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532B1 -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532B1
KR101560532B1 KR1020130139220A KR20130139220A KR101560532B1 KR 101560532 B1 KR101560532 B1 KR 101560532B1 KR 1020130139220 A KR1020130139220 A KR 1020130139220A KR 20130139220 A KR20130139220 A KR 20130139220A KR 101560532 B1 KR101560532 B1 KR 10156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car
wash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716A (ko
Inventor
박은수
김성희
Original Assignee
박은수
김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수, 김성희 filed Critical 박은수
Priority to KR102013013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5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세차를 위한 주문 및 결제, 세차 작업 스케줄, 그리고 세차에 관한 차주와의 실시간 통신을 구현하여 양질의 세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고객단말기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세차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접속된 고객단말기에 세차주문서를 제공하고, 고객단말기는 고객정보, 주차정보, 차량정보 및 세차범위를 포함하는 세차주문서를 작성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서비스를 위한 고객단말기의 지불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고객단말기의 주문 세차에 따라 정상세차, 급행세차 또는 예약세차 작업스케줄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d) 세차요원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세차 작업스케줄을 전송받아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세차요원단말기에서 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이 완료되면 세차 차량의 세차 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요원단말기에서 수신된 세차 전후 및 비상메시지를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가 완료된 후, 고객단말기로부터 해당 세차에 대한 고객 피드백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세차 시설이 없는 어느 주차시설에서도 고객이 차량의 실내외 세차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주문할 수 있고, 세차 작업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세차 도중 및 전후의 과정을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세차에 소요되는 별도의 시간 할애와 장소 이동 등의 불편함 없이 고품질의 무공해 세차서비스를 제공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세차 서비스의 혜택 범위를 확대하여 공익성에 기여하고, 고객의 만족도와 의견을 수집하여 보다 나은 세차를 위한 서비스 개선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Integrated Carwash Service Method with Real Time Work Scheduling Processes and Carwash Order for Car Parking Facility-Based Carwash}
본 발명은 쌍방향 의사 소통을 통해 세차 시설이 없는 주차 시설에서 통합적인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 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세차를 위한 주문 및 결제, 세차 작업 스케줄, 그리고 세차에 관한 차주와의 실시간 통신을 구현하여 양질의 세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을 세차장에서 세차하기 위하여 고객이 일회용 세차권을 구입한 후 해당 세차 번호를 입력하여 세차장 안으로 들어가는 자동 기계세차(Automatic Machine Car Wash) 방식과 고객이 세차장 안으로 들어간 후 직접 동전을 넣고 세차시설을 이용하는 손 세차(Manual Car Wash) 방식이 있다. 이러한 세차 방식들은 모두 고객이 직접 차를 운전해서 세차장으로 가야한다. 따라서 세차에 필요한 시간을 별도로 할애해야 하고, 긴 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바쁜 현대인들, 특히 직장인들의 경우 이러한 세차시설을 이용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세차는 차량 외부 세차에 국한되어 있어서, 실내 세차를 원할 경우에는 별도로 집에서 직접 세차를 하거나 전화나 인터넷으로 출장 세차 서비스를 주문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세차서비스를 제공하는 출장 세차(Mobile Car Wash)는 전화나 인터넷으로 주문을 받고 세차가 완료되면 현장에서 결제를 하며, 고객이 원하는 경우 차량의 실내외 세차(Inside and Out Car Wash)를 모두 제공해 줌으로써 세차장 세차에 비해 세차의 완성도가 높다. 출장 세차 방식은 종래에 물과 세제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상업용 스팀세차기(Steam Car Washer)나 무공해 천연 광택 세정제(Eco-Friendly Natural Wax & Cleaner)들이 개발되어 이들을 사용한 고급 손 세차기법(High-Quality Manual Car Wash Technology)을 사용하기도 한다.
고급 손 세차는 어떤 차량이든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구석구석 꼼꼼하게 세차를 할 수 있다는 기계적, 물리적인 이득으로 인해 고객이 차를 오랫동안 깨끗하게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스팀이나 무공해 천연 세정제를 이용한 세차 방식은 부드러운 천과 특수 스펀지만을 이용할 뿐, 물과 세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세차를 실시하는 동안 발생할 수도 있는 흠집이 생길 염려가 없고 오염된 물이 바닥을 더럽히지 않아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최첨단의 환경 친화적인 세차 방식들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고 새로운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더 향상된 방법들을 찾아 고급 손 세차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장 세차는 주로 인터넷이나 전화로 2-3일 전에 미리 예약을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고객은 실제로 세차 서비스를 받으려면 며칠을 기다려야 한다. 또한, 거의 매일 주간에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나마 야간에 세차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세차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이 차량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인 심야시간에 세차를 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고객이 잠든 사이에 세차를 해야 하므로 고객의 차량과 관련된 돌발사태가 발생할 경우, 세차 서비스 제공자는 잠든 고객에게 연락을 취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심야 세차의 경우에는 실내 세차가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실내 세차를 위하여 차량의 도어를 야간동안 개방시켜 두는 것은 고객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열쇠를 제공받은 세차 서비스 제공자가 차량의 세차 후 야간에 고객에게 열쇠를 안전하게 되돌려 주는 것도 사실상 쉽지 않기 때문이다.
차량의 세차를 주문하는 고객이 주간에 원하는 곳에서 전화 통화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어플 또는 앱)을 이용하여 당일 세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 즉 오토바이 등을 이용하여 이동 손 세차 방법으로서, 시내 전역에 대기하던 개인 세차 사업자가 콜센터에서 보내 준 주문리스트를 보고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고객을 찾아가서 그 고객을 만나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불을 받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고객의 주문을 콜센터에서 받아 세차업자에게 전달하는데, 이 주문시스템은 세차작업이나 고객서비스와는 통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세차작업의 관리나 고객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고객의 주간 근무 시간동안에 차량을 주차해 둔 사무실의 빌딩 주차장이나 또는 대형 쇼핑센터 또는 백화점 등에서 쇼핑을 하는 동안 차량을 주차해 둔 주차장에서 세차 서비스를 주문하고 곧 바로 세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면, 고품질의 실내외 세차(High Quality of Inside & Out Car Wash) 서비스를 받으면서도 세차에 따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차 시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최근에 스팀이나 무공해 천연 세정제를 이용하는 발전된 고급 손세차 방법은 실내나 실외 주차공간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 세차를 실시하더라도 주변에 불편을 끼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최소한의 장비만 가지고도 세차 시설이 없는 주차시설에서 세차 서비스 제공을 실현할 수 있다. 차후 어떠한 종류의 미래 세대 세차방법, 예를 들어, 레이저 세차 방식 등으로 세차를 하더라도 좁은 주차 공간에서 세차가 가능할 정도로 휴대가 간편하고, 친환경 세차 방법이라면 얼마든지 도입이 가능하므로 바쁜 현대인을 위한 시간 절약형일 뿐만 아니라 편리한 주차 시설형 세차 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9592호(2001.07.25. 공개, 명칭: 통신망을 이용한 세차 대행방법 및 그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8112호(2006.09.18. 공개, 명칭: 광역 전화를 이용한 출장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9052호(2002.04.17. 공개,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세차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세차 시설이 없는 주차 시설에서 스케줄에 따라 차량이 주차된 주차 위치에서 직접 세차요원이 차량을 세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차주 고객의 근무지나 쇼핑센터 등에서 세차서비스를 위한 주문 및 결제시 고객과의 상호간 차량 정보와 피드백을 주는 쌍방향 의사소통 기제를 사용함으로써 세차를 위한 통합적인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세차작업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고객단말기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세차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접속된 고객단말기에 세차주문서를 제공하고, 고객단말기는 고객정보, 주차정보, 차량정보 및 세차범위를 포함하는 세차주문서를 작성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서비스를 위한 고객단말기의 지불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고객단말기의 주문 세차에 따라 정상세차, 급행세차 또는 예약세차 작업스케줄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d) 세차요원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세차 작업스케줄을 전송받아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세차요원단말기에서 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이 완료되면 세차 차량의 세차 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요원단말기에서 수신된 세차 전후 및 비상메시지를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가 완료된 후, 고객단말기로부터 해당 세차에 대한 고객 피드백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b)에서, 고객단말기는 세차관리서버에서 전송받은 세차주문서에 차량번호, 차량모델명, 차종, 색깔, 고객연락처를 포함하는 주문정보와, 세차대상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 번호 및 주차위치를 포함하는 주차정보와, 실내세차, 실외세차 및 실내외세차, 예약세차, 급행세차를 포함하는 세차종류정보, 및 세차대상 차량의 손상부위나 오염부위 여부와 귀중품 유무를 포함하고, 고객단말기는 세차주문서의 작성 후에 세차서비스에 지불해야하는 비용의 결제를 위하여 현금, 크레디트카드 또는 쿠폰의 지불을 선택하고, 세차관리서버로부터 영수증 및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세차관리서버는 고객단말기에서 입력한 세차주문서에 따라 정상세차 또는 급행세차인 경우에 세차대상 차량의 지역별 주차위치, 차량번호, 결제시간, 기존 작업스케줄을 각각 확인하고, 팀별, 조별, 지역별 작업스케줄을 포함하는 신규 작업스케줄을 추가하여 스케줄정보DB를 갱신하며,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작업스케줄을 판단하여 주차장번호 및 주차장 구조에 따라 근거리 정렬을 원칙으로 작업스케줄 순서를 정렬한 후 스케줄정보DB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c)에서, 세차관리서버는 고객단말기에서 입력한 세차주문서에 따라 예약세차인 경우 예약 작업스케줄을 추가 및 정렬한 후에 팀별, 조별, 지역별 작업스케줄을 포함하는 신규 작업스케줄을 추가하여 스케줄정보DB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d)에서,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정보DB에 세차 시작시간이 저장되면,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 사진 저장을 확인하며, 해당 세차대상 차량에 대한 세차 전 사진이 저장된 경우에 세차 시작과 계획을 알리는 고객메시지 템플릿을 생성 및 표시하여 관리자의 확인여부에 따라 고객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세차정보DB에 전송여부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f)에서,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정보DB에 세차 종료시간이 저장되면,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후 사진 저장을 확인하며, 해당 세차대상 차량에 대한 세차 후 사진이 저장된 경우에 세차 완료를 알리는 고객메시지 템플릿을 생성 및 표시하여 관리자의 확인여부에 따라 고객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세차정보DB에 전송여부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e)에서, (e1)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세차 작업스케줄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세차 시작버튼이 입력되면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e2)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대상 차량의 오염도 및 쾌적도 분석, 세차 계획서 및 세차 전 사진을 세차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세차정보DB에 세차시작 시간이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e3)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대상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세차 동안에 음악이 출력되도록 단계; (e4)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가 종료되면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e5)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 종료 후 차량의 실내외 또는 실외 사진이 세차요원에 의하여 촬영되면 촬영된 사진과 세차 종료시간을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세차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한 후에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h) 상기 고객단말기가 세차관리서버로부터 받은 세차 전후 정보 및 비상메시지에 대응하여 설문 및 만족도를 포함한 피드백메시지를 전송하면, 세차관리서버는 수신된 피드백메시지를 고객정보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고객단말기, 키오스크 및 도우미 단말기로부터 세차를 위한 주문 및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세차요원단말기에 주문 세차를 위한 작업스케줄을 제공하며, 고객단말기로 주문, 결제, 세차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세차관리서버;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기본정보와 차량정보 및 쿠폰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고객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주문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결제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결제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세차요원의 작업 스케줄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스케줄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세차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세차정보DB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단말기, 도우미단말기 및 키오스크에는 각각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세차요원단말기에는 통합 세차 처리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주차된 차량의 세차 서비스를 위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과 웹(Web), 그리고 무선데이터 통신기기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접목하여 효과적인 인프라 제공과 그 통합적인 운영 및 관리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세차 시설이 없는 어느 주차시설에서도 고객이 차량의 실내외 세차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주문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고객의 세차 주문 및 결제 후 세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실시간 스케줄링 및 세차과정 관리기능, 세차요원을 위해 주차장 내 주차위치를 문자는 물론 평면, 입체도면 혹은 영상으로 나타내주는 기능, 세차과정과 결과(Car Wash Process and the Result)를 고객에게 사진과 함께 실시간으로 통보하는 기능으로써 세차 작업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일관성 있는 세차 품질과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바쁜 현대인들과 직장인들(Busy Professionals)에게 세차에 소요되는 별도의 시간 할애와 장소 이동 등의 불편함 없이 고품질의 무공해 세차서비스를 필요한 때에 가까운 곳에서 세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시하여 세차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고 만족도를 극대화한 장점이 있다.
넷째, 세차 서비스 제공자와 차주 고객이 서로의 접근거리를 좁혀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세차 서비스를 용이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세차 서비스의 혜택 범위를 확대하여 공익성에 기여하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차주 고객과 세차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락망체계(Communication Network System)를 제공함으로써 세차 진행 중 필요한 경우 실시간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 연락망을 이용해 주차장에서 벌어지는 각종의 돌발 상황, 즉 타이어 펑크, 분실물 발견, 도난, 이중주차 등이 발견되었을 때에 비상 연락망 수단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단순히 편리하고 즐거운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적이 드문 주차공간의 이미지를 바꾸는데도 기여 할 수 있고, 이는 오직 주차만을 위해 존재하던 주차장 공간이 사람이 종일 일하면서 지켜볼 수도 있는 친 인간적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도시 환경 정화 및 미화의 의미도 큰 장점이 있다.
일곱째, 고객메시지 템플릿에 고객의 세차 만족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고객의 만족도와 의견을 수집하여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분석한 후 보다 나은 세차를 위한 서비스 개선에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고객 정보의 분석을 바탕으로 각종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나 고객의 필요에 맞추어진 타깃 광고(Target Marketing)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연락 체계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기능을 바탕으로 각종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개발의 가능성도 지니고 있어서 고객과 사업자간의 마케팅 통신 도구(Marketing Communication Tool)로서의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유무선 통신망에 고객단말기(10)와, 키오스크(20), 도우미단말기(30) 및 세차요원단말기(40), 그리고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50)이 접속되어 있다.
고객단말기(10)는 고객이 보유한 통신기기로 세차 주문을 위한 것이다. 고객단말기(1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데스크톱PC이나 노트북PC,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 등이 포함되고, 휴대가 가능한 통신기기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고객단말기(10)는 QR코드나 바코드들을 읽어 들일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것이 좋다. 즉 QR코드나 바코드를 읽어 통합 세차 서비스를 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객단말기(10)에는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11)은 고객이 차량의 세차 주문과 결제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11)은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50)으로부터 세차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키오스크(20)는 주차시설, 즉 근무지 건물이나 쇼핑 건물 등에 설치된 것으로, 차주 고객이 직접 차량의 세차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키오스크(20)는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무인 시스템으로 고객의 세차 주문 및 결제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키오스크(20)는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되어 있다.
도우미단말기(30)는 주차시설, 즉 근무지 건물이나 쇼핑 건물 등에 상주하는 세차 주문 도우미가 사용하는 것이다. 도우미단말기(30)는 도우미에 의하여 차주 고객의 주문 세차나 결제를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도우미단말기(30)는 통합 세차 관리 시스템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테스크톱PC나 노트북PC 또는 휴대가 가능한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이 포함된다. 도우미단말기(30)에는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31)이 설치되어 있다.
세차요원단말기(40)는 고객의 차량을 현장에서 세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세차요원이 보유한 통신기기이다. 세차요원단말기(4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데스크톱PC이나 노트북PC,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 등이 포함되고, 휴대가 가능한 통신기기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세차요원단말기(40)는 차량 실내외의 세차 전후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등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것이 좋다. 세차요원단말기(40)는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5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작성된 세차 작업스케줄과 세차대상 차량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세차요원단말기(40)에는 통합 세차 처리용 애플리케이션(4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통합 세차 처리용 애플리케이션(41)은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후 상태나 비상메시지 작성 등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합 세차 처리용 애플리케이션(41)은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50)으로부터 세차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세차요원단말기(40)는 지역별, 팀별, 조별 등으로 구분되어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해당 작업스케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50)의 세차관리서버(5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고객단말기(10), 키오스크(20) 및 도우미단말기(30)로부터 세차를 위한 주문 및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세차관리서버(51)는 세차요원단말기(40)에 주문 세차를 위한 작업스케줄을 제공한다. 더욱이 세차관리서버(51)는 고객단말기(10)로 주문, 결제, 세차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세차관리서버(51)는 고객단말기(10), 키오스크(20), 도우미단말기(30) 및 세차요원단말기(40)에 통합 세차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한다.
세차관리서버(51)에는 세차 서비스를 위하여 발생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고 입출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된다. 즉 고객정보DB(52)는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고객의 기본정보와 차량정보 및 쿠폰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것이다. 주문정보DB(53)는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고객의 주차 위치 정보, 주차 번호 및 세차 범위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것이다. 결제정보DB(54)는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결제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것이다. 스케줄정보DB(55)는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세차요원의 작업 스케줄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것이다. 세차정보DB(56)는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세차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것이다. 더욱이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50)에는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나 중개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2 내지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에서, 우선, 고객단말기(10)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세차관리서버(51)에 접속하여 세차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수행한다(S100). 고객은 고객단말기(10)에 설치된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11)을 이용하여 세차관리서버(51)에 접속하거나 해당 세차 주문을 위한 QR코드나 바코드를 촬영하여 세차관리서버(51)에서 제공하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키오스크(20)에서 직접 세차 주문 및 결제를 하거나 또는 도우미나 관리자의 도움으로 도우미단말기(30)에서 세차관리서버(51)에 접속하여 세차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다.
더욱이 세차 주문 및 결제, 그리고 운영을 위한 시스템은 보안을 위하여 2단계의 로그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관리자에 의한 로그인으로 들어가 각각의 주문, 결제, 세차과정 및 고객통지 등의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프로세스마다 고객, 세차요원, 도우미 등에 의한 개별적인 로그인으로 접근할 수 있다. 개별적인 로그인은 세차 주문 및 결제를 위한 고객의 로그인, 세차를 위한 세차요원의 로그인, 그리고 고객통지문 및 피드백 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도우미에 의한 로그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객 로그인은 고객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우미나 관리자가 미리 해 둘 수 있다.
고객단말기(10)에 의한 로그인이 이루어지면 세차관리서버(51)는 접속된 고객단말기(10)에 세차주문서를 제공하고, 고객단말기(10)는 고객정보, 차량정보, 주차 위치 정보 및 세차범위 등을 포함하는 세차주문서를 작성하여 세차관리서버(51)로 전송한다. 세차관리서버(51)는 세차서비스를 위한 고객단말기(10)의 지불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00).
도 3에서, 세차주문서의 입력과 지불방법의 선택에 관한 세부적인 흐름으로, 고객단말기(10)는 세차관리서버(51)에서 전송받은 세차주문서에 차량번호, 차량모델명, 차종, 색깔, 고객연락처를 포함하는 주문정보와, 세차대상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 번호 및 주차위치를 포함하는 주차정보와, 실내세차, 실외세차 및 실내외세차, 예약세차, 급행세차를 포함하는 세차종류정보, 및 세차대상 차량의 손상부위나 오염부위 여부와 귀중품 유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선택 및 입력한다(S201). 예를 들어, 최초로 세차주문을 하는 고객은 차량번호를 입력한 후에 고객의 성명, 차량 모델명, 차종, 색깔, 전화번호나 이메일을 포함하는 연락처 등을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고객정보DB(52)에 저장되고 해당 고객의 계좌번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단말기 화면에 고객의 계좌번호와 입력받은 정보를 표시하여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전에 세차주문을 했던 고객은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고객정보DB(52)에 저장된 고객의 계좌번호, 결제정보 및 쿠폰정보 등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고객에 의한 확인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세차관리서버(51)에 로그인으로 접속한 고객이 쿠폰을 구입하는 경우(S202), 구입할 쿠폰의 개수나 비용을 정산 및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S203). 이때, 고객이 구입하는 쿠폰은 경차, 소형, 중형, 대형 등의 차량의 사이즈, 실외세차 또는 실내세차 및 실내외세차 등의 세차 종류에 따라 1회 내지 4회 등의 쿠폰의 지급이 필요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이 경차인 경우에는 1,000cc 미만,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m 이하로서 티코, 마티즈, 비스토, 모닝 등이 포함된다. 차량이 소형인 경우에는 1,500cc 미만,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m 이하, 5인승 SUV로서, SM3, 베르나, 아반떼XD 등이 포함된다. 차량이 중형인 경우에는 2,000cc 미만, 7인승 SUV, 7인승 미니밴,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m 이하로서, 소나타 등이 포함되고, 이중 어느 하나라도 초과하면 중형에 해당된다. 차량이 대형인 경우에는 2,000cc 이상, 7인승 이상의 SUV, 9인승 이상의 밴,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m이 모두 초과하는 것으로서, 다이너스티, 에쿠스, 체어맨, 모든 종류의 수입차량 등이 포함된다. 세차 종류는 실내 및 실내외 세차를 선택한 경우에 쿠폰 금액에 2배 내지 4배로 총액이 계산된다. 쿠폰 수량에 따라 2회 5%, 3회 10%, 4회 15% 등 할인을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쿠폰을 구매하지 않는 경우에 세차주문서를 작성한다. 세차주문서에는 세차대상 차량의 주차장 번호나 주차위치를 입력하거나 주차시설 평면도에서 주차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세차대상 차량의 차종을 선택한다. 즉 경차, 소형, 중형, 대형에 따른 해당 차종 및 모델명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실내 및/또는 실외 세차 선택, 오염정도나 손상이나 찌그러진 부위 또는 귀중품의 유무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고객단말기(10)는 세차주문서의 작성 후에 세차서비스에 지불해야하는 비용의 결제를 위하여 현금, 크레디트카드 또는 쿠폰의 지불을 선택하고,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영수증 및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즉 세차주문서의 해당 항목에 해당 정보를 선택 및 입력하여 작성이 완료되면(S204), 선택한 주문 세차에 따른 지불방법을 결정한다(S205). 현금을 지불하는 경우에는 도우미나 관리자에게 직접 비용을 지불하고(S206), 카드나 쿠폰으로 지불하는 경우에는 키오스크(20)나 도우미단말기(30)에 비치된 카드결제기를 이용하거나 온라인을 통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07). 또한, 쿠폰으로 결제한 경우에는 해당 고객의 고객정보DB(52)를 갱신한다(S208). 주문 세차에 따른 지불이 완료되면 영수증의 발급이나 결제정보 등을 고객단말기(10)에 표시되도록 출력하거나 고객의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다(S209). 이후 고객의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되면 주문정보DB(53)를 갱신한다(S210).
세차관리서버(51)는 고객단말기(10)의 주문 세차에 따라 정상세차, 급행세차 또는 예약세차 작업스케줄을 각각 생성한다(S300). 이는 도 4에서, 세차관리서버(51)는 고객단말기(10)에서 입력한 세차주문서에 따라 정상세차 또는 급행세차인 경우에 세차대상 차량의 지역별 주차위치 및 차량번호의 확인(S301), 결제시간의 확인(S302), 기존 작업스케줄을 각각 확인하고(S303), 팀별, 조별, 지역별 작업스케줄을 포함하는 신규 작업스케줄을 추가하여(S304) 스케줄정보DB(55)를 갱신한다(S305).
또한, 도 5에서, 세차관리서버(51)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작업스케줄을 갱신하고(S311), 갱신되는 작업스케줄을 판단하여(S312) 주차장번호 및 주차장 구조에 따라 근거리 정렬을 원칙으로 작업스케줄의 순서를 정렬한 후(S313) 스케줄정보DB(55)를 갱신한다(S314).
또한, 도 6에서, 세차관리서버(51)는 고객단말기(10)에서 입력한 세차주문서에 따라 예약세차인 경우에 세차 주문정보를 확인하고(S321), 결제시간을 확인하며(S322), 기존 작업스케줄을 각각 확인하고(S323), 예약인지를 판단하여(S324) 예약이 아닌 경우에는 정상 작업스케줄에 추가하여(S325) 작업스케줄 내역을 정렬한다(S326). 그리고 예약 판단에 의하여 예약한 경우에는 예약 작업스케줄을 추가하고(S327) 예약 작업스케줄을 정렬한다(S328). 따라서 예약 작업스케줄을 추가 및 정렬한 후에 팀별, 조별, 지역별 작업스케줄을 포함하는 신규 작업스케줄을 추가하여 스케줄정보DB(55)를 각각 갱신한다(S329).
한편, 세차요원단말기(40)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세차관리서버(51)에 접속하여 세차 작업스케줄을 전송받아 세차를 시작하며,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세차관리서버(51)로 전송한다(S400). 즉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 상태정보의 세부적인 수집과정은 도 7에서, 세차를 시작할 때,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 전 사진 및 세차계획을 세차관리서버(51)에 전송하고, 세차관리서버(51)는 사진과 함께 세차 시작시간을 세차정보DB(56)에 저장한다(S401). 이때, 세차관리서버(51)는 세차 전 사진이 저장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하고(S402), 세차 전 사진이 저장되지 않았으면 세차요원단말기(40)에게 세차 전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도록 하며(S403), 저장된 사진은 세차관리서버(51)를 거쳐 세차정보DB(56)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한다(S404). 그리고 세차관리서버(51)는 해당 세차대상 차량에 대한 세차 전 사진이 저장된 경우에 세차 시작과 계획을 알리는 고객메시지 템플릿을 생성하고(S405), 이를 도우미단말기(30)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06). 관리자에 의하여 확인이 이루어지면 고객단말기(10)로 메시지를 전송한 후(S407) 세차정보DB(56)에 전송여부를 갱신한다(S408).
또한, 세차요원에 의하여 주문 세차 전 작업이 완료되면,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이 수행된다(S500). 이는 도 8에서,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관리서버(51)에 접속하여 세차 작업스케줄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S501), 화면에 표시된 세차 시작버튼이 입력되면(S502)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S503). 그리고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대상 차량의 오염도 및 쾌적도 분석, 세차 계획서 및 세차 전 사진을 세차관리서버(51)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고(S504), 세차정보DB(56)에 세차시작 시간이 저장되도록 한다(S505).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대상 차량의 실외 세차 동안에 음악이 출력되도록 한다(S506). 이때, 실내 세차가 추가된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간동안 음악이 출력되도록 한다(S507).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가 종료되면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S509). 그리고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 종료 후 차량의 실내외 또는 실외 사진이 세차요원에 의하여 촬영되면 촬영된 사진과 세차 종료시간을 세차관리서버(51)로 전송하고(S510), 세차정보DB(56)에 저장되도록 한 후(S511)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S512).
또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면(S600), 세차요원단말기(40)에서 비상메시지를 생성하여 세차관리서버(51)로 전송한다(S700). 즉 도 9에서, 세차요원은 세차 작업 중에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세차요원단말기(40)에 비상메시지의 발생을 입력하고(S601), 이는 세차관리서버(51)에 전달된 후에 세차관리서버(51)의 응답이 있으면(S602), 고객에게 해당하는 비상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한다(S603). 고객에게 전달된 비상메시지는 고객정보DB(52)에 저장된다(S604).
세차요원단말기(40)는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작업이 완료되면 세차 차량의 세차 후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세차관리서버(51)로 전송한다(S800). 이는 도 10에서, 세차관리서버(51)는 세차정보DB(56)에 세차 종료시간을 저장한다(S801). 이때, 세차정보DB에 세차 후 사진이 저장되었는지를 판단하고(S802), 세차 후 사진이 저장되지 않았으면 세차요원단말기(40)에게 세차 후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도록 하고(S803), 저장된 사진은 세차관리서버(51)를 거쳐 세차정보DB(56)에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한다(S804). 그리고 세차관리서버(51)는 해당 세차대상 차량에 대한 세차 후 사진이 저장된 경우에 세차 완료를 알리는 고객메시지 템플릿을 생성하고(S805), 이를 도우미단말기(30)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806). 관리자에 의하여 확인이 이루어지면 고객단말기(10)로 메시지를 전송한 후(S807) 세차정보DB(56)에 전송여부를 갱신한다(S808).
또한, 세차관리서버(51)는 세차가 완료된 후, 고객단말기(10)로부터 해당 세차에 대한 고객 피드백을 전송 받는다(S900). 이는 도 11에서, 고객단말기(10)가 세차관리서버(51)로부터 받은 세차 전후 정보 및 비상메시지 등에 대응하여 설문 및 만족도를 포함한 피드백메시지를 전송하면, 세차관리서버(51)는 고객으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한 후(S901) 별도의 창에 피드백 받은 메시지를 표시하고(S902), 세차관리서버(51)는 수신된 피드백메시지를 고객정보DB(52)에 저장한다(S90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과 웹(Web), 그리고 휴대용 무선데이터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세차 시설이 없는 주차 시설에서 세차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으로서, 주차시설(Parking Facilities)에서의 세차 서비스의 제공과 더불어 세차 과정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며 세차 결과를 고객에게 실시간 통지하고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세차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더욱이 주차시설에서의 세차방법은 고객이 주차한 곳에서 고객이 보유한 PC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거나 주차장 내외에 마련된 키오스크에서 유무선 데이터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세차 주문을 하면 주차시설에 있던 세차 서비스 제공자의 세차요원들이 그들의 무선데이터 통신기기를 이용해 차주의 차량정보와 주차 위치를 확인하고 정해진 작업스케줄에 따라 세차를 실시한다. 또한, 사무실이 밀집한 대형 빌딩, 쇼핑센터, 쇼핑몰, 공항, 터미널 등에 소속된 모든 주차시설 및 주차 빌딩에 본 발명의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복수의 운전자나 차주에게 장소와 시간의 제한을 최소화하며 양질의 세차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주차시설 인근에 위치한 세차장에서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다 포괄적인 세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주차 후에 자신이 휴대하고 있거나 주차 위치 부근에 미리 설치된 키오스크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직접 세차 주문을 하거나, 고객이 보유한 스마트폰 등 여타의 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세차주문 및 결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 또는 어플)을 이용하거나 주차 위치에 부착된 QR코드나 바코드 등을 읽어 들여 세차를 주문 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를 한 건물 내부의 편리한 곳에 설치된 무인 키오스크(Kiosk)나 유인 주문 부스(Booth with an Attendance)에서 유무선 데이터 통신기기를 이용해 세차를 주문할 수 있는데, 주차 시설에 주차 관리를 위한 넥스파 시스템이 설치된 경우에는 고객의 차량번호만으로 주차위치 번호를 찾아낼 수도 있다. 실내세차를 위한 자동차 열쇠는 주문 및 결제 후 키오스크나 부스에 있는 키 관리 안전박스나 키 관리요원에게 맡길 수 있으며, 세차 주문 시 제공한 고객의 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을 이메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세차과정에 대한 사진 및 안내문 등도 이메일로 통지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고객단말기 11, 21, 31: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 20: 키오스크 30: 도우미단말기 40: 세차요원단말기 41: 통합 세차 처리용 애플리케이션 50: 통합 세차 서비스 관리시스템 51: 세차관리서버 52: 고객정보DB 53: 주문정보DB 54: 결제정보DB 55: 스케줄정보DB 56: 세차정보DB

Claims (9)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고객단말기, 키오스크 및 도우미단말기로부터 세차를 위한 주문 및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세차요원단말기에 고객단말기, 키오스크 및 도우미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세차 주문에 따라 생성된 작업스케줄을 제공하며, 고객단말기로 주문, 결제, 세차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세차관리서버;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기본정보와 차량정보 및 쿠폰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고객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주차 위치정보, 주차번호, 세차범위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주문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의 주문 세차를 위한 결제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결제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단말기, 키오스크 및 도우미단말기에서 수신된 고객의 주문 세차에 따라 생성된 세차요원의 작업 스케줄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스케줄정보DB; 상기 세차관리서버로부터 고객단말기, 키오스크 및 도우미단말기에서 수신된 고객의 주문 세차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세차정보DB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단말기, 도우미단말기 및 키오스크에는 각각 통합 세차 주문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세차요원단말기에는 통합 세차 처리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객단말기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세차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b)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접속된 고객단말기에 세차주문서를 제공하고, 고객단말기는 세차관리서버에서 전송받은 세차주문서에 차량번호, 차량모델명, 차종, 색깔, 고객연락처를 포함하는 차량 및 고객정보와, 세차대상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 번호 및 주차위치를 포함하는 주차정보와, 실내세차, 실외세차 및 실내외세차, 예약세차, 급행세차를 포함하는 세차종류정보, 및 세차대상 차량의 손상부위나 오염부위 여부와 귀중품 유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의 선택 및 입력을 포함하는 세차주문서를 작성하여 세차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서비스에 대한 비용 결제를 위한 현금, 신용카드 또는 쿠폰의 지불을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하며, 고객단말기는 세차관리서버로부터 영수증 및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고객단말기에서 수신된 세차주문서로부터 정상세차, 급행세차 또는 예약세차로 각각 분류하여 추출한 후 작업스케줄을 각각 생성하여 스케줄정보DB에 저장하되, 세차관리서버는 정상세차 또는 급행세차로 분류된 세차대상 차량의 지역별 주차위치, 차량번호, 결제시간, 기존 작업스케줄을 각각 확인하고, 세차관리서버는 팀별, 조별, 지역별로 분류되어 구성된 세차요원의 작업스케줄을 포함하는 신규 작업스케줄을 추가하여 스케줄정보DB를 갱신하며, 세차관리서버는 예약세차로 분류된 세차 대상 차량은 예약 작업스케줄을 추가 및 정렬한 후에 팀별, 조별, 지역별로 분류되어 구성된 작업스케줄을 포함하는 신규 작업스케줄을 추가하여 스케줄정보DB를 갱신하고, 세차관리서버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작업스케줄을 판단하여 주차장번호 및 주차장 구조에 따라 근거리 정렬을 원칙으로 작업스케줄 순서를 정렬한 후 스케줄정보DB를 갱신하는 단계;
    (d)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세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스케줄정보DB로부터 세차 작업스케줄을 전송받고,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요원단말기로 촬영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전 사진과 더불어 세차요원에 의하여 입력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시작시간을 세차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세차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고,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정보DB에 세차 시작시간과 세차 전 사진이 저장되면 세차 시작시간과 세차 계획을 알리는 고객메시지 템플릿을 생성한 후 고객단말기로 세차 시작시간과 세차 계획을 알리는 고객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고객단말기로 메시지의 전송여부를 새차정보DB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e) 상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관리서버에서 전송받은 세차 작업스케줄을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세차 시작버튼이 입력되면 세차시작을 알리는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대상 차량의 오염도 및 쾌적도 분석, 세차 계획서 및 세차 시작버튼이 입력된 시간이 세차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세차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며,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 시작버튼의 입력으로 음성메시지의 출력 후에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고, 세차요원이 세차 중에 차량과 관련된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세차요원단말기에 입력한 비상메시지가 세차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며, 세차요원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세차 종료버튼이 입력되면 출력되는 음악이 차단되도록 함과 더불어 세차 종료를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되도록 하고, 세차요원단말기는 세차요원단말기로 촬영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후 차량의 실내외 또는 실외 사진과 더불어 세차요원에 의하여 입력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 종료시간을 세차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세차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한 후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f) 상기 세차관리서버는 세차정보DB에 세차 종료시간과 세차 후 사진이 저장되면 세차 종료를 알리는 고객메시지 템플릿을 생성한 후 고객단말기로 세차 종료시간과 세차 전후 사진 및 비상메시지를 알리는 고객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고객단말기로 메시지의 전송여부를 세차정보DB에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g) 상기 고객단말기는 세차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세차 종료시간과 세차 전후 정보 및 비상메시지에 대응하여 설문 및 만족도를 포함한 피드백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차관리서버가 고객단말기의 피드백메시지를 고객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39220A 2013-11-15 2013-11-15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6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20A KR101560532B1 (ko) 2013-11-15 2013-11-15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20A KR101560532B1 (ko) 2013-11-15 2013-11-15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16A KR20150056716A (ko) 2015-05-27
KR101560532B1 true KR101560532B1 (ko) 2015-10-16

Family

ID=5339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220A KR101560532B1 (ko) 2013-11-15 2013-11-15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5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672A (ko) 2019-07-09 2021-01-19 송창호 셀프세차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108B1 (ko) * 2020-07-13 2021-03-05 이우범 차량 소독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
KR102282346B1 (ko) * 2021-01-05 2021-07-27 주식회사 돌쇠출장세차 실시간 차량 입출차 확인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세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0518B1 (ko) 2021-04-21 2022-02-09 한국스플라(주) 공유 주차 및 세차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07B1 (ko) * 2015-12-04 2016-09-30 김민수 셀프 세차장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715321B1 (ko) * 2016-03-17 2017-03-13 주식회사 유스랩 공동주택 주차장을 이용한 세차 관리 시스템
KR20200068291A (ko) 2018-12-05 2020-06-15 (주) 이건테크 자원 활용도가 최적화된 셀프 세차장 운영 시스템
KR102298285B1 (ko) * 2019-10-04 2021-09-03 문현구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2921A (ko) 2020-07-27 2020-08-04 안상목 셀프 세차 시 작업모드 및 세차시간대별 세차시간 차등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코인기가 구비된 셀프 세차 시스템을 이용한 세차시간 차등 적용 방법과 셀프 세차 시 작업모드 및 세차시간대별 세차시간 차등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 코인기가 구비된 셀프 세차 시스템
KR102549480B1 (ko) * 2022-04-04 2023-06-29 김동준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차 종합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942A (ja) * 2007-12-11 2009-07-02 Honda Motor Co Ltd 作業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そ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942A (ja) * 2007-12-11 2009-07-02 Honda Motor Co Ltd 作業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そ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보영. 카클린 '콜세차', 소자본 창업 아이템으로 눈길. 머니투데이 뉴스 기사. [online], 2013.09.24., [2015.09.18. 검색] 인터넷 http://news.mt.co.k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672A (ko) 2019-07-09 2021-01-19 송창호 셀프세차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108B1 (ko) * 2020-07-13 2021-03-05 이우범 차량 소독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
KR102282346B1 (ko) * 2021-01-05 2021-07-27 주식회사 돌쇠출장세차 실시간 차량 입출차 확인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세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0518B1 (ko) 2021-04-21 2022-02-09 한국스플라(주) 공유 주차 및 세차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16A (ko)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532B1 (ko)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999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demand delivery
CN103548068B (zh) 停车管理系统和方法
US91355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rking vehicles
KR101554161B1 (ko) 온라인 차량 대여 및 관리시스템
KR101715321B1 (ko) 공동주택 주차장을 이용한 세차 관리 시스템
KR101896073B1 (ko)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Stringam et al. Hotel and guest room technology
JP5831373B2 (ja) 売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35929A (ko) 네트워크를 통한 고객과 공인중개사 간의 독점중개 거래 방법 및 부동산 중개업소 간의 공동중개 이용방법 및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US20180174078A1 (en) Real-Time and On-Demand Scheduling System
JP6156959B1 (ja) 月極駐車場のパーキングシステム
Cobanoglu et al. Hospitality and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KR20080006054A (ko) 재래시장과 연계한 여행상품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38475A (ja) 電子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
JP3890309B2 (ja) 追加サービス予約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798009A (zh) 促进消费商家商品的网约车订单生成方法、装置、系统和介质
KR102360518B1 (ko) 공유 주차 및 세차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20010069592A (ko) 통신망을 이용한 세차 대행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2447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customized umrah travel planning
JP7048549B2 (ja) 駐車場評価装置および駐車場評価方法
CA2768194A1 (en)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managing real estate open houses
JP2005134973A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チケット管理方法
JP7468947B1 (ja) 検索システム
JP2018032179A (ja) 駐車場案内装置、駐車場案内方法及び駐車場案内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