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29B1 -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 Google Patents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29B1
KR101618829B1 KR1020160031221A KR20160031221A KR101618829B1 KR 101618829 B1 KR101618829 B1 KR 101618829B1 KR 1020160031221 A KR1020160031221 A KR 1020160031221A KR 20160031221 A KR20160031221 A KR 20160031221A KR 101618829 B1 KR101618829 B1 KR 10161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groove
present
eyeglass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희
Original Assignee
홍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희 filed Critical 홍상희
Priority to KR102016003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는 림(11)의 일측에 삽입홈(1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코기둥(20)은 탄성을 가지며 양측에 돌출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코기둥(20)을 브릿지(13) 하부로 위치시켜 상기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삽입되게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코기둥이 탄성을 통해 손쉬운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함은 물론, 장력을 유지토록 하고 착용자들의 코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코기둥을 용이하게 교체할 있어 편리성 및 경제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탄성력을 통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Optionally fitted frames and are available separately from the nose and the pillar structure combined}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경테의 마주하는 림의 측면에 각각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코기둥이 탄성력을 가지며 양측에 돌출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탄성을 통한 걸림유지와 착용자의 코높이에 따라 다양한 코기둥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 및 다양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시력교정 또는 직사광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 및 안경착용 시 착용자의 인상을 좌우 하는 경우가 많아 대인관계, 연인관계, 면접 등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 졌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안경을 착용하기 마련인데, 안경테와 안경다리에 관련한 무수히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완성된 안경들이 유동되고 있으나, 안경과 코받침의 결합구조와 관련하여, 안경은 착용 시에 사람마다 다양한 얼굴의 크기 및 형태를 가짐으로써 그에 맞는 코받침이 결합되어야 하나, 대체적으로 사용되는 안경의 경우 코받침이 일체 또는 결합되어 완전히 고정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착용자의 눈높이 및 신체에 맞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안경테를 재구매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경과 코받침의 손쉬운 끼움 및 분리, 부분적인 교체의 용이성 및 파손방지를 통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들이 전무한 실정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10-2010-0091756호(특) 안경테에 코받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중앙에 고정턱이 형성된 결합홈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이 용이하게 양측으로 절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상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부로 향할수록 외부로 휘어지게 구비하고, 끝단의 삽설홈상에 코패드를 구비하는 코다리;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원터치형 안경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335222호(실) 합성수지재의 안경테에 형성된 장홈에 삽입 고정되는 안경 코받침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안경 코받침 지지구의 금속부재를 절곡시켜 형성된 프레임의 단부상에 고정수단을 갖는 고정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대는 프레임의 직경에 비해 최소한 길게 형성하여 장홈과의 닿는 단면적을 넓게 유지되게 하고, 상기 안경테의 장홈 내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고정대의 상하측에는 소정의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안경 코받침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459734호(실) 연결편의 양단에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된 코받침을 안경의 프론트에 설치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에 하부가 개방된 슬롯을 상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이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의 내벽과 이와 대향하는 연결편의 외벽에는 압입홈과 압입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상향 진입된 코받침의 연결편이 압입홈과 압입돌기에 의한 견착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20-0351417호(실) 장공홈이 형성된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와 조립되어서 사용자의 코와 접촉되어서 상기 안경테을 지지하며 돌기부가 코받침부에 인서팅된 코받침수단과, 상기 코받침수단의 돌기부를 수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접속수단으로 이루어진 안경테와 코받침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수단과 상기 안경테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은, 용접부위의 피로하중이 발생됨이 없도록 상부삽입부와 하부삽입부 그리고 연결부가 일체로 프레스성형되며, 상기 상부삽입부의 상면과 상기 하부삽입부의 상하면사이의 높이는 상기 안경테의 장공홈에 억지맞춤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장공홈의 상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 안경테와 코받침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하나의 코기둥을 개별적으로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시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코기둥의 결합구의 일부분에만 구성되어 있어 충격이 발생할 시 그대로 파손될 수밖에 없고, 코기둥이 결합 시 완전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실질적으로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코기둥을 안경테에 한번 결합 시에는 분리가 되지 못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최초 코기둥을 안경테에 끼워지는 부분에 삽입 시 강제적인 결합을 통해 극심한 마찰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자칫 코기둥을 끼움시킬 시 안경테와 코기둥이 모두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안경테의 마주하는 림의 측면에 각각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탄성을 가지며 양측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각각의 삽입부가 구성되는 코기둥을 구성하여 상기 삽입부를 삽입홈에 삽입 시 별도의 고정수단을 가지지 않으며 상기 코기둥의 탄성력을 통해 장력과 고정력을 동시에 확보토록 함은 물론, 착용자들의 코 높이 및 취향에 맞춰 선택적으로 코기둥을 끼움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림(11)에 삽입되는 렌즈와 접하지 않는 일측에 삽입홈(15)이 각각 형성되는 안경테(10)와, 양측에 돌출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10)의 브릿지(13) 하부로 위치시켜 상기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삽입되는 코기둥(20)으로 구성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5)은 상기 삽입부(2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10)의 브릿지(13)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양측에 경사지며 림(11)의 일측과 연결되는 경사부(17a)가 형성되는 인입홈(17)이 형성되며, 상기 코기둥(20)은 탄성을 가지며 상부 일측에 돌출되는 삽입가이드(23)가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17)에 삽입가이드(23)를 삽입 시 외부 상측이 상기 경사부(17a)와 접촉되며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15)은 상호 대응하는 림(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기둥(2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재질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15)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삽입홈(15)에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기둥(20)에는 하부양측 또는 외측둘레를 따라 코패드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기둥(20)은 상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에 의하면, 간단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코기둥이 탄성을 통해 손쉬운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함은 물론, 장력이 유지되며 착용자들의 코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코기둥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편리성 및 경제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함은 물론, 코기둥의 탄성력을 통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확대도
본 발명은 코기둥이 탄성력을 가지며 외측에 돌출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탄성을 통한 걸림유지와 착용자의 코높이에 따라 다양한 코기둥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 및 다양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는 림(11)에 삽입되는 렌즈와 접하지 않는 일측에 삽입홈(1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코기둥(20)은 탄성을 가지며 양측에 돌출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코기둥(20)을 브릿지(13) 하부로 위치시켜 상기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삽입되게 구성시켜, 탄성에 의해 걸림 구성된다.
즉, 안경테(10)에 코기둥(20)을 끼워 결합하는 구조체에 있어서,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의 내측면(착용자와 대응되면 면)에 코기둥(20)이 삽입되는 구조가 아닌 렌즈와 접하지 않는 림(11)과 림(11) 사이로 코기둥(20)을 위치시켜 각각의 림(11)에 형성된 삽입홈(15)에 상기 코기둥(20)의 삽입부(21)를 삽입시킴으로써, 도 2 또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끼워지되 별도의 걸림구조를 가지지 않고 코기둥(20)의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통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어 안경테(10)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코기둥(20)이 파손이 되지 않으며 무엇보다 코기둥(20)의 손쉬운 교체를 통해 착용자들의 코높이에 맞춰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구조처럼 삽입 시 안경테와 내측 또는 코기둥의 외측이 상호 맞물리거나 걸림되는 별도의 고정구조를 가지지 않고, 도 5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기둥(20)이 개별적이 아닌 하나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삽입 시 단부를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구부린 후 상기 안경테(10)의 삽입홈(15)에 끼우게 되면 벌어지려는 자체적인 힘으로 자연스레 삽입부(21)가 삽입되게 되고, 끼움 및 분리함에 있어서 파손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15)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삽입홈(15)에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삽입홈(15)을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지 않고, 마주하는 림(11)과 림(11)의 측면에 형성하되 다른 위치에 형성할 수고 있고, 상기 삽입홈(15)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시 코기둥(20)의 삽입부(21) 또한 상기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21)의 위치 또한 상이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21)는, 원, 반원호,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끝부는 반원호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핀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는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될 시 끝부가 반원호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시에는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고 삽입 후에는 끝부분이 삽입홈(15)의 끝부분과 맞물리게 되어 착용 시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토록 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토록 하게 되며, 상기 삽입홈(15)은 상기 삽입부(21)의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부(21)의 끝부가 반원호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테(10)의 브릿지(13)의 일측에 인입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코기둥(20)의 상부 일측이 돌출되는 삽입가이드(23)가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17)에 삽입가이드(23)가 삽입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와 더불어 상기 삽입가이드(23)가 인입홈(17)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가이드(23)는 상기 인입홈(17)의 내측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여 상기 삽입가이드(23)를 인입홈(17)으로 삽입 시 미세한 유격을 형성하여 자칫 코기둥(20)에 충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삽입가이드(23)의 파손을 방지하여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가이드(23)와 인입홈(17)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인입홈(17)은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삽입 시에 삽입가이드(23)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홈(17)은 개방된 하부 양측이 경사지며 림(11)의 일측과 연결되는 경사부(17a)가 형성되어, 코기둥(20)을 삽입 시, 외부 상측이 상기 경사부(17a)와 접촉되며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인입홈(17)을 형상을 가변시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코기둥(20)의 외형도 상기 인입홈(17)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코기둥(20)을 인입홈(17)에 삽입 시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삽입되고, 삽입가이드(23)가 인입홈(17)에 삽입되며, 코기둥(20)의 외부 상측이 상기 경사부(17a)에 접촉되어 완전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코기둥(20)에는 하부 양측 또는 외측둘레를 따라 코패드가 구성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평상시와 동일한 목적인 시력유지 등 개성을 살리기 위해 목적일 경우, 상기 코패드를 하부 양측에 각각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를 할 경우 착용자의 안면을 보고할 수 있게 상기 코패드를 코기둥(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경테(10)와 코기둥(20)의 구조를 가변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기둥(2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는 삽입부(21)를 구성하고, 상기 코기둥(20)의 삽입부(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경테(10)의 마주하는 림(11) 내측에 각각의 삽입홈(15)을 구성하여 상기 코기둥(20)을 안경테(10)에 끼움 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5)을 통상의 안경테(10)에 코기둥이 삽입되는 림(11)의 일측(안경테의 후면)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코기둥(20)의 삽입부(21)를 상기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게 외형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15)에 각각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삽입홈(15)을 상호 마주하는 림(11)의 측면에 각각 형성할 시 그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21)를 형성한 코기둥(20)을 사용하고, 상기 삽입홈(15)을 통상의 위치(안경테 후면)에 형성할 시 그 삽입홈(15)에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21)를 형성한 코기둥(20)을 구성하여 사용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에 의하면, 간단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코기둥이 탄성을 통해 손쉬운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함은 물론, 장력을 유지토록 하고 착용자들의 코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코기둥을 용이하게 교체할 있어 편리성 및 경제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탄성력을 통해 견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안경테 11 : 림 13 : 브릿지
15 : 삽입홈 17 : 인입홈 17a : 경사부
20 : 코기둥 21 : 삽입부 23 : 삽입가이드

Claims (6)

  1. 림(11)에 삽입되는 렌즈와 접하지 않는 일측에 삽입홈(15)이 각각 형성되는 안경테(10)와, 양측에 돌출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안경테(10)의 브릿지(13) 하부로 위치시켜 상기 삽입부(21)가 삽입홈(15)에 삽입되는 코기둥(20)으로 구성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5)은 상기 삽입부(2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10)의 브릿지(13)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양측에 경사지며 림(11)의 일측과 연결되는 경사부(17a)가 형성되는 인입홈(17)이 형성되며,
    상기 코기둥(20)은 탄성을 가지며 상부 일측에 돌출되는 삽입가이드(23)가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17)에 삽입가이드(23)를 삽입 시 외부 상측이 상기 경사부(17a)와 접촉되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5)은 상호 대응하는 림(1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기둥(2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5)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삽입홈(15)에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기둥(20)에는 하부양측 또는 외측둘레를 따라 코패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기둥(20)은 상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KR1020160031221A 2016-03-16 2016-03-16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KR10161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221A KR101618829B1 (ko) 2016-03-16 2016-03-16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221A KR101618829B1 (ko) 2016-03-16 2016-03-16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24 Division 2015-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29B1 true KR101618829B1 (ko) 2016-05-09

Family

ID=5602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221A KR101618829B1 (ko) 2016-03-16 2016-03-16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1328A (zh) 2003-09-08 2005-03-30 根岸亨 眼镜框的鼻垫组件
KR200416684Y1 (ko) 2006-03-08 2006-05-22 주식회사 프레임텍 안경의 코받침 결합구조
JP2013045046A (ja) 2011-08-26 2013-03-04 Aegis:Kk パッドアーム取付構造および眼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1328A (zh) 2003-09-08 2005-03-30 根岸亨 眼镜框的鼻垫组件
KR200416684Y1 (ko) 2006-03-08 2006-05-22 주식회사 프레임텍 안경의 코받침 결합구조
JP2013045046A (ja) 2011-08-26 2013-03-04 Aegis:Kk パッドアーム取付構造および眼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US20170097518A1 (en) Eyeglasses with changeable frame
US20110083256A1 (en) Structure for Securing a Secondary Goggle Frame
US20090190089A1 (en) Eyeglasses structure
US20160041404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brow bar
KR20170038446A (ko) 조립식 안경
US8366267B2 (en) Spectacle structure
KR101618829B1 (ko)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US20180045977A1 (en) Bridgeless glasses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US11269196B2 (en) Eyeglasses having a snap-on one-piece lens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US9740021B1 (en) Glasses with lens fastened by pivotal members
RU2635347C2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авы очков для пары линз
KR101696512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101992268B1 (ko) 안경테 조립구조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102480469B1 (ko)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KR102183753B1 (ko) 덮경을 구비하는 안경
CN214846107U (zh) 便捷眼镜
KR20190062796A (ko) 안경테
JP3208441U (ja) メガネフレーム
KR101961352B1 (ko) 안경용 착탈식 선글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