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28B1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8228B1 KR101558228B1 KR1020150003456A KR20150003456A KR101558228B1 KR 101558228 B1 KR101558228 B1 KR 101558228B1 KR 1020150003456 A KR1020150003456 A KR 1020150003456A KR 20150003456 A KR20150003456 A KR 20150003456A KR 101558228 B1 KR101558228 B1 KR 101558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isposed
- plate
- base plat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vehicle wash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분리 가능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세차한 물을 자체 정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위에 배치되어, 커버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여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와, 수로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1 단위 플레이트(unit plate)와, 길이 방향으로 타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2 단위 플레이트와,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제 1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이 제 2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세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리 가능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세차한 물을 자체 정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자는, 비용 절감 차원에서, 가정이나 주차장, 도로 등에서,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자신의 차량을 개인적으로 세차하곤 한다.
이 경우, 세제와 기름 등의 오염 물질이 여과 없이 하수구로 흘러가므로, 환경 오염의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아파트 지역과 같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개인의 세차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세차 설비가 갖추어진 세차장에서, 고용된 작업자에게 세차 비용을 지불하고 세차를 맡기거나, 또는 자신이 직접 세차 설비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세차장의 세차 설비는, 물 공급 호스나 거품 공급 호스 등이 꼬이거나, 또는 차량에 접촉됨으로써, 차량에 손상을 주거나, 세차 설비의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세차 장치로서,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3-0031024 (세차 장치)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세차 장치는, 세차 설비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이 복잡하여 설치 시간 및 설치 비용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영세 세차장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을 세차한 물은, 오염 물질이 많아 하수도로 버리면, 환경 오염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정화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설치 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차량을 한 번 세차한 물은, 재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므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정화부를 배치하여, 세차 물을 정화시키고, 재사용할 수 있는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다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단위 플레이트들을 분리 및 조립할수 있는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여, 이물질 제거 주기를 알릴 수 있는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 세차 장치는,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위에 배치되어, 커버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여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와, 수로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1 단위 플레이트(unit plate)와, 길이 방향으로 타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2 단위 플레이트와,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제 1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이 제 2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단위 플레이트는, 제 1 단위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일측과, 제 2 단위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타측에 각각 체결 부재가 배치되고,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는,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일측에만 체결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길이가 2 - 5m이고, 폭이 3 - 5m일 수 있다.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는, 수로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집수조와, 집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집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는, 바닥판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제 2 측판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제 1, 제 2 측판 사이에 체결되어 바닥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이물질 차단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차단막은, 제 1 높이를 갖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부의 제 1 높이보다 더 높은 제 2 높이를 갖는 에지부와, 중앙부와 에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차단막의 에지부는, 세차 물이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들과, 관통홀을 투과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망과, 필터망을 내부로 삽입하거나 또는 외부로 분리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 1, 제 2 측판에는, 바닥판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 세차 장치의 조립 방법은,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와, 제 3 단위 플레이트의 일측을 제 1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하고, 제 3 단위 플레이트의 타측을 제 2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하여,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 위에,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를 체결하는 단계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위에, 커버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여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를 체결하는 단계와, 수로부의 상부에, 수로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정화부를 배치하여, 세차 물을 정화시키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다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단위 플레이트들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해체 및 조립이 간단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여, 이물질 제거 주기를 알릴 수 있으므로, 필터망의 교체 주기 및 청소 주기를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세차 장치의 고장이 감소하므로, 세차 장치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외관을 도면이며;
도 5는 세차 물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상면도이며;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정화부의 필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필터부의 이물질 차단막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지지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의 정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세차 물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상면도이며;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정화부의 필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필터부의 이물질 차단막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지지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의 정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외관을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세차 물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세차 장치는, 크게 베이스부(1000), 덮개부(2000) 및 정수부(3000)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 세차 장치의 베이스부(1000) 위에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4000)이 배치되면, 사용자는, 정수부(3000)에 연결된 물 공급관(3100)을 통해, 차량(4000)에 정수된 정수물을 뿌려 세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부(30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차량 세차 장치의 외관 타입에 따라, 세차 장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세차 장치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과 같이, 일측이 차단된 세차 장치의 경우, 정수부(3000)는, 세차 장치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양측이 개방된 세차 장치의 경우, 정수부(3000)는, 세차 장치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세차 장치의 베이스부(1000)는,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120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정화부 위에 배치되어, 커버부(1200)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여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1300)와, 수로부(13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부(3000)로부터 배출되는 세차 물은, 커버부(1200)를 거쳐 수로부(1300)로 집수되고, 수로부(1300)로 집수된 세차 물은,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정화부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다시 정수부(3000)로 입수되고, 정수부(3000)에 입수된 세차 물은, 정수부(3000)에 의해, 정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정화부를 배치하여, 세차 물을 정화시키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상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세차 장치는,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200)가 배치되고 정화부(20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100)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지지부(100) 위에 배치되어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120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정화부(200) 위에 배치되어 커버부(1200)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여 정화부(200)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1300)와, 수로부(13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정화부(200)에는, 다수의 이물질 차단막(250)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지지부(100)는, 다수의 보강 바(110)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100)의 높이는, 중앙 영역의 정화부(200)에 인접할수록, 낮아질 수 있다.
이어, 커버부(1200)는, 세차 물이 수로부(1300)로 흘러가도록, 다수의 홈(12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세차 장치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정화부(200)로부터 정화된 세차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부와, 정수부로부터 정수된 물을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에 제공하는 물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도 7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0)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1 단위 플레이트(unit plate)(1110)와, 길이 방향으로 타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2 단위 플레이트(1120)와,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1110, 1120)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제 1 단위 플레이트(1110)에 체결되고, 타측이 제 2 단위 플레이트(1120)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위 플레이트(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단위 플레이트(1130)는, 제 1 단위 플레이트(1110)를 마주하는 일측과, 제 2 단위 플레이트(1120)를 마주하는 타측에 각각 체결 부재(113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1110, 1120)는, 제 3 단위 플레이트(1130)를 마주하는 일측에만 체결 부재(1111, 112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부재(1111, 1121, 1131)는, 일 예로, 연결 리벳 또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1111, 1121, 1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길이 L1, L2, L3가 약 2 - 5m이고, 폭 W1, W2, W3이 약 3 - 5m일 수 있다.
그 이유는, 각각의 단위 플레이트를 차량에 실어서, 설치 장소에 이동이 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차량에 실을 수 있는 차량의 공간 폭만큼, 단위 플레이트의 길이가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1111, 1121, 1131)는, 폭과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1111, 1121, 1131)는, 폭은 서로 동일하고, 길이가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1111, 1121)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제 3 단위 플레이트(1131)의 길이는,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1111, 1121)의 길이보다 더 짧거나 또는 더 길 수도 있다.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정화부의 필터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필터부의 이물질 차단막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지지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200)는, 수로부(1300)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집수조(210)와, 집수조(210)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필터부(230)와, 필터부(230)에 의해 정화된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집수조(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30)는, 바닥판(232)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판(2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제 2 측판(234, 236)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제 1, 제 2 측판(234, 236) 사이에 체결되어 바닥판(232)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이물질 차단막(2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차단막(250)들은, 서로 일정 간격 d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물질 차단막(250)들 사이의 간격 d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음, 이물질 차단막(250)은, 제 1 높이 h1를 갖는 중앙부(252)와, 중앙부(25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부(252)의 제 1 높이 h1보다 더 높은 제 2 높이 h2를 갖는 에지부(254)와, 중앙부(252)와 에지부(254)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홈(25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홈(256) 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바(270)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바(270)는, 수로부(1300)의 가장자리 영역(131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270)의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의 제 1 집수조에서 제 2 집수조로 갈수록, 높아질 수 있다.
다음, 이물질 차단막(250)의 중앙부(252)는, 수로부(1300)의 중앙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이어, 이물질 차단막(250)의 에지부(254)는, 세차 물이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258)들과, 관통홀(258)을 투과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망(259)과, 필터망(259)을 내부로 삽입하거나 또는 외부로 분리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삽입구(25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차단막(250)의 중앙부(252)는, 수로부(1300)와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차단막(250)의 에지부(254)는, 커버부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측판(234, 236)에는, 바닥판(232)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센서(26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센서(260)는, 서로 인접하는 이물질 차단막(250)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260)의 배치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200)의 제 1 집수조(210)에 인접할수록 높아지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200)의 제 2 집수조(220)에 인접할수록 낮아질 수 있다.
일 예로, 센서(26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고, 제 1 측판(234)에는 발광 센서(262)가 배치되고, 제 2 측판(236)에는 발광 센서(263)가 배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제 2 측판(234, 236)에는, 센서(260)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바닥판(232)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함을 알리는 경고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이물질 차단막(250)의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200)의 제 1 집수조(210)에서 제 2 집수조(220)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집수조(210)는, 일부 영역이 수로부(1300)의 일측 끝단에 중첩되고, 나머지 일부 영역이 노출되며, 제 2 집수조(220)는, 수로부(1300)의 타측 끝단에 완전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집수조(220)는, 정화된 세차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3200)이 배치되고, 배출관(3200)은, 외부의 정수부(30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100)는, 다수의 보강 바(110)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100)의 높이는, 중앙 영역의 정화부(200)에 인접할수록, 낮아질 수 있다.
이어, 커버부(1200)는, 세차 물이 수로부(1300)로 흘러가도록, 다수의 홈(12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세차 장치는, 도 8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0)의 정화부(200)로부터 정화된 세차 물을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부(3000)와, 정수부(3000)로부터 정수된 물을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에 제공하는 물 공급관(3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정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측면도이고, 도 12b는 상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부(3000)는, 차량 세차 장치의 외관 타입에 따라, 세차 장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세차 장치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수부(3000)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로부터 정화된 세차 물을 공급받아 다시 정수한 다음, 정수한 물을 물 공급관을 통해,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정수부(3000)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로부터 정화된 세차 물을 공급받아 세차 물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 처리조(3010), 살균 처리조(3010)로부터 살균 처리된 세차 물을 공급받아 세차 물을 정수로 필터링하는 필터링 처리조(3020), 필터링 처리조(3020)로부터 필터링된 정수를 공급받아 정수의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 제거조(3030), 오일 제거조(3030)로부터 오일이 제거된 정수를 공급받고, 보충수를 추가하여 정수와 보충수를 혼합하는 보충수 혼합조(30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처리조(3020)는, 다수의 필터 처리조(3021, 3022, 30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필터 처리조(3021, 3022, 3033)는,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필터링 처리조(3020)와 보충수 혼합조(3040) 사이에, 세차 물의 이동을 위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한 배전반(305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배전반(3050)과 오일 제거조(3030)는,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넓은 면적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로부터 정화된 세차 물을 다시 정수할 수 있는 정수부를 배치함으로써, 세차 물을 정수로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세차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준비한다.(S11)
이어, 본 발명은,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배치한다.(S13)
다음, 본 발명은, 제 3 단위 플레이트의 일측을, 제 1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하고, 제 3 단위 플레이트의 타측을, 제 2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함으로써,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한다.(S15)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 위에,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를 체결한다.(S17)
이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위에, 커버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여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를 체결한다.(S19)
다음, 본 발명은, 수로부의 상부에, 수로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를 체결함으로써, 차량 세차 장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S2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정화부를 배치하여, 세차 물을 정화시키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다수개의 단위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단위 플레이트들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해체 및 조립이 간단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내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여, 이물질 제거 주기를 알릴 수 있으므로, 필터망의 교체 주기 및 청소 주기를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세차 장치의 고장이 감소하므로, 세차 장치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베이스부 2000: 덮개부
3000: 정수부 1100: 베이스 플레이트
1200: 커버부 1300: 수로부
1400: 수로 덮개
100: 지지부 200: 정화부
210: 제 1 집수조 220: 제 2 집수조
230: 필터부 250: 이물질 차단막
232: 바닥판 234, 236: 제 1, 제 2 측판
252: 중앙부 254: 에지부
256: 지지홈 270: 지지바
3000: 정수부 1100: 베이스 플레이트
1200: 커버부 1300: 수로부
1400: 수로 덮개
100: 지지부 200: 정화부
210: 제 1 집수조 220: 제 2 집수조
230: 필터부 250: 이물질 차단막
232: 바닥판 234, 236: 제 1, 제 2 측판
252: 중앙부 254: 에지부
256: 지지홈 270: 지지바
Claims (5)
-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상기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 위에 배치되어,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세차 물을 집수하여 상기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 그리고,
상기 수로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1 단위 플레이트(unit plate)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타측 끝단에 배치되는 제 2 단위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제 1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는,
상기 수로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집수조와, 상기 제 1 집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집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바닥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제 2 측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 1, 제 2 측판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이물질 차단막들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의 제 1, 제 2 측판에는,
상기 바닥판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바닥판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함을 알리는 경고등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서로 인접하는 이물질 차단막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배치 높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의 제 1 집수조에 인접할수록 높아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의 제 2 집수조에 인접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세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위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단위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일측과, 상기 제 2 단위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타측에 각각 체결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는, 상기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일측에만 체결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세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는,
상기 수로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집수조;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필터부; 그리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세차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바닥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제 2 측판;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 1, 제 2 측판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이물질 차단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세차 장치. - 제 1, 제 2,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단위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3 단위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3 단위 플레이트의 일측을 상기 제 1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하고, 상기 제 3 단위 플레이트의 타측을 상기 제 2 단위 플레이트에 체결하여, 중앙 영역에 세차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가 배치되고, 상기 정화부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지지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지부 위에,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지지하는 커버부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 위에, 상기 커버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세차 물을 집수하여 상기 정화부의 일측으로 전송하는 수로부를 체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로부의 상부에, 상기 수로부를 커버하는 수로 덮개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는,
상기 수로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집수조와, 상기 제 1 집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세차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타측으로 전송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세차 물을 집수하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집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바닥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제 2 측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 1, 제 2 측판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이물질 차단막들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의 제 1, 제 2 측판에는,
상기 바닥판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바닥판 위에 적층되는 이물질의 양이 기준량을 초과함을 알리는 경고등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서로 인접하는 이물질 차단막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배치 높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의 제 1 집수조에 인접할수록 높아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화부의 제 2 집수조에 인접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세차 장치의 조립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456A KR101558228B1 (ko) | 2015-01-09 | 2015-01-09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3456A KR101558228B1 (ko) | 2015-01-09 | 2015-01-09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8228B1 true KR101558228B1 (ko) | 2015-10-07 |
Family
ID=5434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3456A KR101558228B1 (ko) | 2015-01-09 | 2015-01-09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822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6137A (ko) * | 2015-01-09 | 2016-07-19 | 강병현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KR101666008B1 (ko) * | 2016-02-17 | 2016-10-13 |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 세차 장치 |
CN108515947A (zh) * | 2018-04-10 | 2018-09-11 | 青岛日森机电有限公司 | 一种垃圾场垃圾车专用清洗设备系统 |
FR3088065A1 (fr) * | 2018-11-05 | 2020-05-08 | Gaetan Fouquet | Dispositif pour collecter et decontaminer de l'eau de lavage ayant servi au nettoyage de vehicules |
WO2020124987A1 (zh) * | 2018-12-21 | 2020-06-25 |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自动洗车的自动操作车辆部件检测的方法及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2458A (ja) | 2000-06-23 | 2002-01-09 | Omc:Kk | 作業用車両の足回り洗浄装置 |
US20080000504A1 (en) * | 2006-06-30 | 2008-01-03 | Mi-T-M Corp. | Equipment washing apparatus with flexible wall structure |
-
2015
- 2015-01-09 KR KR1020150003456A patent/KR1015582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2458A (ja) | 2000-06-23 | 2002-01-09 | Omc:Kk | 作業用車両の足回り洗浄装置 |
US20080000504A1 (en) * | 2006-06-30 | 2008-01-03 | Mi-T-M Corp. | Equipment washing apparatus with flexible wall structur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6137A (ko) * | 2015-01-09 | 2016-07-19 | 강병현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KR101641086B1 (ko) | 2015-01-09 | 2016-07-20 | 강병현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KR101666008B1 (ko) * | 2016-02-17 | 2016-10-13 | 주식회사 로뎀코리아 | 세차 장치 |
CN108515947A (zh) * | 2018-04-10 | 2018-09-11 | 青岛日森机电有限公司 | 一种垃圾场垃圾车专用清洗设备系统 |
FR3088065A1 (fr) * | 2018-11-05 | 2020-05-08 | Gaetan Fouquet | Dispositif pour collecter et decontaminer de l'eau de lavage ayant servi au nettoyage de vehicules |
WO2020124987A1 (zh) * | 2018-12-21 | 2020-06-25 |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自动洗车的自动操作车辆部件检测的方法及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8228B1 (ko)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102450237B1 (ko) |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 |
KR101799868B1 (ko) | 지중시설물의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장치 | |
KR101311903B1 (ko) | 비점오염원 여과형 처리장치 | |
KR101585575B1 (ko) | 빗물 재이용 장치 | |
KR100690380B1 (ko) |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 |
KR20170004786A (ko) | 도시 수질 오염방지 구조물 | |
KR200411348Y1 (ko) | 간이 정수장치 | |
KR200393332Y1 (ko) |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 |
CN209188314U (zh) | 一种环保渣土车清洗系统 | |
KR101572578B1 (ko)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의 정수 방법 | |
KR101641086B1 (ko) | 차량 세차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101113683B1 (ko) | 여과막 정화장치 | |
FI88323C (fi) | Anordning vid avloppsbrunn | |
KR101011193B1 (ko)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
KR102136957B1 (ko) | 다단적층형 필터를 갖는 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1572579B1 (ko) | 정수 용량 가변형 차량 세차 장치 | |
KR101902302B1 (ko) | 중공사막 필터가 내장된 분리형 필터모듈 및 여과장치 | |
JP3901771B2 (ja) | 廃水処理装置 | |
KR101081709B1 (ko) |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 |
KR20150049154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0449496B1 (ko) | 하수 및 오수의 여과 정화장치 | |
KR0182598B1 (ko) | 여과및 흡착식 폐유 폐수정화장치 | |
KR200279811Y1 (ko) | 오폐수 정화장치 | |
KR102594113B1 (ko) |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