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461B1 -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461B1
KR101557461B1 KR1020130146471A KR20130146471A KR101557461B1 KR 101557461 B1 KR101557461 B1 KR 101557461B1 KR 1020130146471 A KR1020130146471 A KR 1020130146471A KR 20130146471 A KR20130146471 A KR 20130146471A KR 101557461 B1 KR101557461 B1 KR 10155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arbon
styrene
bladder
curing b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003A (ko
Inventor
홍승호
신봉선
정광석
신호철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61B1/ko
Priority to PCT/KR2014/009339 priority patent/WO2015080375A1/ko
Publication of KR2015006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5Constructional or chemical features of the flexible core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가류 공정에 사용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보다 향상된 수명과 열 전도 특성을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TIRE CURING BLADD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가류 공정에 사용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원료 혼합 공정, 반제품화 공정, 성형 공정, 및 가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그 중 가류 공정은 성형 공정을 거친 유연한 타이어를 일정한 몰드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경화(가류)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공정에 사용되는 고무 주머니를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tire curing bladder)라 한다.
즉, 상기 블래더는 타이어를 경화시키기 위해 열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가류 공정의 가혹한 조건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면서도, 가류 시간의 단축을 통한 타이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수한 열 전도성 및 내구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블래더는 주로 내열성이 좋은 부틸고무 등의 고무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 고무 소재는 상대적으로 열 전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등과 같은 탄소계 첨가제를 사용하는 등 열 전도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탄소계 첨가제는 분산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첨가량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과량 첨가시 블래더의 내구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열 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아세틸렌 블랙(아세틸렌의 열분해로 얻어지는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아세틸렌 블랙은 타이어의 가류 속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블래더의 내열 특성을 상대적으로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우수한 내구성과 열 전도성을 갖는 블래더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보다 향상된 수명과 열 전도 특성을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래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매트릭스;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며, 판상의 카본 필러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 및
상기 카본 필러층들의 사이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
를 포함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은 10 내지 1000 nm의 층간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상의 카본 필러는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익스펜디드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 및 카본 나노플레이트(carbon nanop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무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 에틸렌/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네오프렌 고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카본 블랙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판상의 카본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 및 밀링한 후 가열 압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2 층의 판상 카본 필러층과 상기 카본 필러층들의 사이에 삽입된 탄소나노튜브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열 전달 통로가 확보되어 우수한 열 전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향상된 수명의 발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시편에서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상태를 확대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시편의 단면을 확대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들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판상의 카본 필러와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고무 매트릭스 내에 판상의 카본 필러층들과 이들 사이에 탄소나노튜브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 블래더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네트워크를 이룬 형태로 포함됨에 따라, 열 전달 통로가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되어, 향상된 열 전도 특성을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인해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가 고무 매트릭스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향상된 수명을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1.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고무 매트릭스;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며, 판상의 카본 필러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 및
상기 카본 필러층들의 사이에 삽입된 탄소나노튜브
를 포함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된다.
즉, 일 구현 예의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고무 소재인 매트릭스 내에 복수의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로는 블래더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 에틸렌/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네오프렌 고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일 수 있다.
한편, 일 구현 예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카본 필러층을 포함한다.
상기 카본 필러층은 판상의 카본 필러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카본 필러층은 판상의 카본 필러가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서 복수의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거나 어느 한 지점에서 접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 필러층은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두께에 따라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는 카본 필러층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본 필러층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카본 필러층은 적어도 2 층, 또는 2 내지 500 층, 또는 2 내지 250 층, 또는 2 내지 100 층, 또는 2 내지 50 층으로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의 발현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은 10 내지 1000 nm, 또는 10 내지 800 nm, 또는 100 내지 1000 nm의 층간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본 필러층은 서로 평행하거나 어느 한 지점에서 접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어느 한 지점에서 접하는 형태로 배열된 카본 필러층의 경우 상기 층간 거리는 두 층이 이루는 층간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카본 필러층은 판상의 카본 필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판상의 필러는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익스펜디드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 및 카본 나노플레이트(carbon nanop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 나노플레이트는 나노 스케일(예를 들어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경을 갖는 그래파이트를 의미한다.
한편, 일 구현 예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상기 카본 필러층들의 사이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고무 매트릭스의 전반에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카본 필러층들의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분산되어 있다. 즉, 상기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네트워크를 이룬 형태로 포함됨에 따라, 열 전달 통로가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되어, 향상된 열 전도 특성을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인해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가 고무 매트릭스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향상된 수명을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1 내지 100 nm의 직경과 1 내지 500 ㎛의 길이를 갖는 것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의 발현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에는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카본 블랙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은 블래더의 기계적 물성과 열 전도 특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될 수 있는 탄소계 첨가제로서,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다. 다만,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카본 블랙은 퍼니스 블랙(furnace black),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 찬넬 블렉(channel black), 램프 블랙(lamp black), 써멀 블랙(thermal black) 등일 수 있다.
2.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고무, 판상의 카본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 및 밀링한 후 가열 압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즉, 전술한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고무, 판상의 카본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 판상의 카본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판상의 카본 필러 1 내지 40 중량부, 또는 1 내지 30 중량부, 또는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1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1 내지 15 중량부, 또는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판상의 카본 필러와 탄소나노튜브는 충분한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한 열 전도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 중량부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탄소계 첨가제가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 고무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균일한 물성의 발현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일 구현 예의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적은 양의 탄소계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탄소계 첨가제의 함량이 낮으면서도 종래의 블래더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물성을 나타날 수 있고, 동량의 탄소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종래의 블래더에 비하여 향상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상기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네트워크를 이룬 형태로 포함됨에 따라 발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는 카본 블랙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 블랙은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또는 10 내지 40 중량부, 또는 15 내지 35 중량부, 또는 20 내지 35 중량부, 또는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열 전도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카본 블랙은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카본 블랙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고무 매트릭스 내에서의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고, 블래더의 기계적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본 블랙은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개시제, 유화제, 노화 방지제, 공정유, 가류제, 가류 촉진제 등의 통상적인 첨가제들이 소정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는 전술한 조성물을 고르게 혼합하고 밀링한 후 가열 압착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적절한 믹서(예를 들어 kneader 또는 banbury mix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련하면서 밀링하면, 이때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판상의 카본 필러층 사이에 탄소나노튜브가 삽입되어 열 전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 압착에 의한 경화는 상기 조성물을 소정의 틀에 가한 후 핫 프레스(약 180 내지 220℃ 하에서 약 10 내지 60 분 동안 가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 중량부의 원료 고무(부틸 고무 [제조사: EXXON-mobil, 제품명: Butyl 268] 90 중량% 및 클로로프렌 고무 [제조사: TOSOH, 제품명: Skyprene] 10 중량% 함유)에 대하여, 약 2 중량부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응집체 평균 직경 약 50 ㎛, 제조사: 한화케미칼, 제품명: CM-350), 약 4 중량부의 그래파이트(제조사: Nippon Graphite Industries, 제품명: CP series), 약 29 중량부의 카본 블랙(퍼니스 블랙 [제조사: OCI, 제품명: N220] 약 19 중량부 및 아세틸렌 블랙 [제조사: Showa Denko, 제품명: Denka Black] 약 10 중량부 함유), 약 2 중량부의 유화제, 약 5 중량부의 가교제, 및 약 5 중량부의 가교촉진제를 Kneader에 투입하고, 이를 혼합하여 고무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2-Roll 밀링 및 핫 프레스 과정(약 193℃ 하에서 약 30 분 동안 경화)을 거쳐 블래더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그래파이트 대신 그래핀(XG Science 제품명: xGnP)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블래더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그래파이트를 첨가하지 않고, 카본 블랙을 약 33 중량부(퍼니스 블랙 [제조사: OCI, 제품명: N220] 약 19 중량부 및 아세틸렌 블랙 [제조사: Showa Denko, 제품명: Denka Black] 약 14 중량부 함유)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블래더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블레더 시편의 단면 관찰)
실시예 1 및 비교예를 통해 얻은 각각의 블래더 시편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시편 단면의 일부를 확대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실시예 1의 시편) 및 도 2 (비교예의 시편)에 나타내었다. 이때, 고무 매트릭스 상에 분포하는 카본 필러층과 탄소나노튜브를 쉽게 분간하기 위하여 시편에서 고무 성분을 선택적으로 연소시켜 제거한 후 관찰하였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블래더 시편의 경우, 그래파이트에 의해 형성된 카본 필러층들 사이에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고, 카본 필러층은 탄소나노튜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상기 카본 필러층의 층간 거리는 약 800 n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비하여, 비교예에 따른 블래더 시편의 경우, 도 2와 같이, 탄소나노튜브와 카본블랙이 혼재되어 분산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기계적 물성 및 열 전도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얻은 각각의 블래더 시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기계적 물성 및 열 전도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T5(140℃): ASTM D1646-04 시험 표준에 따라 미가류 시편을 Mooney Viscosmeter(Monsanto사)를 이용하여 최소 토크 대비 5단위 상승했을 때의 시간(분)을 측정하였다.
2) Rheo. (180℃ X 12min): Rheometer(Monsanto사)를 이용하여 180℃에서 12분간 미가류 시편에 걸리는 최소 토크 및 최대 토크를 측정하였다
3) 인장 강도(kgf/㎠), 파단 신율(%), 및 경도(Shore A): K SM 6518의 규격에 따른 아령형 시편을 각각 준비하였고,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에 대한 인장강도, 파단 신율 및 경도를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4) 노화 후 크랙 사이클: K SM 6695의 규격에 따른 시편을 약 180℃ 하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 데마티아 굴곡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편의 반복 굴곡에 의한 균열 성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노화 후 크랙 사이클을 측정하였다.
5) 열 전도도(W/mK): 가로 150mm, 세로 150mm, 두께 3mm의 시편에 대하여 열선법을 통해 열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T5(140℃) Min 13'14'' 13'54'' 13'17''
Rheo.
(180℃ X 12min)
T-min lb-in 14.3 14.2 15.4
T-max lb-in 30 30.8 32.7
△MH lb-in 15.7 15.6 17.3
인장강도 kgf/㎠ 143.6 138.9 136.1
신장률 % 630.4 620.5 612.5
경도 Shore A 65 66 66
노화 후 크랙 사이클 cycles 11,000 11,000 8,000
열 전도도 W/mK 0.335 0.324 0.306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블래더는 비교예 1의 블래더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물성을 나타내면서도, 특히 노화 후 크랙 사이클이 약 3000회 이상 높게 나타나 보다 향상된 수명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열 전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3)

  1. 고무 매트릭스;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며, 판상의 카본 필러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 및
    상기 카본 필러층들의 사이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층의 카본 필러층은 10 내지 1000 nm의 층간 거리를 갖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카본 필러는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익스펜디드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 및 카본 나노플레이트(carbon nanop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 에틸렌/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네오프렌 고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카본 블랙을 더욱 포함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8. 고무, 판상의 카본 필러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 및 밀링한 후 가열 압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판상의 카본 필러 1 내지 40 중량부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스타이렌 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스타이렌 에틸렌/부타디엔 스타이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네오프렌 고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카본 필러는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그래핀(graphene), 그래파이트(graphite), 익스펜디드 그래파이트(expanded graphite), 및 카본 나노플레이트(carbon nanop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본 블랙을 더욱 포함하는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의 제조 방법.
KR1020130146471A 2013-11-28 2013-11-28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5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471A KR101557461B1 (ko) 2013-11-28 2013-11-28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4/009339 WO2015080375A1 (ko) 2013-11-28 2014-10-02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471A KR101557461B1 (ko) 2013-11-28 2013-11-28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003A KR20150062003A (ko) 2015-06-05
KR101557461B1 true KR101557461B1 (ko) 2015-10-06

Family

ID=5319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471A KR101557461B1 (ko) 2013-11-28 2013-11-28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7461B1 (ko)
WO (1) WO2015080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889A1 (en) * 2017-03-16 2018-09-20 Lyten, Inc. Carbon and elastomer integration
JP6887614B2 (ja) * 2017-03-23 2021-06-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ブラダーとその製造方法
KR101957021B1 (ko) 2017-06-08 2019-03-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 및 수분 배출방법
KR101976934B1 (ko) 2017-07-19 2019-05-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 및 수분 배출방법
CN108084974A (zh) * 2017-11-30 2018-05-29 山东玲珑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石墨烯超导热胶囊的制作工艺
KR102067887B1 (ko) 2018-03-05 2020-01-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오염 분석용 고용량 수분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1074B1 (ko) 2018-03-05 2020-05-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오염 분석용 수분 전처리 장치
KR102184500B1 (ko) 2019-01-16 2020-11-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적인 미세먼지 분석을 위한 수직형 듀얼 디졸베이터 및 그 동작방법
KR102414760B1 (ko) 2019-10-24 2022-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습도센서를 구비한 수분제거장치 및 방법
KR102268632B1 (ko) 2020-02-17 2021-06-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굴뚝용 미세먼지 연속 측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9789B1 (ko) 2020-02-25 2022-01-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습환경에서의 tvoc 또는 thc 분석을 위한 수직형 물질이동 조절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02601B1 (ko) 2020-06-15 2021-09-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굴뚝 배기가스로부터 암모니아의 연속 측정장치
KR102582209B1 (ko) 2021-08-31 2023-09-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분전처리 장치용 고효율 라디에이터 장치
KR20230151321A (ko) 2022-04-25 2023-11-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습도 시료가스를 위한 수직형 수분 전처리장치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03B1 (ko) 2005-06-13 2006-10-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조성물
JP2008248457A (ja) * 2007-03-30 2008-10-16 Nano Carbon Technologies Kk 炭素繊維複合体および炭素繊維複合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60B1 (ko) * 2007-09-21 2009-09-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카본블랙 나노복합재를 포함하는 블래더용고무조성물
KR101355386B1 (ko) * 2012-01-31 2014-01-29 신일화학공업(주) 열전도성 복합소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033B1 (ko) * 2012-02-10 2013-12-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라미드/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아라미드/그래핀/탄소나노튜브 복합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03B1 (ko) 2005-06-13 2006-10-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조성물
JP2008248457A (ja) * 2007-03-30 2008-10-16 Nano Carbon Technologies Kk 炭素繊維複合体および炭素繊維複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375A1 (ko) 2015-06-04
KR20150062003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461B1 (ko) 타이어 큐어링 블래더 및 이의 제조 방법
Valentini et al. Synergistic effect of graphene nanoplatelets and carbon black in multifunctional EPDM nanocomposites
KR101668776B1 (ko) 그래핀 탄소 입자를 포함하는 고무 배합물
Gao et al. The role of carbon nanotubes in promoting the properties of carbon black-filled natural rubber/butadiene rubber composites
CN108884266B (zh) 具有改善的热传递的经配混的橡胶
US20150322232A1 (en) Rubber composite composition for highly thermally conductive bladder comprising carbon nanotubes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KR20150013484A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층상 충전재 기재의 기밀 층이 구비된 공압 물품
Surya et al. Natural rubber nanocomposites based on new fibrous nanofiller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for use in tire innerliner applications
EP3321317B1 (en) Rubber composition for vulcanizing bladder and vulcanizing bladder
Senthilvel et al. Novel carbon black-halloysite nanotube reinforced NBR-PVC hybrid oil sea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gnelli et al. Anisotropic properties of elastomeric nanocomposites based on natural rubber and sp2carbon allotropes
KR20220065776A (ko) 이력현상이 감소된 정전기방지성 또는 전기 전도성 중합체 조성물
US10995194B2 (en) Filled elastomers with improved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JP6946722B2 (ja) ゴム組成物、加硫ブラダー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100635603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조성물
KR100812840B1 (ko) 타이어 블레더용 고무 조성물
EP2692791A1 (en) Rubber composition and tire
KR100314755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브래더용 고무화합물
KR20160046359A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 조성물
KR100833782B1 (ko) 열전도성이 향상된 고무조성물
JP2009185145A (ja)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US20230183447A1 (en) Conductive rubber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osed of the same
CN116262841A (zh) 导电橡胶组合物及包含其的制品
KR101511666B1 (ko) 가류 블래더용 고무의 제조방법
CN114058128A (zh) 一种导热橡胶材料用橡胶组合物、一种硫化橡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