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741B1 - 차량용 시트쿠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741B1
KR101562741B1 KR1020140054846A KR20140054846A KR101562741B1 KR 101562741 B1 KR101562741 B1 KR 101562741B1 KR 1020140054846 A KR1020140054846 A KR 1020140054846A KR 20140054846 A KR20140054846 A KR 20140054846A KR 101562741 B1 KR101562741 B1 KR 10156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ulling
space
seat cush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철
서진호
박찬욱
김명섭
김윤호
김동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5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58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백과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익스텐션부; 상기 본체부와 익스텐션부를 덮는 커버링; 및 상기 본체부와 익스텐션부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커버링과 결합되어, 상기 익스텐션부의 이동시 커버링이 상기 공간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쿠션{SEAT CUSH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익스텐션부를 포함하는 시트쿠션에 있어서 전방이동시 발생되는 갭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주행 편의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면서 안정적인 승차감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는 차량 주행 안정성을 높여주는 서스펜션이나 차체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트 자체의 안락함에 대한 요구 또한 포함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시트백에는 탑승자의 양 측부를 감싸는 볼스터부 및 시트백의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등이 구비되어 왔으며, 시트쿠션에는 탑승자의 허벅지를 지지하기 위한 익스텐션 장치가 마련되어 왔다.
상기 익스텐션 장치는 차량의 시트쿠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동식 또는 기계식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해 종래의 KR10-2011-0020965 A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과; 상기 작동브라켓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에 구비된 록킹장치와; 상기 쿠션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익스텐션프레임과 상기 작동브라켓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으며, 발생된 틈으로 인해 허벅지에 단차감이 느껴지거나 허벅지가 끼이는 문제들이 발생되어 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1-0020965 A (2011.03.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기 틈을 덮는 시트커버를 구비하고, 익스텐션 장치의 후방 이동시 시트커버를 틈 내측으로 잡아당기도록 당김부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틈을 제거하고 탑승자로 하여금 단차감을 느끼거나 끼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쿠션은 시트백과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익스텐션부; 상기 본체부와 익스텐션부를 덮는 커버링; 및 상기 본체부와 익스텐션부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커버링과 결합되어, 상기 익스텐션부의 이동시 커버링이 상기 공간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부;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부는 탄성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링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을 지나 상기 익스텐션부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부의 하단에는 인서트된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와 호그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의 타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을 감싸는 후크가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와 걸림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당김부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전방이동시 신장되고 후방이동시 수축되어 상기 커버링을 상기 공간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링에는 상기 공간을 향해 연장된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당김부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는 상기 커버링에 탄성력을 상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쿠션에 따르면, 커버링이 상기 공간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익스텐션부의 전방 이동시에도 상기 공간이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탑승자가 단차감을 느끼거나 상기 공간에 허벅지가 끼이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부의 구비로 인하여 상기 익스텐션부의 후방이동시에도 상기 커버링이 상기 익스텐션부 및 본체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링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부의 전방 이동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부의 후방 이동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김부와 익스텐션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쿠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쿠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쿠션은 시트백과 연결되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익스텐션부(100); 상기 본체부(200)와 익스텐션부(100)를 덮는 커버링(300); 및 상기 본체부(200)와 익스텐션부(10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커버링(300)과 결합되어,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이동시 커버링(300)이 상기 공간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부(400);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당김부(400)는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이동시 커버링(300)이 상기 공간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소재를 포함하며, 고무로 된 탄성 와이어나 밴드 또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탄성소재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무게추가 구비되어 무게추의 자중에 의해 당김력을 인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으로 당김력을 인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당김부(400)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당김부(400)는 상시 상기 커버링(300)에 상시 당김력을 인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익스텐션부(100)가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커버링(300)이 상기 공간으로 잡아 당겨져 상기 익스텐션부(100) 및 상기 본체부(200)와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커버링(300)은 상시 상기 공간을 덮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이동에 따라 커버링(300)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시트의 탑승자는 단차감 또는 주름에 의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되고, 상기 공간에 옷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부(200)와 익스텐션부(100)는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시트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200)는 일단이 상기 시트백과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익스텐션부(10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상기 본체부(200)의 타단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익스텐션부(100)와 상기 본체부(200)의 결합 및 작동구조는 종래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KR10-2011-0020965 A (2011.03.04)와 유사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링(300)은 상기 익스텐션부(100)와 상기 본체부(200)의 상면을 모두 덮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커버링(300)으로 감싸거나 익스텐션부(100)와 본체부(200)를 개별적으로 감싸되 서로 대면하는 각 단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당김부(400)는 일단이 상기 커버링(300)과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링(300)에 상기 공간을 향해 연장된 돌출부(310)가 마련되고 상기 당김부(400)의 일단이 상기 돌출부(31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당김부(400)와 상기 커버링(300)과의 결합시 결합부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상기 커버링(300) 중 상기 익스텐션부(100)를 감싸는 부분과 상기 본체부(200)를 감싸는 부분에 동일한 당김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당김부(400)는 타단이 상기 공간을 지나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하단까지, 더 상세하게는 하단의 중앙 또는 전단부까지 연장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당김부(400)가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는 가변범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며, 동시에 상기 당김부(400)가 상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커버링(300)에 상시 당김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링(300)은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신장 정도에 관계없이 상기 익스텐션부(100) 및 상기 본체부(200)에 상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당김부(400)의 타단이 상기 익스텐션부(100) 하단의 후단부에도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부(20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익스텐션부(100)와 본체부(200)를 연결하는 프레임 등에도 결합될 수 있다. 결합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하단에는 인서트된 와이어(110)가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400)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110)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와이어(110)는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패드에 인서트되어 상기 당김부(400)와의 결합을 위해 일부 노출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당김부(400)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110)와 호그링(500)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와이어가 아니더라도 로드(rod)나 바(bar)가 될 수도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하지만 호그링(500)을 이용한 결합 이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부(400)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후크(410)가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110)와 걸림결합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호그링(500)을 이용한 결속이나 후크(410)를 이용한 결속은 모두 조립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며 별물로서 존재하는 상기 당김부(400)와 상기 와이어(110)를 조립함에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전방이동시 상기 커버링(300)이 팽팽해 지면서 상기 당김부(400)는 신장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후방이동시 상기 커버링(300)이 느슨해 지면서 상기 당김부(400)가 수축되어 상기 커버링(300)을 상기 공간으로 잡아당기게 하며, 이로써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이동에 관계없이 상시 상기 공간은 상기 커버링(300)에 의해 덮인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공간에 주름이 발생되는 일 없이 탑승자에게 이물감 없는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쿠션에 따르면, 커버링(300)이 상기 공간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전방 이동시에도 상기 공간이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탑승자가 단차감을 느끼거나 상기 공간에 허벅지가 끼이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부(400)의 구비로 인하여 상기 익스텐션부(100)의 후방이동시에도 상기 커버링(300)이 상기 익스텐션부(100) 및 본체부(2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링(30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익스텐션부 110 : 와이어
200 : 본체부 300 : 커버링
400 : 당김부 410 : 후크
500 : 호그링

Claims (9)

  1. 시트백과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하는 익스텐션부;
    상기 본체부와 익스텐션부를 덮는 커버링; 및
    상기 본체부와 익스텐션부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커버링과 결합되어, 상기 익스텐션부의 이동시 커버링이 상기 공간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당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링에는 상기 공간을 향해 연장된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당김부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탄성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링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공간을 지나 상기 익스텐션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부의 하단에는 인서트된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와 호그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의 타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을 감싸는 후크가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와 걸림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전방이동시 신장되고 후방이동시 수축되어 상기 커버링을 상기 공간으로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상기 커버링에 탄성력을 상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
KR1020140054846A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시트쿠션 KR10156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46A KR101562741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시트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46A KR101562741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시트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741B1 true KR101562741B1 (ko) 2015-10-23

Family

ID=5442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46A KR101562741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시트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909B1 (ko) 2017-10-30 2018-02-06 주식회사 맥스리무진 독립적으로 구동되면서 시트커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전동식 레그 레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9783A (ja) * 2010-03-12 2011-09-2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12111362A (ja) 2010-11-25 2012-06-14 Toyota Boshoku Corp クッション長可変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9783A (ja) * 2010-03-12 2011-09-2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12111362A (ja) 2010-11-25 2012-06-14 Toyota Boshoku Corp クッション長可変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909B1 (ko) 2017-10-30 2018-02-06 주식회사 맥스리무진 독립적으로 구동되면서 시트커버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전동식 레그 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899B2 (en) Combination lumbar-bolster system
KR101034310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EP3020600B1 (en) Vehicle seat
KR20120098635A (ko) 의자의 등받이
CN106166974A (zh) 用于车辆的座垫延伸装置
US11938845B2 (en) Seat cushion
JP2009255809A (ja) 報知装置付き乗物用シート
KR101562741B1 (ko) 차량용 시트쿠션
JP7216307B2 (ja) 乗物用シート
JP5365219B2 (ja) 車両用シート
CN106455829A (zh) 表皮的固定构造及车辆用座椅
KR101562740B1 (ko) 차량의 시트쿠션
JP2018020597A (ja) 車両のシート
JP2013132942A (ja) オットマン付き車両用シート
JP6486792B2 (ja) 中折れシートバック
JP605346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836646B1 (ko)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의 보조 핸들 장치
JP6798376B2 (ja) 着座用シート
JP635451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553524B1 (ko) 차량 시트쿠션
JP6126959B2 (ja) 車両用シート
JP5928368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903515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0549668B2 (en) Vehicle seat
KR200484812Y1 (ko) 차량용 시트커버의 측방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