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357B1 -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357B1
KR101966357B1 KR1020170164513A KR20170164513A KR101966357B1 KR 101966357 B1 KR101966357 B1 KR 101966357B1 KR 1020170164513 A KR1020170164513 A KR 1020170164513A KR 20170164513 A KR20170164513 A KR 20170164513A KR 101966357 B1 KR101966357 B1 KR 10196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housing
bearing
electronic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지현
Original Assignee
남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지현 filed Critical 남지현
Priority to KR102017016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1/04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젯 스피너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재미있는 조작 방식으로 발전시켜 휴대전자기기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다.
일례로, 일면이 휴대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면 상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커버; 상기 회전커버의 하부와 연결되고, 가장자리부분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둘레부분을 따라 이격 배열된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및 내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회전자의 내부 천장중앙부분과 연결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PORTABLE FIDGET SELF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피젯 스피너 타입의 자가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비디오카메라 등에는 이차전지인 충전용 배터리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배터리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기에 접속시킴으로써 배터리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이차전지로는 니켈/수소 합금 전지와 리튬전지가 많이 쓰이고 있으며, 재료변경 및 구조개선 등으로 그 성능이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이러한 이차전지 내에 들어 있는 양극의 활물질의 양에 의해 질량대비 에너지 용량에 있어서 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충전기는 외부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배터리에 인가되어 배터리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전기는 부피가 크고 전기시설이 없는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조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으나, 보조 배터리 또한 용량의 한계가 있어 지속적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2255호(등록일자: 2017년04월25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3517(공개일자: 2001년07월09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젯 스피너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재미있는 조작 방식으로 발전시켜 휴대전자기기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는, 일면이 휴대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면 상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커버; 상기 회전커버의 하부와 연결되고, 가장자리부분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둘레부분을 따라 이격 배열된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및 내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회전자의 내부 천장중앙부분과 연결된 베어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통해 변환된 직류전류를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휴대전자기기로 유선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휴대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기 위한 무선송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전자기기와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를 둘러싸되, 상기 하부커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원통 형태의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커버; 및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고정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 링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 링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자의 중심을 향해 각각 돌출된 다수의 코일 고정 돌기; 및 상기 코일 고정 돌기에 각각 권취된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고정 돌기의 단부는 상기 회전자의 둘레부분과 일정 간격으로 대향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 테 부분에는 다이얼 회전 조작을 위한 다수의 다이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커버의 중앙 하부는 상기 회전자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 홈의 내측면 상에 금속재질로 코팅된 형태의 무게 추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는, 원기둥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테 부분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자석 삽입 홈; 및 상기 자석 삽입 홈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자석 삽입 홈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으로 교차 배열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하부와 상기 베어링의 외륜 상단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은 동일한 폭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의 상단이 내륜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회전자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회전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젯 스피너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재미있는 조작 방식으로 발전시켜 휴대전자기기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를 제거한 상태의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가 부착된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를 제거한 상태의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의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가 부착된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1000)는 하우징(100), 회전커버(200), 회전자(300), 고정자(400) 및 베어링(500)을 포함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1000)는 정류기(600), 배터리 모듈(700), 발전기 단자(800) 및 무선송신모듈(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이 휴대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일면은 하우징(100)의 하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회전커버(200), 회전자(300), 고정자(400), 베어링(500), 정류기(600), 배터리 모듈(700), 발전기 단자(800) 및 무선송신모듈(9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하부커버(110), 상부커버(120) 및 고정 링(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10)는 휴대전자기기(10)와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커버(110)의 일부 영역에는 접착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면(111)은 접착제가 부착된 필름이나 스폰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전자기기(10)의 보호 케이스 또는 백 케이스의 뒷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커버(120)는, 하부커버(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하부커버(1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원통 형태의 개방부(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방부(120a)는 납작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빈 공간으로서 개방부(120a)의 둘레부분에는 고정 링(130)이 결합되고, 그 내부에 회전자(300), 고정자(400) 및 베이링(500)이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링(130)은, 개방부(120a)의 둘레부분에 결합되고 고정자(400)의 코일 고정 돌기(410)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링(130)은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자(300), 고정자(400) 및 베이링(500)이 설치되는 제1 설치영역과 후술하는 정류기(600), 배터리 모듈(700), 발전기 단자(800) 및 무선송신모듈(900)가 설치되는 제2 설치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커버(200)는, 하우징(100)의 타면 상에 일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략 원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타면은 하우징(100)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커버(20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면이 평평하고 윗면이 라운드진 원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커버(200)의 상면 테(rim) 부분에는 일축(C)을 중심으로 한 회전 조작 즉, 다이얼 회전 조작을 위한 다수의 다이얼 홈(210)이 형성되고, 회전커버(200)의 중앙 하부는 회전자(30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커버(200)는 피젯 스피너(fidget spinner)의 블레이드 부분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 발전을 위한 회전체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이얼 홈(210)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넣어 회전커버(200)를 일축(C)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커버(200)의 다이얼 홈(210)의 내측면 상에 금속재질로 코팅된 형태의 무게 추(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무게 추(220)는 일반적인 추의 형태가 아니라 다이얼 홈(21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얇은 박막 형태의 구조물로서 회전커버(200)가 회전할 때 원심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회전커버(200)는 커버 결합부(230)를 통해 회전자(30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결합부(230)는 볼트와 나사 홀 간의 체결을 위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300)는 회전커버(200)의 하부와 연결되고, 그 가장자리부분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자(300)는 베이스(310), 자석 삽입 홈(320) 및 자석(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0)는 도 4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대략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베이스(310)는 기본적으로 납작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분은 얇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테(rim) 부분은 중앙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그 상면에서 내부로 자석(300)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자석 삽입 홈(3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 삽입 홈(320)은 도 4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의 테(rim) 부분을 따라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0)의 중앙부분은 그 하면에 베어링(500)의 외륜(531)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기 위한 베이스 결합 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결합 홈(311)의 내측면 일부분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걸림 홈(31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걸림 홈(311a)은, 베어링(500)의 외륜(530)의 단부에 형성된 외륜 고정 돌기(531)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외륜 고정 돌기(53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베이스(310)가 베어링(500)의 외륜(530)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회전 시 베어링(5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결합 홈(311)과 돌기 걸림 홈(311a)은 외륜(530)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310)는 외륜(530)과 잘 결합될 수 있도록 가볍고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310)의 재질을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석(330)은 자석 삽입 홈(320)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데, 서로 다른 극성으로 교차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 삽입 홈(320)들을 따라 N극, S극, N극, S극과 같은 순서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400)는 회전자(300)의 둘레부분을 따라 이격 배열된 다수의 코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고정자(400)는 다수의 코일 고정 돌기(410)와 코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고정 돌기(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링(130)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데, 고정 링(130)의 내측면으로부터 회전자(300)의 중심을 향해 각각 돌출되며, 코일 고정 돌기(410)의 단부는 회전자(300)의 둘레부분과 일정 간격으로 대향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코일 고정 돌기(410) 사이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 링(130)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코일(420)은 코일 고정 돌기(410)에 각각 권취될 수 있으며, 회전자(300) 회전할 때 회전자(300)에 설치된 자석(330)에 의한 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코일(420) 각각의 단선(+, -)은 정류기(600)에 연결되어 코일(420)로부터 발생되는 교류전류가 직류전류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500)은 내륜(510), 베어링(520) 및 외륜(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500)의 내륜(51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해당 바닥면에 연결되며, 베어링(500)의 외륜(530)은 회전자(300)를 향해 돌출되어 회전자(300)의 내부 천장중앙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00)의 내륜(510)과 외륜(530)은 동일한 폭 길이(L1=L2)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500)의 내륜(51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 즉 하부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500)의 외륜(530)의 상단은 내륜(51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외륜(530)이 하우징(100)의 하부커버(110)으로부터 이격되며, 내륜(510)이 회전자(300)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500)의 내륜(530)과 하부커버(110) 간의 간격(L3)은 내륜(510)과 외륜(530) 간의 높이차(L4)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500)의 내륜(510)과 외륜(530)이 이루어짐으로써, 베어링(500)은 외륜(530)을 통해 회전커버(200) 및 회전자(300)를 회전시키고, 내륜(510)을 통해 그 중심이 하우징(100)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 시 물리적인 간섭을 줄여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내륜(510)과 외륜(530) 간의 높이차(L3, L4)에 따라 회전커버(200) 및 회전자(300)의 회전 시 코깅 토크(cogging torque)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코깅 토크(cogging torque)는 베어링(500)의 회전 시 특유의 떨림이나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자의 두뇌에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류기(600)는 코일(420)로부터 발생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100)의 제2 설치구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700)은 정류기(600)를 통해 변환된 직류전류를 충방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휴대전자기기(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 단자(800)는 휴대전자기기(10)와 연결되기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 모듈(700)의 충전 전력을 휴대전자기기(10)로 유선 공급하며, 휴대전자기기(10)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기 단자(8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10)의 기기 단자(11)와 연결되어 충전 및 통신을 위한 단자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신모듈(9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휴대전자기기(10)로 무선 공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무선송신모듈(9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부커버(110) 내에 설치되는 무선 안테나(910)와 하우징(100)의 제2 설치영역에 설치되는 무선통신 제어회로(9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제어회로(920)는 근거리통신(NFC)을 통해 휴대전자기기(10)와 무선 연결되어 무선 안테나(910)를 통해 휴대전자기기(10)에 마련된 배터리로 전력을 무선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때 휴대전자기기(10)는 무선충전기능을 지원하는 기기를 전제로 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송신모듈(900)은 자기유도(inductive charging) 또는 자기공명(resonant inductive couplin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휴대전자기기(1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100: 하우징
110: 하부커버 111: 접착면
120: 상부커버 120a: 개방부
130: 고정 링 200: 회전커버
210: 다이얼 홈 220: 무게 추
230: 커버 결합부 300: 회전자
310: 베이스 311: 베이스 결합 홈
311a: 돌기 걸림 홈 320: 자석 삽입 홈
330: 자석 400: 고정자
410: 코일 고정 돌기 420: 코일
500: 베어링 510: 내륜
520: 베어링 530: 외륜
531: 외륜 고정 돌기 600: 정류기
700: 배터리 모듈 800: 발전기 단자
900: 무선송신모듈 910: 무선 안테나
920: 무선통신 제어회로 10: 휴대전자기기
11: 기기 단자

Claims (10)

  1. 일면이 휴대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면 상에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커버;
    상기 회전커버의 하부와 연결되고, 가장자리부분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둘레부분을 따라 이격 배열된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및
    내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외륜이 상기 회전자의 내부 천장중앙부분과 연결된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버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 테 부분에는 다이얼 회전 조작을 위한 다수의 다이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커버의 중앙 하부는 상기 회전자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이얼 홈의 내측면 상에 금속재질로 코팅된 형태의 무게 추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통해 변환된 직류전류를 충방전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통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휴대전자기기로 유선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휴대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기 위한 무선송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전자기기와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를 둘러싸되, 상기 하부커버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원통 형태의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커버; 및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고정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 링의 내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 링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자의 중심을 향해 각각 돌출된 다수의 코일 고정 돌기; 및
    상기 코일 고정 돌기에 각각 권취된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고정 돌기의 단부는 상기 회전자의 둘레부분과 일정 간격으로 대향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원기둥 형태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테 부분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자석 삽입 홈; 및
    상기 자석 삽입 홈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자석 삽입 홈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으로 교차 배열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하부와 상기 베어링의 외륜 상단부분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은 동일한 폭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의 상단이 내륜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회전자와 이격된 것을 특징을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이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회전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KR1020170164513A 2017-12-01 2017-12-01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KR10196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13A KR101966357B1 (ko) 2017-12-01 2017-12-01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13A KR101966357B1 (ko) 2017-12-01 2017-12-01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357B1 true KR101966357B1 (ko) 2019-04-05

Family

ID=6610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513A KR101966357B1 (ko) 2017-12-01 2017-12-01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966A (ko) 2020-10-23 2022-05-02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충전식 무선 이어폰 파우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517A (ko) 1999-12-22 2001-07-09 유승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휴대용단말기
KR20070031704A (ko) * 2005-09-15 2007-03-20 (주)대림코리아 휴대용 자가발전기
KR20140038964A (ko) * 2011-05-18 2014-03-31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발전 장치, 및 휴대형 전자기기
KR101554109B1 (ko) * 2014-08-21 2015-09-1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KR20150131081A (ko) * 2013-03-14 2015-11-24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발전기계용 로터 및 스테이터
KR20170026499A (ko) * 2014-07-30 2017-03-08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 반송 장치, 검사 장치, 및, 공작 기계
KR101732255B1 (ko) 2015-05-29 2017-05-08 이재혁 발전기
KR101734319B1 (ko) * 2016-05-04 2017-05-15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517A (ko) 1999-12-22 2001-07-09 유승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휴대용단말기
KR20070031704A (ko) * 2005-09-15 2007-03-20 (주)대림코리아 휴대용 자가발전기
KR20140038964A (ko) * 2011-05-18 2014-03-31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발전 장치, 및 휴대형 전자기기
KR20150131081A (ko) * 2013-03-14 2015-11-24 에머슨 일렉트릭 컴파니 발전기계용 로터 및 스테이터
KR20170026499A (ko) * 2014-07-30 2017-03-08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 반송 장치, 검사 장치, 및, 공작 기계
KR101554109B1 (ko) * 2014-08-21 2015-09-18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과 자가발전을 겸비한 모바일용 보호케이스
KR101732255B1 (ko) 2015-05-29 2017-05-08 이재혁 발전기
KR101734319B1 (ko) * 2016-05-04 2017-05-15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스마트폰용 자가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966A (ko) 2020-10-23 2022-05-02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충전식 무선 이어폰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6114B1 (en) Handheld rotationally rechargeable electronic apparatus
US9927836B2 (en) Electricity generator
CN112015238A (zh) 用于保持装置的适配器
US6978161B2 (en) Self-rechargeable portable telephone device with electricity generated by movements made in any direction
KR20130075077A (ko) 무선 충전 장치
JP2011072070A (ja) 発電装置および発電機器
KR101966357B1 (ko) 휴대용 피젯 자가 발전기
EP3196708A1 (en) Display device having automatically aligned display unit
JP2016119735A (ja) 電子時計及び電子機器
KR20060116440A (ko) 무전원 전기에너지 발생방법 및 그 장치
JP3633265B2 (ja) 電源ユニット、電源パッケージ、およびそれら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
KR101727998B1 (ko) 비상용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EP3410566B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reception/supply device
TWI438338B (zh) 充電裝置
KR101525729B1 (ko) 휴대용 풍력발전 충전기
KR100424839B1 (ko) 위성기어를 갖는 수동형 발전기
KR20050099408A (ko) 작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자가발전기
KR100888197B1 (ko) 휴대용충전장치
KR20180136020A (ko) 노트북의 RTC(Real Time Clock)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충방전 제어방법 및 노트북 리얼 타임 클럭(RTC: Real Time Clock) 전원 공급 방법
CN211702121U (zh) 一种惯性充电手机壳
JP2005045989A (ja)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
CN213425865U (zh) 一种磁吸对位的蓝牙耳机充电装置
US20240079906A1 (en) Power provid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571435B1 (ko) 리니어 제네레이터 및 일체형 단말기 케이스
KR102028256B1 (ko) 보조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