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730A -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30A
KR20210026730A KR1020190107940A KR20190107940A KR20210026730A KR 20210026730 A KR20210026730 A KR 20210026730A KR 1020190107940 A KR1020190107940 A KR 1020190107940A KR 20190107940 A KR20190107940 A KR 20190107940A KR 20210026730 A KR20210026730 A KR 2021002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ntrol
signal
supply voltag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741B1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19010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7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근하는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하도록 일정전압이 공급되는 목책기; 목책기의 실시간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목책기를 감시 제어하는 감시 제어장치;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목책기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고, 목책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관제센터; 및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목책기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고, 목책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FENCE REMOTE ADMINISTRATING SYSTEM}
본 발명은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목책기 동작요소들, 즉 고압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이상여부, 배터리 충전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결과를 원격 관제센터 및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공유하면서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목책기에 가해지는 외부 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목책기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용 장치(목책기)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1373698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지역의 지면이나 바닥면에 견고하게 상기 지지대(110)를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지대(11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몸체(130)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기 고정구(131)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30)가 지면을 향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30)에는 상기 회전몸체(160)가 삽입 설치되되 그 일부가 상기 고정몸체(13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고 나머지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160)가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상기 레이저모듈(170)이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60)의 하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상기 슬립링(150)이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슬립링(150)을 통해 레이저모듈(170)로도 전원이 인가되면서 레이저가 방출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20)가 구동되면 구동축(121)에 연결된 감속기(140)가 회전된다. 감속기(140)가 회전되면 이와 연결 고정되는 회전몸체(160)가 회전되면서 그 외부측에 구비된 레이저모듈(170)도 회전되면서 레이저가 전방향으로 방출된다.
그러면 유해조류나 야생동물이 전방향으로 방출되는 레이저에 의해 시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접근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는, 조류의 접근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토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사방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전원의 소모가 심하고, 조류가 항상 사방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일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류 퇴치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62979호가 있다.
이 등록기술은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판단결과, 움직이는 물체가 지지대쪽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방출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저를 움직이는 물체쪽으로 방출하는 레이저방출기; 및 구성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레이저방출기는 광센서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될 수도 있고, 방향 변경을 위하여 회전될 수도 있으며, 레이저방출기는 움직이는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방출 거리가 조절된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접근이 감지되는 조류 또는 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레이저를 방출하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목책기 단일품을 기준으로 동작의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기술들로서, 복수 개의 목책기를 총괄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목책기 동작요소들, 즉 야생동물 퇴치에 유효한 고압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이상여부, 배터리 이상여부 등을 체크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목책기의 상시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체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특허등록 제10-1373698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156297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목책기 동작요소들의 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 관리 가능하도록 한,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목책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개별 목책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토대로 목책기 공급전압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등 관리자가 굳이 현장에서 제어하지 않더라도 각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 지진, 전도 감지가 가능하고, 그 정보를 관제센터 및 관리자 단말기가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원격지에서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접근하는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하도록 일정전압이 공급되는 목책기;
상기 목책기의 실시간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목책기를 감시 제어하는 감시 제어장치;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목책기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고, 목책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관제센터;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목책기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고, 목책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시 제어장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들 정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며, 이들 정보들을 처리한 결과에 따라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관제센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목책기 동작요소들의 이상여부 감지신호,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신호와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면 그 처리된 값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 및 전도와,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촬영하는 CCTV;
상기 목책기의 동작요소인, 고압출력부, 태양광모듈, 배터리 신호를 감지하는 계기류신호 감지부;
상기 진동센서, CCTV, 계기류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관제센터와 공유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전압 차단부;
상기 관제센터와 공유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을 수행하는 공급전압 조절부; 및
상기 목책기에 대한 정보와, 감지신호와, 감지신호를 처리한 결과에 따른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관제센터 또는 단말기는,
각 목책기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감시 제어장치와 공유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계기류 신호와, 상기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이 수행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목책기 동작요소인 계기류 신호,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신호와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해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계기류 신호, 진동신호, 영상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및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목책기에 대한 계기류 신호와, 진동, 지진, 전도에 대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을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책기에 대한 제어는 공급전압 조절과 차단으로 수행되며,
상기 공급전압 조절은 상기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수행되고,
상기 공급전압 차단은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등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에 따르면, 목책기 구성요소들의 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 가능하므로 이상발생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원격지에서 목책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개별 목책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토대로 목책기 공급전압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등 관리자가 굳이 현장에서 제어하지 않더라도 각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진동, 지진, 전도 감지가 가능하고, 그 정보를 관제센터 및 관리자 단말기가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원격지에서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용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책기 관리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책기 감시 제어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 또는 단말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공급전압을 조절하는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동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공급전압을 차단하는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공급전압을 차단하는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책기는 조류 또는 야생동물이 농작물 등이 있는 논 또는 밭으로 침입하여 농작물을 해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장치로써, 일정전압이 인가되면 일정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여 조류 또는 야생동물 등의 침입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목책기 동작요소, 예를 들어 고압출력기의 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의 이상여부, 배터리 충전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이를 원격지 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이상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여 목책기의 정상적인 동작이 상시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책기가 모두 동일한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도 됨을 감안하여 목책기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목책기가 설치된 장소가 모두 동일조건일 수는 없으며, 예를 들어, 조류 또는 야생동물이 빈번하게 침입하는 장소가 있을 수도 있고, 일정기간 동안 이들의 침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비교적 안전지역으로 분류될 수 있는 장소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목책기가 설치된 장소가 평지일 수도 있고, 경사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평지에 설치되는 목책기는 진동 등에 비교적 강하게 버틸 수 있고, 전도(기울어짐) 등도 비교적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경사지에 설치되는 목책기는 진동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가 더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등을 모두 목책기 또는 목책기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로 분류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토대로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값)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목책기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야생동물 등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회수, 접근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체류시간 등을 목책기에 대한 정보로 분류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개별적으로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평지, 경사지, 진동, 지진, 전도, 일정기간 동안의 야생동물 접근회수, 접근한 야생동물 수, 체류시간 등의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되, 이들 정보들을 적어도 두 개 이상씩 서로 조합하여 처리함으로써 목책기에 대한 제어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진동, 지진, 전도 등은 감지수단에 의해서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예를 들어, 진동은 진동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감지 가능하고, 지진 및 전도 등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에 의해 판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정기간 동안의 야생동물 접근회수, 접근한 야생동물 수는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 시간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에 의해 판별 가능하고, 체류시간은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 시간으로 판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책기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센서 및 카메라에 의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는 제어수단에서 처리되며, 관리자 등 필요한 사람들이 모두 공유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목책기에 대한 제어는 예를 들어, 공급전압 조절과 차단 등으로 구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급전압 조절은 예를 들어,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하는 야생동물이 멧돼지 등 기존에 설정된 전압이 인가되어야만 퇴치가 가능한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전압이 그대로 유지되지만, 예를 들어, 토끼 등 기존에 설정된 전압이 아니더라도 즉, 더 적은 전압으로도 퇴치가 가능하다면 굳이 전력을 소모할 필요없이 더 낮은 전압이 목책기에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급전원 차단은, 진동, 지진, 전도 등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 더 나아가서는 전도가 심하여 목책기가 거의 쓰러져 있을 경우, 전압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야생동물의 퇴치가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필요없는 전력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공급전압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급전압 차단은, 일정기간 동안 야생동물의 접근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일정 조건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일정 조건이란, 목책기가 쓰러져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진동 및 전도 등이 일정기간 동안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급전압 차단이 개별적인 조건하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조건들이 서로 연관되어 처리된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책기 관리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목책기 감시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 또는 단말기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은, 목책기(100)와 감시 제어장치(200)가 유무선 인터넷망(N)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감시 제어장치(200)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원격 관제센터(300)에 구성된 제어장치 또는 단말기(400)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목책기(1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현장 또는 근거리에 구비된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관제센터(300)는 복수 개의 제어장치(200)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중앙통제소일 수 있고, 단말기(400)는 관리자가 소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장치(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거나 원격 관제센터(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400), 예를 들어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해 목책기(1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200), 원격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가 모두 목책기(100)의 상황 데이터를 공유하여 목책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는 현장 또는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 구성될 수 있고, 원격 관제센터(300)는 원격지에 구성된 서버일 수 있으며, 단말기(400)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200), 원격 관제센터(300)와 스마트폰(400)이 서로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네트워킹되어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그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자는 언제 어디서나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구성은 관리자가 언제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즉각적인 보고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만일 관리자가 상기 관제센터(300)의 점검 시에도 공백없이 목책기(100)의 상황 데이터를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센터(300)와 단말기(400)가 통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인증번호 등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400)만 관제센터(300)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목책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목책기에 대한 제어는 예를 들어,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제어장치(200)는, 예를 들어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수행하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300)와 네트워크화된다.
제어장치(200)는, 상기와 같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하여 목책기에 대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한 후, 이를 관제센터(300)로 전송하여 서로 공유한다.
상기 목책기에 대한 정보는, 개별 목책기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목책기 고유 아이디 정보, 지역 정보, 관리자 정보, 설정된 공급전압 정보 또는 공급전압 차단 및 조절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정기간 동안 야생동물이 접근한 회수 정보, 접근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정보, 진동, 지진 및 전도 정보 등도 있을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또한, 진동 및 지진 감지에 따라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센터(300)는 제어장치(200)와 함께 공유하는 목책기(100)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개별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와, 진동, 지진 발생에 따라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진동신호, 지진신호를 토대로 발생하고 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관제센터(300)는 또한,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예를 들어, 목책기(100)의 전도(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및 전도에 대응하도록 발생하는 제어신호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 안내방송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관제센터(300)는 또한,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예를 들어, 목책기(100)에 접근하는 야생동물 종류 및 수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책기(100)마다 제어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 목책기(100)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이 수행되면, 그 동작이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에서 모두 공유된다.
한편, 상기에서 관제센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가 수신하여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관제센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가 제어장치(2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목책기(100)로 수신되어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와, 진동, 지진, 전도,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등의 정보를 관제센터(300)와 공유하면서 자체적으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센터(300)는 제어장치(200)와 상기 정보들을 공유하되, 제어장치(200)와는 별개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별개의 제어동작은, 예를 들어 비상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복구를 위한 조치 등이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시 제어장치(200)의 구성도이다.
제어부(210)는 목책기 동작요소들인 고압출력기의 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이상여부, 배터리 이상여부 등을 고압출력기, 태양광모듈,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처리하고, 그 처리된 결과에 따른 요소들의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하며,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이러한 상황을 외부 관리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또한,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등으로 인한 목책기의 진동신호, 그리고 영상촬영을 통한 진동, 지진, 전도 등의 영상신호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의 제어에 의해 목책기에 대해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또한, 목책기에 대해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영상신호를 토대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의 제어에 의해 목책기에 대해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수행한다.
수신부(220)는 관제센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송신부(230)는 계기류신호 감지부(280)에 의해 감지된 계기류 신호, 진동센서(240)에 의해 감지된 진동신호와 CCTV(2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제어부(210)에서 처리하면, 그 처리된 값들을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상기 수신부(220)와 송신부(230)는 통신부로써, 제어장치(200)에서 처리된 목책기 정보와, 진동센서(240), CCTV(250)를 통해 각각 확보한 진동, 지진 및 영상신호들을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이들 신호들을 토대로 발생한 제어신호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이다.
또한, 통신부는 진동센서(240), CCTV(250)가 각각 제어장치(100)와 이격되어 설치될 경우, 이들을 통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고, 그 처리신호들은 원거리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하게 된다.
진동센서(240)는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진동센서(240)는 목책기의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을 판단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센서(240)는 제어장치(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CCTV(250)는 제어장치(200)가 설치된 소정 구역 및/또는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의 상황을 촬영하는 수단이다. CCTV(250)는 제어장치(200)에 대하여 위해를 가하는 상황, 더 나아가서는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촬영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CTV(250)는 제어장치(2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급전압 차단부(260)는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단말기(400)가 서로 공유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공급전압 차단부(260)는 또한, 진동, 지진 감지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 등을 토대로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공급전압 조절부(270)는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단말기(400)가 서로 공유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공급전압 조절부(270)는 또한, 감지된 진동, 지진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 등을 토대로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계기류신호 감지부(280)는 고압출력부, 태양광모듈 및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표시부(285)는 상기 진동센서, CCTV, 계기류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DB(290)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은 목책기에 대한 기본정보 및 감지신호와 감지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저장되는 정보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이들 정보는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한 조건으로서 가공되어 저장된다. 상기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해 가공되는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가 목책기로 직접 전송되어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도 4의 구성이 목책기마다 설치된 장치에 구성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의 구성도이다.
제어부(310)는 각 목책기에 대한 정보들을 제어장치(200)와 공유하도록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며, 목책기 고압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이상여부, 배터리 이상여부 등을 처리한 신호와,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촬영을 통한 목책기 진동 및 전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등의 영상신호를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이 수행되도록 제어장치(200)를 제어한다.
수신부(32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고압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이상여부, 배터리 이상여부에 대한 감지신호와, 목책기에 대한 진동 및 전도 신호와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송신부(330)는 목책기에 대한 진동 및 전도 신호와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제어부(310)에서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해 발생된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표시부(360)는 상기 진동센서, CCTV, 계기류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DB(37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목책기에 대한 기본정보들과,고압출력상태, 태양광모듈 이상여부, 배터리 이상여부에 대한 감지신호와,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을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310)에 제공한다.
DB(370)는 또한,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이 각종 감지신호에 따라 다양한 과정을 거쳐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달 이상 조류 또는 야생동물의 출현이 없을 경우 목책기 개별 DB로부터 이들 정보를 확인하고, 먼저 단말기(400)에게 SMS, 자동응답, 안내 전화 및 문자, 메일 등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인지시키고, 즉시 또는 그에 대한 반대 지시가 소정시간내에 없을 경우,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DB(370)는 제어장치(200)와 관제센터(300)와 단말기(400)가 서로 공유하는 각 목책기에 대한 정보와, 진동, 지진정보와, 영상신호를 통한 진동, 지진 및 전도 정보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DB(370)는 또한,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정보, 공급전압 조절 정보, 진동, 지진, 전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제어장치(200)를 통해 각 목책기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며, 이 정보는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단말기(400)가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은 프로그램하기에 따라 제어장치(200)는 또는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은, 여러 가지 조건들이 개별적으로 반영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들 조건들이 상호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진동, 지진, 전도 등에 따른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은, 이러한 비상 상황으로 인해 이미 전압이 차단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실시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급전압이 이미 차단된 경우에는 공급전압 차단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하고, 공급전압 조절은 예를 들어 대피가 필요하나 지진 등 급박한 상황 발생 우려가 큰 경우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목책기에 관련된 구체적인 조건에 의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공급전압 조절은 예를 들어,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하는 야생동물이 멧돼지 등 기존에 설정된 전압이 인가되어야만 퇴치가 가능한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전압이 그대로 유지되지만, 예를 들어, 토끼 등 기존에 설정된 전압이 아니더라도 즉, 더 낮은 전압으로도 퇴치가 가능하다면 굳이 전력을 소모할 필요없이 더 낮은 전압이 목책기에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급전압 차단은, 진동, 지진, 전도 등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 더 나아가서는 전도가 심하여 목책기가 거의 쓰러져 있을 경우, 전압 공급이 이루어지더라도 야생동물의 퇴치가 불가능하므로 필요없는 전력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공급전압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공급전압 차단은, 일정기간 동안 야생동물의 접근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일정 조건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일정 조건이란, 목책기가 쓰러져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진동 및 전도 등이 일정기간 동안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급전압 차단이 개별적인 조건하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조건들이 서로 연관되어 처리된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공급전압을 조절하는 동작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동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공급전압을 차단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공급전압을 차단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CCTV(2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어 DB(290)에 저장 관리되면서 송신부(230)를 통해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야생동물이 미리 설정된 전압이 공급되어야만 퇴치될 것이라고 설정된 종류, 예를 들어, 멧돼지 종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전압이 공급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야생동물이 토끼, 고라니 등 멧돼지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도 퇴치 가능하다고 설정된 종류인 경우에는 공급전압을 줄여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310)가 공급전압 조절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면, 제어장치(200)의 수신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후, 공급전압 조절부(270)를 통해 목책기에 공급되는 전압이 더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른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은 미리 DB(290) 및 DB(370)에 저장 관리된다.
또한, 상기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가 더 낮은 공급전압으로도 퇴치가 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예를 들어, 토끼, 고라니 등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수에 따라 공급전압을 조절하지 않고 설정된 전압을 그대로 공급할 수도 있다. 즉 토끼, 고라니 등의 야생동물의 수와 공급전압을 비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가 멧돼지인 경우 예를 들어, 토끼, 고라니 등에 비해 공급전압이 높도록 설정한 것은, 멧돼지의 성향과 크기 등을 기준으로 토끼, 고라니 등에 비해서는 높은 전압이 공급되어야 퇴치가 가능하다는 판단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전압의 높고 낮음은 다른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진동센서(240)에 의한 진동신호와, CCTV(2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어 DB(290)에 저장 관리되면서 송신부(230)를 통해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진동신호와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목책기에 가해지는 진동 및 전도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목책기에 가해지는 진동과 전도 상황이 목책기가 쓰러질 정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전압이 목책기에 공급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목책기에 가해지는 진동과 전도 상황이 목책기가 쓰러질 정도라고 판단되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을 차단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310)가 공급전압 차단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면, 제어장치(200)의 수신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후, 공급전압 차단부(260)를 통해 목책기에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진동과 전도는 서로 연관되어 판단되며, 예를 들어 DB(290)(370)에 저장 관리되는 진동 최대값과 전도 최대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최대값과 전도 최소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중간값과 전도 중간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최소값과 전도 최대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공급전압을 차단하고, 진동 최소값과 전도 최소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중간값 이하와 전도 중간값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공급전압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진동센서(240)에 의한 진동신호와, CCTV(2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어 DB(290)에 저장 관리되면서 송신부(230)를 통해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진동신호와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진동 및 전도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목책기에 가해지는 진동과 전도 상황이 목책기가 쓰러질 정도가 아니라고 판단됨과 동시에,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상기 야생동물이 미리 설정된 전압이 공급되어야만 퇴치될 것이라고 설정된 종류, 예를 들어, 멧돼지 종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전압이 공급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야생동물이 토끼, 고라니 등 멧돼지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도 퇴치 가능하다고 설정된 종류인 경우에는 공급전압을 줄여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310)가 공급전압 조절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면, 제어장치(200)의 수신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후, 공급전압 조절부(270)를 통해 목책기에 공급되는 전압이 더 낮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책기에 가해지는 진동과 전도 상황이 목책기가 쓰러질 정도라고 판단됨과 동시에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상기 야생동물이 미리 설정된 전압이 공급되어야만 퇴치될 것이라고 설정된 종류, 예를 들어, 멧돼지 종류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전압이 공급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야생동물이 토끼, 고라니 등 멧돼지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도 퇴치 가능하다고 설정된 종류인 경우에는 공급전압을 줄여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310)가 공급전압 조절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면, 제어장치(200)의 수신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후, 공급전압 조절부(270)를 통해 목책기에 공급되는 전압이 더 낮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즉, 목책기가 거의 쓰러질 정도의 상황이면서 야생동물이 접근하는 상황일 경우, 무조건 설정된 공급전압을 유지하지 않고, 야생동물의 수를 토대로 공급전압 유지 또는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수가 농작물 피해를 극심하게 할 수준인 것으로 DB(290)(370)에 저장 관리되는 수준이라면 공급전압을 차단하지 않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공급전압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목책기에 대한 야생동물 접근유무, 목책기 이상유무, 진동 및 전도 발생 유무 등을 개별적으로 고려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요소를 결합하여 판단함으로써 목책기 보호는 물론, 야생동물의 확실한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중에서 일부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0 : 목책기 200 : 제어장치
300 : 원격 관제센터 400 : 단말기
210, 310 : 제어부 220, 320 : 수신부
230, 330 : 송신부 240 : 진동센서
250 : CCTV 260, 340 : 공급전압 차단부
270, 350 : 공급전압 조절부 280 : 계기류신호 감지부
285, 360 : 표시부 290, 370 : DB

Claims (4)

  1. 접근하는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하도록 일정전압이 공급되는 목책기;
    상기 목책기의 실시간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목책기를 감시 제어하는 감시 제어장치;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목책기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고, 목책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관제센터;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목책기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시하고, 목책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시 제어장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들 정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며, 이들 정보들을 처리한 결과에 따라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관제센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목책기 동작요소들의 이상여부 감지신호,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신호와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면 그 처리된 값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 및 전도와,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촬영하는 CCTV;
    상기 목책기의 동작요소인, 고압출력부, 태양광모듈, 배터리 신호를 감지하는 계기류신호 감지부;
    상기 진동센서, CCTV, 계기류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관제센터와 공유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전압 차단부;
    상기 관제센터와 공유하는 목책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조절을 수행하는 공급전압 조절부; 및
    상기 목책기에 대한 정보와, 감지신호와, 감지신호를 처리한 결과에 따른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 또는 단말기는
    각 목책기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감시 제어장치와 공유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계기류 신호와, 상기 목책기가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이 수행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목책기 동작요소인 계기류 신호,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신호와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공급전압 조절 또는 차단을 위해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계기류 신호, 진동신호, 영상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및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목책기에 대한 계기류 신호와, 진동, 지진, 전도에 대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목책기에 대한 공급전압 차단 또는 조절을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책기에 대한 제어는 공급전압 조절과 차단으로 수행되며,
    상기 공급전압 조절은 상기 목책기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수행되고,
    상기 공급전압 차단은 상기 목책기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등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20190107940A 2019-09-02 2019-09-02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228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40A KR102283741B1 (ko) 2019-09-02 2019-09-02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40A KR102283741B1 (ko) 2019-09-02 2019-09-02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30A true KR20210026730A (ko) 2021-03-10
KR102283741B1 KR102283741B1 (ko) 2021-07-29

Family

ID=7514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40A KR102283741B1 (ko) 2019-09-02 2019-09-02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74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2436B1 (en) * 2000-06-02 2003-09-23 Kevin Robert Kretsch Goose barrier
KR101373698B1 (ko) 2012-11-02 2014-03-13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20150012329A (ko) * 2013-07-24 2015-02-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62979B1 (ko) 2014-10-20 2015-10-23 이영우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KR20160087102A (ko) * 2015-01-13 2016-07-21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야생동물 퇴치기
KR20160141191A (ko) * 2015-05-29 2016-1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목적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가드레일 시스템
KR20170096754A (ko) * 2016-02-17 2017-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9810B1 (ko) * 2018-08-21 2019-03-20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Lpwan을 이용한 야생 동물 피해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2436B1 (en) * 2000-06-02 2003-09-23 Kevin Robert Kretsch Goose barrier
KR101373698B1 (ko) 2012-11-02 2014-03-13 (주)지이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20150012329A (ko) * 2013-07-24 2015-02-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62979B1 (ko) 2014-10-20 2015-10-23 이영우 레이저를 이용한 조류 및 동물 퇴치장치
KR20160087102A (ko) * 2015-01-13 2016-07-21 (주)경문엔터테인먼트 야생동물 퇴치기
KR20160141191A (ko) * 2015-05-29 2016-1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목적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가드레일 시스템
KR20170096754A (ko) * 2016-02-17 2017-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9810B1 (ko) * 2018-08-21 2019-03-20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Lpwan을 이용한 야생 동물 피해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741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7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existence of sensors belonging to multiple organizations
US6816073B2 (en) Automatic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erimeter physical movement
EP3051510B1 (en) Improved alarm routing in integrated security system based on security guard 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remises for faster alarm response
US7526105B2 (en) Security alarm system
KR200414008Y1 (ko)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35619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산불화재 감시 및 시설물 자율 점검 시스템
KR101501767B1 (ko) 유해동물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8291967A (zh) 使用激光雷达的工地安全装置
US20210311501A1 (en) Agricultural field management system, and agricultural field management method
JP5465744B2 (ja) 鳥獣威嚇システム
KR101987675B1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JP2006211917A (ja) 害獣撃退システム
KR20210026730A (ko)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2356544B1 (ko) 유해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KR20100037470A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출입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9215B1 (ko) 영상을 이용한 복합 적외선 감지센서와 그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AU2020103507A4 (en) System and method for crop protection from animals using smart sensors
JP6769821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
KR20130035812A (ko) 독립형 허수아비 센서 노드
KR100949838B1 (ko) 창문형 적외선 감지장치
KR20210148155A (ko) 이질적인 비상사태 검출 및 대응 성능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KR101567583B1 (ko)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CN108629955A (zh) 一种周界立体防护系统
KR102674327B1 (ko) Ai 스마트 안전 안내판 시스템
KR20210003644A (ko) 유해 동물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