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464B1 -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464B1
KR101559464B1 KR1020140017200A KR20140017200A KR101559464B1 KR 101559464 B1 KR101559464 B1 KR 101559464B1 KR 1020140017200 A KR1020140017200 A KR 1020140017200A KR 20140017200 A KR20140017200 A KR 20140017200A KR 101559464 B1 KR101559464 B1 KR 10155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groove
eyeglass frame
shape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137A (ko
Inventor
서재열
Original Assignee
(주)성산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산정공 filed Critical (주)성산정공
Priority to KR102014001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4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테(10)의 브릿지(20)를 중심으로 내측에 한 쌍의 끼움홈(21)이 형성되고, 외형이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되, 일측에 내삽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삽입부재(40)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1)에 삽입되어 고정구성되며, 일측끝부에 연결홈(32)이 구성되는 연결부(31)와 타측끝부에 패드(33)가 구성되는 한 쌍의 코받침대(30)가 구성되어, 상기 연결홈(32)과 삽입홈(41)을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가 되며 상기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착용자의 부주의로 파손이 발생되면 코받침대(30)만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손쉽게 코받침대(30)의 교체가 가능하여 초보자라 하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체결구조를 갖기 때문에 반복적인 코받침대(30) 교체를 행하더라도 tap의 파손 염려가 전혀 없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The combination of frames and frames with nose pedestal structure consisting of the combined structure}
본 발명은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테의 브릿지와 결합되는 코받침대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착용자의 코 형상과 눈높이에 맞춰 선택적으로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금속제와 합성수지제로 대별되는데 금속제 안경테는 별도로 제작된 금속제의 코다리를 용접으로 부착한 후 상기의 코다리에 코받침대를 결합하였으며, 합성수지제의 안경테는 코받침대와 코다리를 일체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안경테를 성형하였다.
즉, 금속제의 안경테에 부착되는 코다리는 그 돌출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는 자신의 눈과 안경알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시력 초점을 알맞게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의 형태에 따라 코다리의 간격과 돌출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코다리의 간격과 돌출 높이를 반복하여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용접부위가 떨어지면서 코다리와 안경테가 분리되는 등 그 조립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기존의 안경 코받침대의 문제점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안경테와 코받침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 코 모양과 안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안경이 흘러내림 현상과 장시간 사용시 코 주위에 통증이 발생하며 안경무게로 인하 눌림자국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코받침대를 강제 삽입방식의 안경은 안경원에서 시력 검사후 착용자의 코 형상에 맞게 안구높이를 수정할 경우나 안구 높이를 반복적인 조정으로 인하여 용접부위가 파손되면 안경수리가 불가능하여 안경을 교환하거나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안경테의 브릿지에 코받침대를 강제삽입 할 경우 코받침대 사이를 용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용접부위의 응력으로 인해 작음 힘에도 쉽게 파손이 되고, 이 방식으로 구성되는 안경은 안경 제조업체의 특정형상 코받침대만 사용되며 호환성이 없어서 수리 및 보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넷째, 안경테의 브릿지에 볼트를 직접적으로 체결한 코받침대를 교환하는 형태의 방식은 체결 tap부위가 망가져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착용자가 코 눌림 현상으로 인해 불편하여 형상 수정 및 무리한 사용으로 인하여 파손되면 수리 또한 불가능하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20-2009-0005955(실) 안경테 중앙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얼굴에 착용된 안경의 무게를 코 등에 받쳐 흘러내림을 방지토록 하는 안경용 코 받침대에 있어서, 안경테의 한 쌍의 테를 중앙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다각의 비트 형상의 외측 둘레부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콧등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코 받침대의 상부에, 개구된 상측으로 상기 연결부를 삽입하여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다각의 비트 형상의 내부를 가지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안경테의 연결부와 코 받침대 상부의 결합홈을 결합하여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10-1156068(특) 안경테의 결합부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 헤드부; 상기 결합 헤드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안경 착용 시 코에 거치되어 상기 안경테를 지지하는 받침 다리부; 및 상기 결합 헤드부에 대해 상기 받침 다리부가 상대 회전되도록 상기 결합 헤드부와 상기 받침 다리부에 마련되는 상대 회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다리부는, 뼈대를 형성하는 내부 골조; 및 상기 내부 골조의 외부를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코에 거치되는 외부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골조에는 상기 외부 거치부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상기 외부 거치부의 재료가 채워지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20-0174174 (실) 합성수지제의 안경테 및 안경다리와 코받침대를 포함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대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코받침대의 간격과 돌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도록 안경테의 테두리 라인으로 밀착되게 절곡되면서 일체형을 이루는 코다리를 형성하고, 상기 안경테의 코다리결합부위에는 일체형의 코다리가 안착될수 있도록 코다리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코다리안착홈의 양측으로는 일체형의 코다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코다리체결홈을 형성시킨 것이다.
공개번호 10-2012-0003995(특) 안경테의 중간 브릿지에 코받침이 구비된 코받침 높낮이 조절식 안경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의 코받침을 지지하는 코받침대에 고정구멍에 대응하는 조절구멍을 세로방향으로 형성하여 체결구에 의해 조립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브릿지에 코받침대가 회전 가능토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각도를 조절한다 하더라도 코받침대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코의 형태가 다를 경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코받침대가 각각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손쉽게 회전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고, 또 다른 형태의 기술은, 브릿지의 홈에 코받침대를 볼트 결합을 할 수 있으나, 선택적으로 착용자의 코 형상에 맞춰 변형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형태의 기술은, 코받침대가 전체적으로 브릿지의 홈에 끼워지되, 상하부로 유동되게 하여 착용자의 코 형태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높이의 조절만 가능할 뿐 각도 조절 및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의 브릿지와 코받침대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자신의 코 형상에 맞춰 선택적으로 코받침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파손 발생 시 손쉽게 교체 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안경테(10)의 브릿지(20)를 중심으로 내측에 한 쌍의 끼움홈(21)이 형성되고, 외형이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되, 일측에 내삽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삽입부재(40)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1)에 삽입되어 고정 구성되며, 일측끝부에 연결홈(32)이 구성되는 연결부(31)와 타측끝부에 패드(33)가 구성되는 한 쌍의 코받침대(30)가 구성되어, 상기 연결홈(32)과 삽입홈(41)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되, 상기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후,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에 의하면, 착용자의 코 형상과 눈높이에 맞춰 선택적으로 코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착용자의 부주의로 파손이 발생되면 코받침대만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손쉽게 코받침대의 교체가 가능하여 초보자라 하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 코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체결구조를 갖기 때문에 반복적인 코받침대 교체를 행하더라도 팁의 파손 염려가 전혀 없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본 발명은 안경테(10)의 브릿지(20)와 결합되는 코받침대(30)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착용자의 코 형상과 눈높이에 맞춰 선택적으로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살펴보면, 안경테(10)의 브릿지(20)를 중심으로 내측에 한 쌍의 끼움홈(21)이 형성되고, 외형이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되, 일측에 내삽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삽입부재(40)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1)에 삽입되어 고정구성되며, 일측끝부에 연결홈(32)이 구성되는 연결부(31)와 타측끝부에 패드(33)가 구성되는 한 쌍의 코받침대(30)가 구성되어, 상기 연결홈(32)과 삽입홈(41)을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가 되며 상기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20)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깊이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끼움홈(21)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21)의 경우 하기될 삽입부재(4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일측에 단턱홈(22)이 더 구성된다. 상기 단턱홈(22)의 경우 코받침대(30)의 코기둥(34)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되는 코기둥(34)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코받침대(30)와 브릿지(20)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결합부재(50)를 조금 풀어 상기 코받침대(30)를 전체적으로 회전시켜 착용자의 코 형태 또는 눈 높이에 맞춰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턱홈(22)이 끼움되는 코기둥(34)이 완전히 일체가 되도록 끼워지게 되면 원하는 만큼의 각조 조절이 실질적으로 어려울 수가 있어 상기 코받침대(30)가 미세한 회전을 함에 있어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21)은 본 발명에서는 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되, 모서리부분에 라운드 지게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시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끼움홈(21)의 형태의 가변에 따라서 끼움홈(21)에 삽입되는 삽입부재(40)의 외형도 끼움홈(21)의 형태에 맞춰 동일하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끼움홈(21)의 형태에 맞춰 삽입부재(40)의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시켜 끼움시키게 되고, 상기 삽입부재(40)는 끼움홈(21)에 끼운 후 일체가 되도록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21)과 삽입부재(40)는 사각형태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호 끼워 결합이 편리하면서도 흔들림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코받침대(30)는 일측끝부에 양측으로 관통되어 하기될 결합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홈(32)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3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되는 코기둥(34)이 구성되며 상기 코기둥(34)을 중심으로 연결홈(32)의 타측에는 착용자의 코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패드(33)가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1)는 그 외형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홈(32)은 결합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즉, 상기 연결홈(32)은 내측에 결합부재(50)가 회전결합 가능토록 너트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주로 상기 연결홈(32)의 형태를 둥근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31)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연장되는 코기둥(34)은 연결부(31)의 측면에서 일정부분 돌출되게 구성되되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추후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끼움홈(21)에 끼워져 고정된 삽입부재(40)와 결합 시 단턱홈(22)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단턱홈(22)에 안착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1) 및 연결홈(32)을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연결홈(32)은 사각형태로 형성하되, 결합부재(50)가 관통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31)의 외형은 상기 연결홈(32)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40)와 코받침대(30)의 사이에 높이조절와셔(60)를 구성하여, 상기 높이조절와셔(60)의 상하 폭으로 인해 코받침대(3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높이조절와셔(60)의 상하 폭으로 인해 착용자의 코형태에 맞춰 선택적으로 구성시킬 수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와셔(60)는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 시 연결부(31)에 가해지는 회전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혹시 모를 파손으로부터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와셔(60)를 삽입부재(40)와 연결부(31)가 맞닿는 부분의 사이에 구성시키지 않고, 맞닿지 않는 연결부(31)의 측면에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 삽입부재(40)의 경우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되면서도, 코받침대(30)가 결합부재(5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끼움홈(21)의 내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21)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삽입시켜 완전히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일정깊이 홈이 형성되는 삽입홈(41)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41)의 내측에는 결합부재(50)가 회전결합 가능토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정깊이 홈이 형성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40)는 끼움홈(21)에 끼워져 고정될 시, 연결부(31)의 측면과 맞닿는 부분의 측면이 단턱홈(22)과 동일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코받침대(30)와 결합 시 상기 코받침대(30)의 코기둥(34)이 단턱홈(22)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5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받침대(30)의 연결홈(32)과 삽입부재(40)의 삽입홈(41)을 순차적으로 회전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합하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볼트의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통상의 결합 가능한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과 더불어, 착용자의 코 형상 또는 눈높이에 맞춰서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착용감을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결구조를 통해 구성된 안경은 안경테(10)와 코받침대(30)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도 있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안경테(10) 또는 코받침대(3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된다 하더라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고, 한 쌍의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코받침대(30)만 각각 별도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팁이 파손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 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에 의하면, 착용자의 코 형상과 눈높이에 맞춰 선택적으로 코받침대(30)의 각조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착용자의 부주의로 파손이 발생되면 코받침대(30)만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손쉽게 코받침대(30)의 교체가 가능하여 초보자라 하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체결구조를 갖기 때문에 반복적인 코받침대(30) 교체를 행하더라도 팁의 파손 염려가 전혀 없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안경테
20 : 브릿지 21 : 끼움홈 22 : 단턱홈
30 : 코받침대 31 : 연결부 32 : 연결홈 33 : 패드
34: 코기둥
40 : 삽입부재 41 : 삽입홈 50 : 결합부재
60 : 높이조절와셔

Claims (5)

  1. 안경테(10)의 브릿지(20)를 중심으로 내측에 한 쌍의 끼움홈(21)이 형성되고,
    외형이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되되, 일측에 내삽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삽입부재(40)가 구성되어 상기 끼움홈(21)에 삽입되어 고정 구성되며,
    일측끝부에 연결홈(32)이 구성되는 연결부(31)와 타측끝부에 패드(33)가 구성되는 한 쌍의 코받침대(30)가 구성되어,
    상기 연결홈(32)과 삽입홈(41)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되, 상기 코받침대(3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한 후,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결합하되,
    상기 끼움홈(21)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재(40)의 외형은 끼움홈(21)의 형태에 맞춰 동일하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1)의 외형은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홈(32)은 결합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의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1)은 일측에 코받침대(31)의 코기둥(34)이 삽입되는 단턱홈(2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40)와 코받침대(30)의 사이에 높이조절와셔(6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5. 제 1항의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KR1020140017200A 2014-02-14 2014-02-14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KR10155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00A KR101559464B1 (ko) 2014-02-14 2014-02-14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00A KR101559464B1 (ko) 2014-02-14 2014-02-14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37A KR20150096137A (ko) 2015-08-24
KR101559464B1 true KR101559464B1 (ko) 2015-10-13

Family

ID=5405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00A KR101559464B1 (ko) 2014-02-14 2014-02-14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4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35Y1 (ko) 2002-02-04 2002-04-27 김형기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935Y1 (ko) 2002-02-04 2002-04-27 김형기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37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995A (ko) 코받침 높낮이 조절식 안경프레임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US20150290038A1 (en) Goggle Lens Positioning Structure
KR101506697B1 (ko) 코받침대 간격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US6120144A (en) Glasses with an upper pair of glasses attached to a lower pair of glasses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KR101559464B1 (ko)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및 그 결합구조체로 구성되는 안경테
KR2017002557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30013290A (ko) 안경 구조
KR200472408Y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 박판형 안경테
KR101696512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
KR102234023B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20190063506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JP3201422U (ja) 跳ね上げ式メガネフレーム
JP3208024U (ja) 前掛けレンズと眼鏡枠との組み合わせ構造
KR20170083808A (ko) 템플 탈착형 안경
KR102480469B1 (ko)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KR20150004511U (ko) 고글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KR20180002777U (ko)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JP3201423U (ja) 跳ね上げ式メガネフレーム
KR101618829B1 (ko)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KR101870322B1 (ko) 공간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안경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