의 사용이 불가능한 날씨 등을 감안하여 배터리 등의 직류전원(40)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레이저방출기(10), 광센서(20), 태양전지(30) 및 배터리(40)는 지지대(50)의 소정부분에 설치된 컨트롤러(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봇대와 유사한 지지대(50)상에 구성되며, 지지대(50)는 고정용 볼트(51)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대(50)의 내부에 또 다른 지지대(도시 생략)가 구성되고, 내부에 구성된 지지대는 볼트 삽입용 홀(도시 생략)만 형성되어 있을 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에 구성된 지지대(50)만 위 아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내부 지지대에 형성된 볼트 삽입용 홀에 대응하여 형성된 볼트 삽입용 홀을 통해 외부 지지대를 내부 지지재와 결합하는 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 지지대(50)가 내부 지지대에 대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내부 지지대의 외주면과 외부 지지대(50)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 간극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작물용 조류 퇴치장치의 기구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의 장치에 있어서, 작물은 주로 지면에 근접하여 자라는 것으로 키가 과수에 비해 작고, 조류가 작물의 상단부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안하여 태양전지(30)를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최상단에 배치하고, 그 하부에 레이저방출기(10)를 구성한다.
그 외 다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의 기구적인 구조도이다.
도 4의 장치에 있어서, 야생동물은 조류와는 달리 공중에서 날아다니지 못하는 점을 감안하여 조류 퇴치용 레이저방출기(10)는 지지대(50)의 최상단에 구성하고, 야생동물 퇴치용 레이저방출기(15)는 컨트롤러(60)의 하부에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동물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 다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본 발명의 구성인 레이저방출기(10)(15), 광센서(20), 태양전지(30) 및 배터리(4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광센서(20)에 의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이를 토대로 레이저방출기구동제어부(11)를 제어하여 레이저를 방출토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설치된 레이저방출기(10)와 광센서(20)가 각각 한 쌍을 이루어 동작하도록 한다.
그러나 레이저방출기(10)(15)가 지지대(50)에 예를 들어 1개 설치되었을 때, 광센서(20)의 감지신호에 따라 레이저방출기(10)(15)를 회전시켜 조류 또는 야생동물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레이저를 방출토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레이저방출기(10)(15)가 최초 향하는 방향이 동쪽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남쪽, 서쪽 및 북쪽으로 4 방향을 정하기로 한다.
광센서(20)가 실시간으로 조류의 접근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서쪽에서 조류가 접근하는 것으로 광센서(20)에 의해 감지되면, 레이저방출기(10)(15)는 좌 또는 우로 180도 회전해야 하므로 레이저방출기 회전 구동수단(모터, M)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레이저방출기를 180도 회전시켜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북쪽에서 조류가 접근하는 것으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레이저방출기(10)(15)는 좌로 90ㅀ회전 또는 우로 270ㅀ 회전해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회전의 효율성을 위하여 좌로 90ㅀ회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레이저방출기 회전 구동수단은 통상적인 모터(M)를 이용하며, 회전수에 대응하여 회전 각도를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미리 메모리(70)에 저장 관리된다. 또한 레이저방출기의 좌 또는 우회전은 모터(M)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다.(S1) 전원은 태양전지(30)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배터리(40)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장치의 동작일 현재 날씨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컨트롤러(60)는 광센서(20)를 구동하여 지지대(50)를 중심으로 한 소정 거리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한다.(S2)
광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60)에 입력된다.(S3)
따라서 컨트롤러(60)는 광센서(2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조류 또는 동물이 지지대(50)쪽으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한다.(S4)
그 판단결과, 조류 또는 동물이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 것일 경우에는 컨트롤러(60)가 레이저방출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S5) 레이저방출기구동제어부(11)에 전송함으로써 레이저방출기(10) 또는 (15)가 구동되어 지지대(50)로부터 조류 또는 야생동물쪽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한다.(S6)
한편, 상기 스텝 S2에서의 광센서(20)에 의한 물체의 움직임 감지동작과 동시에, 컨트롤러(60)는 레이저방출기(10) 또는 (15)를 구동 제어하여 전방으로의 레이저 방출에 의해 움직이는 물체와 지지대간에 거리를 감지하도록 한다.
즉 레이저방출기(10) 또는 (15)로부터 방출된 레이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60)에 전송 입력되어 지지대와 움직이는 물체간의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조절된 파장으로 레이저를 방출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 움직이는 물체간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거리(L1)라면 레이저방출기(10) 또는 (15)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의 파장이 비교적 짧아도 될 것이고,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 움직이는 물체간의 거리가 비교적 먼 거리(L2)라면 레이저방출기(10)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의 파장이 비교적 길어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있어서,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방향 감지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다.(S1) 전원은 태양전지(30)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배터리(40)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장치의 동작일 현재 날씨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컨트롤러(60)는 광센서(20)를 구동하여 지지대(50)를 중심으로 한 소정 거리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한다.(S2)
광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60)에 입력된다.(S3)
따라서 컨트롤러(60)는 광센서(2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조류 또는 동물이 지지대(50)쪽으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한다.(S4)
상기 스텝에서 조류 또는 동물이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접근하는 방향이 어느 쪽인지를 판단한다.(S5) 이 판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 광센서(20)가 설치된, 동, 서, 남, 북 어느 방향으로 설치된 광센서에 의한 감지신호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S6)
그 결과, 어느 일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60)는 레이저방출기 제어신호를 레이저방출기 구동부(M)에 전송하여 레이저방출기(10) 또는 (15)가 움직이는 물체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S7)
이후, 컨트롤러(10)는 또 다른 레이저방출기 제어신호를 레이저방출기 구동제어부(11)에 전송하여(S8) 레이저방출기(10) 또는 (15)가 움직이는 물체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한다.(S9)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위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15 : 레이저방출기 20 : 광센서
30 : 태양전지 40 : 배터리
50 : 지지대 60 : 컨트롤러
70 : 메모리

Claims (5)

  1.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회전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상기 판단결과,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방출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저를 움직이는 물체쪽으로 방출하는 레이저방출기;
    상기 레이저방출기는 회전되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 및
    상기 구성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이저방출기는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방출 거리가 조절된 레이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전지 또는 배터리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KR1020140141453A 2014-10-20 2014-10-20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KR10156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453A KR101562979B1 (ko) 2014-10-20 2014-10-20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453A KR101562979B1 (ko) 2014-10-20 2014-10-20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979B1 true KR101562979B1 (ko) 2015-10-23

Family

ID=5442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453A KR101562979B1 (ko) 2014-10-20 2014-10-20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9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883B1 (ko) 2019-11-06 2020-05-29 주식회사 위츠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2193763B1 (ko) * 2020-05-15 2020-12-21 주식회사 젬 태양광 패널을 관리할 수 있는 태양광 시스템 및 태양광 패널의 관리 방법
KR20210026730A (ko) 2019-09-02 2021-03-10 이영우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2584476B1 (ko) * 2023-04-06 2023-10-05 중앙항업(주) 지엔에스에스(gns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항공촬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32B1 (ko) 2004-01-16 2006-09-01 유현중 조류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9060B1 (ko) 2013-06-07 2013-12-10 이슬기 조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532B1 (ko) 2004-01-16 2006-09-01 유현중 조류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9060B1 (ko) 2013-06-07 2013-12-10 이슬기 조류 퇴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730A (ko) 2019-09-02 2021-03-10 이영우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2116883B1 (ko) 2019-11-06 2020-05-29 주식회사 위츠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2193763B1 (ko) * 2020-05-15 2020-12-21 주식회사 젬 태양광 패널을 관리할 수 있는 태양광 시스템 및 태양광 패널의 관리 방법
KR102584476B1 (ko) * 2023-04-06 2023-10-05 중앙항업(주) 지엔에스에스(gns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항공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97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US11044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ring birds by laser
KR101591805B1 (ko) 조류 퇴치 장치
KR101588102B1 (ko)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US201002015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ring animal intruders
EP3082006A3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16202B2 (en) Indoor pest repellent device, indoor pest eli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elling pests indoors
US10091982B2 (en) System for deterring birds
KR20150086118A (ko) 비행로봇을 이용한 조수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39688A (ja) 鳥類退治装置
KR101840812B1 (ko) 침입경보장치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ES2848149T3 (es) Sistema de eliminación de insectos y uso del mismo
JPH08126460A (ja) 鳥獣害防止具
JP2015223171A (ja) 鳥獣類忌避装置
KR101556301B1 (ko) 무인자동로봇을 이용한 농작물 유해요소 방제장치
KR20180057381A (ko) 무인비행로봇을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 장치
KR102605201B1 (ko) 이동형의 유해 조류 퇴치 시스템
KR102538366B1 (ko) 방제를 위한 무인 차량
KR20220017307A (ko) 유해 조수 퇴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197542U7 (ko)
JP2017107037A (ja) 映像表示装置
GB2536286A (en) Apparatus for repelling birds
IT201900017423A1 (it) Drone per ricerca e metodo di ricerca associato
CN111552281A (zh) 一种智能耕种系统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