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223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223B1
KR101556223B1 KR1020120022180A KR20120022180A KR101556223B1 KR 101556223 B1 KR101556223 B1 KR 101556223B1 KR 1020120022180 A KR1020120022180 A KR 1020120022180A KR 20120022180 A KR20120022180 A KR 20120022180A KR 101556223 B1 KR101556223 B1 KR 101556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value
image
modul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315A (ko
Inventor
마사카즈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27Correction or control of colour gradation or colour contr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제3426189호 공보에는, 입력된 화상을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화소 그룹으로 분할하는 스텝과, 분할된 상기 화소 그룹에 있어서의 화소 그룹 농도를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화소 그룹 중 상기 화상에 있어서의 주목 화소가 속하는 화소 그룹의 화소 그룹 농도와 당해 주목 화소가 속하는 화소 그룹에 인접하는 화소 그룹의 화소 그룹 농도에 의거하여 산출한 당해 주목 화소에 대한 상대 농도와, 당해 주목 화소의 절대 농도에 의거하여 당해 주목 화소의 출력값을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다치(多値) 화상 내에서 배경보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펜 등으로 쓰인 문자 등을 고속으로 잘라내고, 문자 인식 등의 전(前)처리에 이용하여, 문자 도형 등의 오브젝트를 강조하고, 이해의 용이함을 손상하지 않고 화상 사이즈를 압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111697호 공보에는, 콘택트 글래스 상에 재치(載置)된 북(book) 원고를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스캔 화상의 휘도를 보정하는 화상 휘도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캔 화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수단과, 상기 블록 분할 수단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각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 중에서 가장 휘도값이 높은 화소를 각각 선택하고, 그 가장 휘도값이 높은 화소의 휘도값을 당해 각 블록의 지표값으로 간주해서 검출하는 지표값 검출 수단과, 상기 지표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각 블록의 상기 지표값을 각 블록간에서 평활화한 지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스캔 화상에 대하여 휘도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휘도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휘도 보정 장치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의 조명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나 북 원고의 콘택트 글래스에의 재치측이 불균일할 경우(페이지의 상단과 하단에서 콘택트 글래스로부터의 부상(浮上)측이 상이할 경우)여도, 스캔 화상의 일 부분의 지표값에 의거하여 스캔 화상을 밴드 형상으로 휘도 보정할 경우에 비해 국소적인 범위에서 지표값을 검출해서 휘도 보정하므로, 휘도 보정 후의 화상에 검은 스트라이프나 옅은 섀도우가 생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는 포깅(fogging) 상태를 블록 분할한 각 블록의 최대 휘도값을 이용하여, 각 픽셀 단위의 보정식이, 「보정 결과=실측값×지정 휘도값÷대표 휘도값」으로 실현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5-341527호 공보에는, 화상 계조 보정 기술을 역광 보정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밝은 영역 또는 어두운 영역 내의 국소적인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데도 한계가 있었던 것을 과제로 해서, 블록 타이밍 발생부는 1화면 내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평균 휘도 산출부는 블록 타이밍 발생부에 의해 지정된 블록 단위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을 산출하고, 블록 단위 보정량 산출부는 블록 단위에서의 평균 휘도 레벨로부터, 보정의 방향 및 보정량을 산출하고, 화소 단위 보정량 산출부는 블록 단위의 보정량을 당해 블록 내의 각 화소 단위에서의 보정량에 보간(補間)하고, 계조 변환부는 화소 단위의 보정량과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당해 화소의 휘도 데이터를 어드레스로 하여, 최종적인 보정량을 계조 변환 테이블로부터 판독해서, 계조 변환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9-290660호 공보에는, 역광 보정을 행하면 화상 중의 밝은 부분의 색미(色味)가 빠지게 되어 있고, 또한 화상 전체의 색의 밸런스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곤란했던 것을 과제로 해서, 입력 화상 내에 있어서의 특정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특정 화상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영역에 속하는 화소에 의거하여 특정 화상을 대표하는 대표색을 산출하는 대표색 산출부와, 대표색의 밝기에 의거하여 계조 보정을 위한 제 1 보정 곡선을 취득하는 제 1 보정 곡선 취득부와, 대표색을 제 1 보정 곡선에 의해 보정하고, 보정 후의 대표색을 구성하는 요소 색마다의 계조값에 의거하여 요소 색마다의 계조 보정을 위한 제 2 보정 곡선을 취득하는 제 2 보정 곡선 취득부와, 입력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 중 암부(暗部)를 정의한 색역(色域)에 속하는 화소의 계조값에 대해 제 1 보정 곡선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제 1 보정부와, 입력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요소 색마다의 계조값을 제 2 보정 곡선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제 2 보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9-290661호 공보에는, 역광 보정을 행하면 화상 중의 밝은 부분의 색미가 빠지게 되어 있었던 것을 과제로 해서, 입력 화상 내에 있어서의 특정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특정 화상 검출부와, 상기 특정 화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영역에 있어서의 밝기와 상기 입력 화상 내에 있어서의 배경 영역의 밝기와의 차이를 취득하는 차이 취득부와, 상기 차이에 의거하여 계조 보정을 위한 보정 곡선을 취득하는 보정 곡선 취득부와, 상기 입력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 중 암부를 정의한 색역에 속하는 화소의 계조값에 대해서 상기 보정 곡선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상 내의 포깅을 제거하기 위해서 채도값을 보정할 경우에 있어서, 채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따르면,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fogging)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下地)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따르면,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이 무채색에 가까워질 수록, 채도값의 보정량을 적게 하도록 보정한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따르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따르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따르면,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제 2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따르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따르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8 방안에 따르면,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제 2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9 방안에 따르면,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10 방안에 따르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당해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 11 방안에 따르면,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2 방안에 따르면,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3 방안에 따르면,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공정과;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공정과;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측정된 휘도값으로부터,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4 방안에 따르면, 화상을 접수하고,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5 방안에 따르면, 화상을 접수하고,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고,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6 방안에 따르면, 화상을 접수하고,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휘도값으로부터,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고,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14 방안에 따르면, 화상 내의 포깅을 제거하기 위해 채도값을 보정할 경우에 있어서, 채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따르면, 무채색 부분에 대하여 채도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따르면,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따르면, 각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15 방안에 따르면, 화상 내의 포깅을 제거하기 위해 휘도값을 보정할 경우에 있어서, 바탕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휘도값이 지나치게 밝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따르면,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따르면, 각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16 방안에 따르면, 대상으로 하는 화상 내에 유채색 영역이 존재할 경우에, 화상 전체에, 원고색에 대응한 포깅을 제거할 때에 생기는 휘도값이 지나치게 밝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방안에 따르면,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방안에 따르면, 각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방안에 따르면, 화상 내의 포깅을 제거하기 위해 채도값을 보정할 경우에 있어서, 채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방안에 따르면, 화상 내의 포깅을 제거하기 위해 휘도값을 보정할 경우에 있어서, 바탕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 휘도값이 지나치게 밝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방안에 따르면, 대상으로 하는 화상 내에 유채색 영역이 존재할 경우에, 화상 전체에, 원고색에 대응한 포깅을 제거할 때에 생기는 휘도값이 지나치게 밝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3은 화상 접수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포깅량 추정 모듈, 화소값 측정 모듈,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채도 보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8은 채도 보정 가부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1은 화상 접수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포깅량 추정 모듈, 화소값 측정 모듈,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휘도 보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8은 화상 접수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0은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검사 영역 선택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2는 화소값 측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3은 화소값 측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4는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6은 휘도 보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7은 휘도 보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8은 휘도 보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제 6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30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31은 본 실시형태의 전제가 되는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본 실시형태의 전제가 되는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3은 본 실시형태의 전제가 되는 기술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4는 본 실시형태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그 전제가 되는 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은 본 실시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31의 (a)의 예에 나타낸 촬영 대상 문서(3100)는 명함이며, 흑백뿐만 아니라, 유채색의 영역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대상 문서(3100) 내의 우측 위에 있는 도형은 적색의 마크(로고)이다. 이 촬영 대상 문서(3100)를,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도 31의 (c)의 예에 나타낸 촬영 화상(3130)을 얻는다. 이 경우, 촬영한 화상에는 도 31의 (b)의 예에 나타낸 포깅 화상(3120)이 중복되어 촬영되어 있다. 이 포깅 화상(3120)은 조명의 편향, 역광, 촬영 대상 문서(3100)의 설치 등(즉, 촬영 대상 문서(3100)와 조명과 촬영 장치의 위치 관계) 또는 디지털 카메라 내의 렌즈의 구성(예를 들면, 화상의 중앙 부분은 밝고, 주변 부분은 어두워짐)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도 31의 (b)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깅 화상(3120)에서는, 우측이 짙은 흑색이며, 좌측이 백색이 되는 것과 같은 그라이데이션 화상(농담이 단계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화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1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3130)이라도, 우측은 검게 되지만, 좌측은 원래의 촬영 대상 문서(3100)의 화상에 가깝게 된다. 또한, 이 포깅이란, 섀도우, 흑색 포깅 등이라고도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뿐만 아니라, 스캐너 등에 있어서도, 이 포깅 화상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스캐너(소위 플랫베드 스캐너(flat-bed scanner))에서는, 콘택트 글래스 상에 개폐 가능한 누름판을 설치하고, 콘택트 글래스 상에 원고를 설치한 후에 누름판을 닫아서 원고를 스캔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원고로서는 시트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북(book) 원고(책, 책자 등)도 원고로서 취급될 경우가 있어, 그러한 경우에도 콘택트 글래스 상에 북 원고를 설치하고, 원고를 스캔하게 된다. 그런데, 원고로서 북 원고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북 원고의 페이지 바인딩부가 콘택트 글래스로부터 부상(浮上)하게 된다. 이렇게 북 원고의 페이지 바인딩부가 콘택트 글래스로부터 부상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페이지 바인딩부가 초점면에서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부상한 부분의 스캔 화상에는, 포깅이라고 하는 화상 열화가 발생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있어서의 적합한 각종의 실시형태의 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듈이란, 일반적으로 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소프트웨어(컴퓨터·프로그램), 하드웨어 등의 부품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의 모듈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의 모듈도 가리킨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는, 그것들의 모듈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컴퓨터에 각각의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컴퓨터를 각각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컴퓨터에 각각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시스템 및 방법의 설명도 겸하고 있다. 다만, 설명의 형편상, 「기억한다」, 「기억시킨다」, 이것들과 동등한 문언(文言)을 이용하지만, 이들 문언은, 실시형태가 컴퓨터·프로그램일 경우에는,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거나, 또는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듈은 기능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어도 되지만, 실장에 있어서는, 1모듈을 1프로그램으로 구성해도 되고, 복수 모듈을 1프로그램으로 구성해도 되고, 반대로 1모듈을 복수 프로그램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복수 모듈은 1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되고, 분산 또는 병렬 환경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의해 1모듈이 복수 컴퓨터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1개의 모듈에 다른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 「접속」이란 물리적인 접속 외에, 논리적인 접속(데이터의 주고받기, 지시, 데이터간의 참조 관계 등)일 경우에도 이용한다. 「미리 정해진」이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처리의 전에 정해져 있음을 말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가 개시되기 전은 물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가 개시된 후여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처리의 전이면, 그 때의 상황·상태에 따라, 또는 그때까지의 상황·상태에 따라 정해지는 것의 의미를 포함해서 이용한다.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란, 복수의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 등이 네트워크(일대일 대응의 통신 접속을 포함함) 등의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 외에, 1개의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 등에 의해 실현될 경우도 포함된다. 「장치」와 「시스템」이란, 서로 동의(同義)의 용어로서 이용한다. 물론이지만, 「시스템」에는, 인위적인 결정인 사회적인 「기구」(사회 시스템)의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각 모듈에 의한 처리마다 또는 모듈 내에서 복수의 처리를 행할 경우는 그 처리마다, 대상이 되는 정보를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 입력하고, 그 처리를 행한 후에, 처리 결과를 기억 장치에 기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처리 전의 기억 장치로부터의 판독 입력, 처리 후의 기억 장치에의 기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기억 장치로서는, 하드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외부 기억 매체, 통신 회선을 통한 기억 장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내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것이며, 도 1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접수 모듈(110),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채도 보정 모듈(150), 출력 모듈(160)을 갖고 있다.
화상 접수 모듈(110)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과 접속되어 있으며, 화상을 접수하고, 그 화상을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건네준다. 화상을 접수한다고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스캐너, 카메라 등으로 화상을 판독 입력하는 것, 팩스 등으로 통신 회선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는 것, 하드디스크(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것 외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 등을 포함함) 등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판독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화상은 다치 화상(컬러 화상을 포함함)이다. 접수하는 화상은 1매여도 되고, 복수 매여도 된다. 또한, 화상의 내용으로서, 비지니스에 이용되는 문서(예를 들면, 상술한 명함 등), 광고 선전용 팸플릿, 화이트 보드에 쓰인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화상 접수 모듈(110)은 디지털 필터 처리 등에 의해 보정을 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 등이 있다. 화상 접수 모듈(110)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포깅량 추정 모듈(120)은 화상 접수 모듈(110), 화소값 측정 모듈(13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그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한 포깅량을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채도 보정 모듈(150)에 건네준다. 포깅량 추정 모듈(120)은, 예를 들면 촬영 대상 문서의 바탕색의 분포로부터 각 좌표에서의 포깅의 양과 경사의 세기를 추정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전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해도 되고, 화상의 미리 정한 양자화 점에서의 휘도 대표값을 생성하고, 주위의 휘도 대표값으로부터 각 좌표의 추정 휘도값을 산출하게 해도 된다.
화소값 측정 모듈(130)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채도값을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건네준다. 화소값 측정 모듈(130)은 화상을 주사하고, 각 화소에 있어서의 채도값을 측정하게 해도 된다. 주사 방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 5 실시형태의 화소값 측정 모듈(1640)과 동등한 주사를 행하게 해도 된다. 또한,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각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게 해도 된다. 또한, 화소값이라 할 경우는, 채도값, 휘도값을 포함한다.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 채도 보정 모듈(15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보정 목표값을 채도 보정 모듈(150)에 건네준다.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으로부터, 예를 들면 전체 면이 원고 바탕이라고 가정했을 경우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또한,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미리 정한 고정의 보정 목표값, 또는 포깅의 휘도 분포로부터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산출해서 결정하게 해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집계해서 휘도값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화소(예를 들면, 밝은 쪽으로부터 상위 10%에 있는 화소)의 휘도값으로 해도 되고, (2) 조작자가 휘도값을 설정하게 해도 된다.
채도 보정 모듈(150)은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출력 모듈(160)과 접속되어 있고,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이하, 추정 휘도값이라고도 함)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화소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그 채도값을 보정한다. 그리고, 채도값을 보정한 화상을 출력 모듈(160)에 건네준다. 채도값을 보정한 화상이란, 포깅을 제거한 화상이다.
또한, 채도 보정 모듈(15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이 무채색에 가까울 수록, 채도값의 보정량을 적게 하도록 보정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색 공간 상에서 무채색이 되는 축으로부터 대상으로 하고 있는 채도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축 상에서 억제율(채도의 보정을 적게 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파라미터)이 최소값을 취하는 관계로부터 억제율을 산출하게 해도 된다.
또한, 채도 보정 모듈(150)은, 보정 목표값과 포깅량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값을 보정하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보정 목표값과 포깅량의 차분의 크기에 연동하여, 채도의 보정량을 많게 해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차분에 대하여, 1차 이상의 단조 증가한 다항식 함수에 의해 증가시키게 해도 된다.
채도 보정 모듈(150)의 처리에 대해서는, (1)식, (2)식, (3)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출력 모듈(160)은 채도 보정 모듈(150)과 접속되어 있고, 채도 보정 모듈(150)에 의해 채도가 보정된 화상을 받고, 그 화상을 출력한다. 화상을 출력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로 인쇄하는 것,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것, 팩스 등의 화상 송신 장치로 화상을 송신하는 것, 화상 데이터베이스 등의 화상 기억 장치에 화상을 기입하는 것,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것,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건네주는 것 등이 포함된다. 또한,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과 대응시켜 출력하게 해도 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202에서는, 화상 접수 모듈(110)이 대상 화상을 접수한다.
도 3은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촬영 대상 문서(320)는, 도 31의 (a)의 예에서 나타낸 촬영 대상 문서(3100)와 동등한 것이다. 이것을 촬영 장치(310)로 촬영했을 경우, 촬영 화상(330)과 같이 포깅이 발생한 화상을 얻는다. 예를 들면, 명함 교환한 후에, 책상 위에 촬영 대상 문서(320)를 두고, 촬영 장치(310)로 촬영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다. 촬영 장치(310)는 디지털 카메라여도 되고, 휴대 정보 단말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여도 되고, 스캐너 등이어도 된다.
스텝 S204에서는, 포깅량 추정 모듈(120)이 포깅량을 추정한다.
스텝 S206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이 화상 내의 화소값을 측정한다.
스텝 S208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도 4는 포깅량을 제거하는 형태를 3차원 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x축, y축은 화상 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z축은 휘도값을 나타낸 공간이다. z축에 있어서 아래에 있는 회색의 면이 포깅의 화상이며, 화상 전체를 덮고 있게 위치해 있다. 그리고, x축 방향으로 감에 따라, z축에 있어서 아래로 내려가고 있는 것은, 포깅 화상이 우측으로 갈 수록 짙어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z축에 있어서 위에 있는 얇은 격자 모양의 면이 보정한 후의 화상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p은, 도 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208에서 결정된 보정 목표값이며,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에 있어서의 밝은 쪽으로부터 상위 10%에 있는 화소의 휘도값이다. 다음 스텝 S210에서 휘도를 보정할 경우에는, 이 보정 목표값에 맞추도록, 각 점에 있어서의 휘도를 올리도록(밝게 함, z축 상에서 위로 올림) 해서 포깅을 제거하고 있다. 도 4에서는, 교점(412, 414, 416, 418)에 둘러싸여 있는 교점(418)을 보정 후 중간점(422)까지 휘도를 끌어 올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교점(412, 414)은 라인(432) 상에 있고, 교점(416, 418)은 라인(434) 상에 있고, 교점(412, 416)은 라인(436) 상에 있고, 교점(414, 418)은 라인(438) 상에 있다. 그리고, 바탕 이외의 부분인 문자부(도 4 내에서는 「あ」의 문자)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바탕 부분보다 어두운 휘도값이 측정되게 된다.
스텝 S210에서는, 채도 보정 모듈(150)이, 화상의 채도를 보정한다. 채도 보정 모듈(150)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의 대소에 의해, 채도를 강화하게 한다. Lab 공간에서는, 다음과 같은 (1)식, (2)식, (3)식 등에서 채도 성분(a, b)을 강화한다. 여기에서, C는 포깅량이라고 한다. 또한, C는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8)식의 휘도의 보정량(C)이다. 이들 식에서는, 유채색 부분은 휘도 보정분 상당의 채도 향상이 적용되고, 무채색 부분에 대하여는 보정 처리를 행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채도 성분(a, b)이 128일 경우에는 무채색이라고 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1
또한, (3)식에 있어서, 문서의 판독 용이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무채색(예를 들면, 백색 배경, 흑색 문자 등)의 채도는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게 하고 있다. 즉, 채도가 무채색에 가까울 수록 colorR이 0에 가까워지게 하고 있다.
채도 보정 모듈(150)은, 보정 목표값과 포깅량의 차분이 커지면, 채도값의 보정량을 많게 하도록 보정하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8)식의 C((8)식의 2단째의 식 참조)가 커지게 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차분에 대하여, (8)식의 3단째의 식과 같은 1차 이상의 단조 증가한 다항식 함수에 의해 증가시키게 해도 된다.
또한, 스텝 S210에 있어서, 채도 보정 모듈(150)은 휘도값을 보정하게 해도 된다. 또한, 휘도값의 보정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에서 이용되고 있는 휘도값의 보정 방법을 이용하게 해도 된다.
도 5는 채도 보정 모듈에 의한 처리예(실험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스텝 S202에서 화상 접수 모듈(110)이 촬영 화상(330)을 접수했을 경우에, 스텝 S210에서 휘도와 채도를 보정한 화상이 본 실시형태의 처리 화상(540)이다. 그리고, 휘도만을 보정한 화상이, 단순한 포깅 제거 처리 화상(550)이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처리 화상(540)의 유채색 부분은 단순한 포깅 제거 처리 화상(550)보다 선명히 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텝 S212에서는, 출력 모듈(160)이 채도를 보정한 화상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로 포깅을 제거한 화상을 인쇄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것이며, 도 2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접수 모듈(110),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 채도 보정 모듈(150), 출력 모듈(160)을 갖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종의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위여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한 곳은 설명을 부가한다. 설명을 부가했을 경우여도, 중복하고 있는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이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임).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과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과 동등하지만, 결정한 보정 목표값을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에 건네준다.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은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채도 보정 모듈(150)과 접속되어 있다.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은, 추정 휘도값의 기울기, 추정 휘도값과 목표 휘도값의 차분이 클 경우, 바탕 이외의 문자부 등이 지나치게 뭉개져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보정 처리를 항상 실시하는 것은 하지 않게 하고 있다.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 보정 모듈(150)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처리에 대해서는, (4)식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은,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 보정 모듈(150)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해도 된다. 이 판단 처리에 대해서는, (5)식, (6)식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채도 보정 모듈(150)은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 출력 모듈(160)과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채도 보정 모듈(150)과 동등하지만,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702에서 스텝 S708까지, 스텝 S712 이후의 처리는, 도 2에 예시한 플로차트와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02에서는, 화상 접수 모듈(110)이 대상 화상을 접수한다.
스텝 S704에서는, 포깅량 추정 모듈(120)이 포깅량을 추정한다.
스텝 S706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이 화상 내의 화소값을 측정한다.
스텝 S708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스텝 S710에서는,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이 채도 보정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행할 경우에는 스텝 S712로 진행되고, 그 외일 경우에는 스텝 S714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이하의 (4)식, (5)식, (6)식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계산값(E)이 미리 정한 값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보정을 실시하지 않게 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2
또한, eij는, 좌표(xi, yj)에 있어서의 추정 휘도값이며, p ij는 좌표(xi, yj)에 있어서의 보정 목표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 (4)식은 추정 휘도값과 보정 목표값의 차분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8은 채도 보정 가부 모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의 예에서 나타내면, 목표 휘도(점선)와 추정 휘도(일점쇄선)의 간격의 최대값이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3
이 (5)식은 각 화소간에 있어서의 추정 휘도값의 차분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8의 예에서 나타내면, 추정 휘도(일점쇄선)에 있어서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간격이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4
이 (6)식은, 각 화소간에 있어서의 추정 휘도값의 차분을 거리로 정규화해서 기울기량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도 8의 예에서 나타내면, 추정 휘도(일점쇄선)의 기울기이다.
스텝 S712에서는, 채도 보정 모듈(150)이 화상의 채도를 보정한다.
스텝 S714에서는, 출력 모듈(160)이 채도를 보정한 화상을 출력한다.
전술한 도 31의 (a) 내지 (c)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와의 비교에 대해서, 도 31의 (c) 내지 (g)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가령 포깅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었다고 해도, 우측 위에 있는 적색의 도형은 채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31의 (c) 내지 (g)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1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3130) 내를 라인(3132)으로 주사했을 경우의 휘도값을 그래프(종축은 휘도값을 나타내고, 횡축은 주사에 있어서의 x좌표)에 나타내면, 도 31의 (d)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포깅 화상(3120)은 우측 방향을 향할 수록 짙어지기 때문에, 휘도값은 우측으로 내려가게 되지만, 원래의 화상에 있어서의 원래의 휘도값이 있으므로, 도 31의 (d)의 그래프의 예와 같이, 휘도 분포(3142 ~ 3158)에서 단계적인 휘도의 분포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라인(3132)으로 주사했을 경우의 채도값을 그래프에 나타내면, 도 31의 (e)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채도의 감쇠율은 우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여기에서, 포깅량에 의거하여 휘도만을 보정하면, 그 결과의 화상은, 도 31의 (f)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정 화상(3160)으로 된다. 즉, 보정 화상(3160)의 우측 부분은, 검은 문자 부분이어도 옅은 회색이 되게 된다. 게다가, 우측 위에 있는 적색의 도형은 채도가 떨어지게 된다.
원래 원고인 촬영 대상 문서(3100)와 같이 복원하기 위해서는, 도 31의 (g)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값의 보정량에 대해 비례해서 채도를 증가할 필요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채도값을 보정함으로써, 유채색의 부분에 대하여도 재현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3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그 전제가 되는 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은, 제 3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32의 (a)의 예에 나타낸 촬영 대상 문서(3200)는 명함이며, 흑백만으로 인쇄되어 있다.
이 촬영 대상 문서(3200)를,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도 32의 (c)의 예에 나타낸 촬영 화상(3230)을 얻는다. 이 경우, 촬영한 화상에는 도 32의 (b)의 예에 나타낸 포깅 화상(3220)이 중복되어서 촬영되어 있다. 도 32의 (b)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깅 화상(3220)에서는, 우측이 짙은 흑색이며, 좌측이 옅은 흑색이 되는 것과 같은 그라이데이션 화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2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3230)이여도, 우측은 검게 되지만, 좌측은 원래의 촬영 대상 문서(3200)의 화상에 가깝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뿐만 아니라, 스캐너 등에 있어서도, 이 포깅 화상은 발생하는 것이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 3 실시형태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것이며, 도 9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접수 모듈(110),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모듈(910), 출력 모듈(160)을 갖고 있다. 보정 모듈(910)은 채도 보정 모듈(150), 휘도 보정 모듈(950)을 갖고 있다.
화소값 측정 모듈(130)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화소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화소값을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건네준다. 또한, 화소값 측정 모듈(130)은 화상을 주사하고, 각 화소에 있어서의 화소값을 측정한다.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모듈(91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보정 목표값을 보정 모듈(910)에 건네준다.
휘도 보정 모듈(950)은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출력 모듈(160)과 접속되어 있는 보정 모듈(910) 내에 있고,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한다. 그리고, 휘도값을 보정한 화상을 채도 보정 모듈(150) 또는 출력 모듈(160)에 건네준다. 휘도값을 보정한 화상이란, 포깅을 제거한 화상이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을 기본 보정량으로 하고, 그 기본 보정량을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그 포깅량의 차분에 의거한 계수에 의해 변경하고, 그 변경한 기본 보정량에 의거하여, 그 휘도값을 보정하게 해도 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7)식, (8)식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포깅량의 차분이 커지면, 기본 보정량을 작게 하는 계수로 하게 해도 된다. 「기본 보정량을 작게 한다 」라고 하는 것은, 「기본 보정량의 수정량을 크게 한다」것이며, 바탕 부분에 있어서의 보정량과 비교하여, 측정된 휘도값의 보정량은 적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흑색의 문자 등에 대하여 포깅량의 제거는 적게 하게 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8)식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포깅량의 차분이 미리 정한 문턱값 이상 또는 클 경우에는, 그 휘도값의 보정을 행하지 않게 해도 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8)식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은, 기본 보정량을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포깅량과의 차분과 기본 보정량에 의거한 계수에 의해 변경하게 해도 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9)식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채도 보정 모듈(150)은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출력 모듈(160)과 접속되어 있는 보정 모듈(910) 내에 있다.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의 처리는, 어느 것이 먼저여도 되고(채도 보정 모듈(150)이 먼저 처리할 경우에는, 그 처리 결과의 화상을 휘도 보정 모듈(950)이 처리하고, 휘도 보정 모듈(950)이 먼저 처리할 경우에는, 그 처리 결과의 화상을 채도 보정 모듈(150)이 처리함), 병렬해서 처리를 행하게 해도 된다.
출력 모듈(160)은 보정 모듈(910)과 접속되어 있고,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해 보정된 화상을 받아들이고, 그 화상을 출력한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1002에서는, 화상 접수 모듈(110)이 대상 화상을 접수한다.
도 11은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촬영 대상 문서(1120)는 도 32의 예에서 나타낸 촬영 대상 문서(3200)와 동등한 것이다. 이것을 촬영 장치(310)로 촬영했을 경우, 촬영 화상(1130)과 같이 포깅이 발생한 화상을 얻는다. 예를 들면, 명함 교환한 후에, 책상 위에 촬영 대상 문서(1120)를 두고, 촬영 장치(310)로 촬영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다. 촬영 장치(310)는 디지털 카메라여도 되고, 휴대 정보 단말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여도 되고, 스캐너 등이어도 된다.
스텝 S1004에서는, 포깅량 추정 모듈(120)이 포깅량을 추정한다.
스텝 S1006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이 화상 내의 화소값을 측정한다.
스텝 S1008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도 12는 포깅량을 제거하는 형태를 3차원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x축, y축은 화상 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z축은 휘도값을 나타내는 공간이다. z축에 있어서 아래에 있는 회색의 면이 포깅의 화상이며, 화상 전체를 덮고 있도록 위치해 있다. 그리고, x축 방향으로 감에 따라, z축에 있어서 아래로 내려가고 있는 것은, 포깅 화상이 우측으로 갈 수록 짙어져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z축에 있어서 위에 있는 얇은 격자 형태의 면이 보정한 후의 화상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p은, 도 12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1008에서 결정된 보정 목표값이며,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에 있어서의 밝은 쪽으로부터 상위 10%에 있는 화소의 휘도값이다. 다음 스텝 S1012에서는 이것에 맞추도록, 각 점에 있어서의 휘도를 올리도록(밝게 함, z축 상에서 위로 올림) 해서 포깅을 제거하고 있다. 도 12에서는, 교점(1212, 1214, 1216, 1218)에 둘러싸여 있는 교점(1220)을 보정 후 중간점(1222)까지 휘도를 끌어 올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교점(1212, 1214)은 라인(1232) 상에 있고, 교점(1216, 1218)은 라인(1234) 상에 있고, 교점(1212, 1216)은 라인(1236) 상에 있고, 교점(1214, 1218)은 라인(1238) 상에 있다. 그리고, 바탕 이외의 부분인 문자부(도 12 내에서는 「あ」의 문자)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에 의해 바탕 부분보다 어두운 휘도값이 측정되게 된다.
스텝 S1010에서는, 채도 보정 모듈(150)이 화상의 채도를 보정한다.
스텝 S1012에서는, 휘도 보정 모듈(950)이 화상의 휘도를 보정한다. 휘도 보정 모듈(950)은 추정 휘도값과 측정 휘도값의 차분을 체크한다. 그리고, 차분이 어두운 측에 있으면(추정 휘도로부터 측정 휘도값을 감산한 결과가 정(正)의 값이 되면), 보정량을 바탕 부분에 비해 보다 억제한다. 즉, 문자 등의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휘도값을 올리지 않게 된다.
도 13은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의 (a)는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보정 전의 화상의 형태를 나타낸 그래프의 예이며, 도 13의 (b)는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보정 후의 화상의 형태를 나타낸 그래프의 예이다. 도 13의 (a), (b)의 예에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결정한 보정 목표값을 수평선의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의 예에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이 측정한 휘도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포깅량 추정 모듈(120)이 추정한 포깅량(추정 휘도값)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b)의 예에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이 측정한 휘도를 회색의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휘도 보정 모듈(950)이 보정한 휘도값은 흑색의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바탕 부분은 보정 목표값에까지 휘도를 올리고 있고(휘도를 높임, 옅게 함), 바탕 이외의 부분은 휘도를 올리고 있지만, 바탕 부분에 있어서 높이고 있는 양보다 적은 양이다. 따라서, 바탕 이외의 부분은, 필요 이상으로 옅게 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바탕 부분인지 바탕 이외의 부분인지에 관해서는,
(추정 휘도값-측정 휘도값) < 문턱값(th) 이면, 바탕 부분이라고 판단하고,
(추정 휘도값-측정 휘도값)≥ 문턱값(th) 이면, 바탕 이외의 부분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문턱값(th)은, 인간의 눈으로 봐서 바탕 이외의 부분(예를 들면, 문자)이라고 판명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 되고, 미리 정한 값이다.
그리고, 바탕 부분이라고 판단된 부분에 대해서는,
보정량 = (보정 목표값-추정 휘도값)
을 계산하고(이 보정량은 기본 보정량으로 됨), 바탕 이외의 부분이라고 판단된 부분에 대해서는,
보정량 = (보정 목표값-추정 휘도값)×보정 레이트(R)
를 계산한다. 그리고, 보정량을 측정 휘도값에 가산한다. 보정 레이트(R)는 1 이하의 값이며, 다음 (7)식과 같이 계산된다. 측정 휘도값(v)과 추정 휘도값(e)의 차분이 클 수록 계수인 보정 레이트(R)가 0에 가까운 값으로 된다. 또한, (7)식의 외측의 max()식에 의해 0이 하한이 되고, 차분이 미리 정한 값을 넘으면 보정하지 않게 된다. 즉, 보정 레이트(R)는 0이 되고, 보정하지 않는 것(측정 휘도값 그대로 해 두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보정 강도 파라미터(ρ)는 미리 정한 값으로 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5
따라서, 보정 후의 휘도값(new_v)은 다음 (8)식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6
또한, (8)식 내의 C는 전술한 보정량의 것이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은 (7)식의 대신에 다음 (9)식을 채용해도 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7
(9)식은, 보정 목표값인 휘도값과 추정 휘도값의 차분인 (p-e)가 클 경우에는, 추정 휘도값과 측정 휘도값의 차이가 작아도 보정 억제를 크게 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τ은 배율 보정이다. 예를 들면, 중간 휘도값의 128 등을 채용해도 된다.
스텝 S1014에서는, 출력 모듈(160)이 보정한 화상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로 포깅을 제거한 화상을 인쇄한다.
<제 4 실시형태>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이다.
제 4 실시형태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것이며, 도 1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접수 모듈(110),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 보정 모듈(910), 출력 모듈(160)을 갖고 있다. 보정 모듈(910)은 채도 보정 모듈(150), 휘도 보정 모듈(950)을 갖고 있다.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과 접속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과 동등하지만, 결정한 보정 목표값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에 건네준다.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은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모듈(910)과 접속되어 있다.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은 추정 휘도값의 기울기, 추정 휘도값과 목표 휘도값의 차분이 클 경우, 바탕 이외의 문자부 등이 지나치게 뭉개져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보정 처리를 항상 실시하는 것은 하지 않게 하고 있다.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은,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 처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에 의한 (4)식을 이용한 판단 처리와 동등하다.
또한,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은,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량 추정 모듈(120)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해도 된다. 이 판단 처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에 의한 (5)식, (6)식을 이용한 판단 처리와 동등하다.
보정 모듈(910) 내의 채도 보정 모듈(150)은 제 3 실시형태의 채도 보정 모듈(150)과 동등하지만,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보정 모듈(910) 내의 휘도 보정 모듈(950)은 제 3 실시형태의 휘도 보정 모듈(950)과 동등하지만,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1502에서 스텝 S1508까지, 스텝 S1512 이후의 처리는 도 10에 예시한 플로차트와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502에서는, 화상 접수 모듈(110)이 대상 화상을 접수한다.
스텝 S1504에서는, 포깅량 추정 모듈(120)이 포깅량을 추정한다.
스텝 S1506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30)이 화상 내의 화소값을 측정한다.
스텝 S1508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스텝 S1510에서는,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이 보정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행할 경우에는 스텝 S1512로 진행되고, 그 외일 경우에는 스텝 S1516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4)식, (5)식, (6)식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계산값(E)이 미리 정한 값을 넘고 있는 경우에는 보정을 실시하지 않게 하는 것은, 도 7의 예에 나타낸 플로차트 내의 스텝 S710과 동등하다.
스텝 S1512에서는, 채도 보정 모듈(150)이 화상의 채도를 보정한다.
스텝 S1514에서는, 휘도 보정 모듈(950)이 화상의 휘도를 보정한다.
스텝 S1516에서는, 출력 모듈(160)이 보정한 화상을 출력한다.
전술한 도 32의 (a) 내지 (c)의 설명에 있어서, 제 3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와의 비교에 대해서, 도 32의 (c) 내지 (f)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가령 포깅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었다고 해도, 문자부는 휘도 0부근에 되어 있기(흑이 되어 있기) 때문에, 바탕 부분과 문자 부분의 차분이 작게 되게 된다. 여기에서, 바탕 부분과 동일한 양만큼 휘도값을 올리게 되면, 문자 부분도 필요 이상으로 밝은 방향으로 보정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32의 (c) 내지 (f)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2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3230) 내를 라인(3232)으로 주사했을 경우의 휘도값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32의 (d)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게 된다. 즉, 포깅 화상(3220)은 우측 방향을 향할 수록 짙어지기 때문에, 휘도값은 우측으로 내려가게 되지만, 원래의 화상에 있어서의 원래의 휘도값이 있어서, 도 32의 (d)의 그래프의 예와 같이, 휘도 분포(3242 ~ 3258)로 단계적인 휘도의 분포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도 32의 (f)의 예와 같이, 바탕 부분(휘도 분포(3244, 3248, 3252, 3256))의 휘도값을 목표 휘도가 되도록 각 휘도를 보정하면, 바탕 이외의 부분(휘도 분포(3246, 3250, 3254))도 보정 휘도 분포(3274 ~ 3280)의 실선과 같이 보정되게 된다. 그 결과는 도 32의 (e)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정 화상(3260)으로 된다. 즉, 보정 화상(3260)의 우측 부분은, 검은 문자 부분이어도 옅은 회색이 되게 된다. 이것은, 바탕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바탕의 부분과 동등한 포깅 제거의 보정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생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3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도 32의 (f)의 예의 본래의 보정 휘도 분포(3282 ~ 3288)의 점선과 같이, 바탕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는 보정량을 적게 하고, 재현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5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그 전제가 되는 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은 제 5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33의 (a)의 예에 나타낸 촬영 대상 문서(3310)는 명함이며, 흑백뿐만 아니라, 유채색의 영역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대상 문서(3310) 내의 영역(3312)은 적색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영역(3314)은 백색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도형(3316)은 적색의 마크(도형)이다. 이 촬영 대상 문서(3310)를,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도 33의 (c)의 예에 나타낸 촬영 화상(3330)을 얻는다. 이 경우, 촬영한 화상에는 도 33의 (b)의 예에 나타낸 포깅 화상(3320)이 중복되어 촬영되어 있다. 이 포깅 화상(3320)의 발생 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3의 (b)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깅 화상(3320)에서는, 우측 위가 짙은 흑색이며, 좌측 아래가 백이 되는 것과 같은 그라이데이션 화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3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3330)이여도, 우측 위는 검게 되지만, 좌측 아래는 원래의 촬영 대상 문서(3310)의 화상에 가깝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뿐만 아니라, 스캐너 등에 있어서도, 이 포깅 화상은 발생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이다.
제 5 실시형태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것이며, 도 16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접수 모듈(110), 비(非)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 화소값 측정 모듈(1640),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모듈(910), 출력 모듈(160)을 갖고 있다. 보정 모듈(910)은 채도 보정 모듈(150), 휘도 보정 모듈(950)을 갖고 있다.
화상 접수 모듈(110)은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을 접수하고, 그 화상을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에 건네준다. 화상 접수 모듈(110)의 여기에서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18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은 화상 접수 모듈(110),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과 접속되어 있다.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은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고, 그 추출한 영역을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에 건네준다.
또한,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은 미리 정한 크기 이상 또는 보다 큰 영역을 추출하고, 그 영역을 추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 화소값 측정 모듈(1640),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모듈(910), 출력 모듈(160)의 처리를 행하지 않게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영역을 추출할 수 없었다는 취지(즉, 포깅의 제거를 할 수 없었던 것)를 출력하게 해도 된다.
여기에서, 추출 대상의 영역이란, 색값이 완만하고 연속한 영역이다. 환언하면, 에지가 없는 영역, 또는 에지에 둘러싸인 영역이다.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19, 도 20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은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 화소값 측정 모듈(1640)과 접속되어 있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은,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그 선택한 영역을 화소값 측정 모듈(1640)에 건네준다.
또한,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에 있어서의 미리 정한 규칙은,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에 의해 추출된 영역의 크기에 의해 정해져 있게 해도 된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은, 미리 정한 규칙으로서,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에 의해 추출된 영역의 휘도 또는 채도에 의해 더 정해져 있게 해도 된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은, 미리 정한 규칙으로서,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에 의해 추출된 영역의 채도의 분산값,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 외주의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더 정해져 있게 해도 된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21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화소값 측정 모듈(1640)은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과 접속되어 있다. 화소값 측정 모듈(1640)은,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화소값(휘도, 채도)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건네준다. 화소값의 측정에는, 미리 정한 방향으로 화상 내를 주사하면서 화소값(휘도, 채도)을 측정한다.
또한, 화소값 측정 모듈(1640)이 행하는 처리에서는, 화소값을 측정하는 주사 방향으로서 수평 방향, 수직 방향, 경사 방향, 타원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도록 해도 된다.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조합, 우측 위 경사 방향과 우측 아래 경사 방향의 조합과 같이 2종류의 주사 방향이어도 되고, 타원 형상으로 주사하도록 1종류의 주사 방향이어도 되고, 3종류 이상의 주사 방향의 조합이어도 된다.
화소값 측정 모듈(1640)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22, 도 23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은 화소값 측정 모듈(164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과 접속되어 있다.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은, 화소값 측정 모듈(1640)에 의해 측정된 화소값으로부터,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고, 그 추정한 함수를 보정 모듈(910)에 건네준다.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서는, 1차 함수여도 되고, 2차 이상의 함수여도 된다.
또한,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은,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화소값(휘도값)을 지나는 함수를 추정하게 해도 된다.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24, 도 25를 이용해서 후술한다.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은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 보정 모듈(910)과 접속되어 있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그 결정한 보정 목표값을 보정 모듈(910)에 건네준다.
보정 모듈(910) 내의 휘도 보정 모듈(950)은,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고, 그 포깅을 제거한 화상을 출력 모듈(160)에 건네준다. 즉,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그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화소값 측정 모듈(1640)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한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은, 화소값 측정 모듈(1640)에 의한 주사 방향이 복수 방향 있고, 그 주사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포깅의 값은, 그 주사에 대하여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복수의 함수에 의해 구해진 값에 의거하여 산출하게 해도 된다. 주사선 상에 없는 화소에 있어서는, 주사선 상의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의 값을 이용하여, 그 화소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포깅의 값을 산출하면 된다. 또한, 포깅의 값이란, 접수한 화상의 화소값과 본래의 지표값(포깅이 없는 상태에서 촬영한 화상의 화소값)의 차이다.
휘도 보정 모듈(950)의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26, 도 27, 도 28을 이용해서 후술한다.
보정 모듈(910) 내의 채도 보정 모듈(150)은,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그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화소값 측정 모듈(1640)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그 채도값을 보정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채도 보정 모듈(150)과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는 것에 관해서는, 휘도 보정 모듈(950)과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휘도 보정 모듈(950)의 처리 결과를 유용해도 된다. 반대로, 채도 보정 모듈(150)에 의한 처리 결과를 휘도 보정 모듈(950)이 유용하게 해도 된다.
출력 모듈(160)은 보정 모듈(910)과 접속되어 있고,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해 보정(포깅 제거)된 화상을 받고, 그 화상을 출력한다.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1702에서는, 화상 접수 모듈(110)이 대상 화상을 접수한다.
도 18은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촬영 대상 문서(1820)는 도 33의 예에서 나타낸 촬영 대상 문서(3310)와 동등한 것이다. 촬영 대상 문서(1820)에는, 좌측의 적색을 배경으로 한 영역, 우측의 백색을 배경으로 한 영역, 우측 위에 있는 적색의 마크의 영역이 있다. 이것을 촬영 장치(310)로 촬영했을 경우, 촬영 화상(1830)과 같이 포깅이 발생한 화상을 얻는다. 예를 들면, 명함 교환한 후에, 책상 위에 촬영 대상 문서(1820)를 두고, 촬영 장치(310)로 촬영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다. 촬영 장치(310)는, 디지털 카메라여도 되고, 휴대 정보 단말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여도 되고, 스캐너 등이어도 된다.
스텝 S1704에서는,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이, 색값의 변화가 완만하고 연속한 영역을 추출한다.
도 19, 도 20은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은 소벨 필터 모듈(1910), 2치화 모듈(1920), 흑백 반전 모듈(1930), 라벨링 모듈(1940), 소(小)사이즈 제거 모듈(1950)을 갖고 있다.
소벨 필터 모듈(1910)은 2치화 모듈(1920)과 접속되어 있고, 스텝 S1702에서 접수된 촬영 화상(1830)에 대하여, 소벨 필터(Sobel Filter)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의 화상을 2치화 모듈(1920)에 건네준다. 소벨 필터 처리란, 예를 들면 종선이나 횡선의 에지를 검출하는 처리이며, 필터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다. 물론이지만, 필터의 설계에 따라서는, 종선, 횡선 이외의 선을 검출하는 것도 할 수 있다.
2치화 모듈(1920)은 소벨 필터 모듈(1910), 흑백 반전 모듈(1930)과 접속되어 있고, 소벨 필터 모듈(1910)에 의해 에지가 검출된 화상을 받고, 그것에 대해서 2치화 처리를 행하고, 그 2치화 처리의 결과 화상을 흑백 반전 모듈(1930)에 건네준다. 여기에서의 2치화 처리는 알려져 있는 2치화 처리를 채용하면 된다. 이 처리에 의해 에지 부분은 흑색이 되고, 다른 부분은 백색이 된다.
흑백 반전 모듈(1930)은 2치화 모듈(1920), 라벨링 모듈(1940)과 접속되어 있고, 2치화 모듈(1920)에 의해 2치화된 화상을 받고, 그것에 대해서 흑백 반전 처리를 행하고, 그 흑백 반전 처리의 결과 화상을 라벨링 모듈(1940)에 건네준다. 이 처리에 의해 에지 부분은 백색이 되고, 다른 부분은 흑색이 된다.
라벨링 모듈(1940)은 흑백 반전 모듈(1930), 소사이즈 제거 모듈(1950)과 접속되어 있고, 흑백 반전 모듈(1930)에 의해 흑백 반전된 화상을 받고, 그것에 대해서 라벨링 처리를 행하고, 그 라벨링 처리의 결과 화상을 소사이즈 제거 모듈(1950)에 건네준다. 이 처리에 의해, 연속해 있는 흑색 영역은 동일한 라벨이 부여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라벨이 부여되어 있는 영역을 추출함으로써, 에지가 아닌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소사이즈 제거 모듈(1950)은 라벨링 모듈(1940)과 접속되어 있고, 라벨링 모듈(1940)에 의해 라벨링된 화상을 받고, 그것에 대해서 미리 정한 크기 이하 또는 보다 작은 영역인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 처리는 결과적으로, 미리 정한 크기 이상 또는 보다 큰 영역을 추출하게 된다. 동일한 라벨이 부여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은, 그 라벨이 부여된 화소 수를 계수하는 것, 또는 그 영역의 외접 사각형의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구해도 된다.
도 19의 예에 나타낸 촬영 화상(1830)에 대하여, 이상의 처리를 실시한 결과의 화상의 예를 도 20에 나타낸다. 영역 화상(2010)은 촬영 화상(1830)의 좌측의 적색을 배경으로 한 영역이며, 영역 화상(2020)은 촬영 화상(1830)의 우측의 백색을 배경으로 한 영역이며, 영역 화상(2030)은 촬영 화상(1830)의 우측 위에 있는 적색의 마크의 영역이다. 다만, 이들 화상은 2치 화상이다. 또한, 이들 화상은 촬영 화상(1830)과의 AND 처리(논리곱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촬영 화상(1830)으로부터 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고 하는 마스크 화상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또한,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은, 도 19의 예에 나타낸 모듈 구성에 의한 처리가 아니라, 다른 처리에 의해 영역을 추출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동일한 색의 영역을 통합하는 처리를 행하게 해도 된다. 또한, 동일한 색이란 완전 동일한 색뿐만 아니라, 미리 정한 관계에 있는 색을 포함하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내에서 화소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화소에 접촉해 있는 화소이며, 선택한 화소의 색과 미리 정한 관계(예를 들면, 색 공간에 있어서, 그 2개의 색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한 값 이하 또는 미만인 관계)에 있는 색의 화소를 통합하고, 다음으로 그 통합한 화소에 대하여 동일한 통합 처리를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영역을 추출하게 해도 된다.
스텝 S1706에서는,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이 포깅의 경사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영역을 추출한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은 스텝 S1704에서 추출한 영역의 특징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10)식의 식별 함수에 따라, 각 영역의 (10)식의 값을 산출하고, 그 값에 의해 영역(여기에서는 전술한 마스크 화상)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스텝 S1704에서 추출한 영역 내에서 최대값을 갖는 영역을 선택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8
여기에서, (10)식의 우변의 wj는 가중치이며, 정의 수 외에, 0, 부의 수여도 된다. 0일 경우에는, 그 특징량을 채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부의 수일 경우에는, 특징량이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가중치(wj)는 미리 정한 값이다. 미리 정한 값으로서, 조작자가 설정한 값이어도 되고, 정해(正解)의 선택지(選擇肢)가 결정되어 있는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을 행한 결과의 값이어도 된다.
(10)식의 우변의 xij는 특징량이다.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이 이들 특징량을 각 영역(i)으로부터 추출한다.
xi0은 영역의 폭 또는 높이 중 어느 하나, 또는 폭×높이(소위 외접 사각형의 면적)여도 된다.
xi1은 영역의 면적이다.
xi2는 영역의 화소 밀도이다.
xi3은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예를 들면, Lab 색 공간일 경우에는 L의 값)의 평균값이다.
xi4는 영역 내의 화소의 채도(예를 들면, Lab 색 공간일 경우에는 a, b의 값)의 평균값이다.
xi5는 영역 내의 화소의 채도의 분산값이다.
xi6은 영역(마스크 화상)의 중심과 스텝 S1702에서 접수한 화상의 중심과의 거리이다.
xi7은 영역의 외주 윤곽의 길이/외접 사각형의 주위 길이이다.
또한, 여기에 든 특징량은 예시이며, 다른 특징량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평균값이라고 한 것은, 그 영역을 대표하는 값이면 되고, 예를 들면 최빈값(最頻値), 중앙값 등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 예시한 특징량은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이용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xi0, xi1, xi2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한 식별 함수로 해도 된다. 이것은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데도, 큰 영역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고의 배경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서, xi3, xi4를 더하게 해도 된다.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데, 배경 영역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배경 영역은 일반적으로는 백색이므로, 고휘도, 저채도의 영역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채도(xi4)의 가중치(w4)는 부의 수이다.
이상의 특징량에 의해, 백색 배경이 되어 있는 명함, 문서, 화이트 보드 등에는 대응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명함의 절반의 영역에 풍경화가 부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원고를 촬영한 화상일 경우(백색 배경의 면적이 약간 좁음), 역광의 상태에서의 화이트 보드를 촬영한 화상일 경우(화상의 주위 쪽이 고휘도가 되어 있을 경우)에 대해서는,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xi5 이하의 특징량을 추가하게 해도 된다.
풍경화는 배경부에서도 대략 채도의 편차(불균일)가 높다. 따라서, 풍경화를 선택하지 않도록 채도의 분산 값이 작은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xi5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채도의 분산값(xi5)의 가중치(w5)는 부의 수이다.
촬영시에 목적으로 하는 영역은 의도적으로 화상 중앙이 되게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영역의 무게 중심(영역의 중심이어도 됨)은 화상의 중앙측인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xi6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 거리(xi6)의 가중치(w6)는 부의 수이다.
풍경화의 영역의 외주는 외접 사각형의 외주와 비교해서 요철이 많다. 또한, 명함의 배경부 등은 사각형이며, 그 외주는 직선 형상인 것이 많다. 따라서, 풍경화를 선택하지 않도록 외주 윤곽이 짧은 영역을 선택할 수 있게, xi7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 외주 윤곽(xi7)의 가중치(w7)는 부의 수이다.
도 21은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영역 화상(2010)에 대하여 식별 함수의 계산 결과는 (11)식과 같이 1.5이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09
영역 화상(2020)에 대하여 식별 함수의 계산 결과는 (12)식과 같이 2.0이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0
영역 화상(2030)에 대하여 식별 함수의 계산 결과는 (13)식과 같이 0.2이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1
그리고, (14)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별 함수의 산출 값이 최대값이 되는 것을 선택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2
이 경우, (15)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화상(2020)의 영역이 선택되게 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3
스텝 S1708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640)이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라인을 주사하고, 화소값을 측정한다.
도 22, 도23은 화소값 측정 모듈(164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의 (a)의 예에 나타낸 영역 추출 화상(2200)은, 스텝 S1702에서 접수된 촬영 화상(1830)과 스텝 S1706에서 선택된 영역 화상(2020)의 AND 처리에 의한 화상이다. 즉, 촬영 화상(1830)으로부터 우측에 있는 배경이 흰색 영역을 추출한 것이다. 이 영역 추출 화상(2200)에 대하여 횡과 종으로 미리 정한 간격(예를 들면, 균등 간격)으로 주사한다. 예를 들면, 횡 방향으로 라인(2202 ~ 2218), 종 방향으로 라인(2222 ~ 2242)으로 주사한다. 그리고, 그 주사의 결과, 각 화소의 휘도값을 그래프로 해서 나타내면, 라인(2202)의 주사에 있어서는 도 22의 (b)의 예와 같은 그래프로 된다. 즉, 선택된 영역 내를 주사하고 있지 않으므로, 무효한 데이터만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로 된다. 그리고, 라인(2212)의 주사에 있어서는 도 22의 (c)의 예와 같은 그래프로 된다. 즉, 선택된 영역 내를 일부 주사하고 있으므로, 유효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프로 되고, 그 휘도의 값은 우측으로 내려가는 그래프로 된다. 여기에서의 포깅이 전체적으로 우측 상방일 수록 짙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유효한 데이터인지, 무효한 데이터인지의 판별은,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이 선택한 영역의 화상(마스크 화상, 도 21의 예에 나타낸 영역 화상(2020))을 주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영역 화상(2020) 내의 흑색 부분의 위치가 영역 추출 화상(2200) 내에 있어서 유효한 데이터가 있는 위치이며, 영역 화상(2020) 내의 백색 부분의 위치는 영역 추출 화상(2200) 내에 있어서 무효한 데이터가 있는 위치로서 취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무효한 데이터는 휘도값을 0으로서 취급하고 있다.
또한, 주사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규칙으로서, 도 22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은 주사뿐만 아니라, 도 23의 (a)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측 위에서부터 우측 아래로의 경사 방향의 주사와 우측 위로부터 좌측 아래로의 경사 방향의 주사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행하게 해도 된다. 또한, 도 23의 (b)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 형상의 주사를 미리 정한 간격으로 행하게 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타원 형상으로는 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주사 방향은, 포깅의 휘도의 경사에 따라, 조작자가 선택하게 해도 되고, 촬영 장치에 따라 미리 정한 주사여도 된다.
스텝 S1710에서는,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이, 측정한 화소값의 집합으로부터, 포깅의 경사 정도(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함수는 1차 함수를 예시해서 설명한다.
도 24, 도 25는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4의 (a)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 방향의 주사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16)식으로, 횡 방향의 주사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17)식으로 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4
도 24의 (b)의 예는, 유효한 데이터가 있는 라인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유효한 데이터가 없는 라인(무효한 데이터만의 라인)을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유효한 데이터가 있는 라인으로서는, 라인(2204 ~ 2216), 라인(2232 ~ 2240)이 있고, 유효한 데이터가 없는 라인으로서는, 라인(2202, 2218), 라인(2222 ~ 2230, 2242)이 있다.
도 25의 (a)의 예는, 유효한 데이터가 있는 라인에 있어서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라인(2204 ~ 2216)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한 그래프에서 나타낼 수 있다. 이것들에 대하여 최소 제곱법 등을 이용하여, 휘도값을 지나는 함수를 추정한다. 예를 들면, 횡 방향의 라인에서의 함수는 (18)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 라인에 있어서, 유효한 데이터 수가 미리 정한 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이용하지 않고 함수를 추정한다. 도 25의 (b)의 예에 있어서, (18)식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5
그리고, 유효한 데이터가 없는 라인에 있어서도, 그 함수를 적용하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24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2202) 상의 추정 점(2432 ~ 2440)에 있어서의 휘도값을, 도 25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수를 적용해서, 추정 점(2432 ~ 2440)에 있어서의 휘도값으로 하면 된다. 이것은, 추정한 함수를 화상 전체에 적용하고 있게 된다.
종 방향의 라인을 이용한 함수의 추정도, 전술한 횡 방향의 라인을 이용한 함수의 추정과 동등하게 행한다.
스텝 S1712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보정 목표값을 결정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과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보정 목표값의 결정은, 전술한 결정 방법 외에, 예를 들면 복수의 교점(예를 들면,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이 선택한 영역 내에 있어서의 교점이어도 됨)의 휘도 히스토그램을 집계하고, 미리 정한 교점(예를 들면, 밝은 쪽으로부터 상위 10%에 있는 교점)의 휘도값으로 해도 된다.
스텝 S1714에서는, 채도 보정 모듈(150)이 화상의 채도를 보정한다. 스텝 S1710에서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그 포깅량과 스텝 S1712에서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스텝 S1708에서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그 채도값을 보정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채도 보정 모듈(150)과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는 것에 관해서는, 스텝 S1716과 동등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716에서는, 휘도 보정 모듈(950)이 화상의 휘도를 보정한다. 즉, 포깅의 경사 정도(스텝 S1710에서 추정한 함수)를 이용하여, 포깅 제거량을 산출하고, 각 좌표에 있어서의 화소값을 보정한다. 여기에서의 보정이란,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고, 지표값(본래의 화상)을 생성하게 된다.
도 26, 도 27, 도 28은 채도 보정 모듈(150)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6의 예에 있어서, 영역(2610) 내의 4개의 교점(즉 교점(2612)은 라인(2206)과 라인(2226)의 교점이며, 교점(2614)은 라인(2206)과 라인(2228)의 교점이며, 교점(2616)은 라인(2208)과 라인(2226)의 교점이며, 교점(2618)은 라인(2208)과 라인(2228)의 교점임)의 포깅량의 계산에 대해서,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교점은 무효 데이터로서 취급되어 있었던 영역에 있는 교점이다.
교점(2612)에 있어서의 휘도값은 (19)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6
(19)식은, 라인(2206)에 있어서의 함수(ri)와 라인(2226)에 있어서의 함수(cj)의 교점(2612)(xi, yi)에 있어서의 값의 평균값이다. 교점(2614)에 있어서의 휘도값도, 라인(2206)에 있어서의 함수(ri)와 라인(2228)에 있어서의 함수(cj+1)의 교점(2614)(xi+1, yj)에 있어서의 값의 평균값이다. 교점(2616)에 있어서의 휘도값도, 라인(2208)에 있어서의 함수(ri+1)와 라인(2226)에 있어서의 함수(cj)의 교점(2616)(xi, yj+1)에 있어서의 값의 평균값이다. 교점(2618)에 있어서의 휘도값도, 라인(2208)에 있어서의 함수(ri+1)와 라인(2228)에 있어서의 함수(cj+1)의 교점(2618)(xi+1, yj +1)에 있어서의 값의 평균값이다. 이렇게, 라인의 교점에 있는 화소의 휘도값은 횡 방향의 함수값과 종 방향의 함수값의 평균값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점이 아닌 화소,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낸 중간점(2722)에 있어서의 휘도는, (20)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20)식은, 중간점(2722)에 있어서의 휘도를 주위의 4개의 교점의 휘도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점 이외의 화소에 있어서의 (20)식에 의한 산출은, 교점에 있어서의 휘도값을 산출한 후에 행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7
중간점(2722)의 위치를 (x, y)라고 하고 있다. 또한, (20)식의 우변의 W((x, y), (xi, yi))는 거리 가중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중간점(2722)으로부터의 교점(교점(2612, 2614, 2616, 2618))까지의 거리에 의한 가중치이며, 4개의 교점의 가중치의 합계가 1이 되는 값이며, 예를 들면 거리의 역수를 이용한 값이다. 따라서, 각 교점으로부터 등(等)거리에 있을 경우에는, 각 교점에 있어서의 휘도의 1/4을 더한 값으로 된다.
그리고, (21)식에 의해 포깅량을 산출한다.
Figure 112012017614691-pat00018
또한, p은 보정 목표값이 되는 휘도값이다.
도 28은 포깅량을 제거한 형태를 3차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x축, y축은 화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z축은 휘도값을 나타내는 공간이다. 회색의 면이 포깅의 화상이며, 화상 전체를 덮고 있게 위치해 있다. 그리고, 얇은 격자 모양의 면이 보정한 후의 화상의 휘도를 나타내고 있다. p은 도 28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1)에 나타낸 화상에 있어서의 밝은 휘도값이다. 이것에 맞추도록, 각 점에 있어서의 휘도를 올리도록 해서 포깅을 제거하고 있다. 도 28에서는, 중간점(2722)의 휘도를 끌어 올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1718에서는, 출력 모듈(160)이 보정한 화상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로 포깅을 제거한 화상을 인쇄한다.
<제 6 실시형태>
도 29는 제 6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이다.
제 6 실시형태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것이며, 도 29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접수 모듈(110),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 화소값 측정 모듈(1640),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 보정 모듈(910), 출력 모듈(160)을 갖고 있다. 보정 모듈(910)은 채도 보정 모듈(150), 휘도 보정 모듈(950)을 갖고 있다.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은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보정 모듈(910)과 접속되어 있고,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그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은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화상 접수 모듈(110)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 보정 모듈(150)과 휘도 보정 모듈(950)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해도 된다.
보정 모듈(910) 내의 채도 보정 모듈(150)은 제 5 실시형태의 채도 보정 모듈(150)과 동등하지만,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보정 모듈(910) 내의 휘도 보정 모듈(950)은 제 5 실시형태의 휘도 보정 모듈(950)과 동등하지만,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한다.
도 30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3002에서는, 화상 접수 모듈(110)이 대상 화상을 접수한다.
스텝 S3004에서는,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이 색값의 변화가 완만하고 연속한 영역을 추출한다.
스텝 S3006에서는,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이 포깅의 경사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영역을 추출한다.
스텝 S3008에서는, 화소값 측정 모듈(1640)이,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라인을 주사하고, 화소값을 측정한다.
스텝 S3010에서는,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이 측정한 화소값의 집합으로부터, 포깅의 경사 정도를 추정한다.
스텝 S3012에서는,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이 보정 목표값을 보정한다.
스텝 S3014에서는,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이 휘도 보정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행할 경우에는 스텝 S3016으로 진행되고, 그 외일 경우에는 스텝 S3020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16에서는, 채도 보정 모듈(150)이 화상의 채도를 보정한다.
스텝 S3018에서는, 휘도 보정 모듈(950)이 화상의 휘도를 보정한다.
스텝 S3020에서는, 출력 모듈(160)이 보정한 화상을 출력한다.
전술한 도 33의 (a) 내지 (c)의 설명에 있어서, 제 5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와의 비교에 대해서, 도 33의 (c) 내지 (f)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3의 (c)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화상(3330) 내를 라인(3332)으로 주사했을 경우의 휘도값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33의 (d)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포깅 화상(3320)은 우측 방향을 향할 수록 짙어지기 때문에, 휘도값은 우측으로 내려가게 되지만, 원래의 화상에 있어서의 원래의 휘도값이 있으므로, 도 33의 (d)의 그래프의 예와 같이, 휘도 분포(3342), 휘도 분포(3344), 휘도 분포(3346), 휘도 분포(3348)로 단계적인 휘도의 분포를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도 33의 (f)의 예와 같이, 목표 휘도가 되도록 각 휘도를 보정하면, 그 결과는 도 33의 (e)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정 화상(3340)으로 된다. 배경이 백색이 아닌 영역(3312)과 같은 부분은, 휘도가 지나치게 밝아지게 되어, 적색도 빠지게 된 화상이 되게 된다. 이것은, 유채색의 부분은 백색 배경보다 낮은 휘도값이 됨에도 불구하고, 「일면 전체가 흰 종이 원고」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5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영역(3314)을 선택하고, 그 영역(3314)에 의거하여 포깅 제거량을 산출하고, 화상을 보정하고 있다. 배경이 백색이 아닌 영역(3312)과 같은 부분은, 도 33의 (e)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정 화상(3340)에 비해, 휘도가 지나치게 밝아지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3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4에 나타낸 구성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스캐너 등의 데이터 판독부(3417)와, 프린터 등의 데이터 출력부(3418)를 구비한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3401)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종의 모듈, 즉 포깅량 추정 모듈(120), 화소값 측정 모듈(130), 보정 목표값 결정 모듈(140), 채도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5), 채도 보정 모듈(150), 휘도 보정 모듈(950), 보정 가부 판단 모듈(1445), 비에지 영역 추출 모듈(1620), 검사 영역 선택 모듈(1630), 화소값 측정 모듈(1640), 화소값 분포 추정 모듈(1650), 소벨 필터 모듈(1910), 2치화 모듈(1920), 흑백 반전 모듈(1930), 라벨링 모듈(1940), 소사이즈 제거 모듈(1950) 등의 각 모듈의 실행 시퀀스를 기술한 컴퓨터·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이다.
ROM(Read Only Memory)(3402)은 CPU(34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3403)은 CPU(340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다. 이것들은 CPU 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340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3404)는, 브리지(3405)를 통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3406)에 접속되어 있다.
키보드(3408),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3409)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 디바이스이다. 디스플레이(3410)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CRT(Cathode Ray Tube) 등이 있고, 각종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 정보로서 표시한다.
HDD(Hard Disk Drive)(3411)는 하드디스크를 내장하며, 하드디스크를 구동하고, CPU(3401)에 의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시킨다. 하드디스크에는, 접수한 화상, 추정한 포깅량, 측정한 화소값(휘도값과 채도값), 결정한 보정 목표값, 추출한 영역의 화상, 추정한 함수 등이 저장된다. 또한, 그 밖의 각종의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등, 각종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드라이브(3412)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341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3407), 외부 버스(3406), 브리지(3405), 및 호스트 버스(3404)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RAM(3403)에 공급한다. 리무버블 기록 매체(3413)도,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접속 포트(3414)는 외부 접속 기기(3415)를 접속하는 포트이며, USB, IEEE1394 등의 접속부를 가진다. 접속 포트(3414)는 인터페이스(3407), 및 외부 버스(3406), 브리지(3405), 호스트 버스(3404) 등을 통해 CPU(3401) 등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3416)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판독부(3417)는, 예를 들면 스캐너이며, 다큐먼트의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출력부(3418)는, 예를 들면 프린터이며, 다큐먼트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34에 나타낸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1개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실시형태는 도 34에 나타낸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모듈을 실행 가능한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면, 일부의 모듈을 전용 하드웨어(예를 들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ASIC) 등)로 구성해도 되고, 일부의 모듈은 외부의 시스템 내에 있어 통신 회선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과 같은 형태여도 되고, 또한 도 34에 나타낸 시스템이 복수 서로 통신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서로 협조 동작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복사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복합기(스캐너, 프린터, 복사기, 팩스 등의 어느 2개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등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종의 실시형태를 조합시켜도 되고(예를 들면, 임의의 실시형태 내의 모듈을 다른 실시형태 내에 추가하는, 교체를 하는 등도 포함함), 또한 각 모듈의 처리 내용으로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기술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설명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기록 매체에 저장해서 제공해도 되고, 또한 그 프로그램을 통신 수단에 의해 제공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설명한 프로그램에 대해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발명으로서 파악해도 된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프로그램의 인스톨, 실행, 프로그램의 유통 등을 위해 이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말한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버서틀·디스크(DVD)로서, DVD 포럼에서 책정된 규격인 「DVD-R, DVD-RW, DVD-RAM 등」, DVD+RW에서 책정된 규격인 「DVD+R, DVD+RW 등」, 콤팩트 디스크(CD)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CD 레코더블(CD-R), CD 리라이터블(CD-RW) 등, 블루레이·디스크(Blu-ray Disc(등록상표)), 광자기디스크(MO), 플렉서블 디스크(FD), 자기테이프, 하드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소거 및 재기입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등록상표)), 플래시·메모리, 랜덤·액세스·메모리(RAM)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의 프로그램 또는 그 일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해서 보존이나 유통 등 시켜도 된다. 또한, 통신에 의해, 예를 들면 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LAN), 메트로폴리탄·에어리어·네트워크(MAN), 와이드·에어리어·네트워크(WAN),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등에 이용되는 유선 네트워크, 혹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한 이들의 조합 등의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전송시켜도 되고, 또한 반송파에 실어서 반송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의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의 일 부분이어도 되고, 혹은 별개의 프로그램과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록 매체에 분할해서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압축이나 암호화 등, 복원 가능하면 어떤 태양으로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아래와 같이 파악할 수도 있다.
[A1]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화소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A2]
상기 추출 수단은 미리 정한 크기 이상 또는 보다 큰 영역을 추출하고, 당해 영역을 추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선택 수단 이후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 [A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3]
상기 선택 수단에 있어서의 미리 정한 규칙은,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의 크기에 의해 정해져 있는 [A1] 또는 [A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4]
상기 선택 수단은, 미리 정한 규칙으로서,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의 휘도 또는 색상에 의해 더 정해져 있는 [A3]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5]
상기 선택 수단은, 미리 정한 규칙으로서,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의 채도의 분산값, 상기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 외주의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더 정해져 있는 [A3] 또는 [A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6]
상기 측정 수단은, 화소값을 측정하는 주사 방향으로서 수평 방향, 수직 방향, 경사 방향, 타원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인 [A1] 내지 [A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7]
상기 추정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지나가는 함수를 추정하는 [A1] 내지 [A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8]
상기 제거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한 주사 방향이 복수 방향 있고, 당해 주사 방향이 교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포깅의 값은, 상기 주사에 대하여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복수의 함수에 의해 구해진 값에 의거하여 산출하는 [A7]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A9]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공정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화소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공정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A10]
화상을 접수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화소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포깅을 제거하는 화상 처리 방법.
[B1]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B2]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을 기본 보정량으로 하고, 당해 기본 보정량을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당해 포깅량과의 차분에 의거한 계수에 의해 변경하고, 당해 변경한 기본 보정량에 의거하여, 당해 휘도값을 보정하는 [B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3]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상기 포깅량과의 차분이 커지면, 상기 기본 보정량을 작게 하는 계수로 하는 [B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4]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상기 포깅량과의 차분이 미리 정한 문턱값 이상 또는 클 경우에는, 당해 휘도값의 보정을 행하지 않는 [B2] 또는 [B3]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5]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기본 보정량을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과 상기 포깅량과의 차분과 상기 기본 보정량에 의거한 계수에 의해 변경하는 [B2] 내지 [B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6]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B1] 내지 [B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7]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B1] 내지 [B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8]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화소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B9]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B8]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10]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당해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B8]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B11]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B12]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공정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화소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있어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공정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B13]
화상을 접수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 있어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Claims (16)

  1.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fogging)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下地)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이 무채색에 가까워질 수록, 채도값의 보정량을 적게 하도록 보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서의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제 2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서의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화상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으로부터,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에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추정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제 2 보정 수단과,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에 의해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화상 내의 각 화소에서의 당해 포깅량끼리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보정 수단과 상기 제 2 보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보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과;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2.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값 보정을 행할지와 휘도값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과;
    채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공정과;
    휘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3.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을 접수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는 공정과;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공정과;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는 공정과;
    측정된 휘도값으로부터, 접수된 화상에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는 공정과;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는 공정과;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값 보정을 행할지와 휘도값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과;
    채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공정과;
    휘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4. 화상을 접수하고,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채도값을 측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보정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15. 화상을 접수하고,
    접수된 화상에 의거하여, 본래의 화소의 휘도값과 당해 화상의 화소의 휘도값과의 차이인 포깅량을 추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값 보정을 행할지와 휘도값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채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고,
    휘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16. 화상을 접수하고,
    접수된 화상으로부터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을 미리 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 내의 화소의 휘도값과 채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휘도값으로부터, 접수된 화상에서의 포깅의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를 추정하고,
    접수된 화상 내의 바탕에서의 휘도값의 보정 목표값을 결정하고,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과의 차분에 의거하여 채도값 보정을 행할지와 휘도값 보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채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보정 목표값과 측정된 채도값의 무채색으로부터의 거리에 의거하여, 당해 채도값을 보정하고,
    휘도값 보정을 행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추정된 함수에 의거하여 포깅량을 산출하고, 당해 포깅량과 결정된 보정 목표값에 의거하여, 측정된 휘도값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120022180A 2011-05-27 2012-03-05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556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9034 2011-05-27
JP2011119034A JP5782838B2 (ja) 2011-05-27 2011-05-27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315A KR20120132315A (ko) 2012-12-05
KR101556223B1 true KR101556223B1 (ko) 2015-09-30

Family

ID=4720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80A KR101556223B1 (ko) 2011-05-27 2012-03-05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8637B2 (ko)
JP (1) JP5782838B2 (ko)
KR (1) KR101556223B1 (ko)
CN (1) CN102801900B (ko)
AU (1) AU201125401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2838B2 (ja) * 2011-05-27 2015-09-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3516959B (zh) * 2012-06-30 2016-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设备
US9460497B2 (en) 2012-09-21 2016-10-04 Htc Corporation Image enhancement methods and systems using the same
JP5990217B2 (ja) * 2014-05-21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9305242B2 (en) * 2014-08-15 2016-04-05 National Taipei University Of Technology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image visibility restoration using fisher's linear discriminant based dual dark channel prior
CN106559601B (zh) * 2015-09-29 2019-03-15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校准系统、校准方法以及图像形成装置
JP7227785B2 (ja) * 2019-02-18 2023-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117A (ja) 2000-11-13 200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色−テクスチャ距離の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映像の領域区分方法及び装置
JP2005072822A (ja) 2003-08-22 2005-03-17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013846A (ja) * 2005-07-04 2007-01-1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8301489A (ja) * 2007-05-31 2008-12-11 Sharp Corp 無彩色近傍の画素の色の着色を抑制する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350B2 (ja) * 1998-03-12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635947B2 (ja) * 1995-07-17 1997-07-30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
US6694051B1 (en) * 1998-06-24 2004-02-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628830B1 (en) * 1998-06-24 2003-09-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426189B2 (ja) 2000-04-26 2003-07-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処理方法、相対濃度の検出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251056B2 (en) * 2001-06-11 2007-07-31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111697B2 (ja) * 2001-08-29 2008-07-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輝度補正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51739A (ja) * 2003-07-16 2005-02-24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該画像処理方法による画像処理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収容した記録媒体
JP3949684B2 (ja) 2004-04-30 2007-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階調補正装置、階調補正用プログラム、携帯端末機器及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4271085B2 (ja) * 2004-06-03 2009-06-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補正装置、画像読取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991411B2 (ja) * 2006-07-28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4561823B2 (ja) * 2007-12-25 2010-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9290660A (ja) 2008-05-30 2009-12-1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
JP2009290661A (ja) 2008-05-30 2009-12-1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
JP5488530B2 (ja) * 2011-05-23 2014-05-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10628B2 (ja) * 2011-05-25 2015-1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82838B2 (ja) * 2011-05-27 2015-09-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4078808A (ja) * 2012-10-09 2014-05-01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117A (ja) 2000-11-13 200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色−テクスチャ距離の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映像の領域区分方法及び装置
JP2005072822A (ja) 2003-08-22 2005-03-17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013846A (ja) * 2005-07-04 2007-01-1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8301489A (ja) * 2007-05-31 2008-12-11 Sharp Corp 無彩色近傍の画素の色の着色を抑制する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54016A1 (en) 2012-12-13
US20120301026A1 (en) 2012-11-29
KR20120132315A (ko) 2012-12-05
CN102801900B (zh) 2016-12-14
AU2011254016B2 (en) 2014-02-13
JP2012249065A (ja) 2012-12-13
CN102801900A (zh) 2012-11-28
US8958637B2 (en) 2015-02-17
JP5782838B2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740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556223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597739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JP201305460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1892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444130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JP588724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1724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0357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410356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4228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97894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8018153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5098488B2 (ja) 画像処理装置
JP5053979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028346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4048130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11178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