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13B1 -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13B1
KR102594113B1 KR1020210049039A KR20210049039A KR102594113B1 KR 102594113 B1 KR102594113 B1 KR 102594113B1 KR 1020210049039 A KR1020210049039 A KR 1020210049039A KR 20210049039 A KR20210049039 A KR 20210049039A KR 102594113 B1 KR102594113 B1 KR 10259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ilter
water
screen
tan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690A (ko
Inventor
박광선
Original Assignee
지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텍(주) filed Critical 지엠텍(주)
Priority to KR102021004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41/0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of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입된 폐여과사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300); 설정된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 장치로 이동시키고, 설정 이하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세척조(500)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460)을 구비하여 정량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폐여과사를 크기에 따라 재생용과 폐기용으로 분류 및 이동시키는 스크린부(400); 스크린부(400)에 의해 분류된 폐여과사를 세척하여 스크린부(400)로 재공급하는 세척조(500); 스크린부(400)와 세척조(50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용수를 회수하여 정화 및 저장하는 용수 공급부(600); 세척조(500)로 분류된 폐기물에 고형화를 가속시키는 약제를 투입하는 약제 처리부(800); 및 약제 처리부(800)에서 약제가 투입된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배출하는 탈수기(700); 를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REGENERATIVE SYSTEM OF FILTER SA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품 처리 및 여과사를 이용한 필터를 통해 물 내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특히, 여과사의 경우 저수조나 침전조에 굵은 자갈, 작은 자갈, 굵은 모래, 고운 모래를 단계적으로 층을 이루어 쌓아 여과를 수행하거나, 자갈과 모래를 혼합하여 여과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여과사는 장시간 사용시 이물질이 쌓이고, 물때가 낌에 따라 적절한 정화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여과사의 세척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여과사에 물을 반대 방향으로 흘려 여과사의 세척을 수행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과사 사이의 틈새에 단단히 끼어 있는 이물질과 미세한 오염물질을 모두 제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진공 차량과 컨베이어, 세척탱크,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탱크 내에 투입한 여과사에 물을 분사여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여과사를 세척하지만, 와류 형성만으로는 여과사가 청결하게 세척되지 않는다. 또한, 여과사를 세척후 발생된 세척수를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 전혀 나타나 있지 않고 있다. 아울러, 여과사를 세척한 세척수가 그대로 폐기된다면, 물의 낭비가 발생되어 세척 비용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여과사의 청결한 세척이 가능하며, 여과사를 세척 후 발생된 세척수를 회수 및 정화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1153(2002.01.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여과사를 정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환경 수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입된 폐여과사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와, 설정된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 장치로 이동시키고, 설정 이하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세척조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구비하여 정량 공급부에서 공급된 폐여과사를 크기에 따라 재생용과 폐기용으로 분류 및 이동시키는 스크린부와, 스크린부에 의해 분류된 폐여과사를 세척하여 스크린부로 재공급하는 세척조와, 스크린부와 세척조 중 적어도 하나에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용수를 회수하여 정화 및 저장하는 용수 공급부와, 세척조로 분류된 폐기물에 고형화를 가속시키는 약제를 투입하는 약제 처리부 및 약제 처리부에서 약제가 투입된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배출하는 탈수기를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스크린부는 스크린을 진동시키는 진동모터 및 워터젯 방식으로 스크린에 고온/고압의 용수를 분사하여 정량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폐여과사를 세척하는 워터젯 분사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A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장치로 전달하고, 그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조로 배출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갖는 1차 영역 및 C부터 B의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장치로 전달하고, C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조로 배출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갖는 2차 영역으로 구획되고, B는 A보다 작고, C보다 큰 값(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조는 1차 영역에서 배출된 A 이하의 폐여과사를 수용하는 제1 탱크 및 2차 영역에서 배출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수용하는 제2 탱크를 포함하고, 제1 탱크와 제2 탱크는 각각 용수와 혼합된 폐여과사를 세척시키는 세척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은 제1 탱크에서 세척된 A 이하의 폐여과사를 정량 공급부로 재공급하고, 제2 탱크에서 세척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약제 투입부 또는 탈수기로 배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스크린부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세척조의 상면에서 스크린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지지수단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측벽과, 측벽 사이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어 스크린이 놓여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측벽에 고정되어 스크린이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안내수단과, 측벽 사이에 연장되어 진동모터를 지지하는 지지판넬과,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고정하는 구획바와,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세척조의 상면에서 측벽 및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바 및 측벽의 외측에서 연장된 고정 브라켓에서 하부 지지바의 상면 사이에 고정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위 실시예들의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을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부재 및 폐여과사 재생부재를 탑재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a)용량 공급부에서 A 이하의 크기를 갖는 통공을 구비한 스크린의 1차 영역으로 설정된 용량의 폐여과사를 공급하는 단계와, b)하나 이상의 워터젯 분사 수단에서 워터젯 방식으로 용수를 분사하여 폐여과사를 세척하는 단계와, c)스크린을 진동시켜 A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장치로 배출하고, 그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조로 분리하는 단계와, d)세척조의 제1 탱크로 분리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한 후 용량 공급부로 재공급하는 단계와, e)용량 공급부에서 재공급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C(C<B<A) 이하의 크기를 갖는 통공이 구비된 스크린의 2차 영역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f)스크린이 진동되어 C 부터 B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 장치로 배출하고,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조의 제2 탱크로 배출하는 단계와, g)세척조의 제2 탱크에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하여 탈수기로 배출하는 단계 및 h)탈수기에서 C 이하의 폐여과사에 혼합된 수분을 제거하고,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오염된 여과사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환경 보호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형으로서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현장에서 폐여과사의 재생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크린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스크린 및 정량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스크린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세척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용수 공급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S4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은 폐여과사 재생부재(10)와 이동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여과사 재생부재(10)는 폐여과사의 크기에 따라 재생용과 폐기용으로 분리하여 배출한다. 여기서 재생용 및 폐기용 폐여과사는 세척 후 배출된다. 특히 폐기용은 폐여과사에 포함된 미세 알갱이(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로서 세척 후 슬러지 케이크로서 고형화되어 배출된다.
이동부재(20)는 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폐여과사 재생부재(10)를 현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폐여과사 재생부재(10)는 컨테이너와 같은 밀폐된 공간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에 설치되어 현장으로 이동되고, 현장에서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이동부재(20)에 탑재된 상태에서 폐여과사 재생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부재(1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부(100)와,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200), 폐여과사를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300), 폐여과사에서 재사용 가능한 여과사와 폐기물을 분류하는 스크린부(400)와, 스크린부(400)에 의해 1차 분류된 폐여과사를 세척하여 스크린부(400)로 재공급하는 세척조(500),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공급 및 정화시키는 용수 공급부(600),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700)와, 폐기물을 약제 처리하는 약제 처리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부(100)는 작동 및 정지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00)는 센서부(2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고장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램프와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과, 스피커와 같은 청각적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00)는 별도의 독립된 패널로서 각 장치들의 동작조건(예를 들면, 압력, 모터 회전수, 용수의 압력과 온도, 시간, 작업자들의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00)는 센서부(200)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용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용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부(100)는 후술되는 용수 공급부(600)의 용수 저장 탱크(660)에 저장된 용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용수 저장 탱크(660)에서 저장된 용수를 유수 분리기(640)로 공급하여 용수의 오일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용수 저장 탱크(660)에 별도로 설치된 정화 처리 장치(예를 들면, 중화제, 염소 제거제, 산소 공급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화 처리 장치는 후술되는 용수 공급부(600)의 정화 과정과 별도로 또는 연계 되어 진행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각 구성들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서, 중량 센서, 전류센서, 전압센서, 불꽃감지센서, 온도센서 및 용수의 오염도(예를 들면, 질산, 인산, pH, 탁도, 염도, 투명도, 탁도, 액체 전도도, 오일(Oil) 및 잔류 염소 중 적어도 하나)을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0)에 포함된 센서들은 컨트롤부(100)에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정량 공급부(300)는 폐여과사를 설정된 양만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폐여과사는 진공흡입차량 또는 수작업에 의해 정량 공급부(300)로 투입될 수 있다.
스크린부(400)는 정량 공급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폐여과사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재사용 가능한 여과사와 폐기물을 분류하여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부(400)는 용수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고온 및 고압의 용수로서 폐여과사를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스크린부(400)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스크린(460) 및 정량 공급부(3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부(400)는 복수의 스크린(460)과, 스크린(460)을 진동시키는 진동모터(410)와, 폐기 대상인 미세 알갱이를 분리하는 하이드로 사이클론(420)과, 폐여과사에 고온고압의 용수를 분사하는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과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 용수를 공급하는 제1펌프(450)와, 스크린(46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7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터(410)는 지지수단(470)에 의해 지지 되면서 스크린(460)에 공급된 여과사들의 이동과, 폐여과사의 분류를 위하여 스크린(460)을 진동시킨다.
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은 세척조(500) 내부 또는 세척조(500)에서 연결된 공급배관에 설치되어 폐여과사들 중에서 C 이하(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를 분류하여 약제 처리부(800)로 배출한다.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은 스크린(46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 노즐로서 용수 공급부(600)에서 공급된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분사한다. 이때,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은 70℃ 및 200bar 이상의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 및/또는 2차 영역(460b)으로 공급된 폐여과사들에 분사하여 1차 세척한다.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은 스크린(46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 노즐로서 70℃ 이상, 200bar 이상의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으로 공급된 폐여과사들에 분사하여 2차 세척한다.
여기서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과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은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과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은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과 2차 영역(460b) 모두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펌프(450)는 세척조(500)로 안내된 C에서 B 범위의 폐여과사들을 정량 공급부(300) 및/또는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으로 흡입 및 전달한다.
스크린(460)은 설정된 크기의 통공을 갖는 메쉬로서 정량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폐여과사의 크기별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스크린(460)은 메쉬의 크기에 따라 1차 영역(460a)과 2차 영역(46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은 A 이상의 크기를 갖는 여과사(예를 들면, 4mm 이상의 자갈)를 분류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A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조(500)로 전달한다. 또한,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은 1차 영역(460a)에서 걸러져 세척조(500)로 안내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 중에서 C부터 B(C<B<A) 사이의 크기를 갖는 여과사(예를 들면, 1~4mm 모래)를 분류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C 이하의 미세 여과사(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들을 약제 처리부(800)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A 이상(예를 들면, 4mm 이상의 자갈)의 폐여과사와, C부터 B 범위 (예를 들면, 1~4mm의 모래)의 여과사들은 스크린(460)의 출력 측에 위치된 수거수단으로 배출되어 재사용되고, C 이하(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의 폐여과사는 약제 처리부(800) 및 탈수기(700)를 거쳐 슬러지 케이크로서 배출되는 폐기물에 해당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린(460)은 제1 스크린(460)과 제2 스크린(460)이 지지수단(470)에 의해 일방향으로 정렬 및 구획되어 1차 영역(460a)과 2차 영역(460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스크린(460)과 지지수단(470)의 조립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의해 설치된 스크린(460)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460)은 제1 스크린(460)과 제2 스크린(460)을 포함하며, 제1 스크린(460)과 제2 스크린(460)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지지수단(470)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스크린(460)과 제2 스크린(460)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이 1차 영역(460a), 반대측이 2차 영역(460b)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통공을 갖는다. 예를 들면, 1차 영역(460a)의 통공은 A 이하의 직경을 갖는 통공이 형성되고, 2차 영역(460b)은 C부터 B 사이의 통공을 갖는다.
지지수단(470)은 전후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이 직립된 벽면을 이루는 형상으로서 세척조(500) 상부에 고정되어 스크린(46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지지수단(470)은 양측에서 직립된 측벽(471)과, 측벽(471)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474)과, 하부 프레임(474)과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안내수단(477)과, 측벽(47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75)과, 측벽(471)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판넬(472)과, 하부 프레임(474)에 설치되는 스크린(460)을 고정 및 구획하는 구획바(473)와, 고정 브라켓(475)에 고정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476)과, 지지수단(470)을 지지 및 고정 시키는 하부 지지바(477)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471)은 한 쌍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스크린(460)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하부 프레임(474)은 전후좌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스크린(460)이 설치되는 바닥을 형성한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474)은 전방과 후방측에서 측벽(471) 사이에 연장되는 가로판(474a, 474a')과, 가로판(474a, 474a')의 양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연장 및 연결되는 세로판(474b, 474b')들로 구성될 수 있다. 세로판(474b, 474b')들은 상호 이격되어 스크린(460)을 통과한 폐여과사들이 세척조(5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공간(474c)을 형성한다.
안내수단(477)은 복수로서 측벽(471)에서 하측의 하부 프레임(474)과 이격되어 그 사이에 스크린(460)이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스크린(460)은 안내수단(477)과 하부 프레임(474)의 최외측 세로판(474b, 474b')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슬라이딩되어 하부 프레임(474)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안내수단(472)은 스크린(460)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스크린(460)의 작동 과정에서 튀거나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안내수단(477)은 탄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스크린(460)을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지지판넬(472)은 양 측벽(471) 사이로 연장되어 진동모터(410)를 지지한다. 즉, 진동모터(410)는 지지판넬(472)의 상면에 고정 및 작동되어 스크린(460)을 진동시킨다.
구획바(47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프레임(474)에 설치된 스크린(460)을 상측에서 가압 및 고정시킨다. 여기서 구획바(47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460)과 제2 스크린(460)의 중심부를 따라 고정됨에 따라 1차 영역(460a)과 2차 영역(460b)을 구획한다.
하부 지지바(477)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세척조(500)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고정된다.
고정 브라켓(475)은 복수로서 양 측벽(471)의 외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탄성 스프링을 지지한다.
탄성 스프링(476)은 하부 지지바(477)와 고정 브라켓(475) 사이에 고정되어 하부 지지바(477) 및 하부 프레임(474)을 통하여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킨다.
세척조(50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세척조(5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세척조(500)는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와, 구획벽(530), 제1 투입구(513)와 제2 투입구(523), 제1 및 제2 세척모터(522)와 제1 및 제2 세척기(521), 제1 및 제2 공급관(514, 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는 구획벽(530)으로 각각 구획되어, 상면에서 개구 형성된 제1 투입구(513)와 제2 투입구(523)를 통하여 낙하된 폐여과사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투입구(513)는 제1 탱크(510)의 상면에 개구 형성되어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을 통하여 A 이하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통과시킨다.
제2 투입구(523)는 제2 탱크(520)의 상면에 개구 형성되어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을 통하여 낙하된 C 이하의 폐기물(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을 낙하시킨다.
제1 세척모터(512)는 컨트롤부(1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 세척기(511)를 가동시킨다.
제1 세척기(511)는 제1 탱크(510)의 내측에서 직립된 기중의 외면에 복수의 날개가 상하로 정렬되어 제1 탱크(510) 내부에 수용된 폐여과사를 세척시킨다. 이때 제1 탱크(510) 내부에는 용수 공급부(600)로부터 공급된 용수를 같이 수용한다. 예를 들면,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은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에서 분사된 고온 및 고압의 용수가 분사되고, 분사된 용수는 제1 탱크(510)로 이동된다. 또는 제1 탱크(510)는 위와 같은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과는 별도로 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급관(514)은 제1 탱크(510)에서 정량 공급부(300)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공급관(514)은 제1펌프(450)에 의해 발생된 동력으로 제1 탱크(510)의 내부에서 세척된 폐여과사를 흡입하여 정량 공급부(300)로 전달한다.
즉, 제1 탱크(510)에서는 A 이하의 폐여과사가 세척된 후 정량 공급부(300)로 재 공급될 수 있다.
제2 세척모터(522)는 컨트롤부(1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2 세적기를 가동시킨다. 제2 세척기(521)는 제2 탱크(520)내에서 회전되어 용수에 포함된 1mm 이하의 오니를 세척한다. 마찬가지로 제2 탱크(520)에는 제1 및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에 의해 분사된 고온고압의 용수 또는 별도로 공급된 용수에 의해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을 통과한 폐여과사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탱크(520)에서 세척된 폐여과사들은 탈수기(70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510) 및 제2 탱크(520)에서 사용된 용수는 용수 공급부(600)로 재 흡입되어 정화과정을 거쳐 재공급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제2 공급관(524)은 제2 탱크(520)에서 탈수기(700)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공급관(524)은 제2 탱크(520)에서 세척된 오니 등을 탈수기(700)로 전달한다.
또는, 제1 탱크(510) 및 제2 탱크(520)에는 사용된 용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용수 공급부(600)로 연결되는 용수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수 공급부(60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용수 공급부(6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용수 공급부(600)는 약제 처리기(610)와, 용수를 고온 및 고압으로 가열하는 가열수단(620)과, 제2 펌프(630)와, 회수된 용수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640)와,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50)와, 정화 처리된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 저장 탱크(66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처리기(610)는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에서 회수된 용수에 미생물 및/또는 바이러스의 살균을 위한 약제(예를 들면, 염소)를 투입하여 살균한다. 이와 같은 약제 처리기(6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열수단(620)은, 예를 들면, 보일러로서 고온 및 고압으로 용수를 가열하여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과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으로 공급한다.
제2 펌프(630)는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에서 사용된 용수를 회수하고, 용수 저장탱크 및 가열수단(620)에서 가열된 용수를 스크린부(400) 및 세척조(500)로 공급한다.
유수 분리기(640)는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에서 회수된 용수에서 오일 성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유수 분리기(640)는 약제 처리기(610)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수 분리기(640)를 통하여 오일 성분이 제거된 용수를 약제 처리기(610)에서 약제를 투입하여 살균 소독하거나 그 반대의 순서로 진행함도 가능하다.
필터(650)는 회수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한다.
용수 저장 탱크(660)는 유수 분리기(640)와 약제 처리기(610)와 필터(650)를 통하여 순차 정화된 용수를 저장한다. 용수 저장 탱크(660)에 저장된 용수는 제2 펌프(630)의 구동에 의해 가열수단(620)을 통하여 가열되어 스크린부(400) 및/또는 세척조(500)로 공급되거나,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크린부(400) 및/또는 세척조(500)로 공급될 수 있다.
약제 처리부(800)는 세척조(500) 및/또는 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을 통하여 분리된 1mm 이하의 오니들의 고형화 및 탈수를 위한 약제를 투입한다. 여기서 약제 처리부(800)는 상술한 약제 처리기(610)와 별개의 구성으로 설치되거나, 동일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탈수기(700)는 상술한 세척조(500)에서 배출되는 1mm 이하의 오니를 전달받아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변환시킨다. 이를 위하여 탈수기(700)는 스크류 타입으로서 수분이 포함된 젤 또는 죽 형태의 오니들을 순차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따라서 탈수기(700)는 수분이 제거된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위 구성들에 의해 달성되는 폐여과사 재생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여과사 재생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폐여과사 및 용수를 가열 공급하는 S100 단계와, 폐여과사를 세척하고 크기에 따라 분리 및 배출하는 S200 단계와, 사용된 용수를 회수하여 정화시켜 재공급하는 S300 단계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S4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S200 단계 내지 S400 단계는 그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동시에 진행 될 수 있다.
S100 단계는 진공흡입차량 또는 수작업에 의해 폐여과사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또한, 용수 공급부(600)는 용수 저장 탱크(660)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여 스크린부(400)로 공급한다.
S200 단계는 폐여과사를 크기별로 분리 및 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스크린부(400)는 정량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폐여과사를 2차 걸쳐 분리 및 세척하여 설정된 크기 이상(예를 들면, 1mm 이상의 알갱이)을 갖는 여과사를 배출하고, 그 이상의 가루 및 이물질을 탈수기(700)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200 단계의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폐여과사를 공급하고 스크린(460)을 구동하는 S210 단계와, 폐여과사를 세척하는 S220 단계와, 크기에 따라 분리 및 배출하는 S230 단계와, 세척조(500)에서 세척된 폐 ㅇ
2차 고온/고압으로 용수를 분사하여 2차 세척하는 S230 단계와, 세척조(500)에서 세척 후 정량 공급부(300)로 재공급하는 S240 단계와, C부터 B 이하(예를 들면, 1~4mm)의 모래를 분리 배출하는 S250 단계와, 세척조(500)에서 c 이하(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를 세척 후 배출하는 S260 단계를 포함한다.
S210 단계는 스크린부(400)의 1차 영역(460a)으로 정량 공급부(300)가 폐여과사를 공급하고,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에서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분사하여 폐여과사를 1차 세척하는 단계이다.
S220 단계는 정량 공급부(300)에서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으로 공급된 폐여과사들에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 및/또는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에서 고온 고압의 용수를 분사하여 정량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폐여과사들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S230 단계는 스크린부(400)가 진동되면서 폐여과사들 중 크기에 따라 재활용 가능한 여과사와 2차 분리를 위한 폐여과사로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스크린부(400)는 진동모터(410)가 구동되면서 1차 영역(460a)으로 토출 된 후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에서 분사된 용수에 의해 1차 세척된 폐여과사를 이동시킨다.
이때 A(예를 들면, 4mm) 이하의 폐여과사들은 스크린(460)의 진동으로 이동하는 와중에 1차 영역(460a)의 메쉬를 통해 세척조(500)의 제1 투입구(513)로 낙하한다.
그리고 A 이상의 폐여과사들(예를 들면, 4mm 이상의 자갈)은 1차 영역(460a)의 끝까지 이동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의 출구측에는 배출되는 A 이상의 폐여과사를 수거장치(예를 들면, 마대 자루, 드럼통, 수거 차량 등)로 안내될 수 있도록 경사진 가이드 판넬, 중공형의 파이프, 또는 컨베이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S230 단계에서는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을 통하여 세척된 A 이상의 여과사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S240 단계는 세척조(500)에 낙하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하여 정량 공급부(300)로 재공급하는 단계이다.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은 세척조(500)의 1차 탱크에 수용된다. 이때, 컨트롤부(100)는 제1 세척모터(512)를 구동시켜 세척기를 가동시킨다. 세척기는 직립된 회전봉에 복수의 날개가 상하로 정렬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기는 제1 탱크(510) 내에 와류를 생성하면서 제1 탱크(510)에 수용된 폐여과사들을 세척한다.
아울러, 제1펌프(450)는 구동되어 제1 탱크(510) 내의 폐여과사들을 흡입하여 정량 공급부(300)로 재공급한다. 여기서 사용된 용수는 용수 공급부(600)로 배출되어 S300 단계를 거쳐 살균 정화되어 재사용 된다.
S250 단계는 정량 공급부(300)에서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으로 세척조(500)에서 재 공급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공급하여 C 부터 B 사이의 크기를 갖는 여과사를 분리 및 배출하는 단계이다.
정량 공급부(300)는 세척조(500)에서 공급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스크린부(400)는 진동을 가하여 C부터 B 사이(예를 들면, 1~4mm의 모래)의 크기를 갖는 여과사들을 출구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C 이하의 오니(예를 들면, 1mm 이하)들은 스크린부(400)의 2차 영역(460b)을 통하여 세척조(500)의 제2 투입구(523)를 통하여 2차 탱크로 분리된다.
이때, 2차 영역(460b)의 출구측에는 상술한 수거 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520)로 낙하된 C 이하의 폐여과사들은 제2 세척모터(522) 및 제2 세척기(521)의 구동으로 세척된다. 제2 세척기(521)는 제2 탱크(520)내 원심력을 발생시켜 C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한다. 여기서 세척된 C 이하의 폐여과사들은 탈수기(700)로 배출된다.
S300 단계는 용수 공급부(600)에서 폐여과사들의 스크린(460) 분리 및 세척 과정에서 사용된 용수를 살균 정화시켜 재 사용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회수된 용수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S310 단계와, 용수를 필터(650)링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S320 단계와, 이물질 제거 및 오일 분리된 용수를 저장하는 S330 단계와, 저장된 용수를 공급하는 S340 단계를 포함한다.
S310 단계는 컨트롤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 제2 펌프(630)가 제1 탱크(510) 및 제2 탱크(520)의 용수를 유수 분리기(640)로 회수하여 용수중에 포함된 오일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S320 단계는 유수 분리기(640)에서 오일 성분이 제거된 용수를 필터(650)링하여 용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S310 단계와 S320 단계는 설명한 순서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터(650)링 이후 유수 분리에서 오일이 제거되는 방식으로 진행됨도 가능하다.
S330 단계는 이물질과 오일 성분이 제거된 용수를 용수 저장 탱크(66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유수 분리기(640)와 필터(650) 및 용수 저장 탱크(66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밸브가 설치된 관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밸브는 전자식 또는 기계식 밸브로서 컨트롤부(100)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른 자동 제어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한 동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각 밸브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컨트롤부(1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는 각 밸브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고장 등의 경보를 설정된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S340 단계는 용수 저장 탱크(660)에 저장된 용수를 스크린부(400) 및 세척조(500)에 재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컨트롤부(100)는 가열수단(620)을 작동시켜 제1 워터젯 분사수단(430)과, 제1 워터젯 분사수단(440)에 가열된 용수를 공급하거나, 세척조(500)의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폐여과사의 재생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수의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자재 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고, 용수를 정화함에 따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S400 단계는 여과사 재생 과정에서 분리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슬러지 케이크로 고형화시켜 배출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S4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S400 단계는 컨트롤부(100)의 제어에 의해 세척조(500)의 제2 탱크(520)내에서 세척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흡입하는 S410 단계와, 흡입된 C 이하의 폐여과사에 약제를 투입하는 S420 단계와, 약제 투입된 폐여과사를 탈수하여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변환시키는 S430 단계와, 슬러지 케이크를 배출시키는 S44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410 단계는 컨트롤부(100)의 제어에 의해 세척조(500)의 제2 탱크(520)내에 수용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약제 투입부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세척조(500)의 제2 탱크(520)에 수용된 폐여과사들은 하이드로 사이클론(420)을 통하면서 C 이하의 크기(예를 들면, 1mm 이하의 오니)를 갖는 미세 여과사들로 분리된다. 분리된 C 이하의 폐여과사들은 용수와 혼합된 상태로 약제 투입부로 공급된다.
S420 단계는 컨트롤부(100)의 제어에 의해 또는 별도의 조작 장치,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한 명령으로 약제 투입부에서 C 이하의 폐여과사들에 약제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S430 단계는 약제가 투입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탈수기(700)로 공급하여 C 이하의 폐여과사에 혼합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탈수기(700)는 스크류타입으로 단계별로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C 이하의 폐여과사에 혼합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S440 단계는 탈수기(700)에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를 배출하는 단계이다. 슬러지 케이크는 고형화된 폐기물로서 별도의 수거장치에 보관 후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폐여과사를 세척 후 크기에 따라 재생 가능한 여과사를 분리하여 재생하고, 여과사로 재생 불가능한 미세 여과사들을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배출함에 따라 여과사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동시에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 : 폐여과사 재생 부재 20 : 이동부재
100 : 컨트롤부 200 : 센서부
300 : 정량 공급부 400 : 스크린부
410 : 진동모터 420 : 하이드로 사이클론
430 : 제1 워터젯 분사 수단 440 : 제2 워터젯 분사 수단
450 : 제1펌프 460 : 스크린
460a : 1차 영역 460b : 2차 영역
461 : 제1 스크린 462 : 제2 스크린
470 : 지지수단 471 : 측벽
472 : 지지판넬 473 : 구획바
474 : 하부 프레임 474a, 474a' : 가로판
474b, 474b' : 세로판 475: 고정 브라켓
476 : 탄성 스프링 477 : 하부 지지바
500 : 세척조 510 : 제1 탱크
511 : 제1 세척기 512 : 제1 세척모터
513 : 제1 투입구 520 : 제2 탱크
521 : 제2 세척기 522 : 제2 세척모터
523 : 제2 투입구 514, 524 : 공급관
530 : 구획벽 600 : 용수 공급부
610 : 약제 처리기 620 : 가열수단
630 : 제2 펌프 640 : 유수 분리기
650 : 필터 660 : 용수 저장 탱크
700 : 탈수기 800 : 약제 처리부

Claims (11)

  1. 투입된 폐여과사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공급하는 정량 공급부(300);
    설정된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 장치로 이동시키고, 설정 이하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세척조(500)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460)을 구비하여 폐여과사를 크기에 따라 재생용과 폐기용으로 분류 및 이동시키는 스크린부(400);
    스크린부(400)에 의해 분류된 폐여과사를 세척하여 스크린부(400)로 재공급하는 세척조(500);
    스크린부(400)와 세척조(50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온 및 고압의 용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용수를 회수하여 정화 및 저장하는 용수 공급부(600);
    세척조(500)로 분류된 폐기물에 고형화를 가속시키는 약제를 투입하는 약제 처리부(800);
    약제 처리부(800)에서 약제가 투입된 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배출하는 탈수기(700);
    스크린(460)을 진동시키는 진동모터(410); 및
    워터젯 방식으로 스크린(460)에 고온/고압의 용수를 분사하여 정량 공급부(300)에서 공급된 폐여과사를 세척하는 하나 이상의 워터젯 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400)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세척조(500)의 상면에서 스크린(460)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지지수단(4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47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측벽(471); 측벽(471) 사이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어 스크린(460)이 놓여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474); 하부 프레임(474)과 이격되어 측벽(471)에 고정되어 스크린(460)이 슬라이딩 및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안내수단; 측벽(471) 사이에 연장되어 진동모터(410)를 지지하는 지지판넬(472);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프레임(474)에 설치되는 스크린(460)을 고정하는 구획바(473);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세척조(500)의 상면에서 측벽(471) 및 하부 프레임(474)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바(477); 및 측벽(471)의 외측에서 연장된 고정 브라켓(475)에서 하부 지지바(477)의 상면 사이에 고정되어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476); 을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린(460)은
    A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장치로 전달하고, 그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조(500)로 배출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갖는 1차 영역(460a); 및
    C부터 B의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장치로 전달하고, C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조(500)로 배출하도록 복수의 통공을 갖는 2차 영역(460b);으로 구획되고,
    B는 A보다 작고, C보다 큰 값(mm)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세척조(500)는
    1차 영역(460a)에서 배출된 A 이하의 폐여과사를 수용하는 제1 탱크(510); 및
    2차 영역(460b)에서 배출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수용하는 제2 탱크(520); 를 포함하고,
    제1 탱크(510)와 제2 탱크(520)는
    각각 용수와 혼합된 폐여과사를 세척시키는 세척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은
    제1 탱크(510)에서 세척된 A 이하의 폐여과사를 정량 공급부(300)로 재공급하고, 제2 탱크(520)에서 세척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탈수기(700)로 배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구획바(473)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460)들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일측에서 A 이하 크기를 갖는 폐 여과사를 하측의 세척조(500)로 배출하는 복수의 통공을 갖는 1차 영역(460a)과, 반대측에서 C 이하(C<B)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하측의 세척조(500)로 배출하는 복수의 통공을 갖는 2차 영역(460b)으로 구획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수 공급부(600)는
    세척조(500)에서 회수된 용수에서 오일 성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640);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650);
    오일 성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 저장 탱크(660);
    용수 저장 탱크(660)에 저장된 용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20); 및
    용수 저장 탱크(660) 의해 저장된 용수를 스크린부(400) 및 세척조(500)로 공급하는 제2펌프; 를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9. 청구항 1, 3 내지 5, 7 및 8 중 어느 한 항의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을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부재(10); 및
    폐여과사 재생부재를 탑재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재(20);를 포함하는 모바일형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10. a)용량 공급부에서 A 이하의 크기를 갖는 통공을 구비한 스크린(460)의 1차 영역(460a)으로 설정된 용량의 폐여과사를 공급하는 단계;
    b)하나 이상의 워터젯 분사 수단에서 워터젯 방식으로 용수를 분사하여 폐여과사를 세척하는 단계;
    c)스크린(460)을 진동시켜 A 이상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장치로 배출하고, 그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조(500)로 분리하는 단계;
    d)세척조(500)의 제1 탱크(510)로 분리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세척한 후 용량 공급부로 재공급하는 단계;
    e)용량 공급부에서 재공급된 A 이하의 폐여과사들을 C(C<B<A) 이하의 크기를 갖는 통공이 구비된 스크린(460)의 2차 영역(460b)으로 공급하는 단계;
    f)스크린(460)이 진동되어 C 부터 B의 크기를 갖는 폐여과사를 외부의 수거 장치로 배출하고,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조(500)의 제2 탱크(520)로 배출하는 단계;
    g)세척조(500)의 제2 탱크(520)에서 C 이하의 폐여과사를 세척하여 탈수기(700)로 배출하는 단계; 및
    h)탈수기(700)에서 C 이하의 폐여과사에 혼합된 수분을 제거하고, 고형화된 슬러지 케이크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방법.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폐여과사 재생 방법은
    i)세척조(500)에 수용된 용수를 회수하여 오일 성분을 제거하고, 이물질을 필터(650)링 하여 용수 저장 탱크(660)로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폐여과사 재생 방법.
KR1020210049039A 2021-04-15 2021-04-15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59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39A KR102594113B1 (ko) 2021-04-15 2021-04-15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39A KR102594113B1 (ko) 2021-04-15 2021-04-15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90A KR20220142690A (ko) 2022-10-24
KR102594113B1 true KR102594113B1 (ko) 2023-10-25

Family

ID=8380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39A KR102594113B1 (ko) 2021-04-15 2021-04-15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949Y1 (ko) * 1999-08-05 2000-02-15 박찬우 이동식 차량용 여과사 세척장치
KR100903593B1 (ko) * 2007-09-12 2009-06-18 주식회사 오이코스 오염토양정화를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53Y1 (ko) 2001-10-31 2002-01-19 대보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여과사 세척장치의 세척탱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949Y1 (ko) * 1999-08-05 2000-02-15 박찬우 이동식 차량용 여과사 세척장치
KR100903593B1 (ko) * 2007-09-12 2009-06-18 주식회사 오이코스 오염토양정화를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90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JP4798619B2 (ja) 砂分離洗浄装置
JP4827831B2 (ja) ろ過材のリサイクル装置及びろ過材のリサイクル方法
US6077446A (en) Sand filtration filtering system using ozone
KR102594113B1 (ko)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3291144A (ja) 廃petボトルの再生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7007618A (ja) 高汚濁水用の浄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40096413A (ko) 차량 탑재형 오폐수 처리장치
JP2000246206A (ja) 食品搬送用容器洗浄システムおよびその洗浄システムの廃水利用方法
KR19980076086A (ko)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121601B1 (ko) 재생원료 이물질 분리기
JPH10314796A (ja) 洗車水リサイクル装置
JP7136451B2 (ja) 有害廃棄物の回収方法、再利用材の回収方法及び有害廃棄物回収システム
FI87535B (fi) Anordning och foerfarande foer rening av filtreringsaemnen som anvaends foer rening av vaetskor samt anvaendningarna av foerfarandet och anordningen
KR200167880Y1 (ko) 정수장 여과사의 자동 재생 차량 구조
JP2006341159A (ja) ろ過装置及び洗浄設備
KR101782892B1 (ko) 이형제 크리닝 장치
KR101813528B1 (ko) 하폐수용 스크린장치
KR200167949Y1 (ko) 이동식 차량용 여과사 세척장치
KR20240064330A (ko) 폐여과사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여과사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H09271730A (ja) 洗浄水浄化装置
CN108927280A (zh) 底渣水洗分选系统
JP2000317936A (ja) 湿式比重分離装置の水処理方法
KR102227038B1 (ko) 알킬벤젠 술폰산염 제거장치
KR100966593B1 (ko) 활성탄 여과지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