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306B1 -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306B1
KR101559306B1 KR1020150092806A KR20150092806A KR101559306B1 KR 101559306 B1 KR101559306 B1 KR 101559306B1 KR 1020150092806 A KR1020150092806 A KR 1020150092806A KR 20150092806 A KR20150092806 A KR 20150092806A KR 101559306 B1 KR101559306 B1 KR 10155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xis
portions
rotar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연
Original Assignee
석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 B23C3/124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64Using an endmill, i.e. a shaft milling cutter, to generate profile of a crankshaft or cam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부에 연결되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가공부가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 지지부 및 일단은 복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가공부는,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부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와, 회전 샤프트의 반경 방향을 관통하여 회전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아암 및 회전 아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회전 샤프트가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ner face of casing}
본 발명은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고 케이싱의 내부에서 내측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 등의 대형 발전 설비 및 대형 산업 설비와 같이 많은 공정과 비용이 수반되는 특수한 현장에서, 상하가 분리되는 터빈 케이싱, 대형 펌프 케이싱 등은 장시간 사용하면서 침식이나 마모 등이 발생하여 내측면이 손상된다. 이러한 손상은 대체로 부압이나 차압이 심한 증기 배출 현장, 저압 터빈과 복수기 진공이 걸리는 Gland box 등을 구비한 발전소 현장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이 발생할 경우, 유체 흐름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설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싱의 내측면이 손상될 경우, 상부 케이싱은 크기가 대형이더라도 분해 후에 공장으로 반출되어 공작 기계로 가공될 수 있다. 반면에, 하부 케이싱은 현장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분해 후에 공장으로 반출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장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하부 케이싱은 주로 그라인더(Grinder)나 줄 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가공되었고, 가공 불량으로 해마다 손상이 발생하여 반복적으로 가공될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케이싱의 내측면 가공이 가능한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으나, 가공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케이싱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케이싱의 형상, 크기 및 특성이 다양하여 규격에 맞는 장치를 개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고 케이싱의 내부에서 내측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부에 연결되고,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구비함으로써,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고 케이싱의 내측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공부가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복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반경 방향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아암 및 상기 회전 아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의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결합부의 일측에서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각각, 일단이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타단이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양단에 제1 암나사 및 제2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연성 또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 아암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관통홀과 상기 회전 아암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회전 아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는 공기 구동 그라인더(Air grin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은 엔드 밀(End mill) 또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을 경면 절삭하기 위한 연마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된 고정부에 연결되고,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구비함으로써,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고 케이싱의 내측면을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결합부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가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가공부의 회전축이 케이싱의 제1 축과 일치되도록 회전 지지부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결합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고정부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가공부의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은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자체적으로도 회전됨으로써, 케이싱의 내측면을 원활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회전 아암이 회전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가공 위치에 따라 회전 샤프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가 회전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가공 위치에 따라 회전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지지부재가 연성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케이싱의 내측면 또는 인근 구조물에 밀착될 때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관통홀과 회전 아암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 샤프트와 회전 아암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회전 아암이 이동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와 회전 아암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 따르면, 엔드 밀로 가공된 내측면이 연마지 등과 같은 연마부재에 의해 경면 절삭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좀 더 매끈하게 가공된 케이싱의 내측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가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가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복수의 결합부가 회전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된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복수의 결합부가 회전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된 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복수의 결합부 및 복수의 지지부에 대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회전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제1 회전 구동부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제2 회전 구동부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가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가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분리되는 케이싱(10)은 장시간 동안 사용되면서 침식이나 마모 등이 발생하여 내측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1)는 손상된 케이싱(10)의 내측면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1)는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조립될 수 있으며, 가공이 끝난 후에는 다시 분리되어 외부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1)는 고정부(100) 및 가공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케이싱(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공부(200)는 고정부(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싱(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케이싱(10)의 내측면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면과 케이싱(10)의 내측면은 일치하며,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의 일측에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를 부착하여 Axial run-out과 Radial run-out이 모두 0.03mm 이내로 조절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1)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복수의 결합부가 회전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된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복수의 결합부가 회전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된 고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복수의 결합부 및 복수의 지지부에 대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회전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제1 회전 구동부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에서 제2 회전 구동부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는 회전 지지부(110) 및 복수의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10)는 가공부(200)가 케이싱(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120)는 일단이 복수의 결합부(111)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재(121)는 케이싱(10)의 내측면뿐만 아니라 인근 구조물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재(121)가 연성 또는 탄성 재질일 경우, 지지부재(121)가 케이싱(10)의 내측면 또는 인근 구조물에 밀착될 때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120) 각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제1 축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복수의 지지부(1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가공부(200)는 회전축이 케이싱(10)의 제1 축과 일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결합부(111) 및 복수의 지지부(120)의 일 예로, 복수의 결합부(111)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홀이 형성되어 복수의 지지부(120)가 삽입되고, 복수의 지지부(120)는 각각 고정부재(122)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고정부재(122)는 복수의 결합부(111)의 일측에서 체결되고, 복수의 결합부(111)와 복수의 지지부(120)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복수의 지지부(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결합부(111) 및 복수의 지지부(120)가 각각 방사형으로 4개씩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결합부(111) 및 복수의 지지부(120)의 형상,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부(111) 및 복수의 지지부(120)는 회전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 8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합부(111) 및 복수의 지지부(12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고정부(100)는 케이싱(10)의 내측면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복수의 결합부(111) 및 복수의 지지부(120)의 다른 예로, 복수의 결합부(111)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홀(111a)이 형성되고, 복수의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123), 제2 지지부(124) 및 너트부(12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지지부(123)는 일단이 복수의 결합부(111)의 나사홀(111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4)는 제1 지지부(123)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지지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너트부(125)는 제1 지지부(123)의 타단과 제2 지지부(124)의 타단이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양단에 제1 암나사(125a) 및 제2 암나사(12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123), 제2 지지부(124) 및 너트부(125)가 조립된 상태에서 너트부(125)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지지부(123)는 타단이 너트부(125)의 제1 암나사(125a)로부터 조금씩 풀리면서 일단이 복수의 결합부(111)의 나사홀(111a)에 좀 더 깊이 나사 결합되고, 제2 지지부(124)는 타단이 제2 암나사(125b)로부터 조금씩 풀리면서 일단에 구비된 지지부재(121)가 너트부(1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너트부(12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지지부(123)의 타단 및 제2 지지부(124)의 타단은 너트부(125)의 제1 암나사(125a) 및 제2 암나사(125b)에 좀 더 깊이 나사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지지부재(121)는 너트부(12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가공부(200)는 회전 샤프트(210), 회전 아암(220) 및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10)는 케이싱(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샤프트(210)는 회전 지지부(1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210)와 회전 지지부(110) 사이에는 베어링(211)이 개재될 수 있다. 베어링(211)은 회전 샤프트(210)가 회전될 때, 회전 지지부(110)가 같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어링(211)은 회전 샤프트(210)에 형성된 단차부(212)를 사이에 두고 장착될 수 있다. 베어링(211)은 볼 베어링(Ball bearing), 드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회전 아암(220)은 회전 샤프트(210)의 반경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115)을 통해 회전 샤프트(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아암(220)은 케이싱(10)의 내측 반경에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므로 케이싱(10)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하나의 장치로 가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싱(10)의 내측 반경이 좁아질 경우,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이 회전 샤프트(2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 아암(220)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내측 반경이 넓어질 경우,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이 회전 샤프트(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아암(220)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14)는 회전 샤프트(210)를 관통한 회전 아암(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 샤프트(2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213)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214)는 회전 아암(220)이 회전 샤프트(210)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회전 아암(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재(214)가 볼트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은 회전 아암(22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회전 샤프트(210)가 케이싱(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케이싱(10)의 내측면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은 밑면과 옆면이 날로 형성된 엔드 밀(End mill)일 수 있다. 엔드 밀로 가공된 케이싱(10)의 내측면은 다소 거칠게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이 연마지 등과 같은 연마부재(미도시)로 구비될 경우, 엔드 밀로 가공된 내측면은 연마부재(미도시)에 의해 경면 절삭되어 좀 더 매끈만 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은 회전 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은 회전 아암(22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결합부재(221)에 삽입 설치되어 삽입 위치에 따라 회전 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10)의 내측면 가공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아암(220)은 복수의 관통홀(215)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고, 체결부재(214)는 체결홀(213)에 삽입되어 회전 아암(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홀(215)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싱(10)의 내측면 가공 위치에 따라 회전 아암(22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의 관통홀(215)과 회전 아암(22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회전 샤프트(210)와 회전 아암(220)은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210)을 관통한 회전 아암(220)이 이동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대형 구조물일 때 회전 아암(220)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데, 이때 회전 샤프트(210) 및 회전 아암(220)이 회전될 경우 진동과 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관통홀(215)과 회전 아암(220)의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 회전 샤프트(210)와 회전 아암(2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관통홀(215)과 회전 아암(220)의 단면이 사각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200)는 회전 샤프트(2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2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 구동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 구동부(240)의 축과 회전 샤프트(210)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24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 구동부(240)는 회전 속도 조절이 용이한 공기 구동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구동부(240)는 회전 샤프트(21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200)는 회전 아암(220)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250)는 회전 속도 조절이 용이한 공기 구동 그라인더(Air grind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230)은 회전 아암(220)에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210)가 케이싱(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2 회전 구동부(250)에 의해 자체적으로도 회전되면서 케이싱(10)의 내측면을 원활하게 가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10: 케이싱 100: 고정부
110: 회전 지지부 111: 복수의 결합부
120: 복수의 지지부 121: 지지부재
122: 고정부재 123: 제1 지지부
124: 제2 지지부 125: 너트부
125a: 제1 암나사 125b: 제2 암나사
200: 가공부 210: 회전 샤프트
211: 베어링 212: 단차부
213: 체결홀 214: 체결부재
215: 복수의 관통홀 220: 회전 아암
221: 결합부재 230: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
240: 제1 회전 구동부 241: 커플링
250: 제2 회전 구동부

Claims (12)

  1. 케이싱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공부가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복수의 결합부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반경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아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회전 아암이 상기 회전 샤프트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 아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및
    상기 회전 아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결합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케이싱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을 가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홀과 상기 회전 아암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결합부의 일측에서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복수의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는 각각,
    일단이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타단이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양단에 제1 암나사 및 제2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회전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연성 또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회전 아암의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구동부는 공기 구동 그라인더(Air grin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공툴은 엔드 밀(End mill) 또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을 경면 절삭하기 위한 연마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KR1020150092806A 2015-06-30 2015-06-30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KR101559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06A KR101559306B1 (ko) 2015-06-30 2015-06-30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06A KR101559306B1 (ko) 2015-06-30 2015-06-30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306B1 true KR101559306B1 (ko) 2015-10-12

Family

ID=5434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806A KR101559306B1 (ko) 2015-06-30 2015-06-30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3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993B1 (ko) * 2015-10-30 2017-05-08 주식회사 포스코 플레노 밀러
KR200485015Y1 (ko) * 2017-02-06 2017-11-20 유제수 밸브 시트면 연마를 위한 래핑장치
CN109909846A (zh) * 2017-12-13 2019-06-21 苏州能讯高能半导体有限公司 一种腔体打磨工具以及腔体打磨设备
KR102418747B1 (ko) * 2021-11-26 2022-07-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재가열기 정지 밸브용 래핑 장치
CN116890286A (zh) * 2023-09-08 2023-10-17 威乐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泵生产用加工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93B1 (ko) 2005-10-04 2006-12-19 주식회사 신흥기공 케이싱 현장 내경 가공장치
KR100934452B1 (ko) 2009-05-11 2009-12-29 원일봉 원형단면 소재의 모따기장치
KR101059866B1 (ko) 2011-04-25 2011-08-29 김기면 보링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93B1 (ko) 2005-10-04 2006-12-19 주식회사 신흥기공 케이싱 현장 내경 가공장치
KR100934452B1 (ko) 2009-05-11 2009-12-29 원일봉 원형단면 소재의 모따기장치
KR101059866B1 (ko) 2011-04-25 2011-08-29 김기면 보링머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993B1 (ko) * 2015-10-30 2017-05-08 주식회사 포스코 플레노 밀러
KR200485015Y1 (ko) * 2017-02-06 2017-11-20 유제수 밸브 시트면 연마를 위한 래핑장치
CN109909846A (zh) * 2017-12-13 2019-06-21 苏州能讯高能半导体有限公司 一种腔体打磨工具以及腔体打磨设备
CN109909846B (zh) * 2017-12-13 2021-08-31 苏州能讯高能半导体有限公司 一种腔体打磨工具以及腔体打磨设备
KR102418747B1 (ko) * 2021-11-26 2022-07-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재가열기 정지 밸브용 래핑 장치
CN116890286A (zh) * 2023-09-08 2023-10-17 威乐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泵生产用加工设备
CN116890286B (zh) * 2023-09-08 2023-11-17 威乐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水泵生产用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306B1 (ko) 케이싱 내측면 가공 장치
JP5881884B1 (ja) 弁座加工機および当該弁座加工機を用いた弁座加工方法
JP2015140693A (ja) 位置調節装置、これを備えている回転機械、及び位置調節方法
JP2011117596A (ja) 予圧構造を有するナット回転式ボール・スクリュー
US20220307550A1 (en) Bearing Holder for Receiving a Bearing
KR101256358B1 (ko) 스토퍼가 장착된 웨이퍼 다이싱용 에어베어링 스핀들
CN107685162B (zh) 刀塔装置及具有其的机床
KR20150124847A (ko) 서보모터 일체형 서포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CN109834481A (zh) 一种加工汽轮机内汽封弧段的定位装置及定位方法
KR101513481B1 (ko) 가스터빈 압축기의 디스크 고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의 가공방법
JP6761356B2 (ja) 動翼可変軸流ファンの芯出治具及び芯出方法
CN209578897U (zh) 一种加工汽轮机内汽封弧段的定位装置
WO2018033408A1 (en) Axial flow turbine having a diaphragm split in two halves at a horizontal joint plane
RU188847U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с плоским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разъемом корпуса
KR20170101564A (ko) 플랜지 가공장치
CN104802027A (zh) 一种机床切削力传感器动态保护装置
JP6798914B2 (ja) シール取り付け構造およびポンプ
TW201638473A (zh) 渦捲式流體機械
JP2008290219A (ja) 主軸装置
JP2016059987A (ja) 締結機構および締結方法
KR20160076757A (ko) 샤프트 가공 장치
JP4678165B2 (ja) 直動テーブル装置
KR101879545B1 (ko) 분해가 용이한 공작기계 주축의 슬리브, 그 슬리브를 갖는 주축 및 공작기계
KR102491370B1 (ko) 제품고정지그장치
CN204658071U (zh) 一种机床切削力传感器动态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