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551B1 - 롤러유닛 - Google Patents

롤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551B1
KR101558551B1 KR1020140165607A KR20140165607A KR101558551B1 KR 101558551 B1 KR101558551 B1 KR 101558551B1 KR 1020140165607 A KR1020140165607 A KR 1020140165607A KR 20140165607 A KR20140165607 A KR 20140165607A KR 101558551 B1 KR101558551 B1 KR 101558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oller
roller
tightening ring
glass substrate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석
Original Assignee
장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석 filed Critical 장재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4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comprising a number of roller forming elements mounted on a singl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회전축에 조립되었을 때, 비뚤어지지 않고 직각상태를 유지하며 좌우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롤러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롤러유닛은 유리기판 이송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이송롤러와 조임링을 포함한다. 이송롤러는, 회전축과 동일한 직경의 삽입홀을 중앙에 구비하고, 삽입홀의 테두리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양측면에 구비하며, 조임링은 이송롤러에 조립될 때, 돌기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 결합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롤러유닛{Feeding roller unit}
본 발명은 롤러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기판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기판을 이송하는 롤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 제조 과정에서, 작게는 1미터 이내, 크게는 2 ~ 3 미터에 이르는 크기의 유리기판을 공정간에 이동시킨다. 이렇게 대형 유리기판을 이송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유리기판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대형 유리기판을 이송하는 데에는 기판 이송장치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기판 이송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2)과, 이 회전축(2)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송롤러 및 이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 등으로 구성된다.
이송롤러는 회전축(2)에 고정되어 회전한다. 이송롤러를 회전축(2)에 고정할 때, 이송롤러와 회전축(2)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이송롤러와 회전축(2)이 틀어지면, 기판 이송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판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10277호에는 롤러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 롤러유닛에서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이송롤러 양측에 끼워 이송롤러를 회전축에 고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이송롤러유닛에서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구조가 완전히 상이하여 롤러가 받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사출물인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치수 및 형상이 균일하지 않아, 회전축에 고정된 이송롤러의 각도가 틀어지고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6101호(2013.01.18.)
회전축에 조립되었을 때, 비뚤어지지 않고 직각상태를 유지하며 좌우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롤러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롤러유닛은 유리기판 이송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이송롤러와 조임링을 포함한다. 이송롤러는, 회전축과 동일한 직경의 삽입홀을 중앙에 구비하고, 삽입홀의 테두리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양측면에 구비하며, 조임링은 이송롤러에 조립될 때, 돌기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 결합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돌기부에는 테두리의 일부 구간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임링에는 제1 결합홈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홈이 마련되고, 이송롤러의 돌기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임링의 일측면에는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해 함몰 형성된 해체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송롤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1 이송롤러 및 제2 이송롤러,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 사이에 마련되어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가 결합 고정되게 하는 결합핀,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분해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유닛을 회전축에 조립하였을 때, 롤러유닛은 직각상태를 유지하며 좌우 유동하지 않는다.
또한, 설치된 롤러유닛을 회전축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하여 설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이송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2에 도시된 롤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송롤러의 조립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롤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롤러유닛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은 유리기판 이송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는 기구유닛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이송롤러(10)와 조임링(20)을 포함한다.
이송롤러(10)는 중앙에 삽입홀(11)이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삽입홀(11)의 직경은 회전축(2)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삽입홀(11)의 지름이 회전축(2)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송롤러(10)는 회전축(2)에 결합되었을 때 흔들리지 않고, 회전축(2)에 대해 직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외주면은, 상부에 놓여질 유리기판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면 형상이 아닌 대략 반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송롤러(10)의 양측면에는 돌기부(12)가 마련된다. 돌기부(12)는 삽입홀(11)을 중심으로 한 원 형상으로, 삽입홀(11)의 테두리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돌기부(12)에 아래에서 설명할 조임링(20)이 끼워진다. 따라서, 돌기부(12)의 높이는 조임링(20)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송롤러(10)는 UPE, CNT, 테프론(Teflon), 폴리염화비닐(PVC)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조임링(20)은 이송롤러(10)에 조립될 때 돌기부(1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 결합홈(22)을 구비한다. 제1 결합홈(22)의 내주면은 돌기부(12)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링(20)이 이송롤러(10)에 결합될 때, 돌기부(12)는 회전축(2)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롤러(10)가 회전축(2)상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조임링(20)은 형상이 간단하므로 기계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치수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임링(20)은 회전축(2)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홀(21)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2)이 이 관통홀(21)을 관통하여 조임링(20)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롤러유닛에서 회전축(2)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이송롤러(10)의 삽입홀(11)에 조립된다. 그리고, 이송롤러(10)는 기계 가공을 통해 제작되므로, 높은 치수 정밀도를 갖는다. 조임링(20)도 기계가공 및 사출을 통해 제작되므로, 높은 치수 정밀도를 가진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은 회전축에 조립되었을 때, 비뚤어지지 않고 직각상태를 유지하며 좌우 유동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이송롤러(10)의 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돌기부(12)에는 테두리의 일부 구간이 절개된 절개부(14)가 형성된다. 돌기부(12)에 절개부(14)가 형성됨으로써, 조임링(20)이 조립되어 외주면을 가압할 때, 돌기부(12)는 회전축(2)에 더욱 잘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10)가 회전축(2)상에서 좌우로 수평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조임링(20)의 일측면에는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해 함몰 형성된 해체홈(24)이 마련된다. 이 해체홈(24)에 끝 부분 등이 뾰족한 해체도구를 넣어, 조임링(20)을 이송롤러(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10)를 회전축(2)에 설치한 뒤에도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송롤러(10)로부터 조임링(20)을 분리하고 이송롤러(10)를 좌우로 이동시켜 이송롤러(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100)의 조임링(20)에는 제1 결합홈(22)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홈(23)이 마련되고, 이송롤러(10)의 돌기부(12)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결합홈(23)에 결합되는 걸림턱(13)이 구비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롤러유닛(100)은, 제2 결합홈(23)과 걸림턱(13)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롤러유닛(100)이 사용되는 도중에 조임링(20)이 이송롤러(10)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될 수 있는 롤러유닛(100)의 설치 및 사용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축(2)에 이송롤러(10)를 끼운다. 다음, 회전축(2)에 끼워진 이송롤러(10)를 움직여 설치하고자 하는 제 위치에 놓는다. 이 때, 삽입홀(11)의 직경과 회전축(2)의 직경이 동일하지만, 이송롤러(10)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므로, 이송롤러(10)를 제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이송롤러(10)의 양측 돌기부(12)에 조임링(20)을 끼운다. 그러면, 조임링(20)의 제1 결합홈(22)이 돌기부(12)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조임링(20)과 이송롤러(10)가 결합되게 된다. 돌기부(12)의 외주면이 조임링(20)에 의해 가압되므로, 돌기부의 내주면이 회전축(20)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이송롤러(10)는 더 이상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이송롤러(10)를 회전축(2)에 정렬 배치한다. 그 다음 이송롤러(10)의 상부에 유리기판을 놓고 회전축(2)에 회전력을 가하면, 유리기판이 일직선으로 이송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10)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송롤러(10)의 조립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10)는 제1 이송롤러(10a) 및 제2 이송롤러(10b), 결합핀(10c), 분해홀(15)을 포함한다.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는 서로 동일하게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형으로 형성된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가 결합되어 하나의 원형 이송롤러가 될 수 있다.
결합핀(10c)은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를 결합 고정한다.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에는 결합핀(10c)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10d)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10c)은 제1 이송롤러(10a) 및 제2 이송롤러(10b)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PVC로 제작될 수도 있다.
분해홀(15)은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의 결합면에 형성된다. 분해홀(15)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해홀(15)에 봉 형태의 분해도구를 삽입한 후 좌우로 힘을 가함으로써, 하나로 결합된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를 둘로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이송롤러(10)를 회전축(2)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를 먼저 결합한 후 결합된 이송롤러(10)를 회전축(2)에 끼우고 나서 이송롤러(10)를 설치 위치로 옮기는 방법과 이송롤러(10)를 배치할 위치에서 제1 이송롤러(10a)와 제2 이송롤러(10b)를 바로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위와 같은 이송롤러(10)를 이용하면, 다른 이송롤러(1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원하는 이송롤러(10)만을 회전축(2)으로부터 분리, 해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이송롤러(1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송롤러(10)를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송롤러(10)의 위치 변경 작업이 용이해진다.
10 : 이송롤러 10a : 제1 이송롤러
10b : 제2 이송롤러 10c : 결합핀
10d : 고정홀 11 : 삽입홀
12 : 돌기부 13 : 걸림턱
14 : 절개부 15 : 분해홀
20 : 조임링 21 : 관통홀
22 : 제1 결합홈 23 : 제2 결합홈
24 : 해체홈

Claims (5)

  1. 유리기판 이송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는 롤러유닛에 있어서,
    롤러유닛은 이송롤러와 조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는,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1 이송롤러 및 제2 이송롤러와,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가 결합 고정되게 하는 결합핀과, 상기 제1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의 결합면에 형성되는 분해홀로 이루어지고,
    회전축과 동일한 직경의 삽입홀을 중앙에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의 테두리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양측면에 구비하며,
    조임링은,
    상기 이송롤러에 조립될 때,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 결합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테두리의 일부 구간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에는 상기 제1 결합홈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롤러의 돌기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일측면에는 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해 함몰 형성된 해체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유닛.
  5. 삭제
KR1020140165607A 2014-11-18 2014-11-25 롤러유닛 KR101558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0715 2014-11-18
KR1020140160715 2014-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551B1 true KR101558551B1 (ko) 2015-10-12

Family

ID=5434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607A KR101558551B1 (ko) 2014-11-18 2014-11-25 롤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056A (zh) * 2017-09-05 2017-11-24 滁州克莱帝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隔板生产用输送装置
KR101858588B1 (ko) 2018-01-18 2018-05-16 김정연 이송 장치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이송용 롤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85B1 (ko) 2007-07-31 2009-01-08 (주)원에스티 롤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85B1 (ko) 2007-07-31 2009-01-08 (주)원에스티 롤러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1056A (zh) * 2017-09-05 2017-11-24 滁州克莱帝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隔板生产用输送装置
KR101858588B1 (ko) 2018-01-18 2018-05-16 김정연 이송 장치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이송용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5033B (zh) 推力箔片空气轴承
KR101558551B1 (ko) 롤러유닛
JP2008280181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前記装置に使用される基板ガイドユニット
US20150354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lanet carrier
US9759301B2 (en) Clamping apparatus
KR100985557B1 (ko) 반송롤러용 오링
KR101010277B1 (ko) 회전 롤러
US10434697B2 (en) Liner-type barrel
KR950024819A (ko) 금속링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61140B1 (ko) 기판 회전 정렬장치
KR200382821Y1 (ko) 이송롤러와 베어링의 고정클립
US20180065813A1 (en) Roller Assembly and Transmission Device
US9716329B1 (en) Rotation element and safety plug with the rotation element
KR20160083507A (ko) 기판 이송용 롤러
KR20190003204A (ko) 롤러 유닛
KR20190085664A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US9939000B2 (en) Coaxial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KR100628734B1 (ko) 롤러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기판이송장치
KR20130133551A (ko) 보조 반송롤러 유닛
JP2008045652A (ja) 静圧気体軸受
TWI459666B (zh) 自動求心裝置
CN205174256U (zh) 一种灯具
USRE46863E1 (en) Transmission device for photosensitive drum
JP2015230936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TWI440532B (zh) 裝卸刀架(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