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735B1 -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Google Patents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0735B1 KR101560735B1 KR1020140104309A KR20140104309A KR101560735B1 KR 101560735 B1 KR101560735 B1 KR 101560735B1 KR 1020140104309 A KR1020140104309 A KR 1020140104309A KR 20140104309 A KR20140104309 A KR 20140104309A KR 101560735 B1 KR101560735 B1 KR 1015607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toothbrush
- control unit
- hous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는,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본체유닛; 및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칫솔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유도하여 양치방법을 개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치는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플라그(Plague)와 음식물 찌꺼기, 세균막 등을 제거하고, 치은에 미세한 자극을 주어 혈액공급을 증대시키며, 치은상피의 각화를 촉진시켜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
하지만,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좌우?향으로의 양치질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치아가 비이상적으로 마모될 뿐만 아니라 잇몸과 치아 사이의 잇몸부분이 내려앉게 되는 등 잇몸퇴축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좌우방향의 양치질은 잘못된 양치습관에 비롯된다.
그런데, 잇몸이 내려앉으면 치아뿌리가 드러나거나 그 부위에 마모가 발생되어 '이빨이 시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잘못된 양치질은 잇몸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심각한 치과질환을 낳게 된다.
여기서, 치과질환 중 치주질환은 국민의 80% 이상이 겪고 있는 대표적인 질환중의 하나로, 치주질환에 의한 연간 경제적 손실액(시장규모)은 매년 5,000억원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일종의 생활습관에 의한 질병이며, 올바른 양치습관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
그런데, 올바른 양치의 기본 요건은 치아나 치은에 상처를 주지 않아야 하고, 쉽게 교육할 수 있으며,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최근 다양한 종류의 양치방법이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양치방법은 칫솔의 운동 형태에 따라 횡마법, 바스법, 회전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올바른 양치방법의 경우 양치에 의해 사용자 자신이 치면세균막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개선될 수 있도록 전문가가 교육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올바른 양치방법은 어렸을 때부터 교육에 의해 습관화되지 않으면 실천하기 어려운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올바른 양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종래 올바른 양치 습관 형성을 돕기 위한 칫솔이 개발되고 있었다.
하지만, 종래 칫솔의 경우, 단순히 사용자에게 양치를 하는 습관을 부여하는 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사용자의 양치질에 대한 시간 또는 횟수를 단순 측정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칫솔의 경우, 사용자의 양치질이 올바른지, 양치의 질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전달할 수 없으며, 양치습관의 개선을 위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유도하여 양치방법을 개선하며, 이에 의해, 치주질환 등의 치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본체유닛; 및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칫솔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은,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이 설치되는 제어유닛설치하우징; 및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을 상기 칫솔에 착탈시키는 하우징착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이 칫솔몸통의 중심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을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클램프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결합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1착탈부재; 및 상기 결합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착탈부재와 축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2착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는,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1착탈부재; 및 상기 제1착탈부재으로부터 이격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2착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이 칫솔몸통의 단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부재는 복수의 단위탈부착부재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탈부착부재 중에서, 제1단위탈부착부재와, 상기 제1단위탈부착부재에 이웃하는 제2단위탈부착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탈부착부재의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의 하측에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의 하측에서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은,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의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은, 상기 칫솔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칫솔의 위치, 상기 칫솔의 운동방향, 상기 칫솔의 변화의 속도 및 상기 칫솔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은,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데이터처리결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데이터처리결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원을 공급하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전원공급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부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감지부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감지부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지자기를 측정하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칫솔의 위치 또는 상기 칫솔의 기울기에 대한 실시간영상 내지 녹화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에 의해 사용자의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유도하여 양치방법을 개선하며, 이에 의해, 치주질환 등의 치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치아의 양치를 설명하기 위한 치아의 구조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개량바스법에 의한 양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에 부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하되, 도 5(a)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5(b)는 클램프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가속도센서의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칫솔의 위치 또는 칫솔의 기울기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에 부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개량바스법에 의한 양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에 부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하되, 도 5(a)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5(b)는 클램프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a)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가속도센서의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칫솔의 위치 또는 칫솔의 기울기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에 부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종의 양치방법 중 후술하는 개량바스법(Modified Bass method)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치방법은 칫솔의 운동 형태에 따라, 수평왕복동작(horizontal scrub)인 횡마법, 진동동작(vibratory)인 바스법, 스틸맨법, 차터스법, ③ 상하쓸기 동작(vertical sweeping)인, 회전법, 종마법, 개량스틸맨법, 개량차터스법, ④ 원호동작(rotary, circle)인 폰즈법(묘원법), ⑤ 압박동작(press)인 와타나베법(tooth pick)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치아의 양치를 설명하기 위한 치아의 구조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개량바스법에 의한 양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에 부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하되, 도 5(a)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5(b)는 클램프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클램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9(a)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가속도센서의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칫솔의 위치 또는 칫솔의 기울기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에서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는, 칫솔(6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본체유닛(200)과, 동작추적본체유닛(200)에 설치되며, 칫솔(600)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
양치는 치아 표면과 인접면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획득피막, 음식물잔사, 치면세균막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총 16개소 각각의 양치부위를 10초씩 양치하고, 개별의 양치부위가 겹치도록 양치하여 양치되지 않은 부위가 없는지 확인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혀와 입천장을 닦게 된다. 하지만, 치주질환으로 인해 치과를 찾는 환자의 대략 55%는 올바른 양치방법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바른 양치방법과 관련하여 개량바스법은 치아와 잇몸 경계부위에 발생하는 치은염의 예방에 효과적이며 치아표면의 치면세균막의 제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져져 있으므로,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양치방법이다.
개량바스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바스법에 대해 설명하면, 바스법은 1950년대에 내과의사인 바스(Dr. Bass)에 의하여 고안된 방법이다.
바스법은 한 줄 또는 두 줄의 비교적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모의 일부가 치은열구(gingival sulcus) 내에 들어가도록 칫솔을 치아 장축에 45°각도로 위치시켜 전후로 짧은 진동을 1초당 4회 정도의 속도로 20회 정도 주며 닦는 방법이다. 이때 진동은 강모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어야 하며, 2열 칫솔이 아닌 4열 칫솔의 경우 2열은 열구에 나머지 2열은 치은에 위치시켜 닦으면 된다.
여기서, 바스법은 치주질환자의 치료와 더불어 사용하거나 치아와 잇몸 경계부위의 치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양치질 방법이다. 그러나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기 때문에 치면세균막지수가 높아질 수 있고, 치간 사이가 잘 안 닦이며 실천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치은에 위해작용을 줄 수 있어 전문가의 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개량바스법은 치아 표면을 잘 닦기 위한 방법으로 칫솔모가 치은열구 내에 들어가도록 칫솔을 치아에 45°각도로 삽입하여 짧은 진동으로 치은열구 내의 치면세균막을 제거한 다음, 치경부에서 칫솔을 치아 장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시 위치시켜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서 교합면쪽으로 손목을 회전시켜 쓸어내리거나 쓸어 올려주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바스법과 동일하나 치아표면 치면세균막을 잘 제거하기 위하여 칫솔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바스법과 회전법을 병용한 것이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개량바스법은 상처받기 쉬운 잇몸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칫솔모를 잇몸에 대해 45°의 각도를 유지하며 위에서 아래로 부드럽게 미끄러지듯이 쓸어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의 경우 치아에 존재하는 획득피막, 치면세균막 및 음식물잔사를 제거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이때 플라그(Plague) 및 음식물잔사가 쉽게 부착되는 잇몸과 이빨 사이의 부위를 세게 문지르듯이 하지 않고, 미세한 진동을 주어 위에서 아래로 부드럽게 쓸어내리듯이 양치해야 하며, 교합면은 앞뒤로 움직여서 양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치방법은 어렸을 때부터 습관화되지 않으면 실천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올바른 양치방법, 예를 들어, 개량바스법과 같은 양치방법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잘못된 양치습관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이후, 사용자의 잘못된 양치방법이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개선될 수 있게 하는 데,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은 칫솔(6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이 설치(도 8 참조)된다.
여기서, 칫솔(600)은 사용자의 이빨에 접촉되는 칫솔모(610)와, 칫솔모(610)로부터 연장되는 칫솔넥(620)과, 칫솔넥(620)으로부터 연장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칫솔몸통(6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은 칫솔몸통(6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칫솔몸통(63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칫솔몸통(630)의 중심부는 칫솔몸통(630)의 정확한 중심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칫솔몸통(630) 중에서 칫솔몸통(630)의 단부에 아닌 다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은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과, 하우징착탈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은 칫솔몸통(6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칫솔몸통(6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착탈유닛(220)은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 결합되며,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이 칫솔몸통(630)의 중심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착탈유닛(220)은 클램프부(221)와 손잡이부(22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클램프부(221)는 일측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칫솔몸통(630)에 체결되는 것을 통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을 칫솔몸통(630)에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부(221)에는 클램프부(221)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222)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222)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것을 통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예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칫솔(600)에 부착하여 양치 패턴의 분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만약,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가 칫솔몸통(630)에 일체형으로 설치된다면, 사용자는 반드시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가 칫솔몸통(630)에 구비된 칫솔(600)을 구입해야 하고, 가정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일반 칫솔(600), 오픈 마켓 내지 오프라인 마켓에서 구입 가능한 일반 칫솔(600)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는 양치 패턴 분석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매번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가 칫솔몸통(630)에 구비된 칫솔(600)을 구입해야 하므로, 구입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예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는, 일반적인 칫솔(600)에 대해서도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므로, 한번의 구입으로 양치 패턴 분석의 계속적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전술한 일체형보다 구입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5(a) 또는 도 5(b)에는 클램프부(221a)에 대한 각각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 또는 도 5(b)를 참조하면, 클램프부(221a)는 제1착탈부재(225a)와, 제2착탈부재(226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착탈부재(225a)와 제2착탈부재(226a)는 결합회전축(227)에 의해 축결합되며, 제1착탈부재(225a)와 제2착탈부재(226a) 각각은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착탈부재(225a)와 제2착탈부재(226a) 각각의 손잡이부(222a)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면, 제1착탈부재(225a)와 제2착탈부재(226a) 각각은 결합회전축(227)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어 칫솔몸통(630)에 부착되거나 부착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이 칫솔몸통(630)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착탈부재(225a)와 제2착탈부재(226a) 사이에는 탄성회복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5(a)의 경우 제1착탈부재(225a)와, 제1착탈부재(225a)에 연결된 손잡이부(222a)가 같은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면, 도 5(b)의 경우 제1착탈부재(225a)와, 제1착탈부재(225a)에 연결된 손잡이부(222a)가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램프부(221b)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의 경우 역시 클램프부(221b)는 제1착탈부재(225b)와, 제2착탈부재(226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의 경우 클램프부(221b)는 2개의 회전축, 즉, 제1회전축(228)과, 제2회전축(229)을 가지는데, 제1착탈부재(225b)는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28)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2착탈부재(226b)는 제1착탈부재(225b)으로부터 이격되며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229)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착탈부재(225b)와 제2착탈부재(226b) 각각의 손잡이부(222b)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면, 제1착탈부재(225b)는 제1회전축(228)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제2착탈부재(226b)는 제2회전축(229)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어 칫솔몸통(630)에 부착되거나 부착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이 칫솔몸통(630)에 착탈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클램프부(221c)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클램프부(221c)와 손잡이부(222c)는 각종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부(222c)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것을 통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을 칫솔몸통(630)에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은 동작추적본체유닛(200)에 설치되며, 칫솔(600)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은 동작감지부(310)와, 데이터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감지부(310)는 칫솔(600)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칫솔(600)이 여러 방향으로 직선 내지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이러한 동작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동작감지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311)는 속도의 변화에 해당되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물체의 움직이는 방항에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3축 가속도센서(311)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가속도센서(311)는 기본적으로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므로, 예를 들어, 도 9(a)에서와 같이, 수평이 유지되는 정지상태에서는 Z축 방향으로 중력가속도 g만큼의 값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Y축을 회전축으로 90°회전하게 되면 도 9(b)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며, 도 9(b)에서 다시 θ만큼회전하게 되면 도 9(C)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c)를 참조하면, X축 방향으로 측정되는 가속도는 이고, Z축 방향으로 측정되는 가속도 역시 이므로, θ는 45°임을 알 수 있다.
즉, 가속도센서(311)를 이용하는 경우 중력가속도를 기본으로 물체의 회전시 회전 후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회전각도를 산출하게 된다.
하지만, 가속도센서(311)의 경우 자유낙하운동과 같이 등가속도운동을 하게 되면 정확한 회전각도를 산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자유낙하운동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정지해 있던 물체가 자유낙하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중력에 의한 가속도 효과가 사라지게 되므로 정확한 회전각도를 산출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작감지부(310)는, X축, Y축,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31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3축 자이로센서(312)는 X축, Y축, Z축 각각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센서(312)의 경우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물체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다면 각속도는 '0'이 되며, 각속도는 시간에 대한 각도의 변화이므로 각속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회전각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각속도를 적분해야 한다.
하지만, 자이로센서(312)의 경우 각속도의 적분과정에서 적분상수가 발생되어 적분상수가 누적됨에 따라 오차가 발생되기도 하고, 또는, 자이로센서(312)에서 측정되는 각속도값에 노이즈 등에 의한 에러가 발생되어 적분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오차가 누적되면 적분 드리프트(Drift)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자이로센서(312)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가속도센서(311)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가속도센서(311)와 자이로센서(312)는 상호 보완을 통해 칫솔(600)의 정확한 위치와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는, 가속도센서(311)를 기준으로 자이로센서(312)를 사용하여 칫솔(600)의 위치와, 칫솔(600)의 기울기를 보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자이로센서(312)를 기준으로 가속도센서(311)를 사용하여 칫솔(600)의 위치와, 칫솔(600)의 기울기를 보완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센서(311)와 자이로센서(312)는 각각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동작감지부(310)는,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센서인 지자기센서(313), 즉,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지자기를 측정하는 지자기센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센서(313)는 지구자기의 세기와 방향을 통해 방위각을 검출하여 물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3축 지자기센서(313)는 X축, Y축, Z축에 방향에 대한 지자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자기센서(313)를 이용하여 물체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지자기센서(313)에 유도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방위각을 측정하게 되며, 이렇게 측정된 방위각과 이전에 측정된 방위각을 비교하여 물체의 회전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지자기센서(313)의 경우 강자성체의 물질이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기기가 지자기센서(313)에 접근하게 되면 지자기센서(313) 주위의 자기장이 일그러져 정확한 방위각을 측정할 수 없게 되며, 또한, 지자기센서(313)가 기울어져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회전각도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지자기센서(313)는 전술한 각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312)를 보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3축의 각속도센서와, 3축의 자이로센서(312)와, 3축의 지자기센서(313), 즉, 총 9축의 센서가 상호 보완적으로 센싱하면서 칫솔(60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데이터처리부(320)를 통해 칫솔(600)의 위치와 칫솔(600)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반드시 총 9축의 센서를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센서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지자기센서(313)를 기본으로 하여 칫솔(60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며, 각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312)가 지자기센서(313)를 보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처리부(320)는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동작감지부(310)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솔의 횟수, 칫솔(600)의 위치, 칫솔(600)의 운동방향, 칫솔(600)의 변화의 속도 및 칫솔(600)의 기울기를 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부(3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는데, 데이터처리부(320)는 동작감지부(310)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들을 비교하고 분석하고 또한 노이즈 제거 후 정확한 값을 산출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양치질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부(330)는 동작추적본체유닛(200)에 설치되며, 동작감지부(310)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와, 데이터처리부(320)의 데이터처리결과정보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동작추적본체유닛(200)에는 전원공급유닛(35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감지부(310)와, 데이터처리부(320)와, 메모리부(330)와 후술하는 통신부(34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전선 등을 통해 연결되어 공급될 수도 있지만, 동작추적본체유닛(200)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유닛(350)은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전배터리는 직류전기신호 혹은 교류전기신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충전될 수도 있고,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 등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통신부(340)는 동작감지부(310)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와, 데이터처리부(320)의 데이터처리결과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통신부(340)는 RF(RADIO FREQUENCY) 통신방식,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통신방식뿐만 아니라 공지되어 이미 알려져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과 장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와, 데이터처리결과정보는 통신부(340)에 의해 외부의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400)는 통신부(34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의해 칫솔(600)의 위치 또는 칫솔(600)의 기울기에 대한 실시간영상 내지 녹화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00)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식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의 양치에 관한 영상을 확인하면서 자신의 양치 패턴의 잘못된 점을 인식하고 올바른 양치방법의 영상을 모방하면서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링부재(500)는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의 방수를 위해 동작추적본체유닛(2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동작추적본체유닛(200)에 형성되는 틈새가 실리콘, 고무 또는 각종 합성수지 등의 실링부재(500)에 의해 메워지며, 이에 의해, 물이 동작추적제어유닛(3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에서, 칫솔(6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제어유닛(300)에 의해 사용자의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유도하여 양치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칫솔(600)의 칫솔몸통(630) 중심부에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이 부착된다.
여기서,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은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과 하우징착탈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는 동작감지부(310)와, 데이터처리부(320)를 포함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착탈유닛(220)은 클램프부(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램프부(221)가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을 칫솔몸통(630)에 착탈시키게 된다.
즉, 하우징착탈유닛(220)에 의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이 일반 칫솔(600)의 칫솔몸통(63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후, 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양치를 하게 되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있는 동작감지부(310)와, 데이터처리부(320)가 사용자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작감지부(310)는 3축의 가속도센서(311)와, 3축의 자이로센서(312)와, 3축의 지자기센서(313), 즉, 총 9축의 센서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면서 칫솔(600)의 동작을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감지결과 데이터가 데이터처리부(320)에서 분석되며, 이를 통해, 칫솔(600)의 위치, 칫솔(600)의 운동방향, 칫솔(600)의 변화의 속도 내지 칫솔(600)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반드시 총 9축의 센서를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센서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사용자는 데이터처리부(320)에서 분석되고 처리된 데이터처리결과정보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에서, 칫솔(6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제어유닛(300)에 의해 사용자의 양치 패턴을 분석하고 잘못된 양치방법을 올바른 양치방법으로 유도하여 양치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가 칫솔에 부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칫솔(600)에 부착하여 양치 패턴의 분석이 가능하고, 동작감지부(310)가 3축의 가속도센서(311)와, 3축의 자이로센서(312)와, 3축의 지자기센서(313), 즉, 총 9축의 센서를 통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면서 칫솔(600)의 동작을 감지하되, 필요에 따라 센서의 개수가 조절되는 것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공통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동작추적본체유닛(200)이 칫솔몸통(630)의 단부에 착탈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하우징착탈유닛(240)은 제어유닛설치하우징(230)에 결합되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30)이 칫솔몸통(630)의 단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착탈유닛(240)은 칫솔몸통(630)의 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탈부착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는데, 탈부착부재(241)는 복수의 단위탈부착부재(241a, 241b, 241c)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단위탈부착부재(241a, 241b, 241c) 중에서 제1단위탈부착부재(241a)와, 제1단위탈부착부재(241a)에 이웃하는 제2단위탈부착부재(241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칫솔(600)이 탈부착부재(24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칫솔(600)이 탈부착부재(241)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경우 칫솔몸통(630)의 단부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부재(241)의 내측에는 탄성부재(242)가 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탄성부재(242)는 고무,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유닛설치하우징(230)은 하우징착탈유닛(24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설치하우징(230)이 하우징착탈유닛(240)의 하측에서 하우징착탈유닛(24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유닛설치하우징(230)은 받침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유닛설치하우징(230)이 하우징착탈유닛(240)을 지지하게 되면, 하우징착탈유닛(240)에 칫솔(600)을 삽입한 채로 칫솔(600)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동작 추적 장치 200 : 동작추적본체유닛
210 : 제어유닛설치하우징 220 : 하우징착탈유닛
221a, 221b, 221c : 클램프부 222a, 222b, 222c : 손잡이부
225a, 225b : 제1착탈부재 226a, 226b : 제2착탈부재
227 : 결합회전축 228 : 제1회전축
229 : 제2회전축 230 : 제어유닛설치하우징
240 : 하우징착탈유닛 241 : 탈부착부재
241a, 241b, 241c : 단위탈부착부재 242 : 탄성부재
300 : 동작추적제어유닛 310 : 동작감지부
311 : 가속도센서 312 : 자이로센서
313 : 지자기센서 320 : 데이터처리부
330 : 메모리부 340 : 통신부
350 : 전원공급유닛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실링부재 600 : 칫솔
610 : 칫솔모 620 : 칫솔넥
630 : 칫솔몸통
210 : 제어유닛설치하우징 220 : 하우징착탈유닛
221a, 221b, 221c : 클램프부 222a, 222b, 222c : 손잡이부
225a, 225b : 제1착탈부재 226a, 226b : 제2착탈부재
227 : 결합회전축 228 : 제1회전축
229 : 제2회전축 230 : 제어유닛설치하우징
240 : 하우징착탈유닛 241 : 탈부착부재
241a, 241b, 241c : 단위탈부착부재 242 : 탄성부재
300 : 동작추적제어유닛 310 : 동작감지부
311 : 가속도센서 312 : 자이로센서
313 : 지자기센서 320 : 데이터처리부
330 : 메모리부 340 : 통신부
350 : 전원공급유닛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실링부재 600 : 칫솔
610 : 칫솔모 620 : 칫솔넥
630 : 칫솔몸통
Claims (20)
-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본체유닛; 및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칫솔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은,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이 설치되는 제어유닛설치하우징; 및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을 상기 칫솔에 착탈시키는 하우징착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을 칫솔몸통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클램프부; 및
상기 클램프부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은 상기 칫솔몸통의 중심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결합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1착탈부재; 및
상기 결합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착탈부재와 축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2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1착탈부재; 및
상기 제1착탈부재으로부터 이격되며, 일측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고,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에 의해 타측이 상기 칫솔몸통에 착탈되는 제2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본체유닛; 및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칫솔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은,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이 설치되는 제어유닛설치하우징; 및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을 상기 칫솔에 착탈시키는 하우징착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이 칫솔몸통의 단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에 탈부착되는 복수의 단위탈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탈부착부재 중에서, 제1단위탈부착부재와, 상기 제1단위탈부착부재에 이웃하는 제2단위탈부착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삭제
- 삭제
- 칫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작추적본체유닛; 및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칫솔의 동작을 추적하여 양치의 패턴을 분석하는 동작추적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은,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이 설치되는 제어유닛설치하우징; 및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을 상기 칫솔에 착탈시키는 하우징착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이 칫솔몸통의 단부에 착탈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은,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에 탈부착되는 탈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몸통의 단부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탈부착부재의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의 하측에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설치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의 하측에서 상기 하우징착탈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추적본체유닛은,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의 방수를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항,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은,
상기 칫솔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칫솔의 위치, 상기 칫솔의 운동방향, 상기 칫솔의 변화의 속도 및 상기 칫솔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추적제어유닛은,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데이터처리결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동작감지부의 감지결과에 의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데이터처리결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원을 공급하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전원공급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부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부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부는, X축, Y축,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지자기를 측정하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칫솔의 위치 또는 상기 칫솔의 기울기에 대한 실시간영상 내지 녹화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4309A KR101560735B1 (ko) | 2014-08-12 | 2014-08-12 |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4309A KR101560735B1 (ko) | 2014-08-12 | 2014-08-12 |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0735B1 true KR101560735B1 (ko) | 2015-10-16 |
Family
ID=5436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4309A KR101560735B1 (ko) | 2014-08-12 | 2014-08-12 |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073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8105B1 (ko) | 2015-04-06 | 2015-11-11 | 지우솔루션주식회사 | 운동체 착탈형 운동체 자세 또는 운동 추적 장치, 이를 이용한 칫솔 자세 또는 운동 추적 장치 |
KR101774403B1 (ko) | 2016-03-04 | 2017-09-05 | 김형주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칫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육 서비스 방법 |
WO2019050076A1 (ko) * | 2017-09-05 | 2019-03-14 | 주식회사 인텐시브 | 유아 양치 패턴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양치 패턴 교정방법 |
KR102057149B1 (ko) | 2017-11-24 | 2019-12-18 | 주식회사 블루레오 |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57150B1 (ko) | 2017-11-24 | 2019-12-18 | 주식회사 블루레오 |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200092454A (ko) * | 2019-01-04 | 2020-08-04 | 김하영 |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5759B1 (ko) * | 2006-03-08 | 2007-01-30 | 박진성 | 소형 멀티-플레이어를 내장한 칫솔 |
-
2014
- 2014-08-12 KR KR1020140104309A patent/KR1015607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5759B1 (ko) * | 2006-03-08 | 2007-01-30 | 박진성 | 소형 멀티-플레이어를 내장한 칫솔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8105B1 (ko) | 2015-04-06 | 2015-11-11 | 지우솔루션주식회사 | 운동체 착탈형 운동체 자세 또는 운동 추적 장치, 이를 이용한 칫솔 자세 또는 운동 추적 장치 |
KR101774403B1 (ko) | 2016-03-04 | 2017-09-05 | 김형주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칫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육 서비스 방법 |
WO2019050076A1 (ko) * | 2017-09-05 | 2019-03-14 | 주식회사 인텐시브 | 유아 양치 패턴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양치 패턴 교정방법 |
KR102057149B1 (ko) | 2017-11-24 | 2019-12-18 | 주식회사 블루레오 |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57150B1 (ko) | 2017-11-24 | 2019-12-18 | 주식회사 블루레오 |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200092454A (ko) * | 2019-01-04 | 2020-08-04 | 김하영 |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 |
KR102148598B1 (ko) * | 2019-01-04 | 2020-08-28 | 김하영 | 물품 상태 탐지에 기초하는 지능형 습관 보조를 위한 IoT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0735B1 (ko) | 양치 패턴 분석을 위한 동작 추적 장치 | |
US10702206B2 (en) | Toothbrush for oral cavity position detection | |
US1100674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 achieving optimal oral hygiene by means of feedback | |
US10064711B1 (en) | Smart toothbrush and floss method and system | |
KR100799913B1 (ko) | 양치 패턴 분석 교정장치, 인터렉티브 양치습관 교정 방법및 시스템 | |
US11426264B2 (en) | Oral hygiene system with visual recognition for compliance monitoring | |
EP3294201B1 (en) | Toothbrush system with magnetometer for dental hygiene monitoring | |
CN110403345B (zh) | 牙刷系统 | |
CN110664108B (zh) | 带有可移除智能装置的牙刷 | |
CN107735047B (zh) | 电动牙刷装置和方法 | |
US8839476B2 (en) | Oral care apparatus applied to the removal of dental plaque | |
BR112019003640B1 (pt) | Sistema de higiene bucal para monitoramento de conformidade e sistema de teleodontologia | |
CN108066030A (zh) | 口腔护理系统和方法 | |
CN111918620B (zh) | 用于测量口弓几何形状和基于口弓测量选择牙套的系统和方法 | |
KR20130057688A (ko) |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 | |
CN207383841U (zh) | 牙刷手柄及牙刷 | |
JP2017006338A (ja) | 電動歯ブラシ装置 | |
KR101774403B1 (ko)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칫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육 서비스 방법 | |
JP4306587B2 (ja) | 口腔ケアシステム | |
KR20230055835A (ko) | 스마트 칫솔을 이용한 양치 유도 시스템 | |
CN118141552A (zh) | 一种电动牙刷 | |
CN114305776A (zh) | 智能牙齿保健系统及其智能洁牙装置 | |
Moazzam et al. | Applications of IMU Devices for Smart Toothbrushing, A Dental Therapy Approach | |
KR20100013018U (ko) | 양치 횟수 측정 및 보행량 체크가 가능한 치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