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75B1 - 진드기 채집기 - Google Patents

진드기 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75B1
KR101555975B1 KR1020150000651A KR20150000651A KR101555975B1 KR 101555975 B1 KR101555975 B1 KR 101555975B1 KR 1020150000651 A KR1020150000651 A KR 1020150000651A KR 20150000651 A KR20150000651 A KR 20150000651A KR 101555975 B1 KR101555975 B1 KR 10155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ttracting
mite
base
mi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일
박원일
노종열
신은희
송봉구
신이현
이욱교
주영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0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는: 측면의 폭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설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인제가 수용되고,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유인제 설치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방출되는 유인제에 의해 유인되어 도달되는 진드기가 접착식으로 채집되도록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외면에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구비된 채집부;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에워싸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지점까지 덮도록 상기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측면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진드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만큼 하부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청결하고 편리하게 진드기를 채집할 수 있으며, 질병의 유행예측을 정확하게 하도록 할 수 있는 진드기 채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드기 채집기 {acari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드기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드기가 좋아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진드기를 유인하여 채집 및 예찰 할 수 있는 진드기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진드기는 라임병, 에를리키아, 진드기 매개발진열, 큐열, 진드기매개뇌염 등 다양한 질병을 전파하는 매개체로서, 진드기와 매개감염병과의 상호작용 및 감염병유행예측을 하기 위하여 야생에 서식하는 진드기를 채집한다.
일반적으로 진드기를 채집하기 위해서는 야생 설치류를 채집하여 마취 및 안락사시킨 후, 24시간 이상 동안 설치류를 물위에 매달아서 진드기를 채집한다.
이러한 진드기를 채집하기 위한 쥐 포획 수단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48281호(2012년05월11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자가 야생 설치류를 일일이 채집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웠고, 설치류를 다룰 때에 작업자가 불쾌감을 느꼈으며, 작업자가 야생 설치류로부터 질병에 감염될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또한, 설치류를 포획하는데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되었다.
또한, 야생 설치류의 서식공간과 사람의 활동공간의 차이로 질병의 유행예측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48281호(2012년05월11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청결하고 편리하게 진드기를 채집할 수 있으며, 질병의 유행예측을 정확하게 하도록 할 수 있는 진드기 채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는: 측면의 폭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설치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인제가 수용되고,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유인제 설치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방출되는 유인제에 의해 유인되어 도달되는 진드기가 접착식으로 채집되도록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외면에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구비된 채집부;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에워싸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지점까지 덮도록 상기 커버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측면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진드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만큼 하부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의 외면에는 흡열 수단이 구비되고, 내면에는 방열 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채집부는, 상기 유인제 설치부에 탈부착되는 점착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의 외측에 접착되어 진드기가 들러붙도록 구비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결하고 편리하게 진드기를 채집할 수 있고, 질병의 유행예측을 정확하게 함은 물론, 사용하는데 있어서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진드기 채집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진드기 채집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같은 설치면(1)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는 유인제 설치부(120)와, 유인제 설치부(12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채집부(130)와, 유인제 설치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부(140)와, 커버부(140)에 결합되는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외 측면의 폭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측면이 경사지게 구비되며, 설치면(1)에 고정되도록 하부에 막대형상의 고정부(111)가 마련되어 고정부(111)가 설치면(1)에 깊숙이 박혀 설치면(1)에 설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의 상부에는 유인제 설치부(120)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의 외면이 경사지게 구비된 것은 오르기를 좋아하는 진드기(5)의 습성을 이용하여 진드기(5)가 채집부(130)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100)에 의해 채집되는 진드기(5)는 주로 쯔쯔가무시증을 일으키는 매개충인 털 진드기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참 진드기가 채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인제 설치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진드기(5)를 채집부(130)로 유인하기 위한 유인제(3)가 수용되고,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이때, 유인제 설치부(1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질시 소정의 탄성을 갖는다.
한편, 유인제 설치부(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유인제(3)는 냄새가 지면으로 충분히 퍼지게 하기 위하여 공기보다 밀도가 높은 체액과 유사한 성분 및 이산화탄소가 사용된다. 또한, 암모니아, 젖산(lactic acid) 및 헥사노익 애시드(HEXAENOIC acid)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인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채집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21)을 통해 방출되는 유인제(3)에 의해 유인되어 도달되는 진드기(5)가 접착식으로 채집되도록 유인제 설치부(120)의 외면에서 관통홀(121)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진드기(5)가 유인제(3)의 냄새를 맡고 유인되어 베이스부(110)를 기어올라 관통홀(121)을 향해 가다가 관통홀(121)에 도달되기 전에 채집부(130)에 접착되어 포획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채집부(130)가 원통체의 형상으로 된 유인제 설치부(120)의 외주 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둘러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유인제 설치부(120)의 높이를 필요한 만큼 줄일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슬림화할 수 있고, 크기가 소형화 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채집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 설치부(120)에 탈부착되는 점착 부재(131)와, 점착 부재(131)의 외측에 접착되어 진드기가 들러붙도록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끈끈이 형태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13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유인제 설치부(120)는 자성을 갖는 금속과 같은 자성체로 구비되고, 채집부(130)는, 유인제 설치부(120)에 탈부착되는 고무자석과, 고무자석의 외측에 접착된 접착 부재(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접착 부재(135)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고무자석의 외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을 이루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집부(13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진드기(5)를 채집하기 위해 별도의 채집부(130)를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유인제 설치부(120)의 외면에서 관통홀(121)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접착 테이프를 도포하여 진드기(5)가 채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커버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제 설치부(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유인제 설치부(1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유인제 설치부(120)의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와 채집부(130)의 접착제가 햇빛이나 비 또는 바람 등에 의해 손실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커버부(140)에 의해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가로막히고 하부가 개방되며 하부의 테두리부는 다시 말아올린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물림 절곡부(141)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후술할 걸림 절곡부(155)가 물림 절곡부(141)에 맞물려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가 커버부(140)에 분리형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됨으로써 진드기 채집기(100)를 통해 채집되는 진드기(5)를 확인하고 관찰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커버부(140)와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가 일체형으로 마련된다면 작업자는 일일이 장치를 해체하여 진드기가 채집된 부분을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 수행이 곤란해지고 장치의 설치 유지 보수 관리 또한 어려워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 문제도 부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40)를 에워싸며 베이스부(110)의 하단 지점까지 덮도록 커버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측면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진드기(5)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G)만큼만 하부가 설치면(1)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가운데 중심부에 커버부(140)가 관통되는 개구(151)가 형성된 갓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구(151)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는 하향 절곡되어 커버부(140)의 물림 절곡부(141)에 맞물리는 걸림 절곡부(15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가 경사진 갓의 형상으로 설치면(1)에 근접된 위치까지 진드기(5)가 통과하는 소정의 틈새(G)만큼만 이격되게 연장되어 진드기(5)가 좋아하는 그늘막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인제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손실되지 않고 진드기(5)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하도록 설치면(1)을 향해 하부로 널리 퍼져나가게 안내함으로써 진드기(5)의 유인 및 채집 성능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유인제가 햇볕, 비, 바람 등으로부터 유실되지 않고 보호되며 진드기(5)를 유인하여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하부 공간 안으로 진드기(5)가 효과적으로 모여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인제 설치부(120)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집부(130)의 접착제가 햇볕이나 비 또는 바람 등에 의해 손실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외면에는 흡열 수단이 구비되고, 내면에는 방열 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외면에는 햇빛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티타늄 동과 같은 금속 성분이나 흡열 나노 도료 등을 이용한 흡열 코팅층(160)이 흡열 수단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높은 열 전도성을 나타내며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하부 공간으로 열을 서서히 방출하도록 알루미늄 나노 재료 등을 도포한 방열 코팅층(170)이 방열 수단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가 외면에 형성된 흡열 코팅층(160)에 의해 열은 흡수하되 자외선은 차단하고 내면에 형성된 방열 코팅층(170)에 의해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에 의해 감싸지는 하부의 내부 공간으로는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에 저장되어 있던 원적외선과 같은 열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여 진드기가 좋아하는 서식환경, 즉 온도는 따뜻하나 직사광선은 차단되는 그늘막이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진드기(5)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인되고 채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진드기 채집기(100)에 의해 진드기(5)가 채집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유인제(3)를 배치하고, 유인제 설치부(120)의 하부를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끼워 넣는다.
이때, 진드기(5)를 채집하고자 하는 장소의 설치면(1)에 베이스부(110)가 설치되도록 베이스부(110)의 고정부(111)가 설치면(1)에 박히게 하여 베이스부(110)의 하면이 설치면(1)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유인제 설치부(120)의 외측 둘레면에서 관통홀(121)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채집부(130)의 점착 부재(131)를 부착하고, 점착 부재(131)의 외측에 접착 부재(135)를 접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커버부(140)를 유인제 설치부(120)의 상부에 설치하고,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를 커버부(140)에 결합한다.
이때,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개구(151)를 통해 커버부(140)의 중심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걸림 절곡부(155)가 커버부(140)의 물림 절곡부(141)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 유인제 설치부(120)의 내부에 수용된 유인제(3)가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안내를 받아 설치면(1)으로 퍼져나가고, 유인제(3)의 냄새를 맡은 진드기(5)들은 유인제의 냄새가 나는 곳을 향해 이동하여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의 하부로 모여든다.
계속해서, 진드기(5)는 베이스부(110)를 타고 올라가다가 채집부(130)에 접착되어 포획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 된 후, 작업자는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150)를 커버부(140)로부터 따로 분리해 내고 진드기(5)가 포획된 채집부(130)를 유인제 설치부(120)로부터 떼어내어 작업실로 가져간다. 그러고나서, 작업자는 포획된 진드기(5)를 육안으로 계수한 후 채집부(130)의 접착 부재(135)를 세척하여 진드기(5)를 접착 부재(135)로부터 제거하고, 나중에 이를 다시 재활용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진드기가 기생하는 동물을 따로 포획할 필요도 없이 진드기를 간편하게 채집할 수 있고, 비위생적인 동물과 접촉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 환경이 위생적으로 청결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135)를 재활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고, 진드기 채집기(100)를 사람이 활동하는 지역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질병들이 보다 정확히 예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부 120 : 유인제 설치부
121 : 관통홀 130 : 채집부
131 : 점착 부재 135 : 접착 부재
140 : 커버부 150 :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

Claims (3)

  1.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베이스부; 유인제를 수용하고, 둘레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유인제 설치부;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개방된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덮고, 둘레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물림 절곡부를 이루는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 하단까지 이격하게 덮으면서 하부가 지면에 인접하도록 되고, 상기 물림 절곡부와 착탈하게 맞물려 연결되는 걸림 절곡부가 상부에 형성된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진드기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의 외면에는 흡열 수단이 구비되고, 내면에는 방열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채집기.
  2. 삭제
  3.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베이스부; 유인제를 수용하고, 둘레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성되는 유인제 설치부; 상기 유인제 설치부의 개방된 상부를 착탈 가능하게 덮고, 둘레가 상향으로 절곡되어 물림 절곡부를 이루는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 하단까지 이격하게 덮으면서 하부가 지면에 인접하도록 되고, 상기 물림 절곡부와 착탈하게 맞물려 연결되는 걸림 절곡부가 상부에 형성된 진드기 유인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진드기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방출되는 유인제로 유인된 진드기가 접착으로 채집되도록 상기 유인제 설치부에 배치되는 채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집부는 유인제 설치부에 탈부착되는 점착 부재와, 상기 점착 부재의 외측에 접착되어 진드기가 붙도록 구비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채집기.
KR1020150000651A 2015-01-05 2015-01-05 진드기 채집기 KR10155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51A KR101555975B1 (ko) 2015-01-05 2015-01-05 진드기 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51A KR101555975B1 (ko) 2015-01-05 2015-01-05 진드기 채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975B1 true KR101555975B1 (ko) 2015-10-01

Family

ID=5433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51A KR101555975B1 (ko) 2015-01-05 2015-01-05 진드기 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19A (ko) * 2018-11-16 2020-05-26 홍금덕 와구모용 포충기
KR20220007424A (ko) * 2020-07-10 2022-0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진드기 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610A (ja) 2007-10-04 2009-04-30 Jgl:Kk ダニシート
JP7040854B2 (ja) * 2012-10-25 2022-03-23 サンパワ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裏面反射板付き両面受光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610A (ja) 2007-10-04 2009-04-30 Jgl:Kk ダニシート
JP7040854B2 (ja) * 2012-10-25 2022-03-23 サンパワ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裏面反射板付き両面受光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19A (ko) * 2018-11-16 2020-05-26 홍금덕 와구모용 포충기
KR102139566B1 (ko) * 2018-11-16 2020-07-30 홍금덕 와구모용 포충기
KR20220007424A (ko) * 2020-07-10 2022-0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진드기 트랩
KR102457209B1 (ko) * 2020-07-10 2022-10-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진드기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018B2 (ja) げっ歯動物を捕獲する生け捕り罠
KR101555975B1 (ko) 진드기 채집기
DE602004030129D1 (de) Insektenfalle sowie verfahren zum fangen und aufbewahren von schadinsekten
KR101391174B1 (ko) 해충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WO2016036921A1 (en) Modular insect trap
KR100900046B1 (ko) 해충 포집장치
WO2015129976A1 (ko) 손잡이가 구비된 유해생물 방제트랩
US9066510B2 (en) Trap with improved rodent retention characteristics
JP2011254746A (ja) 害虫捕獲器及び害虫捕獲器の使用方法
CA2861794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CN105900960A (zh) 卫生捕虫器
CN110708955A (zh) 送风装置
CN209898043U (zh) 一种便于清洁的灭蝇笼
JP4702131B2 (ja) 屋外フード
KR20170101547A (ko) 곤충 포집장치
US8613259B1 (en) Dust free litter box
KR101855818B1 (ko) 곤충 포집장치
JP2005046045A (ja) 捕獲殺虫装置
KR100912605B1 (ko) 해충포획장치
CN208159911U (zh) 一种捕虫器
KR200416317Y1 (ko) 곤충 포집기
KR20120090222A (ko) 쥐포획장치
JP3169758U (ja) 胡蜂捕獲器
CN218073171U (zh) 适用于多足类害虫的诱捕器
KR102288187B1 (ko) 사용이 편리한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