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803B1 -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803B1
KR101562803B1 KR1020150045945A KR20150045945A KR101562803B1 KR 101562803 B1 KR101562803 B1 KR 101562803B1 KR 1020150045945 A KR1020150045945 A KR 1020150045945A KR 20150045945 A KR20150045945 A KR 20150045945A KR 101562803 B1 KR101562803 B1 KR 10156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ing
heavy metal
tailings
minerals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헌찬
김민식
황민수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01F13/10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Mixing plant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in combination with disintegrat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02Froth-flot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폐광산 광미 내에 존재하는 광물들의 광물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폐기된 광미로 인한 주변환경의 2차 오염을 유발하는 중금속 광물과 환경적으로 무해한 비금속광물들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은 폐광미를 스크린(0.3mm, 50Mesh)에 투입하여 중금속오염도가 낮은 나무뿌리 및 이물질과 처리 대상인 50mesh 이하의 광미를 분리하는 체가름 단계; 상기 체가름 된 폐광미를 물과 함께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광액에 존재하는 응집체들을 해쇄시킴과 동시에 광물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화학응집제들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물리적 교반을 실시하여 응집된 미분체들을 해쇄 시키는 물리적 교반 단계; 상기 물리적 교반단계를 통해 해쇄된 광미를 초미립광미와 조립광미를 분리하고 광액에 있는 화학응집제들을 제거해주기 위해 원심 콘 분리기에 투입하여 분리·선별하는 원심콘 분리 단계; 상기 원심콘 분리 단계에서 분리·선별된 광미를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1종 이상의 포수제와, 1종 이상의 기포제 및 1종 이상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부유선별 조건을 부여하는 조건부여 단계; 상기 조건부여 단계에서 처리된 광액을 대상으로 부유선별을 실시하는 부유선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Heavy metal removal method from fine tailing contained coagulants}
본 발명은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폐광산 광미 내에 존재하는 광물들의 광물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폐기된 광미로 인한 주변환경의 2차 오염을 유발하는 중금속 광물과 환경적으로 무해한 비금속광물들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산에서 채광된 원석은 품위를 높이고자 선광 및 제련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유용한 광물들은 회수하고 경제성이 없는 맥석 및 불순물들은 주변 적치장으로 이동하여 매립 및 적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을 광미라고 한다.
대부분의 광산, 특히 금속 광산의 경우, 배출되는 광미 내에 다양한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 주변 수계 및 주거지역으로 2차적인 환경오염이 우려되나 국내에는 광해방지사업 없이 방치되어 있는 광미 적치장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광미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선광 기술 및 화학적인 처리방법들을 활용하여 광미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인 처리방법의 경우 흡착 또는 침전에 의한 오염매질로부터 중금속의 분리, 고정화에 의한 매질로부터의 용출 억제 등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광미로부터의 원천적인 중금속 제거가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선별기술을 통해 광미로부터 중금속을 함유하는 광물을 원천적으로 제거, 분리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금속 광산 광미는 채광된 원광의 품위를 높이는 과정에서 분쇄 및 마광, 화학처리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입자가 상당히 잘은 형태의 미분체로 배출되고, 또한, 탈수 및 여과 과정에서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응집제를 첨가하여 미분체들을 응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출된 광미에 응집된 미분체가 상당량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광미 내에 존재하는 응집된 미분체들은 광미의 중금속 제거를 위한 선별 기술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선별효율을 저하시키고 선택성을 낮추며 물리적선별의 경우, 한계입도 범위가 넓음으로 인해서 선별적용 가능성 및 효율성을 현저히 낮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광미로부터의 환경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처리방법은 폐기물을 토양, 지하수, 지표수 등으로부터 차단하는 매립처리 방법과 침출수로부터 유해성분을 흡착ㆍ분리하여 침출수를 무해화하는 방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국내의 광미 처리방법으로는 대부분 매립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반하여 외국의 경우는 광미 적치장의 오염상태를 엄밀히 파악하여 폐기물 중에 함유된 유해성분을 격리시키고 최종적으로 차단형 매립과 같은 환경 친화적인 안정화 처리를 적용하고 있다.
상기 매립처리 방법은 폐기물 적치장 주변에서 단기간 내에 폐기물을 차단 매립함으로써 무해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립장 부지의 활용이 어렵고, 차단 매립 재료의 수명에 따라, 일정기간 후에는 재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침출수의 무해화 처리방법 또한 특정 유해성분을 제거함으로 유출수의 무해화에는 유용한 방법이나 오염원의 제거가 근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한 계속적인 공정의 운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특허 제0450017호(중석광산 폐광미의 무해화 및 재활용을 위한 처리 방법)가 있다.
상기 특허는 그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석광산 폐광미를 벨트콘베어를 사용하여 혼합기(mixer)로 이송하여 균질하게 혼합하는 균질혼합단계(S100); 상기 혼합물을 물과 함께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을 제조하는 광액제조단계(S200); 상기 광액을 폐광미의 각종 혼입물을 제거하도록 일정크기의 스크린을 통과시킨 후 샌드펌프를 이용하여 나선형 비중선별기에 투입하여 금속광물과 비금속광물을 분리하는 비중선별단계(S300); 상기 비중선별단계에서 분리ㆍ선별된 저비중의 비금속광물에 대하여 농축 및 탈수시키는 농축탈수단계(S400); 상기 농축탈수된 케이크를 로우터리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500); 상기 건조단계에서 형성된 덩어리진 산물을 일정크기의 스크린이 부착된 햄머 크러셔로 해쇄시키는 해쇄단계(S600); 상기 해쇄된 산물을 공기분급기를 이용하여 일정입도를 기준으로 미립광물과 조립광물로 분리시키는 입도분리단계(S700); 및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기분입도 이상의 조립광물을 자력선별기를 사용하여 자성광물과 비자성 광물을 분리, 선별하는 자력선별단계(S800); 로 이루어지며, 실제적으로 이 공정순서로는 금, 은, 아연, 구리 등의 금속광산에서 광미를 무해화 할 수 없으며,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초기 설비 투자 및 유지비용이 비싸고 무해화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0928062호(인위적 중금속 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한 고도 선별처리 방법)가 있다.
상기 특허는, a) 5㎜의 체망을 사용하여 체가름된 입자상의 인위적 중금속 오염토양으로부터 3.0 내지 10.0 비중의 중광물을 경광물과 분리하는 비중선별 단계; b) 상기 비중선별된 경광물로부터 중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금속 물질을 포함한 미세입자를 중금속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조대입자와 분리선별하는 습식 사이클론 단계; 및 c) 상기 분리선별된 미세입자로부터 파인유(pine oil), 지방족 알콜류, 글리콜류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 종이상의 기포제 및 기름, 지방산(fatty acids), 인산염, 아민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포수제를 첨가하여 미세입자로부터 소수성 중금속 물질을 분리하는 부유선별 단계;로 이루어지며, 입도의 분리전 비중선별을 수행하여 비중선별의 효율이 감소하고, 이후의 사이클론의 분리입도(cut size) 150메쉬는 이후 진행되는 부유선별에 적합하게 한 것이며, 부유선별의 경우 오랜 풍화를 거친 광미의 경우 효율이 낮으므로 한정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기포제와 포수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등록특허 제0450017호(중석광산 폐광미의 무해화 및 재활용을 위한 처리 방법) 2. 국내 등록특허 제0928062호(인위적 중금속 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한 고도 선별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 목적은 폐광산 광미 내에 존재하는 광물들의 광물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폐기된 광미로 인한 주변환경의 2차 오염을 유발하는 중금속 광물과 환경적으로 무해한 비금속광물들을 선별하는 공정을 제시하고, 선별효율을 저하시키는 응집된 미분체들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해쇄 및 분산 시켜 선별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공정을 제시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응집제가 함유된 폐광산 광미의 중금속 제거 공정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단위공정을 적용함으로써 폐기되는 중금속 농축물의 양을 줄이고, 산업 원료소재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광미의 양을 증대 시키는 것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광미를 스크린(0.3mm, 50Mesh)에 투입하여 중금속오염도가 낮은 나무뿌리 및 이물질과 처리 대상인 50mesh 이하의 광미를 분리하는 체가름 단계;
상기 체가름 된 폐광미를 물과 함께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광액에 존재하는 응집체들을 해쇄시킴과 동시에 광물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화학응집제들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물리적 교반을 실시하여 응집된 미분체들을 해쇄 시키는 물리적 교반 단계;
상기 물리적 교반단계를 통해 해쇄된 광액으로부터 탈착된 유기응집제와 소량의 미랍자를 제거해주기 위한 원심 콘 분리 단계;
상기 원심 콘 분리 단계에서 분리·선별된 광미를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1종 이상의 포수제와, 1종 이상의 기포제 및 인산염계열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부유선별 조건을 부여하는 조건부여 단계;
상기 조건부여 단계에서 처리된 광액을 대상으로 부유선별을 실시하는 부유선별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부유선별 단계에서 부유선별 중 광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체들로 인한 선별효율저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산염계열의 화학분산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미분체들간의 인력을 감소시키고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한 다음 부유선별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체가름 분급 - 임펠러가 장착된 회전식 교반기의 물리적 교반 - 원심 콘 분리기를 이용한 비중선별 - 분산제를 이용한 부유선별을 통해 응집제가 첨가된 폐광산 광미를 효과적으로 무해화 시키고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로서, 적치된 폐광미로 인해서 발생되는 주변환경의 이차적인 오염을 방지하여 토양 및 지하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발생되는 폐기물을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광미에 포함되어 있는 응집된 미분체들로 인해 선별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과 물리적선별 기술이 적용되기 어려웠던 미립자에 대한 선별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환경산업 및 폐기물처리산업 분야에 기술적으로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As의 함량이 285mg/kg으로, 토양오염 1지역 기준치를 크게 상회하는 광미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시켜 16.4mg/kg까지 낮추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금속 농축물은 중량비 2.26%까지 농축이 가능하여 폐기물의 양을 크게 줄임과 동시에, 무해화 된 광미를 97.74%까지 회수할 수 있었고 따라서 중금속이 오염된 폐광미로부터 중금속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이 가능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이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을 분리·제거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은 광미를 분리하는 체가름 단계; 광액을 조절하는 단계; 물리적 교반 단계; 원심콘 분리 단계; 조건부여 단계; 부유선별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내용을 적용하고자 하는 폐금속광산 광미의 입도 분포도를 살펴 보면 [표 1]과 같다.
Figure 112015031876151-pat00001
상기 입도분석 결과를 보면 400Mesh(35um)이하 크기의 광미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임펠러가 장착된 회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강력한 물리적 교반을 가해준 광미를 대상으로 입도분석을 실시해 보면 [표 2]와 같이 400mesh이하의 광미가 약20%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폐광미 발생 과정 중에 마광 및 화학처리과정으로 인해 미분체가 형성되고 여과 및 탈수과정 중에 응집제를 첨가함으로 인해서 미분체의 응집체가 다량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Figure 112015031876151-pat00002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폐광미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과 무해한 비금속광물을 선별· 및 분리하기 위한 처리 방법은, 폐광미를 스크린(0.3mm, 50mesh)에 투입하여 중금속 오염도가 낮은 나무뿌리 및 기타 이물질과 처리 대상인 50mesh 이하의 광미를 분리하는 체가름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상기 체가름 단계에서 걸러진 폐광미를 조건조에 물과 함께 혼합하여 일정한 중량비의 광액으로 조절하기 위한 광액조절단계를 거친다.
또한, 상기 광액조절단계에서 광액에 존재하는 응집체들을 해쇄시키고 광미표면에 흡착되어져 있는 화학응집제를 탈착시키기 위해 물리적 교반을 실시하여 응집된 미분체를 해쇄시키는 물리적 교반단계를 거친다.
이때 물리적 교반은 임펠러가 장착된 회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강력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리적 교반단계를 통해 해쇄된 폐광미를 원심콘 분리기로 이송시켜서 투입한 뒤, 광액의 농도 20~30wt,%로 조절해준 뒤, 초미립광미와 조립광미를 분리하고 광액에 있는 화학응집제들을 제거해주기 위한 분리·선별하는 원심콘 분리 단계를 거친다.
상기 원심콘 분리 단계에서 분리·선별된 폐광미를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1종 이상의 포수제와 1종 이상의 기포제 및 1종 이상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부유선별 조건을 부여하는 조건부여 단계를 거친다.
상기 조건부여 단계에서 처리된 광액을 대상으로 부유선별을 진행한 뒤 중금속 농축물과 비금속 광물로 선별·분리하는 부유선별 단계를 거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요소 및 공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가름단계는 광미를 진동 스크린(0.3mm, 50mesh)에 투입하여 50mesh를 기준으로 조립광물과 미립광미로 분리하는 단계로써, 선광공정을 거친 폐광미의 경우 파·분쇄 공정을 거친 후 배출된 입자이므로 대부분이 0.3mm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0.3mm이상의 입자들은 주변에서 유입된 불순물 및 이물질로서 중금속의 오염도가 낮기 때문에 체가름을 통한 선별해 줄 필요가 있다.
상기 0.3mm이상의 입자들은 체가름을 통해 선별하여 폐기하고 0.3mm이하의 입자들은 광액조절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광액조절단계는 투입된 폐광미를 물과 혼합시켜 일정한 중량비의 광액으로 조절하는 단계로써 적정 농도는 70~80wt.%으로 조정한다. 슬러리 형태의 고농도 광액으로 이루어진 광미는 다음 물리적 교반단계로 이어진다.
또한, 물리적 교반단계는 상기 광액 조절단계에서 제조된 광액을 대상으로 임펠러가 장착된 회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강력한 물리적 교반을 실시하는 단계로, 광액 내에 존재하는 응집체들을 효과적으로 해쇄 시켜주고 광물 표면에 응집되어 있는 미립자들을 분산 시켜줌으로써 이후 진행될 공정에서의 선별효율을 증대시켜주기 위한 과정이다.
또한, 광물표면에 흡착되어져 있는 화학응집제들을 물리적 교반을 통해 탈착시켜 광액내로 분산시켜 주는 역할도 수반한다.
또한, 원심콘 분리 단계는 물리적 교반단계에서 해쇄 된 광미를 원심 콘 분리기에 투입시켜 광액의 농도를 20~30wt,%로 묽게 조절해 준 다음, 높은 회전수로 회전시켜 콘 외부로 소량의 초미립 입자들과 화학응집제가 분산된 광액을 분리하고 콘 내부에 남은 광미는 다음 조건부여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조건부여 단계는 부유선별에 앞서 물을 추가적으로 혼합하여 25~30wt,%의 중량비로 광액의 농도 조절하고 부유선별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1종 이상의 포수제와 1종 이상의 기포제 및 1종 이상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부유선별의 조건의 부여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부유선별단계는 광물입자들의 물리적 특성이 아닌 입자계면의 특성을 변화시켜 회수하고자하는 광물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1종 이상의 포수제를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광물표면을 소수성화 시킨 후 기포에 부착시켜 부유시키는 방법이다. 본 단계에서는 인산염 계열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미립응집체 표면의 정전기적 인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응집체들의 분산을 유도함으로써 선별 효율을 증대시켰다. 부유선별 후, 중금속 농축물은 중량비 3% 이내로 농축시켜 폐기처분하고 무해화 된 광미는 건설재료 및 지반공학 재료로 재활용하도록 한다.
하기의 [표 3]은 국내 영월군 소재의 중석광산 광미의 중금속 오염도를 토양오염공정시험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와 기준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5031876151-pat00003
상기 분석 결과 중석광산 폐광미의 경우 독성 중금속인 As가 토양오염 1지역대책기준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As로 인한 오염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타 중금속들도 기준치를 초과하진 않았지만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 보면,
Figure 112015031876151-pat00004
국내 중석광산 폐광미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공정을 적용해 본 결과, 무해화 된 광미를 97.74% 얻을 수 있었으며, 285mg/kg이 함유되어 있던 As의 경우, 16.4mg/kg까지 함량을 낮추어 1지역 우려기준치인 25mg/kg 이하로 낮출 수 있었고 As제거율은 92.74 %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수제 및 기포제 등을 As제거에 적합한 조건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음에도 타 중금속들도 높은 제거율로 함께 분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폐기되는 중금속 농축물의 양은 2.26%로 폐기물의 양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였고, 무해화 된 광미의 경우 주로 석영광물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실리카의 품위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의 산업소재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폐광미를 스크린(0.3mm, 50Mesh)에 투입하여 중금속오염도가 낮은 나무뿌리 및 이물질과 처리 대상인 50mesh 이하의 광미를 분리하는 체가름 단계;
    상기 체가름 된 폐광미를 물과 함께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광액에 존재하는 응집체들을 해쇄시킴과 동시에 광물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화학응집제들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물리적 교반을 실시하여 응집된 미분체들을 해쇄 시키는 물리적 교반 단계;
    상기 물리적 교반단계를 통해 해쇄된 광액으로부터 탈착된 유기응집제와 소량의 미립자를 제거해주기 위한 원심 콘 분리 단계;
    상기 원심 콘 분리 단계에서 분리·선별된 광미를 조건조에 투입하여 광액의 농도를 조절하고 1종 이상의 포수제와, 1종 이상의 기포제 및 인산염계열의 분산제를 첨가하여 부유선별 조건을 부여하는 조건부여 단계;
    상기 조건부여 단계에서 처리된 광액을 대상으로 부유선별을 실시하는 부유선별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부유선별 단계에서 부유선별 중 광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체들로 인한 선별효율저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산염계열의 화학분산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미분체들간의 인력을 감소시키고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한 다음 부유선별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액을 조절하기 위한 적정 농도는 70-80w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교반은 임펠러가 장착된 회전식 교반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콘 분리 단계는 원심 콘 분리기에 투입된 광미의 광액 내에 존재하는 응집제에 부착된 미립자를 콘 외부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50045945A 2015-04-01 2015-04-01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KR10156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45A KR101562803B1 (ko) 2015-04-01 2015-04-01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45A KR101562803B1 (ko) 2015-04-01 2015-04-01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803B1 true KR101562803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945A KR101562803B1 (ko) 2015-04-01 2015-04-01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8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16B1 (ko) * 2010-11-17 2011-08-01 한국광해관리공단 폐광미 무해화 물리적 처리 장치
KR101287434B1 (ko) * 2013-03-08 2013-07-19 주식회사 미네월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216B1 (ko) * 2010-11-17 2011-08-01 한국광해관리공단 폐광미 무해화 물리적 처리 장치
KR101287434B1 (ko) * 2013-03-08 2013-07-19 주식회사 미네월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3039B2 (ja) 土壌の浄化方法
CN104889150B (zh) 重金属污染土壤的化学淋洗修复工艺
KR101396416B1 (ko) 열 변형 파쇄를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유류와 중금속 동시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JP6599190B2 (ja) シールド工事における重金属汚泥水の処理方法
JP2012179549A (ja) 鉱物性混合物から砂製品を生成する材料再生システム
JP4568893B2 (ja) 汚染土壌の浄化法
KR101287434B1 (ko)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방법
Marino et al. Heavy metal soil remediation: The effects of attrition scrubbing on a wet gravity concentration process
TWI549764B (zh) 機動式分離含重金屬之土壤顆粒處理方法
CN105903551A (zh) 矿山尾矿环保无害化一次性生态修复的方法
KR101693575B1 (ko)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6915908B2 (en) Method of decontaminating soil
Williford et al. Physical separation of metal-contaminated soils
KR100995147B1 (ko) 친환경적인 사격장 오염토양의 물리적 처리방법
JP2016144783A (ja) 砒素汚染土壌の無害化処理システム
JP2005028290A (ja) 重金属汚染土壌の処理方法
KR101562803B1 (ko) 응집제가 함유된 미세광미로부터 중금속 제거방법
KR101951124B1 (ko) 이동식 광미 처리장치
JP4351930B2 (ja) 汚染土壌の洗浄方法
JP2004188250A (ja) 重金属汚染土壌の浄化方法
JP2007175585A (ja) 汚染土壌の処理方法
KR100450017B1 (ko) 중석광산 폐광미의 무해화 및 재활용을 위한 처리 방법
US20030226788A1 (en) Method of decontaminating soil
JP2008136962A (ja) 重金属類に汚染された土壌の除染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流動層型の容器
JP2005262076A (ja) 油汚染土壌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