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30B1 -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30B1
KR101557330B1 KR1020140011109A KR20140011109A KR101557330B1 KR 101557330 B1 KR101557330 B1 KR 101557330B1 KR 1020140011109 A KR1020140011109 A KR 1020140011109A KR 20140011109 A KR20140011109 A KR 20140011109A KR 101557330 B1 KR101557330 B1 KR 10155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housing
pin
protrus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449A (ko
Inventor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텍
Priority to KR102014001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되면서도 견고한 조립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1000)는, 웨이퍼(1110)와 웨이퍼핀(1120)으로 이루어진 웨이퍼조립체(1100)에 하우징(1210)과 하우징터미널(1220)로 이루어진 하우징조립체(1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웨이퍼핀(1120)은 인발로 제조된 일정길이의 4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1111)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1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THE DC OUTPUT CORD OF PORTABLE PHONE CHARGER}
본 발명은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되면서도 견고한 조립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커넥터는 전기를 사용하는 2개의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전원을 공급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2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특정 장치에 케이블을 통해서 고정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며, 다른 하나는 2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이 케이블을 통해서 상호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첫 번째 타입의 플러그 커넥터는 휴대폰 충전기에 주로 구비되며, 다른 전자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전자 단말기에 구비된 소켓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휴대폰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다.
상기 두 번째 타입의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다른 연결 구조를 갖는 2개의 전자 기기를 인터페이스(interface)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컨대, 휴대폰과 MP3를 연결시키거나 휴대폰을 컴퓨터에 연결시킬 때 또는 휴대폰과충 전기를 연결시킬 때 사용된다.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는 외부 기기의 소켓 커넥터에 착탈되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하우징을 케이블에 연결시켜주는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은 2개의 전선들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전선들의 코아들은 상기 기판에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납땜을 이용하여 상기 전선들을 기판에 연결할 경우에, 연결 불량이 많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 제20-0458088호로 고안의 명칭이 '플러그 커넥터 및 이에 구비되는 에스-타입의 웨이퍼 하우징'이 공지되어 있는바, 웨이퍼 하우징은 2개의 소켓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소켓 단자들 각각은 일단에 2쌍의 날개들을 구비한다. 1쌍의 날개들은 전선의 외피를 감싸 결합하며, 다른 1쌍의 날개들은 전선의 코아를 감싸 결합한다. 이 때, 전선은 납땜에 의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웨이퍼 하우징에 전선을 결합할 때 납땜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시 전선들을 웨이퍼 하우징에 결합할 때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조립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그 결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바, 휴대폰충전기의 DC출력코드를 연결하는 웨이퍼조립체의 웨이퍼핀이 기존에는 프로그레시프금형을 통해서 제조되어 웨이퍼에 끼워지는 한편, 웨이퍼조립체가 끼워지는 하우징조립체는 하우징터미널이 하우징에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웨이퍼조립체는 웨이퍼에 삽입하기 위해 웨이퍼핀을 제조하여 조립하기 위한 공정에서 웨이퍼핀을 프로그레시프금형을 통해 제조되는 시간이 있어서 웨이퍼핀을 제조하기 위한 시간을 줄이지 못해서 웨이퍼에 웨이퍼핀을 조립하는 웨이퍼조립체를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용되어 생산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조립체는 좀더 소형화되는 추세임에 따라 하우징터미널의 회전방지와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향상에 기술력이 집중되는 추세이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8088호 고안의 명칭 "플러그 커넥터 및 이에 구비되는 에스-타입의 웨이퍼 하우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웨이퍼핀을 제조하여 조립하기 위한 공정에서 웨이퍼핀을 인발로 4각형상으로 제조하여 피더를 통해 웨이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웨이퍼에 웨이퍼핀을 조립하는 웨이퍼조립체의 조립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조립체가 소형화되어 하우징터미널을 조립시 하우징터미널의 회전방지와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한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퍼와 웨이퍼핀으로 이루어진 웨이퍼조립체에 하우징과 하우징터미널로 이루어진 하우징조립체가 끼워지는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핀은 인발로 제조된 일정길이의 4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퍼는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웨이퍼핀끼움구멍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양측면에 두께감소에 따른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웨이퍼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퍼는 상기 웨이퍼핀이 돌출되는 쪽에 인쇄회로기판에 끼워져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PCB 끼움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터미널은 웨이퍼핀과 접촉되는 하부로 벤딩되어 일정한 각도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이 가이드홈이 형성될 때 두께가 작은 하우징의 상부로 터짐을 방지하도록 보강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웨이퍼는 상기 보강살부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일정한 폭으로 절취된 보강살도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퍼의 보강살도피부가 구비된 반대쪽에 형성된 결합돌기안착홈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결합돌기안착홈에 끼워져 웨이퍼가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PCB 끼움돌기가 형성된 웨이퍼의 측벽이면서 상기 웨이퍼핀이 끼워지는 웨이퍼끼움구멍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버어방지도피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충전기의 DC출력코드를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하면, 웨이퍼핀은 인발로 제조된 일정길이의 4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웨이퍼는 웨이퍼핀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이 형성되며, 하우징은 웨이퍼핀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웨이퍼핀을 제조하여 조립하기 위한 공정에서 웨이퍼핀을 인발로 4각형상으로 제조하여 피더를 통해 웨이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웨이퍼에 웨이퍼핀을 조립하는 웨이퍼조립체의 조립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충전기의 DC출력코드를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에는 웨이퍼핀끼움구멍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하우징터미널의 회전방지돌기와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하우징터미널의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폰충전기의 DC출력코드를연결하는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의 양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돌기가 웨이퍼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하우징과 웨이퍼의 두께감소에 따른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충전기의 DC출력코드를연결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웨이퍼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충전기의 DC출력코드를연결하는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10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웨이퍼(1110)와 웨이퍼핀(1120)으로 이루어진 웨이퍼조립체(1100)에 하우징(1210)과 하우징터미널(1220)로 이루어진 하우징조립체(1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구성으로, 상기 웨이퍼핀(1120)은 인발로 제조된 일정길이의 4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후 조립공정에서 절곡되며,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1111)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1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웨이퍼핀(1120)을 제조하여 조립하기 위한 공정에서 웨이퍼핀(1120)을 인발로 4각형상으로 제조하여 도시되지 않은 피더와 웨이퍼핀가이드를 통해 웨이퍼핀을 복수열로 정렬하여 복수의 웨이퍼(1110)로 공급할 수 있어서 웨이퍼(1110)에 웨이퍼핀(1120)을 조립하는 웨이퍼조립체(1100)의 조립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하우징(1210)이 끼워지는 내측 양측면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홈(1112)과, 상기 웨이퍼핀(1120)이 돌출되는 쪽의 측면에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에 끼워져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된 한 쌍의 PCB끼움돌기(11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웨이퍼(1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2)으로 하우징(1210)의 가이드돌기(1213)가 끼워져 두께감소에 따른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 상기 PCB끼움돌기(1113)가 인쇄회로기판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웨이퍼핀끼움구멍(12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1212)과, 양측면에 두께감소에 따른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 향상을 위해 구비된 가이드돌기(1213)와, 상기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1212)으로 끼워지는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돌기(1221)를 갖춘 하우징터미널(1220)의 웨이퍼핀(1120)과 접촉되는 하부로 벤딩되어 일정한 각도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222)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12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1212)에 하우징터미널(1220)의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돌기(1221)가 끼워져 하우징터미널(1220)의 하우징(121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되게 된다.
또 상기 가이드돌기(1213)는 웨이퍼(1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2)으로 끼워져 두께감소에 따른 웨이퍼와 하우징의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214)은 하우징터미널(1220)의 가이드돌기(1222)가 끼워져 하우징터미널(1220)이 하우징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10)에는 상기 가이드홈(1214)이 형성될 때 두께가 작은 하우징(1210)의 상부로 터짐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보강살부(1215)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퍼(1110)에는 상기 보강살부(1215)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일정한 폭으로 절취된 보강살도피부(1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살부(1215)에 의해 하우징(1210)의 두께가 얇아 지면서도 가이드홈(1214)가 형성된 곳으로 터짐이 방지되고, 또 상기 웨이퍼(1110)에는 보강살도피부(1114)가 형성되어 보강살부(1215)를 갖춘 하우징(1210)이 웨이퍼(1100)에 안정적으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웨이퍼(1110)의 보강살도피부(1114)가 구비된 반대쪽면에 결합돌기안착홈(111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10)에 상기 결합돌기안착홈(1115)에 끼워져 웨이퍼(1110)가 하우징(12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돌기(121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웨이퍼(1110)에 하우징(1210)를 끼울때 결합돌기(1216)가 결합돌기안착홈(1115)에 안착되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PCB 끼움돌기(1113)가 형성된 웨이퍼(1110)의 측벽이면서 상기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끼움구멍(1111)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버어방지도피홈(1116)이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어방지도피홈(1116)에 의해 웨이퍼끼움구멍(1111)의 성형시 작은 버어(Burr)가 발생하여도 웨이퍼조립체(1100)를 인쇄회로기판에 끼우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1100 : 웨이퍼조립체
1110 : 웨이퍼 1111 : 웨이퍼핀끼움구멍
1112 : 가이드홈 1113 : PCB끼움돌기
1114 : 보강살도피부 1115 : 결합돌기안착홈
1116 : 버어방지도피홈 1120 : 웨이퍼핀
1200 : 하우징조립체 1210 : 하우징
1211 : 웨이퍼핀끼움구멍 1212 :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
1213 : 가이드돌기 1214 : 가이드홈
1215 : 보강살부 1216 : 결합돌기
1220 : 하우징터미널 1221 :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돌기
1222 : 가이드돌기

Claims (7)

  1. 웨이퍼(1110)와 웨이퍼핀(1120)으로 이루어진 웨이퍼조립체(1100)에 하우징(1210)과 하우징터미널(1220)로 이루어진 하우징조립체(1200)가 끼워지되, 상기 웨이퍼핀(1120)은 인발로 제조된 일정길이의 4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1111)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4각형상의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핀끼움구멍(1211)이 형성된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웨이퍼핀끼움구멍(12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측벽으로 관통되어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121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터미널(1220)은, 상기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홈(1212)쪽으로 더 돌출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우징터미널회전방지돌기(1221)가 끼워지며, 상기 웨이퍼핀(1120)과 접촉되는 하부로 벤딩되어 일정한 각도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222)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1210)은 상기 가이드돌기(1222)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가이드홈(1214)이 형성되되, 이 가이드홈(1214)이 형성될 때 하우징(1210)의 상부로 터짐을 방지하도록 보강살부(1215)가 돌출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10)은, 양측면에 두께감소에 따른 뒤틀림방지 및 조립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돌기(1213)가 구비되고,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가이드돌기(121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웨이퍼핀(1120)이 돌출되는 쪽에 인쇄회로기판에 끼워져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PCB 끼움돌기(11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1110)는 상기 보강살부(1215)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일정한 폭으로 절취된 보강살도피부(1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1110)의 보강살도피부(1114)가 구비된 반대쪽에 형성된 결합돌기안착홈(1115)과,
    상기 하우징(1210)에는 상기 결합돌기안착홈(1115)에 끼워져 웨이퍼(1110)가 하우징(12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결합돌기(1216)가 구비되고,
    상기 PCB 끼움돌기(1113)가 형성된 웨이퍼(1110)의 일면이면서 상기 웨이퍼핀(1120)이 끼워지는 웨이퍼끼움구멍(1111)이 형성된 면에는 버어방지도피홈(1116)이 일정한 폭과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KR1020140011109A 2014-01-29 2014-01-29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KR10155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109A KR101557330B1 (ko) 2014-01-29 2014-01-29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109A KR101557330B1 (ko) 2014-01-29 2014-01-29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449A KR20150090449A (ko) 2015-08-06
KR101557330B1 true KR101557330B1 (ko) 2015-10-06

Family

ID=5388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109A KR101557330B1 (ko) 2014-01-29 2014-01-29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449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TWI509910B (zh) 連接器
US20150200504A1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TWM497362U (zh) 電連接器
TW201440347A (zh) 電連接器
CN106058581B (zh) 正反插usb插座
US8845351B2 (en) Connector housing with alignment guidance feature
KR101113591B1 (ko) 마이크로 usb 소켓
US20170040743A1 (en) Usb plug capable of being inserted face up and face down
KR101552916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JP5209027B2 (ja) 同軸コネクタ
EP3410536B1 (en) Mobile terminal, power adaptor, and power inte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6173247A1 (zh) 一种基于type-c的插头连接器
JP540843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57330B1 (ko) 휴대폰충전기의 커넥터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415909B1 (ko) 멀티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멀티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JP2016184505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200508546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TWM499672U (zh) 電連接器
CN216055309U (zh) 一种电连接器
JP2015191874A (ja) Usbコネクタ
CN104134909B (zh) 连接器
JP2018073536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CN102801060A (zh) 磁性模组的制造方法及利用此种磁性模组制造的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