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109B1 -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109B1
KR101554109B1 KR1020140109257A KR20140109257A KR101554109B1 KR 101554109 B1 KR101554109 B1 KR 101554109B1 KR 1020140109257 A KR1020140109257 A KR 1020140109257A KR 20140109257 A KR20140109257 A KR 20140109257A KR 101554109 B1 KR101554109 B1 KR 10155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ower
power gener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최동수
Original Assignee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최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최동수 filed Critical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하는 모바일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지닌 경질의 보호판을 일체로 인서팅 사출되는 연질의 케이스; 상기 보호판 내에 모바일로 자기장을 전파하는 송신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코일에 자기장을 출력/제어하는 송신모듈을 구비하는 충전부; 상기 보호판 내에 전원을 생산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모듈에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모듈을 구비하는 발전부; 상기 보호판 내에 모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상에 에너지를 임시로 축적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작동부; 및 상기 보호판 상에 케이스로부터 노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바일을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해서 보호함과 함께 방전 시 배터리를 자가발전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충전할 수 있고, 충전 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함에 따라 별도의 충전선이나 충전잭을 휴대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mobile combines wireless charging and self-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모바일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의 흠이나 파손을 방지하면서 방전 시 자가발전으로 충전해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별도의 연결선과 잭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용 모바일(스마트폰)은 기술의 발달로 단순 통화만 가능한 전화기의 수준을 넘어서 DMB, MP3, 카메라, 동영상이나 영화, 게임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 및 활용도가 다양화되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 휴대성과 사용성을 위해서 액정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두께는 매우 얇아지며 중량은 가벼워지고 있다. 즉, 이러한 기술 집약체로 인해 30~9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기기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바일은 우수한 휴대성과 다양한 기능으로 버스나 지하철 그리고 도보 및 운전 시에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실이나 파손이 나날이 증가되는 추세여서 고가의 모바일을 보호하기 위한 보험이나 케이스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케이스는 모바일을 감싸도록 연질 또는 경질의 수지재로 형성되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이루어져 모바일에 있어서 필수적인 패션아이템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은 전술한 것처럼 갈수록 고성능화가 되고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용량도 더욱 증가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모바일의 성능에 비해서 그 기술력이 아직까지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1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2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 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582호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회전자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를 거친 전압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전자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케이스 내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기본배터리가 방전 시에 언제 어디서든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하는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기본배터리를 포함한 단말기와 함께 보조배터리를 포함한 케이스는 중량이 상당히 무겁고, 두께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보조배터리 마저 방전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각종 어플을 통해서 위치추적이 가능함에 따라 긴급하고 절박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통화나 위치추적을 통해서 상황을 충분히 해결할 수가 있다. 하지만 통화나 위치추적을 위해서는 전원이 상시 켜져 있어야 하는데, 보조배터리 마저 방전하게 되면 긴급한 상황을 해결할 수가 없는 폐단이 있다.
후자는 모바일 장치에 자가 발전기를 내장시켜 배터리를 상시 충전할 수 있도록 제안해서 전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늘날 모바일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서 중량은 가볍고 두께가 얇은 추세인데, 자가 발전기를 내장하게 되면 결국, 그에 따른 중량과 두께를 소비자들에게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에 기본으로 내장됨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권이 없어지면서도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불필요한 구입금액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582호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더라도 자가발전을 통해 충전할 수 있으므로 긴급하거나 절박한 상황에서도 통화 또는 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함에 따라 별도의 충전선이나 충전잭을 휴대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해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자가발전과 무선충전을 모바일을 보호하는 케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하는 모바일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지닌 경질의 보호판을 일체로 인서팅 사출되는 연질의 케이스; 상기 보호판 내에 모바일로 자기장을 전파하는 송신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코일에 자기장을 출력/제어하는 송신모듈을 구비하는 충전부; 상기 보호판 내에 전원을 생산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모듈에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모듈을 구비하는 발전부; 상기 보호판 내에 모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상에 에너지를 임시로 축적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작동부; 및 상기 보호판 상에 케이스로부터 노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동부의 저장수단은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태엽 또는 관성력으로 회전하는 플라이휠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동부의 태엽 또는 플라이휠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전달하도록 탄성에 의해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의 공급수단은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한 핸들을 지닌 공급휠 또는 외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질의 돌기가 형성된 롤러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더라도 자가발전을 통해 충전할 수 있으므로 긴급하거나 절박한 상황에서도 통화 또는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면서 시간이 날 때마다 충전할 수 있어 전반적인 에너지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함에 따라 별도의 충전선이나 충전잭을 휴대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해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높은 기어비와 함께 공급 에너지를 임시로 저장함에 따라 우수한 발전효율로 전원 생산량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섯째, 래칫기어를 통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기어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에너지의 손실을 억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부와 발전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와 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작동부와 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나타내는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하는 모바일(M)용 보호케이스에 관련되며, 케이스(10), 충전부(20), 발전부(30), 작동부(40), 공급부(5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에 관 한다.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는 모바일을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해서 보호하는 것을 기반으로 방전 시 자가발전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충전할 수 있고, 충전 시 무선으로 충전해서 별도의 충전선이나 충전잭을 휴대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질의 케이스(10)는 모바일(M)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지닌 경질의 보호판(15)을 일체로 인서팅 사출된다. 케이스(10)는 도 1처럼 모바일(M)의 전면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부위를 모두 감싸도록 공간을 지니도록 형성되는데,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하도록 연질의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내부에 경질의 수지재로 형성된 보호판(15)을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된다.
보호판(15)은 도 2처럼 소정의 공간을 지닌 상판과 하판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조립 시에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판(15)은 충전부(20), 발전부(30), 작동부(40), 공급부(50)를 장착시켜 케이스(10)내에 일체로 사출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케이스(10)는 도시된 것 이외에도 모바일(M)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도록 절첩이 가능한 플립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죽이나 섬유를 "ㄷ"형의 다이어리를 케이스(10)상에 본드로 결합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충전부(20)는 보호판(15)내에 모바일(M)로 자기장을 전파하는 송신코일(21)을 구비하고, 송신코일(21)에 자기장을 출력/제어하는 송신모듈(25)을 구비한다. 충전부(20)는 도 2 및 도 3처럼 자기유도방식(Wireless Power Consortium)을 이용해서 모바일(M)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으로, 송신코일(21)과 송신모듈(25)로 구성된다.
송신코일(21)은 모바일(M) 커버에 부착된 수신코일에 자기장을 전파해서 전자기유도의 원리로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한다. 이러한 송신코일(21)은 모바일(M)의 수신코일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보호판(15)의 상판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송신모듈(25)은 보호판(15)의 하판에 부착되어 송신코일(21)에 자기장을 출력하고 제어한다. 이러한 송신모듈(25) 발전부(30)에서 생산된 전원을 수 KHz에서 MHz의 주파수로 스위칭하고, 스위칭된 주파수를 소정 듀티 사이클로 발진시켜 송신코일(21)에 자기장을 출력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30)는 보호판(15)내에 전원을 생산하는 모터(31)를 구비하고, 송신모듈(25)에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모듈(35)을 구비한다. 발전부(30)는 도 2 및 도 3처럼 공급부(50)로부터 공급받은 운동(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서 충전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모터(31)와 발전모듈(35)로 구성된다.
모터(31)는 작동부(40) 및 공급부(50)와 함께 별도의 박스에 일체로 결합되어 보호판(15)의 하판에 부착된다. 이러한 모터(31)는 후술하는 기어(41)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서 전원을 생산한다. 여기서 모터(31)는 직류형 또는 교류형 중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작고 가벼우며 수명이 길고 회전속도에 제한이 없는 교류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전모듈(35)은 보호판(15)의 하판에 송신모듈(25)과 인접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생산된 전원을 정류해서 송신모듈(25)에 공급한다. 이러한 모터(31)와 발전모듈(35)은 공지된 발전기를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송신모듈(25)과 발전모듈(35)은 도면에서 상호 분리되어 배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송신모듈(25)과 발전모듈(35)을 하나의 기판에서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체로 구성하게 되면 낮은 저항으로 생산 전원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40)는 보호판(15)내에 모터(31)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41)를 구비하고, 기어(31)상에 에너지를 임시로 축적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한다. 작동부(40)는 도 4 내지 도 7처럼 공급부(50)로부터 발생된 운동에너지를 배가해서 발전부(30)로 전달하는 것으로, 복수의 기어(41)와 저장수단으로 구성된다.
기어(41)는 모터(31)와 함께 별도의 박스에 일체로 결합되어 보호판(15)의 하판에 부착된다. 이러한 기어(41)는 후술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운동에너지(회전) 공급받아 보다 높은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저장수단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기어(41)는 도시된 평기어 타입 외에도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도 높은 단수로 운동에너지를 배가시킬 수 있는 유성기어 타입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저장수단은 기어(41)로 공급받은 회전 에너지를 임시로 축적해서 모터(31)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흐름을 평활하게 연결시켜 준다. 즉, 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는 사용자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공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저장수단은 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가 잠시 동안 차단되어도 축적된 에너지를 통해서 모터(31)로 공급함에 따라 생산되는 전원의 맥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저장수단은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태엽(42) 또는 관성력으로 회전하는 플라이휠(4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한다. 태엽(42)은 도 4 및 도 6처럼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니도록 감겨진 스프링으로, 기어(41)의 출력축과 모터(31)의 입력축 사이에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태엽(42)은 기어(41)로부터 회전력를 공급받아서 감겨지고, 공급되는 회전력이 차단되는 순간 풀어져서 모터(31)로 탄성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플라이휠(43)은 도 5 및 도 7처럼 소정의 중량을 지닌 원형의 판으로서, 태엽(42)처럼 기어(41)의 출력축과 모터(31)의 입력축 사이에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플라이휠(43)은 기어(41)로부터 회전력를 공급받아서 고속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모터(31)로 회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공급되는 회전력이 차단되어도 모터(31)로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공급한다.
이처럼 태엽(42)은 감기는 과정에서 모터(31)로 공급하는 에너지가 잠시 정지되어 전원에 맥동이 발생하는 단점은 있으나, 탄성력을 통해서 다량의 에너지를 축적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급하는 에너지량과 공급시간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반대로 플라이휠(43)은 기어(41)로부터 공급받은 회전력를 모터(31)로 즉시 공급해주므로 전원에 맥동이 발생하지는 않는 장점은 있으나, 태엽(42)에 비해서 축적량이 적어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태엽(42)은 모바일(M)을 자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에게 적합하고, 플라휠(43)은 모바일(M)을 상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태엽(42)과 플라이휠(43)을 동시에 이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태엽(42) 또는 플라이휠(43)은 기어(41)로부터 회전력을 공급/전달하도록 탄성에 의해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기어(45)를 구비한다. 래칫기어(45)는 도 8처럼 암형(상측)과 숫형(하측)으로 각각 형성되는데, 암형은 태엽(42) 또는 플라이휠(43)과 연결되고, 숫형은 기어(41)와 연결된다. 여기서 암형의 래칫기어(45)는 상부에 스프링이 탄지되어 숫형의 래칫기어(45)와 상시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지닌다. 이러한 래칫기어(45)는 상호 맞물리는 부위에 치차가 형성되는데, 치차는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프링과 연동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이처럼 래칫기어(45)는 태엽(42) 또는 플라이휠(43)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태엽(42)의 탄성력과 플라이휠(43)의 원심력을 모터(31)로만 공급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역회전에 의한 기어(41)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에너지의 손실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50)는 보호판(15)상에 케이스(10)로부터 노출되게 구비하고, 기어(41)와 맞물려 회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한다. 공급부(50)는 도 4 내지 도 7처럼 기어(41)와 맞물려서 사용자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작동하는 매개체로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함께 저장수단에 적합한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급수단은 보호판(15)상에 내장되면서도 일부가 케이스(10)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한다. 즉, 사용자는 케이스(10)에 노출된 공급수단을 통해서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할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공급수단은 힌지(51a)에 의해 절첩 가능한 핸들(51b)을 지닌 공급휠(51) 또는 외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질의 돌기(55a)가 형성된 롤러(55)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한다. 공급휠(51)은 도 4 및 도 5처럼 비교적 얇은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중심에 회전력을 공급하도록 기어(41)와 연결된다. 이러한 공급휠(51)은 일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는 힌지(51a)로 결합된 바형의 핸들(51b)을 구비한다. 즉, 도 7처럼 충전 시에 사용자가 수용홈에 내장된 핸들(51b)을 절첩시켜 노출시킨 다음, 노출된 핸들(51b)을 손으로 잡고 회전하면 된다.
롤러(55)는 도 6 및 도 7처럼 장방형의 봉으로 형성되어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력을 공급하도록 기어(41)와 연결된다. 이러한 롤러(55)는 외주면에 연질 또는 경질의 돌기(55a)가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다. 즉, 도 8처럼 충전 시에 사용자가 모바일(M) 및 케이스(10)를 손으로 파지한 다음, 비교적 평평한 책상, 바닥, 벽 등의 물체에 밀착시켜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시켜 유동하면 된다. 물론, 물체 이외에 사용자의 등이나 손바닥, 발바닥, 팔 등의 인체에 밀착시켜 유동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돌기(55a)로 인한 지압효과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공급휠(51)은 도 4처럼 모바일(M)을 자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태엽(42)으로 구성된 경우 적용하는 것이 좋고, 롤러(55)는 도 6처럼 모바일(M)을 상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플라이휠(43)로 구성된 경우 적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공급휠(51)과 롤러(55)를 동시에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M: 모바일 10: 케이스
15: 보호판 20: 충전부
21: 송신코일 25: 송신모듈
30: 발전부 31: 모터
35: 발전모듈 40: 작동부
41: 기어 42: 태엽
43: 플라이휠 45: 래칫기어
50: 공급부 51: 공급휠
51a: 힌지 51b: 핸들
55: 롤러 55a: 돌기

Claims (4)

  1.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충하는 모바일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지닌 경질의 보호판을 일체로 인서팅 사출되는 연질의 케이스;
    상기 보호판 내에 모바일로 자기장을 전파하는 송신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코일에 자기장을 출력/제어하는 송신모듈을 구비하는 충전부;
    상기 보호판 내에 전원을 생산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모듈에 생산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모듈을 구비하는 발전부;
    상기 보호판 내에 모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상에 에너지를 임시로 축적하도록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닌 태엽 또는 관성력으로 회전하는 플라이휠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태엽 또는 플라이휠은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전달하도록 탄성에 의해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래칫기어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작동부; 및
    상기 보호판 상에 케이스로부터 노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공급하는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한 핸들을 지닌 공급휠 또는 외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질의 돌기가 형성된 롤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09257A 2014-08-21 2014-08-21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KR10155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57A KR101554109B1 (ko) 2014-08-21 2014-08-21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57A KR101554109B1 (ko) 2014-08-21 2014-08-21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109B1 true KR101554109B1 (ko) 2015-09-18

Family

ID=5424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257A KR101554109B1 (ko) 2014-08-21 2014-08-21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1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389B1 (ko) * 2015-12-03 2016-04-01 김동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KR101671244B1 (ko) * 2015-10-15 2016-11-16 김진일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34321B1 (ko) * 2016-05-04 2017-05-12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KR101734319B1 (ko) * 2016-05-04 2017-05-15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KR101751389B1 (ko) * 2015-10-14 2017-07-04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966357B1 (ko) * 2017-12-01 2019-04-05 남지현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KR102034378B1 (ko) * 2018-04-18 2019-10-18 전종원 핸드폰 케이스
KR102311348B1 (ko) * 2020-11-17 2021-10-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활용한 자가발전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47B1 (ko) * 2007-09-07 2010-04-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범용 무접점 충전 패드
KR101208740B1 (ko) 2012-03-08 2012-12-11 정우철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47B1 (ko) * 2007-09-07 2010-04-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범용 무접점 충전 패드
KR101208740B1 (ko) 2012-03-08 2012-12-11 정우철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389B1 (ko) * 2015-10-14 2017-07-04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71244B1 (ko) * 2015-10-15 2016-11-16 김진일 스마트폰 충전이 가능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08389B1 (ko) * 2015-12-03 2016-04-01 김동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KR101734321B1 (ko) * 2016-05-04 2017-05-12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KR101734319B1 (ko) * 2016-05-04 2017-05-15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WO2017191972A3 (ko) * 2016-05-04 2018-08-02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WO2017191971A3 (ko) * 2016-05-04 2018-08-02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KR101966357B1 (ko) * 2017-12-01 2019-04-05 남지현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KR102034378B1 (ko) * 2018-04-18 2019-10-18 전종원 핸드폰 케이스
KR102311348B1 (ko) * 2020-11-17 2021-10-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활용한 자가발전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109B1 (ko)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US20140091766A1 (en) Power bracelet
KR101211535B1 (ko)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0731595B1 (ko) 휴대용 배터리 충전 및 비상 전원공급장치
JP3996171B2 (ja) 非接触充電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電池パック蓋及び該電池パック蓋を備えた携帯電話機
CN204721072U (zh) 电子设备及其充电装置
US20030040344A1 (en) Power caching pan architecture
US20110260674A1 (en) Carrying cas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5054533A1 (en) Battery strap for electronic device
KR20120052582A (ko)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
RU2012144055A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EP1699131A2 (en) Portable hand powered generator
US10263441B1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charging mechanism
JP2004343991A (ja) 運動量変換バンド
CN207426790U (zh) 一种充电宝充电装置
TWM510586U (zh) 擴充裝置與具有其之保護殼
CA2690677C (en) Portable charging equipment
KR200213252Y1 (ko) 휴대용 발전기
KR20150007708A (ko) 무선 충전기
WO2004077589A3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N207368730U (zh) 一种保护壳以及终端设备
JP2004052747A (ja) 運動量変換バンド
CA2636123A1 (en) Solar panel battery charger for electrical device
CN213342346U (zh) 一种充电手机壳
CN203194036U (zh) 可携带或拆卸式移动电源的护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