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89B1 -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89B1
KR101608389B1 KR1020150171138A KR20150171138A KR101608389B1 KR 101608389 B1 KR101608389 B1 KR 101608389B1 KR 1020150171138 A KR1020150171138 A KR 1020150171138A KR 20150171138 A KR20150171138 A KR 20150171138A KR 101608389 B1 KR101608389 B1 KR 10160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se
power source
source device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인
Original Assignee
김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인 filed Critical 김동인
Priority to KR102015017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능의 활성화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A CASE FOR MOBILE DEVICE AND A 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CAS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능의 활성화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목적을 가진 전자제품은 이동성과 휴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후 제품의 기능적인 통합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스마트폰에 대한 악세서리 시장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터치패널부를 비롯한 외부를 물리적인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적인 목적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색채나 디자인을 보완하기 위한 심미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그 수요가 스마트폰의 시장만큼이나 포화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기술적인 이슈 중 하나로서, 스마트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에 의하지 않고도 충전이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 기능, 예컨대, 자기 유도 방식, 자기공명 방식, 전자기파 방식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충전 기능은, 이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와 같은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필수적인 기능으로 반영될 추세에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무선충전이 상용화가 됨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보호 및 미적인 욕구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로 인해 무선충전기능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수 있다는 인식 하에 본 발명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 제1554109호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능의 활성화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서팅 사출되는 연질의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 상기 전력원 기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충전 활성화부를 포함한다.
이처럼 인서팅 사출되는 연질의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PU), 실리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성물 소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의하면, 상기 자기적 부착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외향면의 정중앙점으로부터 균등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일 수 있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내부 정중앙점으로부터 균등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의하면, 상기 자기적 부착부는, 자석이 부착가능한 금속 판이고, 상기 금속 판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외향면에 형성될 수 있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가 상기 금속 판을 내장하도록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의하면,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 상기 전력원 기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력수신모듈; 및 상기 전력수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력송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원 기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충전 활성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활성화부에 의해 무선 충전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전력수신모듈과 상기 전력송신모듈에 의해 상기 전력원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충전 활성 또는 비활성의 기능을 위한 무선 충전 활성화부가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내장되어,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전력원 기기가 인접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에만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력원 기기가 단말기에 대한 보조 배터리인 경우, 보조 배터리와 모바일 단말기를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도 자기적 부착부에 의해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중에도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하면서도 제품의 미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 인한 효과는 전술한 사항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폭넓게 인정됨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사용되는 양상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기능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으로부터 실시가능한 임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구성요소 또는 특징 중 공지됨으로 인해, 이에 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 해당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도면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의 본문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태양만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수정, 변경,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속성, 구성, 컴포넌트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들 특징, 속성, 구성, 컴포넌트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속성, 구성, 컴포넌트 및 이들의 조합의 존재가능성이나 추가될 수 있는 여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일 예, 하나의 경우, 또는 한 가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시적인" 양상이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단수 형태로 특정하여 기술되지 아니한다면, 하나 이상의 복수의 형태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사용되는 양상이 도시된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에 모바일 단말기 제품에 완전하게 부합되는 케이스(20)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0)는, 인서팅 사출되는 연질의 소재로,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PU), 실리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성물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는, 모바일 단말기(10)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30)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21); 상기 전력원 기기(3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충전 활성화부(22)를 포함한다.
즉, 자기적 부착부(21)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와 전력원 기기(30)가 부착되면, 무선 충전 활성화부(22)는 전력원 기기(3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모바일 단말기(10)의 배터리부로 공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에 대한 무선 충전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 1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비록 스마트폰의 형태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성과 이동성을 갖추고 무선 충전 기능이 가능한 정보통신기기라면, 이동 전화, 태블릿 PC, PDA, 스마트 워치 등의 명칭이나 제품에 구현되지 않고 포괄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전력원 기기(30)는 케이스(20)에 부착가능하며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케이스(20)와 자기적 수단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기기라면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유선케이블로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보조배터리에서 유선케이블이 배제된 형태의 보조배터리일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무선 충전 기능을 직접 수행하는 무선충전기일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전력원 기기(30)가 자기적 수단에 의해 케이스(20)와 부착되면, 전력원 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하여 무선충전 활성화부(22)는 무선 충전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무선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 반면, 전력원 기기(30)가 자기적 수단보다 외부 물리적인 힘 또는 충격으로 케이스(20)와 탈착되면, 전력원 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무선충전 활성화부(22)에서 식별되지 않음으로써 무선 충전 비활성화 상태(즉, 휴면 상태)로 전환되어, 모바일 단말기(10)에서는 무선 충전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적 부착부(21)는, (도 1에 도시되어 설명된 바처럼) 하나 이상의 자석일 수 있지만, 금속판의 형태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 양상으로 설명된, 즉, 자기적 부착부(21)가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자기적 부착부(21)가 하나 이상의 자석인 경우, 자석은 아릴코(주조)자석, 훼라이트(소결)자석, 희토류자석, 네오디움자석(NdFeB), 사마륨코발트자석(SmCo), 본드자석, 고무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각각의 자석의 크기는 모바일 단말기(10)와 전력원 기기(30) 간의 부착을 견고하게 하면서도 케이스(20)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서, 10 파이(Φ) 내지 25 파이(Φ)일 수 있다.
자기적 부착부(21)가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자석 각각은, 케이스(20)와 전력원 기기(30) 간의 부착시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면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케이스(20)의 외향면의 정중앙점으로부터 균등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0)에서 가상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꼭짓점에 각각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의 꼭짓점 일부에 각각의 자석이 배치될 수도 있는데, 도 2에서는 가상의 직사각형의 꼭짓점에 4개의 자석이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석은 케이스(20)의 내부면(즉,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부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고, 자기력에 의해 외부면(즉, 케이스의 후면부와 대향하는 면)에 전력원 기기가 부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석의 자기력이 충분히 강하다면 케이스 내부 정중앙점으로부터 균등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내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케이스가 사출될 때에 자석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공정에 의해 양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양상으로서, 자기적 부착부가 금속 판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와 전력원 기기(30)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자기적 부착부(21)인 경우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도 3에서 하나 이상의 자석(31)은 전력원 기기(30)의 외면에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원 기기(30)에 있는 다수의 자석(31)으로부터의 자기력으로 케이스(20)와 전력원 기기(30)가 부착가능하도록 케이스(20)의 자기적 부착부는 금속 판형(도 3에서 별도의 도면부호 미표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판형은, 케이스(20)와 전력원 기기(30) 간의 부착시에 무게 중심을 유지하면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 상에 또는 그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케이스(20)의 외향면 전면에 대해 금속 박막으로 코팅함으로써 구현되거나, 케이스 외향면의 적어도 일부에 금속판형이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외향면에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의 사출시에 연질의 케이스가 금속판을 내부에 실장하도록 양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기능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적 블록도로, 자기적으로 전력원 기기(30)와 부착가능한 자기적 부착부(21)와 전력원 기기(30)를 식별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충전이 활성화되는 무선 충전 활성화부(22)에 대해서는 앞서 상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 중 적어도 일부의 특징이 대응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추가로 명시된 전력 수신 모듈(23)과 전력 송신 모듈(24)은, 전력원 기기(30)와의 관계에서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함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즉, 무선 충전 활성화부(22)에 의해 무선 충전 기능이 활성화되면, 전력 수신 모듈(23)은 외부에 존재하며 식별된 전력원 기기(3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고, 수신된 전력을 전력 송신 모듈(24)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부 또는 전원부로 송신한다.
이러한 전력 수신 모듈(23) 및 전력 송신 모듈(24),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충전 활성화부(22)까지,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20)에서 통합된 하나의 칩셋(예컨대, SOC(System on chip) 등)으로 통합 구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 상기 전력원 기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충전 활성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 상기 전력원 기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력수신모듈; 및 상기 전력수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력송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그 구현양상을 미묘하게 달리할지라도,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전력원 기기가 인접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에만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력원 기기가 단말기에 대한 보조 배터리인 경우, 보조 배터리와 모바일 단말기를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도 자기적 부착부에 의해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중에도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하면서도 제품의 미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특정 실시 태양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경, 변형, 수정 및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모바일 단말기
20: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30: 전력원 기기
21: 자기적 부착부
22: 무선 충전 활성화부

Claims (8)

  1. 인서팅 사출이 가능하도록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PU), 실리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성물 소재인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력원 기기와의 탈부착을 위한 자기적 부착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전력원 기기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충전 활성화부;
    상기 전력원 기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전력수신모듈; 및
    상기 전력수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력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원 기기가 상기 자기적 부착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전력원 기기가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무선 충전 활성화부에 의하여 무선 충전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무선 충전 활성 상태일 때에 상기 전력수신모듈은 상기 전력원 기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적 부착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외향면의 정중앙점으로부터 균등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적 부착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내부 정중앙점으로부터 균등한 각도 또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적 부착부는, 자석이 부착가능한 금속 판이고, 상기 금속 판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의 외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적 부착부는, 자석이 부착가능한 금속 판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가 상기 금속 판을 내장하도록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7. 삭제
  8. 삭제
KR1020150171138A 2015-12-03 2015-12-0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KR10160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38A KR101608389B1 (ko) 2015-12-03 2015-12-0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38A KR101608389B1 (ko) 2015-12-03 2015-12-0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389B1 true KR101608389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138A KR101608389B1 (ko) 2015-12-03 2015-12-03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3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386B2 (en) 2017-01-31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wirelessly receiving power from an auxiliary battery
RU203552U1 (ru) * 2020-11-09 2021-04-12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Лашкевич Магнитный чехол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зарядки смартфона
US11175699B2 (en) 2019-03-29 2021-11-16 Dong In Kim Case for mobile device
US11239682B2 (en) * 2018-10-09 2022-02-01 Can Cakmak Wireless charging p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77B1 (ko) * 2011-03-30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1322205B1 (ko) 2012-08-16 2013-10-28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엔에프씨 유도전기를 이용한 발광수단을 갖는 휴대폰 가죽 보호케이스
KR101554109B1 (ko) * 2014-08-21 2015-09-1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77B1 (ko) * 2011-03-30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1322205B1 (ko) 2012-08-16 2013-10-28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엔에프씨 유도전기를 이용한 발광수단을 갖는 휴대폰 가죽 보호케이스
KR101554109B1 (ko) * 2014-08-21 2015-09-1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386B2 (en) 2017-01-31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wirelessly receiving power from an auxiliary battery
US11239682B2 (en) * 2018-10-09 2022-02-01 Can Cakmak Wireless charging pack
US11175699B2 (en) 2019-03-29 2021-11-16 Dong In Kim Case for mobile device
RU203552U1 (ru) * 2020-11-09 2021-04-12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Лашкевич Магнитный чехол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зарядки смартфон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389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충전 장치
US8047365B1 (en) Foldable case for storing multimedia device
CN206975422U (zh) 一种具有可视通话功能的儿童智能手表
CN105594093B (zh) 用于电子设备和附件的具有磁性保持件的感应式充电接口
KR102348755B1 (ko) 트레이, 트레이 분리용 지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31092B1 (ko) 이동단말기
JP2021058083A (ja) 電子デバイス用のnfcを有する磁気整列システム
US9083111B2 (en) Magnetic docking base for handset
US20160204646A1 (en) Wearable Device
CN103558749A (zh) 智能手表
CN106407041B (zh) 终端跌落数据处理系统
US20210218277A1 (en) Wireless charging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US11175699B2 (en) Case for mobile device
CN114256987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具有磁性对准件的壳体
JP7116002B2 (ja) モバイル端末機用ケース
US20200358314A1 (en) Comput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CN207269238U (zh) 移动电源及数码设备保护壳
CN104281045B (zh) 太阳能智能手表组合结构
CN205082845U (zh) 一种无线充电手机保护套
US20180368273A1 (en) Mobile power supply, digital equipment protective shell and its production process
KR20200001060U (ko) 마우스패드 겸용 무선충전장치
CN210007483U (zh) 移动终端机用外壳
US20110266048A1 (en)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5724942U (zh) 无线移动电源
CN204376980U (zh) 一种方便拆装的手机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