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747B1 - 유압식 스너버 - Google Patents

유압식 스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747B1
KR101562747B1 KR1020140122848A KR20140122848A KR101562747B1 KR 101562747 B1 KR101562747 B1 KR 101562747B1 KR 1020140122848 A KR1020140122848 A KR 1020140122848A KR 20140122848 A KR20140122848 A KR 20140122848A KR 101562747 B1 KR101562747 B1 KR 10156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heck valve
oil
hous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영
하승우
안종구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747B1/ko
Priority to PCT/KR2015/003945 priority patent/WO20160433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배관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지진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한 배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 흐름 저항이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유압식 스너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동 저항과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제1,제2 완충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완충유닛을 구성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은 일체 몸체형으로 가공되어 외주면에 시일 및 패킹홈을 가공하여 시일 및 패킹이 각각 조립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은 하부에 밸브구멍을 가공하고 제1 체크밸브가 조립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을 조립하는 제2 하우징은 상부에 밸브구멍을 가공하고 제2 체크밸브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스너버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유압식 스너버{HYDRAULIC SNUBBER}
본 발명은 배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배관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지진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한 배관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 흐름 저항이나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유압식 스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내부의 1차측 배관이나, 화력발전소의 고온, 고압의 배구경 배관, 또는 가스관이나 송유관 등 위험물을 운바하는 배관의 경우 지진이나 기타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면 대규모 방사능 유출, 터빈 등 주요 설비 파손, 강한 증기 누설로 인한 인명피해 및 폭발사고로 2차 위험을 초래하게 되므로 내진 설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그리하여 배관계 내부에 흐르는 유체, 기체의 온도 및 압력조건과 배관계 지지장치의 특성 및 구속조건만을 고려하여 배관계 열변형 및 열응력을 수행하여 허용응력을 만족시키는 정적인 해석만 수행하였고, 과도한 수격 이나 열 변형에 대비하기 위해 유압식 스너버(Hydraulic Snubber)를 사용하여 왔다.
유압식 스너버(배관 충격 완충장치)는 배관의 외면과 지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지진, 폭발사고, Hammering 등)이 가해진다.
이러한 유압식 스너버 관련하여 종래에도 다수이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 특허문헌 1에는 배관계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배관계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진동흡수장치로서, 실린더 양단에 위치하여 배관을 지지하며, 내부에 전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와, 탄성을 가지며 가해지는 외력에 운동하도록 실린더축상에 구비된 코일스프링과, 슈와 결합되어 제1하우징 내부 면상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며, 마찰에 의한 댐핑을 생성하는 라이닝과, 상기 라이닝과 실린더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며, 댐핌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실린더 축과 슈가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 삽입 설치된 웨지와, 코일스프링의 압축력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 및 슈 사이에 내설된 와셔로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스프링의 탄성력과 라이닝 유닛의 마찰력을 통해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체저항에 의한 완충작용이 배제되어 있어 배관에 가해진 큰 충격이나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에 대하여는 조금 미흡한 면이 있을 수 있다.
특허문헌 2는 배관장치의 열팽창이 가능했지만 동적 운동 시 배관장치의 이동을 억제하고, 진동격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른 완충장치는 제1 및 제2 변위발생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변위발생 부품이 서로에 대해 제1 및 제2 변위발생 부품의 변위발생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구속장치는 제1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일반적으로 구속자이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구성된다.
또한, 구속장치는 제3 및 제4 구성부품으로 구성되고, 제3 및 제4 구성부품은 제1 및 제2 구성부품으로부터 중심축 근처에서 오프셋 되어 있다. 구속장치의 제1, 제2, 제3 및 제4 부분들은 에너지 흡수기능의 와이어로프의 나선형 코일에 의해 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코일스프링의 탄성력 및 라이닝의 댐핑력에 의해서 완충작용을 하므로 완충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 및 2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3과 같은 배관 충격 완충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특허문헌 3은 유체의 흐름저항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완충유닛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충진되는 오일 량을 제어하는 완충유닛을 통해 배관에 가해진 진동을 제안하여 배관 손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원기술인 특허문헌 3은, 제1, 제2 피스톤의 구조는 단일의 구조가 아닌 분리가공에 의한 나사조립에 의해 시일 및 패킹이 개별타입으로 제조공정의 증가에 의한 원가 상승 및 조립에 따른 밸브 삽입 시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체크밸브의 밸브시트는 민자형이고 밸브콘이 오리피스형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에 따른 계면 간의 부압발생으로 체크밸브의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2 피스톤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의 구조가 단순히 오일통로의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서, 제1피스톤의 유동 압축에 따른 오일에 의한 완충 단순히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된 제2 피스톤의 후진에 의한 제3챔버의 체적 확장에 의해 제공됨으로서 완충작용이 부드럽지 못하고 정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0349722호(등록일자 : 2002년 08월 09일) 특허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0230482호(등록일자 : 1999년 08월 23일) 특허문헌 3 : 등록특허공보 제10-1345996호(등록일자 : 2013년 12월 23일)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권리인 특허문헌 3의 단점을 개선하여 작동의 안전성 및 조립성을 극대화한 유압식 스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피스톤을 일체 몸체형과 이에 따른 시일 및 패킹을 통합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밸브 삽입의 용이성이 보장되는 유압식 스너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밸브의 구조를 밸브시트의 외주면에 나선형 유로홈과 중앙에 연결통로에 의한 오일이동을 조절하도록 개선하고 밸브콘을 라운드형으로 개선하여 체크밸브의 동작 안전성 및 작동 정밀성이 보장되는 유압식 스너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완충유닛을 구성하는 제2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2 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완충작동성의 정밀성과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피스톤을 일체형으로 하고 시일 및 패킹을 일체형으로 개선하여 제2 피스톤의 설치작업을 보장되는 유압식 스너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식 스너버는,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제1 쳄버와 제2 쳄버로 구획하면서 유압으로 이동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의 설치되어 이동을 막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피스톤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조인트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와 동기 이동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유체의 유동 저항과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완충유닛과,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제3 챔버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이동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2 하우징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의 일측과 상기 고정축 또는 지지면에 타측이 고정되는 제2 연결조인트로 구성된 제2 완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은 일체 몸체형으로 가공되어 외주면에 시일 및 패킹홈을 가공하여 시일 및 패킹이 각각 조립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은 하부에 밸브구멍을 가공하고 제1 체크밸브가 조립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을 조립하는 제2 하우징은 상부에 밸브구멍을 가공하고 제2 체크밸브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각각 밸브시트는 외주면의 나선형 유로홈 또는 밸브체의 오리피스로 오일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오일충진구멍의 중앙에 개폐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개폐스프링의 양측에 위치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오일충진구멍의 내주면에 돌출된 상, 하측의 각 지지돌기링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각 지지돌기링에는 중앙의 상기 오일충진구멍과 연결하는 오리피스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오일충진구멍에 개폐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개폐스프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오일충진구멍의 내주면에 돌출된 상측의 지지돌기링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돌기링에는 상기 오일충진구멍에 연결하는 오리피스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는 밸브체를 탄력지지하는 개폐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한 밸브체의 유동에 의한 오일유로의 오일 흐름 또는 밸브체의 닫힘에 의해 제1, 제2 피스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부재의 최소화에 의한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의 일체 몸체형 구현으로 조립성이 양호하고, 완충동작의 정밀성 구현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시트 및 밸브체의 형상에 따른 오일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맞는 스너버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스너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완충유닛의 발췌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체크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완충유닛의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체크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은 제1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제2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피스톤을 일체 몸체형으로 하여 시일 및 패킹 단일화로 제조에 따른 조립성, 제2 체크밸브를 구성함으로써 급격한 충격에 따른 잠김상태에서 유체의 흐름 저항으로 배관과 지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배관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도면에 제시된 구성요소는 구조 및 크기가 발명의 설명에 문제되지 않는 한 단순화되거나 간략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스너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제1 완충유닛(100)과 제2 완충유닛(200)으로 크게 구분되고, 상기 제1 완충유닛(100)은 제1 하우징(110), 제1 피스톤(120), 제1 체크밸브(130), 피스톤로드(140) 및 제1 연결조인트(150), 커버부재(16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완충유닛(100)은 제1하우징에 충진된 오일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배관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단에는 피스톤로드(140)의 외주면이 기밀된 상태로 통과하는 패킹부재(145)가 나사 조립된다.
상기 제1 피스톤(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충진된 오일은 상기 제1 피스톤(120)에 의해 구획된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에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1 피스톤(120)의 이동속도에 따른 비압축성 오일은 체적변화에 의한 그 평형상태가 깨지면서 상기 제1 피스톤(120)에 구비된 제1 체크밸브(130)를 통해 유동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챔버(111)과 제2 쳄버(112)에 충진된 오일이 유동하는 유로구멍(141)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피스톤(120) 중앙에 연결 된다.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피스톤(120)은 일체 몸체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시일 및 패킹홈(121)을 가공하여 일체형의 시일 및 패킹(125)이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피스톤(120)은 상부에 유로구멍(122)과 하부에 밸브구멍(124) 사이에 돌출된 중앙의 돌기링(123)으로 구획된 상태로 상호 간이 연결되고, 상기 유로구멍(122)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40)의 일측 단부가 나사 조립되고, 상기 밸브구멍(124)에는 제1 체크밸브(130)가 조립된다.
도 3을 더욱 참조하면, 상기 제1 체크밸브(130)는 상기 밸브구멍(130)의 하측에서 끼움되고, 탄성지지링 및 스냅링(127)에 의해 상기 돌기링(123)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히 조립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제1 체크밸브(130)는 일체 몸체형인 밸브시트(131)가 상단에서 하단까지 외주면에 가공된 나선형 유로홈(131a)을 통해 오일의 흐름이 제공되어 급격한 충격에 의한 잠김(lock-up) 상태를 서서히 풀리면서 오일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시트(131)의 중앙에 관통된 오일충진구멍(132)의 중앙에 개폐스프링(133)이 위치하고, 상기 개폐스프링(133)의 양측에 위치하는 밸브체(134,135)가 조립된 복동형 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오일충진구멍(132)은 중앙의 작은 관통구멍의 상,하측 양측이 확장된 장구형상을 갖고 관통되고, 상기 밸브체(134,135)는 장구형상이 분리된 상태의 개별체로 가공되어 상, 하측에서 조립된다.
따라서 각각은 중앙의 작은 관통구멍에서 확장된 단턱부(a)에서 헤드부(b)가 걸림 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134,135)는 상기 오일충진구멍(132)의 확장부분의 내주면에 돌출된 상, 하측의 각 지지돌기링(132a,132b)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각 지지돌기링에는 상기 오일충진구멍(132)과 연결하여 유체 흐름의 속도를 조절하는 다수의 오리피스(13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130)에 의해 상기 제1 피스톤(120)에 의해 구획된 제1 챔버(111)와 제2 쳄버(112)에 충진 된 비압축성 오일이 상기 제1 피스톤(120)의 이동속도에 따른 가압 측에서 비가압 측으로 이동에 따른 급격한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각각의 밸브체(134,135)가 제1 피스톤(120)이 속도에 의해 오일이 가압되면 중앙의 작은 지름의 오일충진구멍(132)에 의해 형성된 단턱부(a)에 헤드부(b)가 밀착되어 오일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로드(140)의 압축이나 인장이동시 완충하게 된다. 오일은 계속 나선형 유로홈(131a)을 통해 이동하면서 압력이 서서히 풀려 개폐스프링(133)이 밸브체(134,135)를 밀어 올리게 된다. 이는 속도가 낮을 경우 압력차이가 작기때문에 상기 지지돌기링(132)에 관통된 오리리스(136)을 통해 무부하 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40)의 전단에는 상기 제1 연결조인트(150)가 조립되고, 상기 제1 연결조인트(150)에 의해 배관에 연결된 상기 피스톤로드(140)가 주변환경과 이동에 따라 분진 및 스크래치로 인해 부식 또는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제1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이동가능케 상기 피스톤로드(140)과 동기동작하도록 조립되는 커버부재(160)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기술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제2 완충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하우징(210), 제2 피스톤(220), 연결로드(240), 스프링(270), 제2 연결조인트(미도시함)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우징(210)은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조립된 상기 피스톤로드(140)의 대향 측에 나사 조립으로 기밀 결합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제2 쳄버(112)에 연결되는 유로구멍(250)과 상기 제2 쳄버(112)의 충진된 오일이 출입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210)은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 피스톤(220)에 의해 상기 제2 쳄버(112)의 오일을 수용하는 제3 쳄버(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피스톤(220)도 상기 제1 피스톤(12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일체 몸체형로 가공되어 외주면에 시일 및 패킹홈(221)을 가공하고 일체형의 시일 및 패킹(225)이 조립된다.
상기 제2 완충유닛(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2 하우징(210)은 내면에서 직선이동되는 제2 피스톤(220)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7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270)의 압축에 대한 탄성력을 지지하도록 스냅링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지지판(271)이 상기 제2 하우징(210)의 단부 내주면에 조립된다.
이러한 제2 피스톤(220)의 조립에 의해 상기 제2쳄버(112)에 충진된 오일이 상기 제2 체크밸브(230)와 유로구멍(250)을 통하여 유동하여 체적변화를 수용하는 가변적인 제3 쳄버(213)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유로구멍(250)에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제2 쳄버(112)에 충진된 오일의 이동을 더욱 정밀하게 개폐하여 완충 정밀도를 제공하도록 제2 체크밸브(230)가 구성된다.
상기 제2 체크밸브(230)는 상기 유로구멍(250)의 상부에 가공된 밸브구멍(260)의 상측에서 밸브시트(231)가 끼움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261)에 지지 조립된다.
그리고 상부에 순차 조립되는 탄성지지링과 스냅링(227)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밸브구멍(260)에 견고히 조립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체크밸브(230)의 밸브시트(231)도 상기 제1 체크밸브(130)의 밸브시트(131)와 마찬가지로 일체 몸체형인 밸브시트(231)가 상단에서 하단까지 외주면에 가공된 나선형 유로홈(231a)을 통해 오일의 흐름이 제공되어 급격한 충격에 의한 잠금(lock-up) 상태가 서서히 풀리면서 오일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체크밸브(23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시트(231)의 제1, 제2 단턱부(c,d)를 형성하여 상부로 순차 확장된 오일충진구멍(232)에 개폐스프링(233)이 상기 제1단턱부(c)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개폐스프링(233)의 상측에 밸브체(234)가 조립된 단동형 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체(234)는 헤드부(b)가 상기 오일충진구멍(232)의 내주면에 돌출된 상측의 지지돌기링(232a)에 의해 이동이 지지 되고, 상기 지지돌기링(232a)에는 상기 오일충진구멍(232)에 연결하여 오일의 흐름이 제공되는 오리피스(236)가 관통된다.
다시 말해, 밸브체(234)는 상기 제2 쳄버(112)에 충진된 오일이 가압되면 하강하여 오일충진구멍(232)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d)에 헤드부(b)가 밀착되어 오일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로드(140)의 압축이동시 완충하게 된다. 오일은 계속 나선형유로홈(231a)을 통해 이동하면서 압력이 서서히 풀려 개폐스프링(233)이 밸브체(234)를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 쳄버(111)와 제2 쳄버(112) 내부의 오일은 피스톤로드(140)의 작동에 따라 각 쳄버 간의 체적변화가 발생 된다.
배관에 움직임이 발생하면, 제1 쳄버(111)와 제2 쳄버(112) 간에 충진된 오일이 가압되면서 상기 제1 피스톤(120)에 구비된 제1 체크밸브(130)를 통해 가압 측에서 비가압 측으로 압력평형(체적평형)을 위해 오일이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의 유동에 따른 유동저항이 외부충격에 대한 대응의 완충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완충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갑작스런 압축력이 피스톤로드(140)에 작용해서 제2 쳄버(112)에 충진된 오일이 상기 제1 체크밸브(130)을 통하여 제1 쳄버(111)와 제2 체크밸브(230)을 통하여 제3 쳄버(213)로 이동하게 되면서 완충한다.
여기서, 오일은 비압축성 유체이므로 갑작스런 압축력으로 제1체크밸브(130)의 밸브체(134,135)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던 개폐스프링(133)의 압축력보다 크게되어 상기 밸브체(134,135)을 이동시켜 단턱부(a)에 헤드부(b)가 밀착되어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잠김(LOCK-UP) 된다.
시간에 따른 갑작스런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제거되면 오일은 작은 직경의 오리피스(136)(236) 및 외주면에 가공된 밸브시트(131,231)의 길이가 길고 작은 반지름 구멍형상의 나선형 유로홈(131a,231a)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잠김상태가 풀리게 되면서 제1 피스톤(120), 제2 피스톤(220)을 아주 서서히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제3 쳄버(213)의 제2 피스톤(220)에 구비된 상기 제2 체크밸브(230)는 상기 제2 쳄버(112)에서 변화하는 오일의 체적변화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충격으로 가해지는 오일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완충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30,230)를 구성하는 밸브시트(131, 231)의 외주면에 오일의 흐름을 조절하는 나선형 유로홈(131a,231a)을 형성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밸브시트(131,231)에 조립된 각각의 밸브체(134, 135)(234)의 중앙에 연결유로구멍(134a, 134b, 234a)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한 나선형 유로홈(131a,231a)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 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지진, 폭발사고 등의 외부충격의 발생 시에 효과적으로 배관의 충격을 완충하여 배관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 제1 완충유닛 110 : 제1 하우징
111 : 제1 챔버 112 : 제2 챔버
120 : 제1 피스톤 121, 221 : 시일 및 패킹홈
122, 141, 250 : 유로구멍 123 : 돌기링
124 : 밸브구멍 125 : 시일 및 패킹
130 : 제1 체크밸브 131, 231 : 밸브시트
131a, 231a : 나선형 유로홈 132, 232 : 오일충진구멍
132a, 132b, 232a : 지지돌기링 133, 233 : 개폐스프링
134, 135, 234 : 밸브체 134a, 134b, 234a : 연결유로구멍
136, 236 : 오리피스 140 : 피스톤로드
145 : 패킹부재 150 : 제1 연결조인트
160 : 커버부재 200 : 제2 완충유닛
210 : 제2 하우징 213 : 제3 챔버
220 : 제2 피스톤 230 : 제2체크밸브
240 : 연결로드 260 : 밸브구멍
270 : 스프링 271 : 지지판

Claims (6)

  1.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를 제1 쳄버와 제2 쳄버로 구획하면서 유압으로 이동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의 설치되어 이동을 막는 제1 체크밸브, 상기 제1 피스톤의 일측에 연결된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조인트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와 동기 이동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유체의 유동 저항과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완충유닛;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오일이 충진되는 제3 챔버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이동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2 하우징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의 일측과 고정축 또는 지지면에 타측이 고정되는 제2 연결조인트로 구성된 제2 완충유닛;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은 일체 몸체형으로 가공되어 외주면에 시일 및 패킹홈을 가공하여 시일 및 패킹이 각각 조립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은 하부에 밸브구멍을 가공하고 제1 체크밸브가 조립되며,
    상기 제2 피스톤을 조립하는 제2 하우징은 상부에 밸브구멍을 가공하고 제2 체크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의 각각 밸브시트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외주면에 가공된 나선형 유로홈을 통해 오일의 흐름이 제공되어 급격한 충격에 의한 잠금 상태가 서서히 풀리면서 오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스너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오일충진구멍의 중앙에 개폐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개폐스프링의 양측에 위치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오일충진구멍의 내주면에 돌출된 상, 하측의 각 지지돌기링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각 지지돌기링에는 중앙의 상기 오일충진구멍과 연결하는 오리피스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스너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오일충진구멍에 개폐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개폐스프링의 상측에 위치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오일충진구멍의 내주면에 돌출된 상측의 지지돌기링에 의해 이동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돌기링에는 상기 오일충진구멍에 연결하는 오리피스가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스너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는 밸브체를 탄력지지하는 각각의 개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오일유로의 오일흐름 또는 밸브체의 닫힘에 의해 제1, 제2 피스톤의 움직임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스너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는 각각의 밸브체 중앙에 관통된 연결유로구멍을 통해 오일의 흐름이 제공되어 급격한 충격에 의한 잠금 상태가 서서히 풀리면서 오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스너버.
KR1020140122848A 2014-09-16 2014-09-16 유압식 스너버 KR10156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848A KR101562747B1 (ko) 2014-09-16 2014-09-16 유압식 스너버
PCT/KR2015/003945 WO2016043398A1 (ko) 2014-09-16 2015-04-21 유압식 스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848A KR101562747B1 (ko) 2014-09-16 2014-09-16 유압식 스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747B1 true KR101562747B1 (ko) 2015-10-30

Family

ID=5443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848A KR101562747B1 (ko) 2014-09-16 2014-09-16 유압식 스너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2747B1 (ko)
WO (1) WO20160433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674B1 (ko) 2019-03-22 2019-07-2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중첩형 리저보어를 갖는 좌굴 안정형 스너버
KR102140172B1 (ko) * 2020-01-30 2020-07-31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공기 배출 유로를 갖는 스너버
KR102163304B1 (ko) * 2020-04-29 2020-10-08 성화산업 주식회사 배관 완충장치
KR102237175B1 (ko) * 2020-12-09 2021-04-07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배관계 충격완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4146A1 (en) 2002-05-24 2003-12-25 Zf Sachs Ag Vibration damper with a hydraulic pressure stop
KR101345996B1 (ko) * 2013-09-02 2013-12-31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배관 충격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879A (ja) * 1994-02-10 1995-08-22 H K S:Kk 油圧緩衝器のピストンリング構造
KR19980064948A (ko) * 1998-06-08 1998-10-07 김정록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JP2005127374A (ja) * 2003-10-22 2005-05-19 Hitachi Ltd 液圧緩衝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4146A1 (en) 2002-05-24 2003-12-25 Zf Sachs Ag Vibration damper with a hydraulic pressure stop
KR101345996B1 (ko) * 2013-09-02 2013-12-31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배관 충격 완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674B1 (ko) 2019-03-22 2019-07-2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중첩형 리저보어를 갖는 좌굴 안정형 스너버
WO2020197010A1 (ko) * 2019-03-22 2020-10-01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중첩형 리저보어를 갖는 좌굴 안정형 스너버
KR102140172B1 (ko) * 2020-01-30 2020-07-31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공기 배출 유로를 갖는 스너버
KR102163304B1 (ko) * 2020-04-29 2020-10-08 성화산업 주식회사 배관 완충장치
KR102237175B1 (ko) * 2020-12-09 2021-04-07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배관계 충격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398A1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747B1 (ko) 유압식 스너버
KR101345996B1 (ko) 배관 충격 완충장치
US6340153B1 (en) Shock and acoustic mount
KR101838606B1 (ko) 댐퍼
KR101305935B1 (ko) 배관용 다차원 완충장치
KR102511746B1 (ko) 진동 댐퍼의 주파수 종속적 댐핑 밸브 장치를 위한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의 포트 바닥을 소성 변형시키기 위한 방법
JP5711477B2 (ja) 緩衝器
JP2014095422A (ja) 構造物用制振ダンパー
JP6590205B2 (ja) 三次元免震装置
WO2009100213A1 (en) High force civil engineering damper
JP2015113846A (ja) 構造物用制振ダンパー
KR102003674B1 (ko) 중첩형 리저보어를 갖는 좌굴 안정형 스너버
JP6501887B2 (ja) シリンダ装置
JP5356563B2 (ja) 粘弾性流体が封入された緩衝器
US11566681B2 (en) Coaxial spring damper device and system
US20020189914A1 (en) Plate valve with spring washer for damper
JP2011047421A (ja) 減衰装置
KR20090089621A (ko) 수격방지기
JP5970569B2 (ja) 緩衝器
RU2290548C1 (ru) Адаптивная гидро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опора
CN110382819B (zh) 用于井下工具管柱的缓冲器工具
TW202111232A (zh) 緩衝器
CN105020430A (zh) 球阀
JP7438864B2 (ja) ダンパー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免震構造物
JP7465163B2 (ja) 緩衝器および緩衝器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