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625B1 -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625B1
KR101559625B1 KR1020130121319A KR20130121319A KR101559625B1 KR 101559625 B1 KR101559625 B1 KR 101559625B1 KR 1020130121319 A KR1020130121319 A KR 1020130121319A KR 20130121319 A KR20130121319 A KR 20130121319A KR 101559625 B1 KR101559625 B1 KR 10155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ms
jig
column
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547A (ko
Inventor
조국환
Original Assignee
조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국환 filed Critical 조국환
Priority to KR102013012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6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으로 부품 표면을 용융시켜 모재에 융착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가능한 칼럼(20)에 배치되고 모재 지지용의 복수개의 지그(25)들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지지판(27), 상기 지지판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지지판의 지그(25)에 대응된 위치에서 칼럼(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스실린더(29)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지그에 접근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판의 상면과 저면으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유지되며 융착될 부품들을 수용하는 홀더(21,23)를 각각 구비하며 복수쌍으로 방사상으로 칼럼에 설치된 아암(22,24)들, 상기 지지판(20)의 적어도 하나의 지그(25)에 대응된 위치에서 상측과 하측의 아암(22,24)들에 구비된 홀더(21,23)에 수용되는 부품들 표면을 용융시키도록 설치된 근적외선 히터(50), 상기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표면이 용융된 부품들을 지지판(27)의 지그(25)에 배치된 모재에 융착시키도록 아암들의 홀더(21,23)를 지지판의 지그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칼럼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융착과정을 수행하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융착라인 셋팅 및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융착장치가 콤팩트화되고, 장비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FUSING ADHESION APPARATUS USING NEAR-INFRARED RAY}
본 발명은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예를들어 차량의 연료필터의 캡을 여과재에 융착시키는 것과 같이 부품의 표면을 용융시켜 융착시키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의 표면을 용융시켜 다른 부품에 일체로 융착시키는 기술이 많은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차량의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사용되는 연료필터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가 투과될 수 있는, 환형으로 성형된 여과재의 중앙에 합성수지재의 관형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관형부재와 여과재의 상하 단부들을 각각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융착하여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연료필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싱속에 넣은 상태로 차량 엔진의 연료 공급라인에 장착된다.
상기 연료필터는 여과재의 외측에서 내측공간으로 연료가 여과재를 통과하는 반면 이물질은 여과재를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며, 여과되지 않은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여과재의 상하 단부는 상부캡과 하부캡에 열융착에 의해 여과재의 내측과 외측 공간은 완전히 격리되어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연료필터의 융착을 위해 고정지그에 장착된 상부캡 또는 하부캡의 표면을 화염구에서의 화염에 의해 가열 용융시킨 후, 표면이 용융된 상부캡과 하부캡을 지그에 끼워진 여과재의 상단과 하단에 융착시켜 일체화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열 용착기에서 화염에 의해 상부캡과 하부캡을 가열하는 경우 화염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 속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표면만 가열하여 여과재가 상부캡 및 하부캡에 깊숙하게 접합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료필터의 기밀성 및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여과재의 상하단부가 상부캡과 하부캡 표면에 충분한 깊이로 융착되도록 하기 위해 화염을 캡 표면에 오래 가하게 되면 상부캡과 하부캡 표면이 연소되거나, 캡의 플라스틱재료가 변성되어 내충격 특성이 약화되어 차량 운행시 엔진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연료필터의 캡 접합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2006.02.13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553601호에서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을 가열 용융시켜 여과재를 접합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부캡(F1)과 하부캡(F2)을 흡착 및 압착하는 흡착 및 압착수단과, 상부캡(F1)과 하부캡(F2)의 표면을 적외선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근적외선 램프수단과, 여과재(F3)와 상부캡(F1) 및 하부캡(F2)의 접합 및 반출을 위해 여과재(F3)를 클램핑 이송시키는 클램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용 용착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2006.03.09.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561697호에서, 양측 칼럼 사이에 좌, 우 캡회전판을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좌, 우 캡회전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균등 삼등분한 위치 각각에 다수의 흡착구를 일렬로 설치하고, 상기 흡착구에 구비된 캡 중 일렬의 캡 표면을 가열할 수 있게 캡회전판 상단에 근적외선 램프 및 반사판을 다수 설치하되, 흡착구의 가압을 통해 캡을 근적외선 램프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가열장치부 양측에 다수의 용융실린더를 설치하며, 다른 양측 칼럼 사이에 여과재회전판을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여과재회전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균등 삼등분한 위치 각각에 다수의 클램프를 일렬로 설치하고, 상기 좌, 우 캡회전판 사이에 여과재회전판의 일부를 위치시켜 흡착구 중 어느 일렬과 클램프 중 어느 일렬이 서로 일치될 수 있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용 용착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발명의 연료필터용 용착장치들은 근적외선 램프수단으로 여과재의 상하 단부를 상부캡과 하부캡에 융착시키기에 충분한 깊이로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어서 종래 화염에 의해 여과재의 상하 단부를 상부캡과 하부캡에 융착시키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연료필터 제조의 생산성 향상과, 장치의 제조 비용 절감을 위한 구조개선이 요망되었다. 또한 근적외선 램프수단이 고정된 위치에 유지됨에 따라 근적외선 램프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53601호 (2006.02.13.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0561697호 (2006.03.0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을 융착할 모재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모재 지그들이 설치된 회전 원판과, 각 모재 지그들의 상하측에 융착할 부품들을 배치하기 위한 부품 지그들을 구비하고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부품지그 지지부들을 칼럼에 방사상으로 포함하여 상부와 하부의 부품들 표면을 가열하여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모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압착하여 융착시킴으로써 융착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융착 품질을 개선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는, 근적외선으로 부품 표면을 용융시켜 모재에 융착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로서, 회전가능한 칼럼에 배치되고 모재 지지용의 복수개의 지그들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지지판의 지그에 대응된 위치에서 칼럼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스실린더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지그에 접근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판의 상면과 저면으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유지되며 융착될 부품들을 수용하는 홀더를 각각 구비하며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칼럼에 설치된 아암들,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하나의 지그에 대응된 위치에서 상측과 하측의 아암들에 구비된 홀더에 수용되는 부품들 표면을 용융시키도록 설치된 근적외선 히터, 상기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표면이 용융된 부품들을 지지판의 지그에 배치된 모재에 융착시키도록 아암들의 홀더를 지지판의 지그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암들은 칼럼에 형성된 레일에서 상하이동가능한 리니어가이드 구조로 각각 설치되고, 칼럼에 실린더의 단부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의 자유단부가 아암에 연결된 가스실린더로 지지판으로 부터 이격된 초기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압착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지그에 배치된 모재에 홀더의 부품을 융착하는 융착위치로 이동하도록 된다.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아암들의 홀더에 수용된 융착시킬 부품의 표면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과 하측의 아암들에 장착된 홀더들 각각의 단부에 제공된 기어와, 프레임의 일측부에 모터로 구동되어 상기 기어를 구동시켜 홀더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칼럼과 근적외선 히터 및 아암들에 제공된 홀더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는 하단에 이동용 롤러를 구비한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에는 6개의 지그들이 설치되고, 상기 지그들에 대응하여 6개 쌍의 상하 아암들이 구비되며, 칼럼은 60도씩 일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는 아암들의 홀더에서 융착할 부품을 예를들어 상부캡과 하부캡을 구비하고, 그에 대응하여 지지판에 배치된 6개의 지그에서 모재서 예를들어 여과재를 수용하여, 2개 위치에서의 여과재와 상하부 캡 배치단계와, 2개 위치에서의 상부캡과 하부캡 용융단계, 1곳에서의 융착 단계 및 최종적인 배출단계를 60도씩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융착과정을 수행하게 되어 연료필터의 융착작업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의 프레임 하단에는 롤러가 제공되어 간편하게 설치위치로 이동가능하여 융착라인 셋팅 및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는 회전하는 칼럼에서 회전판과, 그 상하측에 각각 칼럼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6개 쌍의 아암들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공정과정이 진행되고, 상하측 아암들이 가스실린더를 사용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되므로, 융착장치를 콤팩트화할 수 있고, 장비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융착장치는 크기가 커서 넓은 공간을 점유하고 융착라인 교체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는 콤팩트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점유공간을 차지하고, 라인 교체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에 사용되는 연료필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와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연료필터의 여과재에 상하캡들을 융착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에서 본 융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융착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선 A-A에 의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B-B에 의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융착장치의 회전판에 설치된 여과재용 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융착장치에 사용되는 근적외선 히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는 일실시예로서, 모재로서의 여과재에 융착시킬 부품으로서 캡을 상기 여과재의 상하 단부에 융착시키는데 사용한 연료필터 융착장치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 연료필터의 구성을 분해사시도와 조립된 사시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연료필터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에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여과하도록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주름진 구조로 환형으로 형성된 여과재(1)와, 그 내측에 배치되는 환형의 지지부재(2) 및 상기 지지부재와 여과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융착되는 상부캡(3)과 하부캡(4)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10)는 프레임(11) 내에 설치되고, 그 프레임의 측부에 제어반(12)이 설치되어 융착장치에서의 공정속도와 근적외선 히터의 동작 온도와 작동시간 등을 설정 및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융착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칼럼(20) 상측에 융착할 부품으로서 상부캡을 지지하기 위한 홀더(21)를 구비한 아암(22)들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개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캡을 지지하기 위한 홀더(23)를 구비한 아암(24)들이 상부캡용 아암들에 대응되게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암(22,24)들은 그 단부가 블록 형태로 칼럼 표면에 형성된 레일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슬라이드가능한 리니어가이드 구조로 칼럼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측 아암(22)들과 하측 아암(24)들 사이에는,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들을 각각 융착하기 위한 모재로서의 연료필터용 여과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그(25)와, 그 지그를 고정하는 클램프(26)를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한 원판형태의 지지판(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지그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3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지고 클램프에 결합되어 후방에 설치된 실린더(28)의 피스톤 전진시 클램프가 벌어지면서 3개 부분들이 결합되어 환형으로 여과재를 지지하게 되며, 피스톤 후진시에는 클램프가 벌어지면서 캡들이 여과재에 융착된 연료필터 완성품이 지그에서 낙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그와 클램프 구조는 본 출원인의 한국 등록특허 제10-0553601호에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칼럼(20)에서 지지판(27)의 상면과 저면측에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 아암(22,24)들은 융착할 부품으로서의 상부캡과 하부캡들을 모재로서의 여과재에 융착하기 위해 함께 지지판(27)을 향해 접근하는 융착위치와 지지판에서 멀리 떨어진 초기위치로 칼럼에 형성된 슬로트에서 슬라이드된다. 이를 위하여 아암에는 탄성수단, 예를들어 가스실린더(29)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되어 아암들이 초기위치로 유지되게 하며, 상기 아암들은 실린더에 의해 융착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가스실린더는 그 실린더의 단부가 지지판(27)에 인접하여 칼럼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는 신장된 상태에서 자유단부가 아암에 장착되어 있다.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상부캡과 하부캡 표면을 균일하게 용융시도록, 상기 상측과 하측의 아암들에 장착된 홀더(21,23)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서, 아암의 홀더 단부에 기어(30)가 설치되고, 그 기어(30)들은 프레임의 일측부에서 상기 상하측의 아암들의 홀더(21,23)에 대응된 높이로 프레임의 상하측에 모터(31)로 구동되는 구동기어(32)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기어(30)를 회전시킴에 따라 홀더들이 회전됨으로써 홀더에 의해 유지된 상부캡과 하부캡이 회전된다. 상기 모터(31)와 구동기어(32)들은 후술하는 근적외선 히터의 상하측에 배치되며, 이로써 홀더에 유지되는 상부캡과 하부캡이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가열될 때 표면이 균일하게 용융될 수 있게 되고, 여과재의 상단과 하단이 일정한 깊이로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에 융착된다.
상기 칼럼(20)은 하단부에 제공된 구동수단(40)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아암들 사이의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아암(22,24)들을 함께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후속 공정 위치로 회전이동된다.
근적외선 히터(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판(27)의 상측의 히터지지판(51)과 하측의 히터지지판(52)에서 각각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히터지지판(51,52)들은 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된 지지포스트(53)에 고정된다. 상기 근적외선 히터(50)의 히터지지판들은 지지판(27)의 상면과 저면으로 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서 상측과 하측의 아암들에 구비된 홀더에 제공된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에 근접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포스트(53)에는 스크류봉(54)이 설치되고 그 스크류봉에 히터지지판(51,52)들이 나사결합되어 스크류봉의 회전시 아암들의 홀더에 제공된 상부캡과 하부캡에 근접되게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고, 상기 근적외선 히터의 위치조정을 하도록 상기 스크류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55)이 스크류봉 상단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근적외선 히터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2곳에, 즉 회전판의 2개의 인접한 지그에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어 그 2개소의 히터에 의해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이 용융된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 히터가 배치된 위치에서 아암들 사이의 각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판에 6개의 지그가 설치된 경우 60도 만큼 회전된 다음 위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의 상부에는 실린더(57)가 설치되고 바닥에도 대응된 위치에 실린더(58)가 설치되어서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표면이 용융된 상태에서 아암을 지지판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이로써 상부캡과 하부캡의 지지하는 홀더를 지지판(27)에 설치된 지그에 의해 지지되는 여과재의 상단과 하단에 대하여 누르게 되어 상부캡과 하부캡의 용융된 표면이 여과재에 융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하측의 아암에 설치된 가스실린더(29)는 피스톤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 실린더(57,58)들의 작동시 후퇴하게 되고 융착공정이 완료되어 상기 실린더(57,58)들이 복귀하면, 가스실린더(29) 또한 피스톤로드가 신장된 상태로 전진하여 아암들이 지지판으로 부터 이격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의 연료필터 융착장치를 통한 융착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6개의 아암들중 2개의 위치는 연료필터의 여과재와 상하부 캡들을 작업자가 지그와 홀더에 끼우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여과재와 상부 및 하부캡이 지지판의 지그와 지지판 상하측의 아암들의 홀더에 끼워진 상태에서 칼럼이 60도 회전하여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상부캡과 하부캡의 표면을 용융시키는 용융단계로서 인접한 2개소에 제공된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진행된다.
그런 다음, 융착단계로서,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표면이 용융된 상부캡과 하부캡을 지지판의 지그에 배치된 여과재의 상단과 하단에 대하여 압착하여 융착시키고 이때 아암들에 장착된 가스실린더(29)는 피스톤로드가 후퇴된 다음 융착 공정이 완료된 다음에는 피스톤로드가 신장되어 아암들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최종적인 배출단계로서, 상부캡과 하부캡이 여과재에 융착되어 완성된 연료필터는 지지판의 지그에서 분리배출되며, 이를 위해 클램프가 벌어져서 지그가 3개 부분으로 분리되어 완성된 연료필터가 지그에서 해제되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필터 융착장치는 6개의 아암들의 홀더에서 상부캡과 하부캡을 구비하고, 그에 대응하여 지지판에 배치된 6개의 지그에서 여과재를 수용하여, 2개 위치에서의 여과재와 상하부 캡 배치단계와, 2개 위치에서의 상부캡과 하부캡 용융단계, 1곳에서의 융착 단계 및 최종적인 배출단계를 60도씩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융착과정을 수행하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필터 융착장치의 프레임 하단에는 롤러(60)가 제공되어 간편하게 설치위치로 이동가능하여 융착라인 셋팅 및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융착장치는 회전하는 칼럼에서 회전판과, 그 상하측에 각각 칼럼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6개 쌍의 아암들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공정과정이 진행되므로, 융착장치가 콤팩트화되고, 장비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를 차량 연료필터의 상부캡과 하부캡 표면을 근적외선으로 용융시킨 다음 여과재의 상하 단부에 각각 융착시키는데 사용한 것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연료필터의 융착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부품들의 표면을 용융하여 모재에 융착시키는 부품 융착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는, 예를들어 차량 엔진에 연료 공급을 위해 사용하는 연료필터의 여과재 상하 단부에 캡 표면을 용융하여 융착하는 것과 같이 부품 융착분야에 널리 이용가능하다.
1 : 여과재 3 : 상부캡
4 ; 하부캡 10 : 융착장치
11 : 프레임 12 : 제어반
20 ; 칼럼 21, 23 : 홀더
22, 24 : 아암 25 : 지그
26 : 클램프 27 : 지지판
30, 32 ; 기어 40 : 구동수단
50 : 히터 57, 58 ; 실린더

Claims (6)

  1. 근적외선으로 부품 표면을 용융시켜 모재에 융착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칼럼(20)에 배치되고 모재 지지용의 복수개의 지그(25)들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지지판(27);
    상기 지지판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지지판의 지그(25)에 대응된 위치에서 칼럼(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스실린더(29)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지그에 접근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판의 상면과 저면으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유지되며, 융착될 부품들을 수용하는 홀더(21,23)를 각각 구비하며, 복수쌍으로 방사상으로 칼럼에 설치된 아암(22,24)들;
    상기 지지판(27)의 적어도 하나의 지그(25)에 대응된 위치에서 상측과 하측의 아암(22,24)들에 구비된 홀더(21,23)에 수용되는 부품들 표면을 용융시키도록 설치된 근적외선 히터(50); 및
    상기 근적외선 히터에 의해 표면이 용융된 부품들을 지지판(27)의 지그(25)에 배치된 모재에 융착시키도록 아암들의 홀더(21,23)를 지지판의 지그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압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과 하측의 아암(22,24)들에 장착된 홀더(21,23)들 각각의 단부에 제공된 기어(30)와, 프레임의 일측부에 모터(31)로 구동되어 상기 기어(30)를 구동시켜 홀더(21,23)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22,24)들은 칼럼(20)에 형성된 레일에서 상하이동가능한 리니어가이드 구조로 설치되고, 칼럼에 실린더의 단부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의 자유단부가 아암에 연결된 가스실린더(29)로 지지판으로 부터 이격된 초기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압착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지그에 배치된 모재에 홀더(21,23)의 부품을 융착하는 융착위치로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히터(50)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아암(22,24)들의 홀더(21,23)에 수용된 융착시킬 부품의 표면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20)과 근적외선 히터(50) 및 아암(22,24)에 제공된 홀더(21,23)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32)들은 하단에 이동용 롤러를 구비한 프레임(11)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7)에는 6개의 지그(25)가 설치되고, 상기 지그에 대응하여 6개 쌍의 상하 아암(22,24)들이 구비되며, 칼럼(20)은 60도씩 일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KR1020130121319A 2013-10-11 2013-10-11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KR10155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319A KR101559625B1 (ko) 2013-10-11 2013-10-11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319A KR101559625B1 (ko) 2013-10-11 2013-10-11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47A KR20150042547A (ko) 2015-04-21
KR101559625B1 true KR101559625B1 (ko) 2015-10-13

Family

ID=5303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319A KR101559625B1 (ko) 2013-10-11 2013-10-11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3684B (zh) * 2019-07-22 2023-12-26 东莞市富佳机械设备有限公司 红外线熔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601B1 (ko) * 2003-12-05 2006-02-22 조국환 연료필터용 용착장치
KR100561697B1 (ko) * 2005-12-09 2006-03-17 조국환 연료필터 용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601B1 (ko) * 2003-12-05 2006-02-22 조국환 연료필터용 용착장치
KR100561697B1 (ko) * 2005-12-09 2006-03-17 조국환 연료필터 용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47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5781B2 (ja) レーザーシンクロ溶接プロセスと装置
CN104908312B (zh) 滤清器热板焊接机
CN204914556U (zh) 滤清器热板焊接机
CN103801781B (zh) 应用于太阳能电池片热辐射式焊接方法及装置
KR102033815B1 (ko)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KR101559625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융착장치
CN113319507A (zh) 一种桥梁金属护栏焊接成型设备
CN104174545A (zh) 一种全自动转盘式滤芯热熔胶机
CN103737189B (zh) 一种滤芯组装设备
US20090308539A1 (en)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welding
KR20170105913A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융착설비 및 그 방법
CN101126000A (zh) 热熔接方法
KR101937223B1 (ko) 열 융착 장치
JP6146929B2 (ja) プラスチック溶着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溶着方法
CN214816123U (zh) 热熔焊接设备
KR100561697B1 (ko) 연료필터 용착장치
CN104384731A (zh) 一种大功率光纤激光焊接变速器齿轮的压合焊接装置及工艺
KR100720760B1 (ko) 필터뚜껑 회전융착장치
CN102744883A (zh) 一种螺母熔接装置
CN106583998A (zh) 一种多工位焊接设备
KR101398576B1 (ko) 필터의 여과지와 캡 부착용 웰딩머신
CN215145716U (zh) 一种mylar激光焊接装置
CN213798164U (zh) 快速生产数码壳体的热熔装置
US10486366B2 (en) Two-part assembly of a lighting device by mirror welding via expander ribs
WO200203824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l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