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948A -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 Google Patents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948A
KR19980064948A KR1019980021155A KR19980021155A KR19980064948A KR 19980064948 A KR19980064948 A KR 19980064948A KR 1019980021155 A KR1019980021155 A KR 1019980021155A KR 19980021155 A KR19980021155 A KR 19980021155A KR 19980064948 A KR19980064948 A KR 1998006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od
hydraulic cylinder
stage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록
Original Assignee
김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록 filed Critical 김정록
Priority to KR101998002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948A/ko
Publication of KR1998006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948A/ko
Priority to KR1019990021253A priority patent/KR100312727B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식 실린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복수개로 된 실린더로드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최상단 로드의 상단부의 상승 또는 하강 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며 로드스토퍼가 각 실린더로드의 걸림턱을 강하게 부딪치지 않도록 하므로서 충격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설비자체의 자연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인데, 저면에 바닥면과 상단에 스토퍼가 형성된 실린더하우징(100) 및 복수개의 실린더로드(200,300,400)으로 형성된 다단 유압실린더에 있어서 실린더하우징(100) 및 최상단을 제외한 다수개의 실린더로드(200,300)의 저면 중앙의 유체출입구에 제 1체크밸브(212, 312)가 형성되고 실린더로드의 로드 통몸체(220,320)의 하단측면에 오리피스(222,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린더로드의 상승시 로드 스토퍼 쇼크가 발생되지 않아 장비전체의 자연수명이 연장되며 실린더로드의 상승과 하강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사용용도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할 것이다.

Description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다단 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국내외에서 제작된 3단 유압실린더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처럼 종래의 다단 유압실린더는 가장 큰 내직경을 갖는 실린더하우징(1)에 점진적으로 그 외직경이 작아지는 1단 실린더로드(2), 2단 실린더로드(3)에 수납되는 3단 실린더로드(4)로 구성되는데, 실린더 하우징(1) 및 1단 실린더로드(2), 2단 실린더로드(3)는 바닥면(21, 31)이 형성되는 파이프상 구조를 이루고 실린더하우징(1)의 바닥면(11)에는 유압콤프레셔(도시 생략)에 연관되어 있는 유체파이프(도시생략)가 배관되는 유체출입구(111)가 형성되고 1단 실린더로드(2) 및 2단 실린더로드(3)의 바닥면(21, 31)은 파이프상의 로드 몸체의 직경보다 약간 더 긴 직경을 이루어져 스토퍼(S)를 형성하며 로드몸체와 바닥면(21, 31)은 일체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부착되며 각 실린더로드(2, 3)의 바닥면(21, 31)의 중앙에 각각 유체 출입구(211, 311)가 형성된다, 그리고 3단 실린더로드(4)는 봉상체의 로드몸체와 이보다 약간 더 긴 직경의 바닥면(4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린더하우징(1), 1단 실린더로드(2), 2단 실린더로드(3)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각각 걸림턱(121, 221, 3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3단 유압실린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처럼 유압 콤프레셔에 의해 유체가 실린더하우징(1) 내로 들어오게 되면 각 실린더로드(2, 3, 4)가 유압에 의해 펴지거나 접히어지는데 각 실린더로드(2, 3, 4)의 상승 또는 접히는 순서가 무질서하고 가장 편한 순서대로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므로 3단 실린더로드(4)의 상승 또는 접히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각 실린더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S)가 각 걸림턱(121, 221, 321)에 강하게 치므로 그 충격때문에 종래의 다단유압실린더는 승강기에 사용될 수 없었으며 상기와 같은 로드 스토퍼 쇼크(Rod Stopper Shock)로 인하여 실린더 자체 뿐아니라 장비 전체에 피로(Fatigue)를 주어 설비의 자연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되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식 실린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복수개로 된 실린더로드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최상단 로드의 상단부의 상승 또는 하강 속도와 최하단 로드의 상승 또는 하강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하며 로드스토퍼가 각 실린더로드의 걸림턱을 강하게 부딪치지 않도록 하므로서 충격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설비자체의 자연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3단 유압실린더의 측단면도
도2는 종래의 3단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3은 본발명에 따른 연동식 3단 유압실린더의 측단면도
도4 내지 도6은 본발명에 따른 연동식 3단 유압실린더의 상승동작 측단면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식 3단 유압실린더의 하강동작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린더하우징 200 : 1단 실린더로드
300 : 2단 실린더로드 400 : 최상단 실린더로드
212, 312 : 제 1체크벨브 220, 320 : 통몸체
222, 322 : 오리피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의 하나인 연동식 3단 유압실린더의 측단면도인데 본 발명의 연동식 3단유압실린더는 실린더하우징(100), 1단 실린더로드(200), 3단 실린더로드(300), 최상단실린더로드(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하우징(100)은 통상구조로서 하단에는 바닥면(110)이 형성되고 이 바닥면(110)에는 유압콤프레셔(도시생략)에 연관되어 유체가 출입하는 유체출입구(111)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단은 그 내경이 작아지며 스토퍼(120)가 형성되고 상기 1단 실린더로드(200) 및 상기 2단 실린더로드(300)는 통상구조로 그 내경이 단계별로 작게 된 통몸체(220,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직경이 약간 더 큰 각각 바닥면(210,310)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중앙유체출입구(211, 311)가 형성되는데 이 중앙유체출입구에는 제 1체크밸브(212, 31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체크밸브(212, 312)는 스프링 및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이 밀려들어가면 중앙유체출입구(211, 311)가 개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몸체(220, 320)와 바닥면(210, 310)이 접합되는 부분에 측면쪽을 통몸체(220, 320)의 하단에 복수개의 오리피스(222, 322)가 형성된다.
상기 통몸체(220, 320)의 상단은 내경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스토퍼(221, 321)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실린더로드(400)은 원기둥상의 로드몸체와 그 하단에 직경이 약간 더 큰 바닥면(410)이 형성되며 바닥면(410)의 외주면에 가깝게 형성된 관통구인 복수개의 유체출입구에 복수개의 제 2체크벨브(411)가 형성된다.
상기된 제 1체크벨브(212, 312), 오리피스(222, 322) 및 최상단 실린더로드(400)에 형성된 제 2체크벨브(411)는 유체의 압력이 일정압에 도달될 때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린더하우징(100)에 1단 실린더로드(200)가 끼워지고, 1단 실린더로드(200)에 2단 실리더로드(300)가 끼워 넣어지고 2단 실린더로드(300)에 최상단 실린더로드(400)가 끼워 넣어지므로서 복수개의 베이스 유체충진공간(BS1, BS2, BS3)과 복수개의 사이드유체충진공간(SS1, SS2, SS3)가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사이드유체충진공간(SS1, SS2, SS3)의 상단각층에 즉 각 스토퍼(120, 221, 321) 직하단에 각각 에어벤트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의 상승동작을 구분동작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7 내지 도 9까지는 하강동작을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가 상승할 때의 유체(0)의 거동은 먼저 유압 콤프레셔에서 하여 최하단의 베이스 유체충진공간((BS1)에 침입되면 제 1체크벨브(212, 312)에 의해 다른 베이스 유체충진공간(BS2, BS3)에 균분하여 진입되게 되고 이에 따라 1단 실린더로드(100)부터 최상단 실린더로드(400)까지 전(全) 실린더로드(100, 200, 300, 400)가 동시에 상승하는데 이처럼 전 실린더로드가 상승하면 사이드유체 충진공간(SS1, SS2, SS3)은 그 공간크기가 작아지므로 여기에 충진된 유체는 베이스유체충진공간(BS1, BS2, BS3)로 진입하여 베이스 유체충진공간(BS1, BS2, BS3)의 유압을 적절하게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가 하강할 때 베이스 유체충진공간((BS1, BS2, BS3)에 있는 유체(0)가 제 1체크밸브(212,312)에 의하여 유압이 적절히 조정되면서 균일한 양 만큼씩 빠져나오므로서 각 실린더로드(100 ∼ 400)가 일정 길이만큼씩 하강하게 되면 사이드유체충진공간(SS1, SS2, SS3)의 공간크기가 커지므로 오리피스(222, 322)를 통해 베이스 유체충진공간(BS1, BS2, BS3)로부터 사이드유체충진공간(SS1, SS2, SS3)로 유체가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유압실린더의 하강시 다단의 실린더로드가 동시에 접힐 때 부드럽게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식 다단유압실린더는 실린더로드의 상승시 로드스토퍼 쇼크가 발생되지 않아 장비전체의 자연수명이 연장되며 실린더로드의 상승과 하강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사용용도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저면에 바닥면(110)과 상단에 스토퍼(120)가 형성된 실린더하우징(100)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00)에 1, 2단 실린더 로드(200, 300)와 최상단 실린더 로드(4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다단 유압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1, 2단 실린더 로드(200, 300)의 저면 중앙의 유체출입구(211, 311)에 제1 체크벨브(212, 312)가 설치되고, 상기 1, 2단 실린더 로드(200, 300)의 로드 통몸체(220, 320)의 하단측면에 오리피스(222, 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KR1019980021155A 1998-06-08 1998-06-08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KR19980064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155A KR19980064948A (ko) 1998-06-08 1998-06-08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KR1019990021253A KR100312727B1 (ko) 1998-06-08 1999-06-08 크레인 승강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155A KR19980064948A (ko) 1998-06-08 1998-06-08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948A true KR19980064948A (ko) 1998-10-07

Family

ID=547538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155A KR19980064948A (ko) 1998-06-08 1998-06-08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KR1019990021253A KR100312727B1 (ko) 1998-06-08 1999-06-08 크레인 승강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253A KR100312727B1 (ko) 1998-06-08 1999-06-08 크레인 승강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649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47A (ko) * 2002-10-01 2002-12-05 (주)삼우기계 로드 관로화 유체이송형 다단로드 실린더
KR100748898B1 (ko) * 2001-03-09 2007-08-13 허성 유압식 다단 승강장치를 이용한 오물수거장치
KR101014973B1 (ko) * 2003-12-27 2011-02-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2단 실린더의 등속제어장치
KR20220076036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성 폐기물 압축용 다단 실린더 및 그 제어방법
WO2022124500A1 (ko) * 2019-12-10 2022-06-16 신경순 다단 복동 공압 실린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747B1 (ko) * 2014-09-16 2015-10-30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유압식 스너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898B1 (ko) * 2001-03-09 2007-08-13 허성 유압식 다단 승강장치를 이용한 오물수거장치
KR20020090947A (ko) * 2002-10-01 2002-12-05 (주)삼우기계 로드 관로화 유체이송형 다단로드 실린더
KR101014973B1 (ko) * 2003-12-27 2011-02-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2단 실린더의 등속제어장치
WO2022124500A1 (ko) * 2019-12-10 2022-06-16 신경순 다단 복동 공압 실린더
KR20220076036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방사성 폐기물 압축용 다단 실린더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650A (ko) 1999-09-06
KR100312727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880B2 (en) Gas lift plunger acceleration arrangement
US6644399B2 (en) Water, oil and gas well recovery system
US6176309B1 (en) Bypass valve for gas lift plunger
JP4325417B2 (ja) 油圧緩衝器
CA2430183A1 (en) Mechanically actuated gas separator for downhole pump
KR19980064948A (ko) 연동식 다단 유압실린더
CA1047369A (en) Hydraulic jack cushioning apparatus
US4741679A (en) Oil well pump traveling valve
CN1080027A (zh) 气体压缩机
CN211144986U (zh) 一种用于组合油缸的活塞杆防脱落装置
US4137017A (en) Submersible deep well pump
US6484744B1 (en) Oil pumping device
CN104675901A (zh) 气体快速复位多级液压缓冲器
US4470775A (en) Submersible deep well pump
CN112576485B (zh) 一种含气稠油井用抽油泵
CN201152333Y (zh) 端头进气的气体拉簧
CN201144707Y (zh) 双伸缩悬浮式液压支柱
CN113323614A (zh) 连续油管用液动上击冲击器及连续油管工具
CN210859079U (zh) 一种可以空载快速起升的大吨位立式液压千斤顶的泵体
CN209638751U (zh) 一种增压气动润滑泵
CN110902597B (zh) 一种立式千斤顶
CN114135700B (zh) 锅炉的多段式泄压阀
JP4641674B2 (ja) 油圧シリンダ
KR200246144Y1 (ko) 어큐뮬레이터
CN215984328U (zh) 油管通径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