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889B1 -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 Google Patents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889B1
KR101555889B1 KR1020140037597A KR20140037597A KR101555889B1 KR 101555889 B1 KR101555889 B1 KR 101555889B1 KR 1020140037597 A KR1020140037597 A KR 1020140037597A KR 20140037597 A KR20140037597 A KR 20140037597A KR 101555889 B1 KR101555889 B1 KR 10155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breaker
cutting
chip
cutting inser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철
양주희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Priority to KR102014003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22Cutting tools with chip-break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륜의 절삭가공시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절곡처리된 형상의 칩 브레이커를 구비하여 플로우 칩이나 롱 칩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칩 브레이킹 작용을 효과적으로 강화함을 제공하도록, 절삭장비의 공구용 홀더 상에 체결된 절삭바이트의 한쪽 선단에 결속가능하게 장착홀이 형성되는 하부면과,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사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되 모서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면이 상호 접하는 위치에 절인부를 형성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칩브레이커는 가공물을 향한 절삭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사면 상에 형성되고 가공물의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Cutting Insert Having a Chip Breaker}
본 발명은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륜의 절삭가공시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절곡처리된 형상의 칩 브레이커를 구비하여 플로우 칩이나 롱 칩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칩 브레이킹 작용을 효과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가능한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구동을 위한 필수구성인 차륜(車輪)은 철도차량의 운행시 안전에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서, 레일 면에 접촉하여 철도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답면과 철도차량의 구름운동에 의한 레일 선상에서의 탈선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플랜지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도차륜은 차량의 운행에 따른 레일과의 지속적인 접촉하중 및 접촉마찰에 따라 차륜의 답면이나 플랜지면의 마모량이 빠르게 진행되며 차륜의 형상이 점차 변형되고, 이는 철도차량의 주행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차륜의 파손은 물론 탈선을 유발시켜 대형 인명피해를 일으키므로 차륜을 수시로 교체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반면 최근에는 철도차륜에서 답면과 플랜지면 간의 상호 형상을 원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철도차륜의 형상복원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철도차륜의 형상복원은 가공물을 가공가능한 구조를 갖는 공작기계 중에서 CNC절삭기계를 사용하여 가공물인 철도차륜의 답면과 플랜지면을 절삭가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절삭기계에는 가공물을 절삭가공할 수 있도록 접촉하는 다양한 형태의 절삭공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절삭공구의 일반적인 구성은 절삭기계의 공구용 홀더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이트가 형성되고, 바이트의 한쪽 끝단에는 탈착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되 절인(cutting edge)을 가지고 있는 절삭인서트가 구성된다.
한편 철도차륜의 형상복원가공은 절삭기계에 가공물인 철도차륜을 고정한 후 회전시키되 철도차륜의 답면이나 플랜지면을 절삭인서트의 절인부분에 접촉시켜 철도차륜의 답면 또는 플랜지면에 대한 절삭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절삭가공 중 절삭인서트가 가공물에 접함에 따라 배출되는 절삭칩의 경우 절삭인서트가 접함과 동시에 길게 나와 가공물이나 공구용 홀더 또는 절삭인서트 등에 감기기 때문에 연속적인 절삭작업이 불가능하고 절삭칩이 가공면을 긁어서 면조도를 거칠게 하며, 나아가 절삭인서트나 공구용 홀더 등의 장비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절삭인서트의 상부에 경사면이나 칩포켓면, 랜드면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절삭가공시 배출되는 절삭칩이 칩브레이커를 거쳐 둥글게 곡율반경을 갖게 되는 컬링(curling)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컬링 반경이 일정값보다 작아지면 절삭칩이 절단된다.
상기와 같이 칩브레이커를 갖는 절삭인서트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36206호(2002.04.29.)에는 전용 금형을 이용하여 형압 및 소결의 방식으로 제공된 칩 브레이커를 가지며, 자유 곡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마루와 골을 구비하는 상부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절삭 인서트를 공구용 홀더에 고정시킬 때 상기 공구용 홀더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절삭 인서트를 지지하는 하부면; 상기 절삭 인서트의 모서리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절인부로서, 상기 모서리 절인부는 상기 절삭 인써트의 제1측면부로부터 이어지며, 모서리 절인, 모서리 절인 랜드면의 곡면, 모서리 칩홈의 곡면, 및 상기 모서리 칩홈의 만곡면에 인접한 첫 번째 골로부터 상기 첫 번째 골에 인접한 첫 번째 마루의 정점까지 연장된 만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절인부의 곡면의 중심은 상기 모서리 절인의 중심에서 상기 절삭 인서트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이등분선을 따르는 평면상에 투영되고, 상기 모서리 절인 랜드면의 곡면은 1∼30㎜의 곡률 반경을 갖는, 모서리 절인부; 및 주절인 및 상기 이등분선을 따라서 상기 주절인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경사진 주절인 랜드면을 포함하는 주절인부로서, 상기 주절인은 상기 모서리 절인과 연결되며 상기 모서리 절인에 대하여 35∼180°의 모서리각을 이루고, 상기 주절인 랜드면은 상기 절삭 인서트의 제2측면부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마루와 상기 골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절인 랜드면과 상기 마루와 상기 골이 이루는 곡면은 5∼15㎜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주절인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주절인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주절인과 부드럽게 만나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주절인은 상기 모서리 절인으로부터 상기 절삭 인서트의 중앙부쪽으로 하방향 연장되며 3 내지 20㎜의 곡률반경을 갖는 주절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절삭 칩의 배출 흐름에 대한 마찰 저항과 함께 절인이 받는 절삭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칩브레이커의 형상을 개선시킨 절삭 인서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절삭 인서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절삭 인서트를 사용하여 철도차륜의 형상을 복원토록 절삭가공하는 경우 도 1에서처럼 직선형으로 큰 곡경을 갖는 플로우 칩이 발생하거나 코일 스프링 형상의 롱 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절삭 칩이 계속해서 감기거나 엉켜 연속적인 절삭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제품에 대한 절삭 가공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칩 브레이킹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삭 칩이 전단될 수 있게 경사면을 따라 다단형으로 절곡형성된 칩브레이커를 구성하므로 플로우 칩이나 롱 칩의 발생을 방지하여 철도차륜의 형상복원에 대한 절삭 가공성을 높임은 물론 연속적인 절삭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칩브레이커의 경사길이를 길게 형성하므로 절삭칩의 컬링을 최대한으로 유도함은 물론 칩브레이킹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는 절삭장비의 공구용 홀더 상에 체결된 절삭바이트의 한쪽 선단에 결속가능하게 장착홀이 형성되는 하부면과,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사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되 모서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면이 상호 접하는 위치에 절인부를 형성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칩브레이커는 가공물을 향한 절삭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사면 상에 형성되고 가공물의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가공물의 절삭방향에 대응될 수 있게 전후로 배치된 경사면은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46~48°범위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양쪽 측면을 이루는 경사면은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43~48°범위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칩브레이커는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3.3~3.6㎜ 범위의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과 함께 단턱부에 접함에 따라 절삭된 가공물 칩의 형상은 "ω" 단면형상으로 전단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칩브레이커에는 절삭 인서트 중 상기 상부면에 접하는 하단의 모서리를 이루되 완만하게 굴곡된 구조를 갖는 만곡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경사면을 갖는 칩브레이커 상에 절곡형성된 단턱부를 구성하므로, 절삭 칩이 오메가(ω)형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배출되어 플로우 칩이나 롱 칩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절삭 칩이 상호 엉키거나 절삭공구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속적인 작업에 따른 가공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절삭 가공성을 높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는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가공물의 절삭방향에 대응된 경사면의 각도(46~48°)를 높이면서 인서트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기존보다 긴 길이(3.3~3.6㎜)의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절삭 칩의 컬링을 최대한 유도하여 강화된 칩브레이킹 기능에 따른 절삭 칩의 전단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절삭 칩 중 롱 칩의 경우에도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오메가 형상으로 인해 절삭 칩의 낙하충격만으로도 2차 전단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절삭 인서트를 사용하여 발생된 절삭 칩 형상은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공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칩브레이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은 절삭장비의 공구용 홀더 상에 체결된 절삭바이트의 한쪽 선단에 결속가능하게 장착홀이 형성되는 하부면과,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사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되 모서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면이 상호 접하는 위치에 절인부를 형성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칩브레이커는 가공물을 향한 절삭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사면 상에 형성되고 가공물의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가공물의 절삭방향에 대응될 수 있게 전후로 배치된 경사면은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46~48°범위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양쪽 측면을 이루는 경사면은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43~48°범위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브레이커는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3.3~3.6㎜ 범위의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과 함께 단턱부에 접함에 따라 절삭된 가공물 칩의 형상은 "ω" 단면형상으로 전단되도록 이루어지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칩브레이커에는 절삭 인서트 중 상기 상부면에 접하는 하단의 모서리를 이루되 완만하게 굴곡된 구조를 갖는 만곡단을 포함하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의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면(11) 및 상부면(13)과, 측부(15) 및 절인부(17)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면(13) 상에 칩브레이커(20)를 구비하는 절삭 인서트(10)에 있어서,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상에 형성된 단턱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삭 인서트(10)의 하부면(11)에는 절삭장비(예를 들면, CNC절삭기계 등)의 공구용 홀더 상에 체결된 절삭바이트 상에 고정 설치하되 절삭바이트의 한쪽 선단에 결속가능하게 장착홀(1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절삭 인서트(10)의 측부(15)는 상기 상부면(13)과 하부면(11)을 수직으로 상호 연결하되 모서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인부(17)는 가공물(C) 즉 철도차륜의 답면이나 플랜지면에 접하여 절삭하는 것으로서, 상기 측부(15)의 상단과 상기 상부면(13)이 상호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절인부(17)는 가공물(C)에 대응하여 접하는 2개의 면에만 형성하여 일방향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절인부(17)를 상기 측부(15)에 대한 4면 모두에 적용토록 형성하여 양방향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칩브레이커(20)는 상기 절삭 인서트(10)의 상부면(13)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칩브레이커(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면(4개의 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면(21)을 갖도록 구비한다.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중 가공물(C)의 절삭방향에 대응될 수 있게 전후로 배치된 경사면(21)은 상기 절삭 인서트(10)의 상부면(13)을 기준으로 46~48°범위의 경사각도(α1)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중 양쪽 측면을 이루는 경사면(21)은 상기 상부면(13)을 기준으로 43~48°범위의 경사각도(α2)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칩브레이커(20)의 전후로 배치된 경사면(21) 각도(α1)를 46°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경사도가 낮아 절삭가공과정에서 절삭 칩의 컬링을 유도하기 어려우므로 칩브레이킹 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각도(α1)가 48°를 초과하여 형성하는 경우 급한 경사로 인해 절삭 칩의 배출방향이 절삭바이트 쪽을 향하므로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 각도에 대해 적정 경사각도 범위로 구성하게 되면, 절삭 칩의 칩브레이킹 기능을 강화함은 물론 절삭 칩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절삭 인서트(10)의 상부면 모서리 즉 상기 절인부(17)로부터 상기 칩브레이커(20)의 하단부까지의 간격(D1)은 2.2~2.8㎜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절삭 인서트(10)의 절인부(17)와 상기 칩브레이커(20)의 하단부까지의 간격(D1)이 2.8㎜를 초과하는 경우 칩브레이킹 기능이 적용되기까지의 간격 폭이 멀어 큰 곡경의 플로우칩이 발생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칩브레이커(20)는 상기 절삭 인서트(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3.3~3.6㎜ 범위의 높이(L1)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칩브레이커(20)의 높이(L1)를 3.3㎜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절삭 칩에 대한 컬링이 원활하게 이뤄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턱부(25)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상에 형성되되 경사면(21) 중 가공물(C)을 향한 절삭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사면(21) 상에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25)는 가공물(C)의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칩브레이커(20)는 상기 단턱부(25)를 기준으로 상하로 상호 구분된 2개의 경사면(21)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과 함께 상기 단턱부(25)에 접함에 따라 절삭된 가공물 칩의 형상은 오메가 형상 즉 "ω" 단면형상으로 전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절삭 인서트(10)의 절인부(17)에 접하여 절삭된 가공물(C)의 절삭 칩이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중 하측에 위치한 경사면(21)에 접하여 1차 컬링된 후 상기 단턱부(25)를 지나면서 굽어지고,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중 상측에 위치한 경사면(21)에 연속적으로 접하여 2차 컬링되도록 형성되므로 "ω" 단면형상의 절삭 칩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단턱부(25)는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에서 전체적인 길이 중 1/2지점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0.8~1.5㎜의 길이(L2)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절삭가공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절삭바이트 상에 절삭 인서트(10)를 장착한 후 가공하되 회전구동중인 가공물(C)을 향해 절삭 인서트(10)의 절인부(17)가 접함으로 가공물(C)이 절삭가공된다. 이때 절삭 칩은 상기 절인부(17)로부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을 따라 컬링되는데, 상기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을 따라 컬링 중 단턱부(25)에 접하여 전단되면서 다시 경사면(21)에 접함에 따라 오메가 형상의 절삭 칩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오메가 형상의 절삭 칩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롱 칩으로도 변형 발생할 수 있으나 절삭 칩이 낙하충격에 의해 전단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칩브레이커(20)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칩브레이커(20)에는 상기 절삭 인서트(10) 중 상기 상부면(13)에 접하는 상기 칩브레이커(20) 하단의 모서리를 이루되 완만하게 굴곡된 구조를 갖는 만곡단(29)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칩브레이커(20)에 만곡단(29)을 형성하게 되면, 가공물(C)로부터 발생된 절삭 칩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에 의하면, 경사면(21)을 갖는 칩브레이커(20) 상에 절곡형성된 단턱부(25)를 구성하므로, 절삭 칩이 오메가(ω)형상을 이루며 연속적으로 배출되어 플로우 칩이나 롱 칩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절삭 칩이 상호 엉키거나 절삭공구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연속적인 작업에 따른 가공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절삭 가공성을 높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칩브레이커(20)의 경사면(21) 중 가공물(C)의 절삭방향에 대응된 경사면(21)의 각도를 높이면서 인서트의 상부면(13)을 기준으로 기존보다 긴 길이의 경사면(21)을 형성하므로, 절삭 칩의 컬링을 최대한 유도하여 강화된 칩브레이킹 기능에 따른 절삭 칩의 전단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절삭 칩 중 롱 칩의 경우에도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오메가 형상으로 인해 절삭 칩의 낙하충격만으로도 2차 전단효과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절삭 인서트 11 : 하부면 12 : 장착홀
13 : 상부면 15 : 측부 17 : 절인부
20 : 칩브레이커 21 : 경사면 25 : 단턱부
29 : 만곡단 C : 가공물
L1 : 칩브레이커의 높이 L2 : 단턱부의 길이
α1 : 칩브레이커의 전후 경사면 각도
α2 : 칩브레이커의 측면 경사면 각도
D1 : 절인부와 칩브레이커의 간격

Claims (5)

  1. 절삭장비의 공구용 홀더 상에 체결된 절삭바이트의 한쪽 선단에 결속가능하게 장착홀이 형성되는 하부면과, 상부에 돌출형성되되 사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상호 연결하되 모서리부분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측부와, 상기 측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면이 상호 접하는 위치에 절인부를 형성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상기 칩브레이커는 가공물을 향한 절삭방향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경사면 상에 형성되고 가공물의 절삭된 칩이 전단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턱부는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전체 길이 중 1/2지점에서 0.8~1.5㎜의 길이(L2)로 형성되고,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가공물의 절삭방향에 대응될 수 있게 전후로 배치된 경사면은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46~48°범위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 중 양쪽 측면을 이루는 경사면은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43~48°범위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칩브레이커는 상기 상부면을 기준으로 3.3~3.6㎜ 범위의 높이(L1)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인부로부터 상기 칩브레이커의 하단부까지의 간격(D1)은 2.2~2.8㎜로 구성되어 상기 칩브레이커의 경사면과 함께 단턱부에 접함에 따라 절삭된 가공물 칩의 형상이 "ω" 단면형상으로 전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37597A 2014-03-31 2014-03-31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KR10155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597A KR101555889B1 (ko) 2014-03-31 2014-03-31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597A KR101555889B1 (ko) 2014-03-31 2014-03-31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889B1 true KR101555889B1 (ko) 2015-09-30

Family

ID=5424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597A KR101555889B1 (ko) 2014-03-31 2014-03-31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6342A (zh) * 2023-10-09 2023-11-21 深圳市海洲数控机械刀具有限公司 一种复杂轮廓成型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666A (ja) * 2004-10-14 2006-04-27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
KR100645547B1 (ko) 2005-06-01 2006-11-14 한국야금 주식회사 다단 칩 브레이커가 형성된 절삭 인서트
JP2013198978A (ja) 2012-03-23 2013-10-03 Robert Bosch Gmbh 切削によりハード加工するためのセラミックの切削チ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666A (ja) * 2004-10-14 2006-04-27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
KR100645547B1 (ko) 2005-06-01 2006-11-14 한국야금 주식회사 다단 칩 브레이커가 형성된 절삭 인서트
JP2013198978A (ja) 2012-03-23 2013-10-03 Robert Bosch Gmbh 切削によりハード加工するためのセラミックの切削チ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6342A (zh) * 2023-10-09 2023-11-21 深圳市海洲数控机械刀具有限公司 一种复杂轮廓成型刀
CN117086342B (zh) * 2023-10-09 2024-03-12 深圳市海洲数控机械刀具有限公司 一种复杂轮廓成型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198B2 (ja) コーナー凹み部を有する切削インサート
US6050752A (en) Cutting insert
EP2838682B1 (en) Cutting insert chip-control arrangement
US8740518B2 (en)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m
WO2015129836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WO2007049617A1 (ja) 切削インサート、ミーリング工具および切削方法
CA2766773A1 (en) Cutting insert
RU2584360C1 (ru)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KR101838107B1 (ko) 절삭 인서트
EP3145663B1 (en) Cutting insert with chip-control arrangement
US20150375310A1 (en) Ballnose cutting tool and ballnose cutting insert
KR101814642B1 (ko) 고이송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US10046396B2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CN103071821A (zh) 用于侧压制技术的镶片设计特征
KR101555889B1 (ko) 칩브레이커를 구비한 절삭 인서트
KR100891606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인서트
JP2003509224A (ja) 溝切り加工用切削インサート
US11219959B2 (en) Saw blad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aw blade
JP7171605B2 (ja) 前部および後部コンポーネントの切れ刃を備えた分割切れ刃を有する切削インサート
US11117201B2 (en) Single-sided high fe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equipped with same
US10259055B2 (en) Cutting insert
KR102262037B1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US10792734B2 (en) Cutting tool for back turning
KR20130048531A (ko) 선삭 가공용 절삭 인서트
KR20210028717A (ko) 볼엔드밀 및 절삭 인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