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677B1 -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677B1
KR101555677B1 KR1020130109880A KR20130109880A KR101555677B1 KR 101555677 B1 KR101555677 B1 KR 101555677B1 KR 1020130109880 A KR1020130109880 A KR 1020130109880A KR 20130109880 A KR20130109880 A KR 20130109880A KR 101555677 B1 KR101555677 B1 KR 10155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bnormal
abnormal signal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515A (ko
Inventor
손관우
Original Assignee
손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관우 filed Critical 손관우
Priority to KR102013010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677B1/ko
Priority to PCT/KR2013/009657 priority patent/WO2015037777A1/ko
Publication of KR2015003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상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으며,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감시 시스템은,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와,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홈단말기와, 상기 중계된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상상황을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홈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신호가 첫 번째 신호일 경우 의사신호로 간주하여 폐기하며, 두 번째 신호를 미리 결정된 주기의 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실제 이상상황으로 인지하여 이상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onitoring}
본 발명은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상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인간의 안전한 삶을 위해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보안, 방범, 출입자 감시, 내부 환경 감시 등을 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감시 시스템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통합 감시 시스템은 야간이나 사람의 부재시에 가정, 사무실, 등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무단 침입, 화재 등의 이상 징후를 감지하여 경보하거나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을 알려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통합각시시스템은 화재, 도난, 가스누출, 외부 침입 등을 센서나 감시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이상 상황을 감지 또는 감시하고, 이에 대한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경비 용역회사나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이상상황을 알리며, 소방서나 경찰서 등으로 자동으로 신고를 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통합감지시스템은 이상 상황을 인지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데 있어서 오작동이 많아 통합감시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이상 상황을 외부로 전송하는 이상신호의 생성 및 전송에 있어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통합감시시스템은 다양한 기능들이 통합되어 설계되어 있으므로 그 가격이 비싸고 사용자가 현재 필요없는 기능까지 포함되어 있어 효율성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맞게 조작이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는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합정비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 감시 시스템은, 통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와,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홈단말기와, 상기 중계된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상상황을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홈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신호가 첫 번째 신호일 경우 의사신호로 간주하여 폐기하며, 두 번째 신호를 미리 결정된 주기의 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실제 이상상황으로 인지하여 이상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으며,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버로 사용자 및 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센서 입력 및 제어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통합감시시스템은 보안, 화제 등의 이상 상황을 다수의 센서부들로 구성된 서버그룹으로부터 감지하고, 이상상황에 대응하는 이상신호를 발생시켜 홈단말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이상신호를 수신한 서버는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이상신호를 검증한 후 사용자에게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감시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 센서의 온/오프 등과 같은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통합감시 시스템은 이상 신호 감지 및 발생부(110), 홈단말기(120), 서버(130), 사용자 단말(140), 알람부(150)로 구성된다.
도 1을 이용하여 통합감시 시스템의 관하여 설명하면,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110)는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그룹 내에서 2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감지된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홈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수의 센서는 하나의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2개 이상의 센서들을, 예를 들어 화제 감지를 목적으로 하는 화재센서가 다수개 존재함을 의미한다.
홈단말기(120)는 이상 신호 감지 및 발생부(110)로부터 수신한 이상신호를 서버(130)로 전송한다. 서버(130)는 수신한 이상신호를 검증과정을 거쳐 사용자 단말(140)에 전송한다. 여기서 검증과정은 홈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이상신호 중 첫 번째 수신한 이상신호는 의사 신호로 간주하여 폐기하고, 두 번째 수신한 신호를 시작신호로 하여 일정 주기 동안에 연속된 신호를 수신할 경우 실제 이상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푸시메시지를 이용하여 이상상황을 전송한다. 연속된 신호라 함은 2회 이상의 동일한 이상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을 통하여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이상신호로 이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 사용하고자 하는 센서의 온/오프 등의 센서제어, 홈단말기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이상상황을 인지한 사용자가 이상신호를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알람신호를 경광등, 형광등 등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의 구성도이다.
도 2의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110)는 센서모듈(210)과 송수신부(220)으로 구성된다. 센서모듈(210)은 상이한 목적을 가지는 n(n은 2이상의 자연수, 제 1 센서부(230) 내지 제 n센서부(240))개의 센서부로 구성된다. 제 1센서부(230)는 센서 그룹(231)과 센서제어부(232)로 구성된다. 센서 그룹(231)은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m개(m은 2이상의 자연수)의 센서로 구성된다. 제 n센서부(220)는 센서 그룹(241)과 센서제어부(242)로 구성된다. 센서 그룹(241)은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k개(k는 2이상의 자연수)의 센서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센서들은 하나의 이상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화재 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다수의 화재센서를 의미한다, 또한 상이한 목적을 가지는 센서부들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는 다수의 센서부들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부, 침입 감지 센서부 등으로 구성된 다수의 센서부를 의미한다. 즉 센서모듈은 서로 다른 목적의 다수의 센서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센서부들은 동일한 목적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그룹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센서부(230)의 센서제어부(232)는 센서그룹(231)에서 2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이상상황을 감지하면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230)로 전달한다. 즉, 동일 센서그룹(231)에서 2개 이상의 센서가 이상상황을 감지할 때에만 이상신호를 생성한다. 송수신부(230)는 센서제어부(232)로부터 전달받은 이상신호를 홈단말기(120)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또한 센서제어부(232)는 사용자가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부로부터 수신하여 센서를 제어한다. 제 n센서부(240)의 센서제어부(242)는 제 1센서부(230)의 센서제어부(23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의 서버(130)는 이상신호 판별부(310), 이상신호 처리부(320), 데이터 처리부(330), 사용자 입출력부(340), 홈단말기 입출력부(350), 데이터 저장부(36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서버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홈단말기 입출력부(350)는 홈단말기(120)로부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상신호 판별부(310)로 전달한다. 이상신호 판별부(310)는 수신한 이상신호가 첫 번째 이상신호이면 수신된 신호를 의사신호로 간주하여 폐기한다. 만약 수신된 이상신호가 두 번째 이상의 신호라면 이상신호 처리부(320)로 전달한다.
이상신호 처리부(320)는 이상신호 수신부(310)로부터 수신한 두 번째 신호의 수신시간을 미리 결정된 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하고 미리 결정된 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실제 이상상황이 발생된 한 것으로 판단하여 실제 이상상황에 대응하는 이상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부(330)으로 전달한다.
데이터 처리부(330)는 이상신호 처리부(320)에서 수신한 이상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푸시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출력부(3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을 알려준다. 데이터 저장부(360)는 현재 접속중인 사용자 및 홈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을 통하여 사용자와 홈단말기를 직접등록하며, 필요한 목적에 따라 센서의 온/오프, 알람부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사용자 입출력부(340)를 통하여 데이터 처리부(330)로 전달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처리부(330)는 홈단말기 입출력부(350)을 통하여 홈단말기(120)에 전달된다. 홈단말기(120)는 센서 제어신호를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110)로 전송하며, 알람부 제어신호는 알람부(150)로 전송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이용하여 서버(130)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410단계에서 홈단말기 입출력부(350)는 이상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신호 판별부(310)로 전달한다. 420단계에서 이상신호 판별부(310)는 410단계에서 전달받은 이상신호가 첫 번째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만약 이상신호가 첫 번째 신호라면 430단계에서 이상신호를 폐기한다. 만약 전달받은 신호가 두 번째 이상 신호라면 이상신호 처리부(320)로 이상신호를 전달한다.
440단계에서 이상신호 처리부(320)는 420단계에서 이상신호 판별부(310)로부터 전달 받은 두 번째 신호의 도착시간을 미리 결정된 주기의 시점으로 설정한다. 450단계에서 이상신호 처리부(320)는 일정 주기 동안 연속신호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연속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60단계에서 종료한다. 만약 연속신호가 수신되면 실제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부(330)로 전달한다.
470단계에서 데이터 처리부(330)는 이상신호 처리부(320)로부터 수신한 이상신호를 이용하여 푸시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상황을 전달한다. 470단계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사용자에게 이상상황을 알리는 푸시 신호를 사용자 단말(140)로 사용자 입출력부(340)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버로 사용자 및 기기를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신상정보를 등록하고 향후 사용할 아이디, 패스워드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홈단말기의 시리얼 번호를 등록하여 향후 사용자 단말과 홈 단말기를 연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센서 입력 및 제어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가 현재 사용 목적에 맞게 센서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상 신호 감지 및 발생부 120 :홈단말기
130 : 서버 104 : 사용자 단말
150 : 알람부 210 : 센서모듈
220 : 송수신부 230: 1 센서부
240 : 제 n센서부
231, 241 : 센서 그룹
232, 242 : 센서제어부
310 : 이상신호 판별부 320 :이상신호 처리부
330 : 데이터 처리부 340 : 사용자 입출력부
350 : 홈단말기 입출력부 360 : 데이터 저장부

Claims (11)

  1. 통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이한 목적을 가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부로 구성된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서 생성된 이상신호를 홈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는 홈단말기;
    상기 홈단말기로부터 중계된 이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상신호가 첫 번째 신호일 경우 폐기하고, 두 번째 이상의 신호를 전달하는 이상신호 판별부, 두 번째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두 번째 신호를 미리 결정된 주기의 시점으로 설정하고 미리 결정된 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이상신호를 수신하면 실제 이상상황을 인지하여 이상신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이상신호 처리부, 및 상기 이상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이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 및 하기 알람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는 센서 제어신호 및 알람부 제어신호로 생성되어 상기 홈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상상황을 인지한 사용자 단말이 이상신호를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그룹과 상기 센서그룹 중 동일 센서그룹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센서에서 상기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합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단말기는 상기 센서 제어신호는 이상신호 감지 및 발생부로 전송하며, 상기 알람부 제어신호는 알람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알람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센서모듈 및 상기 알람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상기 홈단말기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감시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알람부는,
    상기 홈단말기에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가 전송한 신호에 의해서 이상상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09880A 2013-09-12 2013-09-12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5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880A KR101555677B1 (ko) 2013-09-12 2013-09-12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3/009657 WO2015037777A1 (ko) 2013-09-12 2013-10-29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880A KR101555677B1 (ko) 2013-09-12 2013-09-12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515A KR20150030515A (ko) 2015-03-20
KR101555677B1 true KR101555677B1 (ko) 2015-09-25

Family

ID=5266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880A KR101555677B1 (ko) 2013-09-12 2013-09-12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5677B1 (ko)
WO (1) WO20150377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4689B2 (ja) * 1998-10-30 2005-12-07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監視装置及び火災感知器
JP2003123158A (ja) * 2001-10-18 2003-04-25 Yokohama Rubber Co Ltd:The 火災報知支援システム
KR100515091B1 (ko) * 2003-07-10 2005-09-14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지털 화재감지기, 이를 이용한 통합화재감지시스템과화재판단방법
JP2008077303A (ja) * 2006-09-20 2008-04-03 Yazaki Corp 火災警報器
KR2009007083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화재감시 검출방법과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777A1 (ko) 2015-03-19
KR20150030515A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5773B2 (en) Security system providing a localized humanly-perceivable alert for identifying a facility to emergency personnel
EP2011093B1 (en) Security monitoring with programmable mapping
US10127797B2 (en) Alternative inexpensive cloud-based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US1079460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on with active infrared sensors
US10242517B1 (en) Garage door status and control via a security system
US1059319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US8792645B2 (en) Authentication and data security for wireless networks
US201900261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alternate communication path between a central monitoring station and a connected security/control system
JP2010033516A (ja) コントローラ装置
CN105321310B (zh) 从警报系统向紧急服务人员传送数据的系统和方法
EP3069329A1 (en) Security panel with virtual sensors
US20200312121A1 (en) Alarm system supervisory by zone
US20150213696A1 (en) Home automation system
KR101555677B1 (ko) 통합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4705396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0286982A (ja) 警備システム、異常検知方法
KR20100000620A (ko) 침입감지 장치
KR20080026343A (ko) 로봇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3483247B2 (ja) 無線監視システム
KR20060078228A (ko) 무인 진동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3225B1 (ko) 보안기능 및 방문자 알림 기능을 가진 유무선전화기
KR101221490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긴급 상황 음성 안내 시스템
JP2006293993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監視方法
JP2002109661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70112443A (ko) 방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