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176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176B1
KR101559176B1 KR1020080136871A KR20080136871A KR101559176B1 KR 101559176 B1 KR101559176 B1 KR 101559176B1 KR 1020080136871 A KR1020080136871 A KR 1020080136871A KR 20080136871 A KR20080136871 A KR 20080136871A KR 101559176 B1 KR101559176 B1 KR 10155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bottle
lower housing
fix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572A (ko
Inventor
임태규
이철구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매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매직
Priority to KR102008013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통을 장착 또는 분리 시, 이와 연동하면서 가습 트레이 내에 선택적으로 침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습 트레이 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만 물을 살균할 수 있어 살균 성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살균장치 내장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살균장치, 물통 연동식, 연계 작동부, 살균부

Description

가습기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통을 이용하여 살균장치를 저수조 내에 침지할 수 있도록 한 살균장치 내장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가습기를 청소 없이 장기간 사용할 경우 물통 및 트레이부에 각 종 세균들이 생성되며, 실내가습 시 가습기로부터 토출되는 물입자를 통해 실내공간 내로 세균이 방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습식 가습필터를 적용한 가습기의 경우에는 수돗물 속에 포함된 Ca++, Mg++로 인해 가습필터의 홀(Hole)이 막혀 가습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입자를 통해 실내 공간 내로 세균이 방출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제품은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저수조 내에 거치식 제균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개월에 한 번씩 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물통을 장착 또는 분리 시 이와 연동하면서 가습 트레이 내에 선택적으로 침지되는 살균장치 내장형 가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통(100)을 물통 장착부(201)에 장착 또는 분리시 물통(10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부(101)와 맞물려 연계 작동부(20)를 매개로 상기 물통(100)과 연동하면서 가습 트레이(200) 내에 선택적으로 침지 가능한 살균부(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연계 작동부(20)는 상기 가습 트레이(200)에 고정된 상부측 하우징(21)과, 상기 상부측 하우징(21)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측 하우징(22)과,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의 상단부와 하부측 하우징(22)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 스프링(23)과,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100)의 걸림홈부(101)에 맞물리는 걸림턱(24)과,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일측에 고정되어 하단부에 구비된 살균부(30)와 더불어 승하강 작동하는 가이드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에 의하면, 가습 트레이 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만 물을 살균할 수 있어 살균 성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을 물통 장착부(201)에서 장착 또는 분리시 물통(10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부(101)와 맞물려 상기 물통(100)과 연동되도록 가습 트레이(200) 내에 설치되는 살균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살균장치는 물통(100)과 가습 트레이(200) 사이에 설치되는 연계 작동부(20)와, 상기 연계 작동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살균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계 작동부(20)는 2개의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바, 상부측 하우징(21)의 직경이 하부측 하우징(2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측 하우징(21) 내부에 하부측 하우징(22)이 삽입 가능하며, 인장 스프링(23)이 상부측 하우징(21)의 내부 상단과 하부측 하우징(22)의 내부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은 가습 트레이(200)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하부측 하우징(22)만 인장 스프링(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하단부에는 상기 물통(100)의 걸림홈부(101)에 맞물리는 걸림턱(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일측에 고정되어 하단부에 구비된 살균부(30)와 더불어 승하강 작동하며, 전원공급선(27)이 상측에 구비되어 작동 스위치(26)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살균부(30)에 전원을 인가 또는 비인가시키는 가이드부재(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5)에는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걸림부(25a)가 일체 구비되는바, 물통(100)을 물통 장착부(201)에서 분리시 인장 스프링(23)에 의해 하부측 하우징(22)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어 항상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살균부(30)는 상부측 하우징(21)의 일측에 고정된 상기 작동 스위치(26)에 의해 제어되는 바, 물통(10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부측 하우징(22)에 의해 작동 스위치(26)가 오프되어 살균부(30)로 전원 공급이 인가되지 않으나, 물통(100)이 장착될 경우 하부측 하우징(22)에 의해 작동 스위치(26)가 온 작동되어 살균부(30)로 전원 공급이 인가되어 살균부(30)가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 스위치(26)에는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의 상측 외부에서 그 내부로 관통된 버튼(26a)이 설치되어 이 버튼(26a)에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상단이 접촉시에는 오프 작동되며, 이 버튼(26a)에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상단이 비 접촉시에는 온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부(30)는 가습 트레이(200) 내의 세균 번식을 전기에너지 및 빛에너지를 이용한 전기분해, 자외선, 전해기 등을 적용한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 부호 28은 승하강 작동하는 가이드부재(25)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가습 트레이(200)에 고정되어 있는 벽체로서, 상기 작동 스위치(26)와 가이드부재(25)에 연결된 전원공급선(27)의 엉킴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물통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가습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물통 장착부(201)에서 물통(100)이 분리된 상태에서, 물통(100)을 상기 물통 장착부(201)에 장착할 경우, 연계 작동부(20)의 상부측 하우징(21)은 가습 트레이(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100)의 걸림홈부(101)에 걸리는 걸림턱(24)을 갖는 하부측 하우징(22)이 물통(100)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5) 및, 상기 가이드부재(25)에 연결된 살균부(30) 또한 하강하게 되어 가습 트레이(200)의 바닥면에 잠기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하강 동작으로 인해 상기 작동 스위치(26)가 온 작동되어 살균부(30)로 전원 공급이 인가되어 살균부(30)가 작동하므로 가습 트레이(200) 내에 저장된 물을 제균 및 항균시키게 된다.
다시, 물통(100)의 물을 모두 사용하여 물통(100)을 교체할 수 있도록 물통 장착부에서 물통(100)을 분리 시, 상,하부측 하우징(21,22) 내에 장착된 인장 스프링(23)의 인장력을 통해 하부측 하우징(22)이 상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재(25)에 일체 형성된 걸림부(25a)는 상부측 하우징(21)의 하단부에 걸려 항상 그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물통을 분리한 상태에서의 가습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물통 20 : 연계 작동부
21 : 상부측 하우징 22 : 하부측 하우징
23 : 인장 스프링 24 : 걸림턱
25 : 가이드부재 25a : 걸림부
26 : 작동 스위치 27 : 전원공급선
28 : 벽체 30 : 살균부

Claims (5)

  1. 물통(100)을 물통 장착부(201)에 장착 또는 분리시 상기 물통(10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부(101)와 맞물려 연계 작동부(20)를 매개로 상기 물통(100)과 연동하면서 가습 트레이(200) 내에 선택적으로 침지 가능한 살균부(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작동부(20)는 상기 가습 트레이(200)에 고정된 상부측 하우징(21)과, 상기 상부측 하우징(21)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측 하우징(22)과,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의 내부 상단과 하부측 하우징(22)의 내부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 스프링(23)과,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100)의 걸림홈부(101)에 맞물리는 걸림턱(24)과,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살균부(30)와 더불어 승하강 작동하는 가이드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작동부(20)는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승하강 작동여부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온 또는 오프 작동되어 상기 살균부(30)에 전원을 인가 또는 비인가시키도록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에 고정된 작동 스위치(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작동부(20)는 상기 작동 스위치(26)와 전원공급선(27)을 매개로 연결된 가이드부재(25)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원공급선(27)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습 트레이(200)에 고정된 벽체(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5)는 상기 하부측 하우징(22)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물통(100)을 물통 장착부(201)에서 분리시 상기 인장 스프링(23)에 의해 상기 하부측 하우징(22)과 함께 상승되면서 상기 상부측 하우징(21)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부(25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80136871A 2008-12-30 2008-12-30 가습기 KR10155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71A KR101559176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71A KR101559176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72A KR20100078572A (ko) 2010-07-08
KR101559176B1 true KR101559176B1 (ko) 2015-10-13

Family

ID=4263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871A KR101559176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65B1 (ko) * 2015-10-08 2023-03-09 코웨이 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72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149B2 (en) Liquid presence detecting device functioning also as power supply, and air improving device having the same
JP5633253B2 (ja) 加湿器
JP7265265B2 (ja) 超音波加湿器
JP2007074908A (ja) 誘虫装置および捕虫器
JP2007159914A (ja) 空気除菌装置
CN101153728A (zh) 空气除菌装置
KR101559176B1 (ko) 가습기
JP2014039778A (ja) 空気清浄装置
KR100923424B1 (ko) 태양 광 에너지모듈을 구비한 급수장치
CN213374112U (zh) 消毒祛味净化空气纳米级雾化器
JP2014209043A (ja) 空気清浄装置
JP2008109975A (ja) 空気除菌装置
CN218899371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清洗设备
CN209951194U (zh) 洗碗机及其内胆组件
CN215191292U (zh) 污水箱以及洗地机
CN214712386U (zh) 洗地机
KR102361034B1 (ko)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20190001173U (ko) 생수용기를 이용하는 미니 초음파 가습기
JP2014090899A (ja) 空気清浄装置
WO2023023909A1 (zh) 空气杀菌装置及空气加湿装置
KR102406460B1 (ko) 단자 어셈블리를 가지는 휴대용 전해 소독수 생성장치
KR20150042467A (ko) 가습기
CN212319934U (zh) 具有消毒功能的加湿器
JP2014039777A (ja) 空気清浄装置
CN213833152U (zh) 一种自带杀菌除臭及容量监测功能的翻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